맨위로가기

이위공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위공문대는 무경칠서 중 하나로, 당 태종 이세민과 이정이 역대 병법, 병법가, 장군, 재상 등을 주제로 대화하는 내용을 담은 병법서이다. 강태공의 육도, 손자병법, 오자병법 등 다양한 병법과 보병, 기병, 전차의 사용법, 진법 등이 토론 내용에 포함된다. 당나라 시대의 군사 제도와 전술을 엿볼 수 있으며, 당나라 건국 당시의 전술과 전략을 이론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저자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당나라 말기 또는 송나라 초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경칠서 - 손자병법
    《손자병법》은 손무가 저술한 고대 중국의 군사 전략서로, 저자와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죽간손자병법 발견으로 손무 저술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13편으로 구성되어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현대에도 전략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서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경칠서 - 사마법
    사마법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사 사상을 담은 병법서로, 정의로운 전쟁을 옹호하고 군사와 문민의 역할 구분을 강조하며 후대 병법과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위공문대
표제어
한국어당태종 이위공문대
한자唐太宗李衛公問對
로마자 표기Tang Taizong Li Weigong Wen Dui
개요
종류병법서
저자당 태종과 이정
시대당나라
구성 및 내용
분량총 3권
내용당 태종과 이정의 병법에 대한 문답 형식
손자병법 등 기존 병법의 전략과 전술 비판 및 새로운 전략 제시
특징실전 경험 바탕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가치 및 영향
중요성무경칠서 중 하나
영향후대 병법 연구에 큰 영향
동아시아 군사 전략의 핵심 자료

2. 내용

무경칠서 중 하나이다. 문대(問對)는 묻고 대답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 태종 이세민(唐太宗 李世民)과 이정(李靖, 이위공(李衞公))이 역대 병법, 병법가, 장군, 재상 등을 화제로 대화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런 대화가 있었는지는 불명하다. 구체적인 토론 내용은 강태공육도, 손자병법, 오자병법, 황제(黃帝), 사마양저, 장량, 한신, 조조, 제갈량, 마륭(馬隆), 당 태종 이세민, 이정 등의 병법과 보병, 기병, 전차의 사용법, 8진, 육화, 오행의 진법 등이다. 이 병법서에서는 이정의 육화진은 제갈량의 팔진법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2]

당나라 시대 군대는 보병, 쇠뇌병, 기병으로 구성되었다. 전차는 오래전에 군사적 활용 가치를 잃었고, 무기는 철과 강철로 만들어졌다. 대규모의 지역적이고 결속력 있는 부대는 대규모 배치에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했다. 전문 부대는 훈련되고 무장된 징집병력으로 보충되었다. 무기와 부대 하위 유형은 고도로 전문화되었다. 속도와 기동성의 군사적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정면 공격보다는 측면 공격 및 기타 간접적인 기동이 선호되었다.

3. 구성

卷之上|권지상중국어

卷之中|권지중중국어

卷之下|권지하중국어

4. 저자와 진위 논란

''이위공문대''의 저자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불분명하지만, 현존하는 증거는 이 책이 직접 이정의 저작이라는 전통을 대부분 반박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지 참조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이위공문대''를 당나라 말기(618–907년) 또는 송나라 초(960–1279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3] 학자들 사이에서는 저작 시기에 대한 정확한 날짜에 대한 합의가 없다.

대부분의 사용 가능한 자료는 북송 (960–1127) 시대에 저술되었음을 시사한다. 당나라와 송나라의 서지에는 이정에게 귀속된 다른 7개의 저술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이위공문대』에 대한 언급은 없다. 8세기에 완성된 주요 저술(『동천』)은 이정의 저술을 광범위하게 인용하고 있지만, 『이위공문대』에 대해서는 한 번도 언급하지 않는다. 북 학자 중 일부가 "원억"이라는 동시대 군사 학자가 쓴 『이위공문대』의 초고를 보았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이위공문대』가 초기에 원억에 의해 위조되었다고 믿었다.

원억이 텍스트를 위조했다는 이론을 불신하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무경칠서 편찬 이전, 송나라 신종 황제(재위 1068–1085)는 ''"이정 병법"'' (''"이정의 병법"'')에 대한 연구와 주석을 명했다. 이 ''이정 병법''이 ''문대''의 판본이라고 가정하면, 책의 존재는 원억의 위조 추정 시기보다 10년 앞선다.[6]

저자나 저술 연대에 관계없이 현대 군사 역사가들은 이 책이 다른 여섯 권의 무경에 비해 이론적으로 진보했다는 점을 인정하며, 이 책이 진보하고 경험이 풍부한 군사 전략가의 작품일 것이라고 본다.[7]

무경칠서 중 하나이다. "문대(問対)"는 질의응답이라는 뜻이다. 송대의 완일에 의한 위작이라는 설이 있지만, 다른 설도 있다. 당나라 말기부터 송대에 걸쳐 이정의 사적을 아는 사람의 손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