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경칠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경칠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병법서 7종을 묶어 이르는 말로, 손자병법, 오자병법, 사마법, 육도, 울요자, 삼략, 이위공문대를 포함한다. 이 책들은 다양한 전략과 전술, 군사 제도, 국가 경영, 인재 등용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속임수를 활용한 단기전, 정공법을 통한 중장기전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무경칠서는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일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각 시대와 사회에 맞게 수용되고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총서 - 사서오경
    사서오경은 유교 경전의 핵심인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와 오경(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을 아울러 칭하는 용어로, 동아시아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인문학적 성찰과 윤리적 가치관 함양에 기여한다.
  • 중국의 총서 - 십삼경
    십삼경은 유교의 가르침과 윤리, 정치 철학을 담은 13가지 중요한 유교 경전 모음으로, 동아시아 문화권, 특히 조선 시대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십삼경주소와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
  • 무경칠서 - 손자병법
    《손자병법》은 손무가 저술한 고대 중국의 군사 전략서로, 저자와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죽간손자병법 발견으로 손무 저술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13편으로 구성되어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현대에도 전략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서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경칠서 - 사마법
    사마법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사 사상을 담은 병법서로, 정의로운 전쟁을 옹호하고 군사와 문민의 역할 구분을 강조하며 후대 병법과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수 7 - 세계 7대 불가사의
    세계 7대 불가사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선정한 지중해와 근동 지역의 놀라운 건축물 목록으로, 그리스 중심적 세계관을 반영하며 대부분 멸실되었으나 현대에도 다양한 불가사의 목록 선정이 이어지고 있다.
  • 명수 7 - 오기칠도
    오기칠도는 나라 시대 일본의 수도 주변 5개 국(오기)과 전국을 포괄하는 7개의 도(칠도)를 합쳐 이르는 행정 구역 구분으로, 현대 일본의 지방 명칭 및 지리적 구분에 영향을 미쳤다.
무경칠서
개요
무경칠서
무경칠서
저자다양한 저자 (손무, 강상, 사마양저, 오기, 위료, 황석공, 이정)
언어고대 중국어
주제군사 전략, 전쟁 철학
영향동아시아 군사 사상, 경영 전략
구성
포함 작품손자병법
오자
사마법
육도
위료자
삼략
이위공문대
역사적 배경
편찬 시기송나라 시대
중요성중국 역대 왕조의 군사 교범, 현대 경영 전략에도 영향
내용 개요
손자병법전쟁의 전략과 전술, 외교의 중요성 강조
오자군대의 조직과 운영, 리더십의 중요성 강조
사마법군사 행정, 군율, 전쟁의 윤리 강조
육도문벌, 무벌, 용벌, 호벌, 견벌, 귀벌의 여섯 가지 전략 제시
위료자전쟁의 정치적, 경제적 측면 강조
삼략인재 등용, 국가 통치 전략 제시
이위공문대당 태종과 이정의 문답 형식으로 군사 전략 논의
영향
군사 전략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군사 전략에 지대한 영향
경영 전략현대 경영 전략, 리더십 이론에 응용
가치
학문적 가치군사 사상,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문화적 가치동아시아 문화 이해의 중요한 부분

2. 목록

무경칠서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병법을 제시하는 병법서들이다. 각 병법서는 고유한 특징과 전략을 담고 있다.



Ralph D. Sawyer와 Mei-chün Sawyer에 따르면, 칠서는 다음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한다.[12]

  • 태공망의 ''육도''
  • ''사마법'' (''사마양저 병법'')
  • 손자의 ''손자병법''
  • 오기의 ''오자''
  • ''위료자''
  • ''황석공삼략''
  • ''당태종이위공문대''


일본에서는 게이초 11년(160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지시에 따라 후시미판의 일부로 간행되었고, 하야시 라잔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17세기 중엽에는 중국 병법이 중시되면서 통치술로서의 병학이 확립되었다.[14] 무경칠서에서는 주술적인 면이 배제되어 있다.[16]

2. 1. 손자병법 (孫子兵法)

손자의 ''손자병법''은 대체로 속임수로 승부하며 단기전에 적합하여 약자가 선호하는 병법서이다.[12] 20세기에만 영어로 수십 개의 다른 번역본이 존재할 정도로 다양한 버전이 있다.

2. 2. 오자병법 (吳子兵法)

오기가 저술한 병법서로, 대체로 정공법으로 승부하며 중장기전에 적합하다. 이는 강자가 안정적으로 승리를 굳힐 때 유용한 전략으로 평가받는다.[12]

2. 3. 사마법 (司馬法)

司馬法|사마법중국어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사마양저(司馬穰苴)가 저술한 병법서로, 군사 제도, 군율, 전쟁 수행 방법 등을 다룬다.[12] ''사마양저 병법''이라고도 불린다.

2. 4. 육도 (六韜)

六韜|육도중국어는 주나라 태공망 강상이 저술한 병법서로, 군사 전략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인사 관리 등 국가 경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12]

2. 5. 울요자 (尉繚子)

전국시대 병법가 울요(尉繚)가 저술한 병법서로, 군사 전략과 함께 농업 생산력 증진, 백성 교화 등 부국강병을 위한 내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2]

2. 6. 삼략 (三略)

황석공(黃石公)이 저술한 병법서로, 상략, 중략, 하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인재 등용과 활용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12]

2. 7. 이위공문대 (李衛公問對)

당나라 태종 이세민과 명장 이정의 군사 관련 문답을 기록한 책으로,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군사 전략을 제시한다.[12]

3. 한국의 수용과 영향

무경칠서는 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무과 시험의 필수 과목으로 채택되어 무관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일본의 수용

게이초 11년(160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지시에 따라 후시미판의 일부로 간행되었고, 하야시 라잔 등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17세기 중엽에는 중국 병법이 중시된 결과 통치술로서의 병학(주술을 포함한 중세적 병법에서 근세의 병학)이 확립되었다.[14] 중세 일본의 병법서가 주술적인 측면을 가졌던 것에 비해,[15] 무경칠서에서는 주술적인 면이 배제되어 있다.[16]

참조

[1]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Studies in Manuscript Cultures https://degruyter.co[...] Walter de Gruyter GmbH 2015
[3] 서적 Tangut Language and Manuscripts: An Introduction BRILL 2020
[4] 서적 Sun Tzu and the Art of Medieval Japanese Warfare https://brill.com/vi[...] Brill Academic Pub 2006
[5] 서적 Sun Tzu and the Art of Medieval Japanese Warfare Gloval Oriental 2006
[6]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1855
[7]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1855
[8] 간행물 Journal of the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for the Year https://books.google[...] The Branch 1890
[9] 문서 MANCHU TRANSLATIONS OF CHOU DYNASTY TEXTS http://www.jstor.org[...] 1977
[10] 웹사이트 The Textual History of Sanguo Yanyi : The Manchu Translation https://babelstone.c[...]
[11] 문서 "Sun tzu ping fa", in ''Early Chinese Texts: A Bibliographical Guide,''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1993
[12]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3] 문서 Conquer and Govern 2012
[14] 서적 忍者の歴史 角川選書 2016
[15] 서적 忍者の歴史 角川選書 2016
[16] 서적 忍者の歴史 角川選書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