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경 (18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경은 1822년 또는 1824년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난 조선 후기 인물이다. 1858년 규장각 검서관을 시작으로 관직에 나섰으며, 1887년 규장각 검서관에 다시 임명되었으나 9품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902년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정3품 통정대부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10월 29일에 사망했다. 아들이 없어 먼 친척을 양자로 들였으며, 묘소는 경기도 포천에 위치해 있다.

2. 생애

이재경은 1858년(철종 9년) 정략장군 규장각검서가 되었다.[2] 1887년(고종 24년) 11월 23일 군직에 임명되었고, 규장각검서관(檢書官) 이병익(李炳翼)이 병으로 출사할 수 없게 되자 그를 대신 임명하였다.[3][4] 1887년 12월 11일 승정원에서 규장각 검서관에 다시 임명되었으나,[6] 이후 9품으로 강등당했다. 강등 시기와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7][8]

1902년(광무 6년) 9월 25일 80세의 나이로 통정대부로 승진했다. 이는 고종이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여 80세 이상 조관에게 특별 승진을 허락했기 때문이다.[9][10][11] 1902년 10월 29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22년(순조 22) 혹은 1824년 1월 28일경기도 포천 일동면 기산리에서 태어났으며, 할아버지는 이현백(李顯栢)이고, 아버지는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이문녕(李文寧)이고, 어머니는 보성오씨(寶城吳氏)로 오윤중(吳允中)의 딸이다. 5대조는 숙종대의 문신 이상우(李商雨)이고, 대한제국 말기의 법관 이재정은 8촌 동생이 된다.

할아버지 이현백은 초명이 현채(顯采)인데 뒤에 현백(顯栢)으로 이름을 개명했다. 전주 이씨 선원록의 기록에는 처음 이름인 이현채로 나타난다.[1]

우계 이씨 족보에 의하면 그는 1824년생이라 하나,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902년 당시 고종이 기로소에 들어간 기념으로 80세 이상 조관에게 가자했다고 나타나 있다. 대한제국 관보 역시 나이 팔십세라 나와 있다. 족보에는 임인통정대부(壬寅通政大夫)라 하여 1902년에 통정대부로 승진했다고 나타나는데 이 승진기록은 승정원일기, 관보의 임용년도와 일치한다. 그의 초기 삶, 학문 사승관계는 알려진 것이 없다. 승정원일기와 동궁일록에 단편적으로 나타난다.

1858년(철종 9년) 정략장군(定略將軍)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가 되었다.

2. 2. 관료 생활

1858년(철종 9년) 정략장군(定略將軍)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가 되었다.[2]

1887년(고종 24년) 11월 23일 군직(軍職)에 임명되었다. 그날 규장각검서관(檢書官) 이병익(李炳翼)이 신병(身病)으로 출사할 수 없자, 규장각이 계를 올려 전에 천거받았던 그를 대신 임명하자고 상주하여 고종이 윤허하였다.[3] 다음날 11월 24일, 그는 병으로 출사할 수 없다 하여 규장각에 계를 올려 그 대신 정관조(鄭寬朝)를 입시시켰다.[4][5]

1887년(고종 24년) 12월 11일 승정원, 이비의 2차 정사에서 규장각검서관에 다시 임명되었다.[6] 그러나 뒤에 9품으로 강등당했는데 강등 년월일과 강등당한 사유는 알 수 없다. 승정원일기 1902년 음력 8월 24일(양력 9월 25일) 기사와 대한제국 관보에는 그의 정3품 승진 전 품계를 9품으로 나타난다.[7][8]

1902년(광무 6년) 양력 9월 25일 특명으로 정삼품으로 승진, 통정대부에 올랐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902년(광무 6년) 8월 24일 9품에서 정3품으로 승진했는데, 대황제 폐하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일과 관련하여, 조관(朝官)으로 나이 80세가 된 자에게 은사(恩賜)로 가자(加資)하도록 칙지를 받든 것(以上大皇帝陛下入耆社時, 朝官年八十覃恩加資事, 奉勅)이라 한다.[9] 대한제국 관보에는 9월 25일자 13면에는 승진 사유로 나이 팔십(陞正三品, 九品 李在景 年八十)으로 보도되었다.[10][11] 그의 임명 기사는 1902년 10월 24일자 관보에 보도되었다.

2. 3. 사후

아들이 없어 먼 친척 윤현(胤顯)의 셋째 아들 동선(東善)을 양자로 들였다. 묘소는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 기산리 (후일의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 금주산 덕암(德岩) 남쪽 계좌(癸坐)에 아버지 이문녕의 묘 아래에 부인 청주한씨와 합장되어 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이한삼(李漢三)
조부이현백(李顯柏)초명 이현채(李顯采)
조모전주 이씨재양부정 이간(載陽副正 李侃)의 8대손 이장혁(李鏘赫)의 딸[12]
백부이익녕(李益寧)
숙부이항녕(李恒寧)
고모우계 이씨
고모부이학천(李鶴天)진남군 종생(鎭南君 終生) 15대손[13]
고모우계 이씨
고모부윤정의(尹正義)
이문녕(李文寧)1795년 6월 17일 ~ 1851년 1월 2일
보성 오씨(寶城吳氏)1791년 7월 3일 ~ 1833년 8월 8일, 오윤중(吳允中)의 딸, 예문관봉교 오몽량(吳夢樑)의 후손
부인청주 한씨(淸州韓氏)1825년 2월 12일 ~ 1864년 9월 7일, 한상일(韓相一)의 딸
사위황필수(黃弼秀)창원인(昌原人), 부 태연(父 泰淵)
양자이동선(李東善)1857년 3월 1일 ~ 1921년 10월 5일
며느리청주 한씨(淸州韓氏)1858년 10월 19일 ~ 1920년 2월 12일, 통정 한용국(通政 韓用國)의 딸, 양절공 한확(襄節公 韓確) 후손


4. 기타

이재경의 집안은 대한제국 말기 법관을 지낸 이재정과 친척 관계였다.[1] 이재경의 증조부 이한종은 이재정의 증조부였다.[1] 이재경의 조모 전주 이씨와 이재정의 증조모 전주 이씨는 8촌간이었다.[1]

참조

[1] 서적
[2]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887-11-23
[3] 동궁일록 동궁일록 1887-11-23
[4]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887-11-24
[5] 동궁일록 동궁일록 1887-11-24
[6]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887-12-11
[7]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902-09-25
[8] 대한제국관보 敍任 1902-10-24
[9]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902-09-25
[10] 대한제국관보 敍任 1902-10-24
[11] 宮內府來文 通牒 1902-09-25
[12] 웹사이트 https://jsg.aks.ac.k[...]
[13] 웹사이트 https://jsg.aks.ac.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