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기 (154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기(1542년)는 명나라의 문신이다. 1583년 진사가 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예부상서, 동각대학사를 역임하며 내각에 들어갔으나, 수보 주갱의 죄로 사직하고 은거했다. 사천순무의 안요신 토벌과 관련하여 철병을 요구하여 칭찬을 받았으며, 만력제로부터 사직을 허락받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후 태자태보로 승진하였으며, 4년 후 사망하여 소보가 증여되고 시호는 문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예부시랑 - 장거정
장거정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수보의 자리에 올라 일련의 개혁을 추진하여 명나라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명나라의 예부시랑 - 방종철
방종철은 명나라 시대의 관료로, 사치와 낭비를 비판하며 광세 폐지를 주장했고 예부상서와 동각대학사를 역임했으나, 홍환 사건 연루와 아들의 납북 사건으로 고통을 겪은 인물이다. - 명나라의 태자태보 - 형개
형개는 명나라의 관료로, 진사 합격 후 감찰어사, 하남첨사 등을 거쳐 남경병부시랑 등을 역임하며 승진했고, 양응룡의 난을 진압하고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견되어 활동했으나, 울산성 전투 허위 보고로 탄핵받았으며, 사후 태보로 추증되고 『동정주의』와 『숭검록』을 남겼다. - 명나라의 태자태보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취안저우시 출신 - 리파빈
리파빈은 61kg급 역도 선수로서 세계 선수권, 아시아 선수권,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고 올림픽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 취안저우시 출신 - 홍승주 (청나라)
홍승주는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관료로, 명나라에서는 농민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청나라에 항복하여 청나라의 관료로 활동하며 강남 평정 등에 기여했고 사후 시호를 받았다.
| 이정기 (154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관직 | 태자태보예부상서문연각대학사(太子太保禮部尙書文淵閣大學士) |
| 국가 | 대명(大明) |
| 직책 | 내각대학사(內閣大學士) |
| 별명 | 자(字): 이장(爾張) 호(號): 구아(久我) 시호(諡號): 문절(文節) |
| 출생일 | 가정(嘉靖) 21년(1542) |
| 출생지 | 복건(福建) 천주부(泉州府) 진강현(晉江縣) |
| 사망일 | 만력(萬曆) 44년(1616) |
| 출신 | 융경(隆慶) 2년 은공국자생(恩貢國子生) 보충 융경(隆慶) 4년 경오과(庚午科) 순천향시(順天鄉試) 해원(解元) 만력(萬曆) 11년 계미과(癸未科) 회원(會元), 전시(殿試) 방안(榜眼) |
| 저작 | 泉州市志 |
2. 생애
이정기는 명(明)대의 관리로, 가정(嘉靖) 21년(1542)에 태어났다.[2] 공생(貢生)으로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며, 융경(隆慶) 4년(1570) 순천부(順天府) 향시(鄕試)에서 1등을 했다.[3] 만력(萬曆) 11년(1583) 회시(會試)에서도 다시 1등을 하여 진사(進士) 2등으로 급제하고 편수(編修)에 임명되면서 본격적인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예부상서(禮部尙書), 동각대학사(東閣大學士) 등을 역임하며 만력제(萬曆帝) 시기 내각(內閣)에 들어가 국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치적 공세에 휘말려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고, 결국 만력 40년(1612)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갔다. 고향으로 돌아간 지 4년 후에 세상을 떠났으며, 사후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추증되고 문절(文節)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2. 1. 관직 생활
공생(貢生) 신분으로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며, 융경(隆慶) 4년(1570) 경오과(庚午科) 순천부(順天府, 오늘날 북경) 향시(鄕試)에서 1등을 차지했다.[3] 만력(萬曆) 11년(1583) 회시(會試)에서도 다시 1등을 차지했고, 진사(進士) 2등인 방안(榜眼)으로 급제하여 편수(編修)에 임명되었다. 여러 차례 승진하여 좨주(祭酒)를 거쳐 남경이부우시랑(南京吏部右侍郞), 예부우시랑(禮部右侍郞), 예부상서(禮部尙書), 동각대학사(東閣大學士) 등을 역임했다.만력 34년(1606), 이정기는 만력제(萬曆帝)의 눈에 들어 예부상서 겸 동각대학사로서 내각(內閣)에 들어가 국정 운영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언관(言官)들은 이정기가 전임 수보(首輔)였던 신시행(申時行) 및 심일관(沈一貫) 등과 비밀리에 내통하고 있다고 의심하며 그를 반대하고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4] 만력 36년(1608), 조정 신료들이 수보(首輔) 주갱(朱賡)의 죄를 논하는 과정에서 이정기까지 연루되자, 그는 수개월 동안 문을 닫고 외부와 접촉을 끊었다. 이 기간 동안 내각의 사무는 새로 입각(入閣)한 섭향고(葉向高)가 처리했다. 이후 몇 년간 이정기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자 그는 사직 의사를 밝혔고, 북경의 집과 재산을 팔아 가난한 이들을 돕고 친척들을 고향인 천주(泉州)로 돌려보냈다. 자신은 진무묘(眞武廟)에 은거하며 5년 동안 120차례나 사직 상소를 올렸으나 황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이정기는 죄를 뒤집어썼다는 명목으로 스스로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만력 40년(1612)에 이르러서야 만력제는 마침내 그의 사직을 허락했다.
사직이 허락된 같은 해 9월,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승진하여 고향으로 돌아갔으며, 4년 뒤 세상을 떠났다. 사후 소보(少保)가 증여되었고, 문절(文節)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명사』(明史) 열전에서는 이정기의 사람됨에 대해 遇事有執, 尤廉潔, 然性刻深, 亦頗偏愎, 不諳大體|일을 처리할 때 고집이 있고 매우 청렴결백하지만, 성품이 가혹하고 편협하여 큰 흐름을 파악하지 못했다중국어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의 집정에 대해서는 系閣籍六年, 秉政止九月, 無大過|내각에 있은 지 6년이고 수보로서 권력을 잡은 것은 9개월뿐이지만 큰 잘못은 없었다중국어고 기록했다. 또한 廷機輔政時, 四川巡撫喬璧星銳欲討鎭雄安堯臣, 與貴州守臣持議不決. 廷機力主撤兵, 其後卒無事, 議者稱之|이정기가 수보로 있을 때 사천순무(四川巡撫) 교벽성(喬璧星)이 진웅(鎭雄)의 안요신(安堯臣)을 토벌하려 했으나 귀주순무(貴州巡撫)와 의견이 맞지 않아 결정하지 못했다. 이정기는 강력히 철병을 주장했고, 그 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자 논의하던 사람들이 그를 칭찬했다중국어는 일화를 통해 그의 결단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2. 2. 은퇴와 죽음
만력 40년(1612) 만력제는 마침내 이정기의 사직을 허락했다. 같은 해 9월, 이정기는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승진하여 고향으로 돌아갔으며, 고향에서 4년을 더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사후에는 소보(少保)가 증여되었고, 시호는 문절(文節)이다.2. 3. 평가
『명사』 열전에서는 이정기에 대해 상반된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한편으로는 일 처리에 있어 고집이 있고 청렴결백했지만, 성품이 가혹하고 편협하여 대체(大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내각에 6년간 재직하고, 수보(首輔)로서 실권을 잡은 기간은 9개월에 불과했지만 그동안 큰 잘못은 없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이정기가 수보로 있을 때, 사천순무(四川巡撫) 교벽성(喬璧星)이 진웅(鎭雄)의 안요신(安堯臣)을 토벌하려 하자, 이정기는 군대를 철수시킬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의 주장대로 철병한 이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자, 당시 논의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이 결정을 높이 평가했다. 이는 백성들의 피해를 막은 사례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泉州市志
http://www.fjsq.gov.[...]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0-05
[2]
문서
萬曆⼗⼀年進⼠登科錄
[3]
문서
조림잡조(棗林雜俎)
[4]
역사서
명사(明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