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의현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의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좌의정 이세백의 아들이자 노론의 핵심 인물이었다.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청요직과 대간, 옥당을 거쳤으며, 경상도관찰사, 대사간, 이조참의 등을 역임하며 소론을 공격했다. 경종 즉위 후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신임사화로 유배되었다. 영조 때 풀려나와 다시 요직을 두루 거쳐 우의정과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 이씨 - 이한빈 (1926년)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자, 학자 이한빈은 서울대 영문과 졸업 후 하버드 MBA를 취득하고 재무부 예산국장, 차관, 주스위스 대사, 숭전대학교 총장, 아주공과대학 학장,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교수, 인간개발연구원 회장으로 활동했고, 「행정학원론」, 「사회변동과 행정」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용인 이씨 - 이일
    이일은 1538년에 태어나 160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제승방략』을 저술했으나 이순신을 모함한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 1745년 사망 - 조너선 스위프트
    조너선 스위프트는 아일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제로, 풍자와 사회 비판으로 유명하며 '걸리버 여행기', '드레이피어 서한', '겸손한 제안'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 본성과 사회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비판했고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학장으로도 활동했다.
  • 1745년 사망 - 카를 7세
    카를 7세는 바이에른 선제후이자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프랑스와 동맹하여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전쟁과 영토 상실을 겪었고 바이에른 로코코 시대의 문화적 절정기를 이끌었다.
  • 1669년 출생 - 예브도키야 로푸히나
    예브도키야 로푸히나는 표트르 1세의 첫 번째 황후로, 나탈리야 나리시키나에 의해 선택되어 차리차가 되었으나, 남편의 냉대와 보수적인 성향으로 수도원에 유폐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669년 출생 - 미즈노 다다유키
    미즈노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에서 양자 입양 후 다이묘가 되었고, 아카호 낭인 사건 처리와 교호의 개혁에서 로주로서 활약했으나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이의현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관전주 이씨
중경(仲景)
도곡(陶谷)
출생1669년
사망1745년 (76세)
직업문신, 문인
가족 관계
아버지이후(李厚)
어머니정부인 김씨

2. 생애

이의현은 좌의정 이세백의 아들로, 노론 핵심 인물이었다.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 이조좌랑, 승지, 대사간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김창집노론 대신들의 신임을 받아 소론을 공격하는 데 앞장섰다. 경종 즉위 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나, 신임사화로 인해 삭출되고 유배되었다. 영조 즉위 후 복권되어 우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1728년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한 공으로 분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李宜顯|이의현중국어좌의정 이세백의 아들이며, 노론 명문가 출신이다.

2. 2. 숙종 시대 활동

좌의정 이세백의 아들이며, 노론 대신 중의 핵심 인물이다.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설서, 정언, 사서, 지평, 부수찬, 교리 등 청요직과 대간, 옥당을 두루 거쳤다. 이조좌랑을 지낸 뒤 겸사서, 부교리, 헌납, 부수찬, 겸문학, 교리 등을 역임하며 노론의 입장을 대변했다. 이조정랑을 거쳐 부교리, 헌납, 부응교, 응교 등을 거쳐 승지가 되었다. 이조참의와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숙종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의 신임을 받아 대사간에 올랐다.

이후 승지, 대사간, 이조참의를 거치며 소론을 맹렬히 공격하고 탄핵했다. 부제학, 대사성, 황해도관찰사, 이조참의, 개성유수, 도승지 등을 역임했다. 숙종의 총애를 받아 예조참판, 대사헌, 부제학, 경기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2. 3. 경종 시대 활동과 신임사화

경종 즉위 후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우참찬, 예조판서, 이조판서, 예문관제학을 역임했다. 그러나 신임사화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 등과 함께 삭출되고 유배되었다.

2. 4. 영조 시대 활동과 복권

영조 즉위 후 이의현은 풀려나 지춘추관사를 맡았다. 이어서 선공감제조, 동지경연사를 역임했다. 형조판서 겸 예문관 제학, 이조판서, 동지사, 지사, 수어사, 예문관제학, 동지사 등을 거쳤다. 다시 이조판서, 우빈객, 대제학을 지낸 후 판의금부사, 예조판서, 홍문관 제학을 역임했다. 이후 예조판서와 대제학을 다시 맡았고, 빈객, 수어사, 상시관, 대제학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다. 판부사로 전직되었다가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후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를 거쳐 봉조하로 물러났다.

1728년 (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