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천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천광은 북위 시대의 인물로, 이주영의 총애를 받아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다. 그는 이주영 휘하에서 사주의 군사를 통솔하고, 형고의 난과 묵기추노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다. 이주영 사후에는 광종왕에 봉해졌으며, 절민제를 옹립하고 대사마에 이르렀다. 그러나 고환과의 한릉 전투에서 패배하여 곡사춘에게 사로잡혀 낙양에서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96년 출생 - 고환 (북위)
고환은 북위에서 태어나 이주씨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동위를 건국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효무제와 효정제를 옹립하고 서위와의 대립 속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다 사망했다. - 496년 출생 - 킬데베르투스 1세
킬데베르투스 1세는 클로비스 1세의 아들이자 511년 프랑크 왕국 분할 당시 파리를 중심으로 영토를 다스린 메로빙거 왕조의 왕으로, 형제들과 함께 영토를 확장하고 파리에 수도원 건립에 기여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영토는 동생에게 상속되었다. - 이주씨 - 이주영 (북위)
이주영은 북위 말 군벌로, 하음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효장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강화했지만, 효장제와의 갈등으로 암살당하며 북위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이주씨 - 이주도율
이주도율은 북위 시대 인물로, 이주영의 정벌에 종군하여 관직을 시작했으며, 위장군, 좌광록대부 등을 역임하고, 이주영 사후 원엽을 옹립했으나 고환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532년 사망 - 성 사바스
성 사바스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 팔레스타인에서 활동한 기독교 성인이자 수도승으로, 마르 사바 수도원을 설립하여 팔레스타인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칼케돈 신조를 옹호하며 교회 지도자로도 활동했다. - 532년 사망 - 원랑
원랑은 531년 고환에 의해 북위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532년 효무제에게 양위하고 살해되었으며, 북위 절민제와 황위를 다투고 고환의 지지 속에 즉위하여 연호를 중흥으로 정했다.
이주천광 | |
---|---|
기본 정보 | |
![]() | |
성 | 이주(爾朱) |
이름 | 천광(天光) |
시호 | 무(武) |
작위 | 왕(王) |
봉작 | 진(晉) |
생몰년도 | 476년 ~ 532년 |
시대 | 남북조 시대 |
가계 | |
조부 | 이주대두한(爾朱代頭汗) |
아버지 | 이주신궤(爾朱薪궤) |
형제 | 이주보락(爾朱菩락), 이주세륭(爾朱世隆), 이주도갈지(爾朱度渴至), 이주영(爾朱榮), 이주조(爾朱兆), 이주중원(爾朱仲遠) |
주요 활동 | |
직위 | 대장군(大將軍), 사공(司空) |
군사 활동 | 만俟醜奴의 반란 진압, 왕慶雲의 반란 진압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이주영(爾朱榮), 원자유(元子攸), 원엽(元曄) |
2. 생애
이주천광은 어린 시절부터 결단력이 뛰어나고 활쏘기와 승마에 능해 이주영의 총애를 받았다. 527년부터 532년까지 이주영, 이주씨 정권, 북위 정권에서 활약하였다.[1]
529년 원천목과 함께 형고의 반란을 진압하고, 원호가 낙양에 입성하자 이주영과 합류하여 원호를 격퇴했다.[1] 530년에는 묵기추노의 반란을 진압하고 잔당들을 소탕하여 관직이 복귀되었다.[1]
이주영 사후, 효장제로부터 광종왕(廣宗王)으로 봉해졌고, 이주세륭이 옹립한 원엽에 의해 농서왕(隴西王)으로 추봉되었다.[1] 531년에는 절민제를 옹립하고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상서령, 관서대행대(關西大行臺)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532년, 이주씨 일족은 고환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이주천광은 곡사춘(斛斯椿)에게 붙잡혀 낙양으로 보내져 37세의 나이로 사형당했다.[2]
2. 1. 초기 생애와 이주영 휘하에서의 활약
이주천광은 어린 시절부터 결단력이 뛰어나고 활쏘기와 승마에 능해 이주영의 총애를 받았다. 527년 이주영이 병주(幷州)와 사주(肆州)를 근거지로 삼자 도장(都將)으로 임명되어 사주의 군사를 통솔했다. 528년 효명제 사후 이주영이 낙양(洛陽)으로 향할 때 사주의 내정을 담당했다.[1] 이후 무군장군(撫軍將軍), 사주자사(肆州刺史), 장안현개국공(長安縣開國公)에 봉해졌다.[1] 이주영이 갈영(葛榮)을 공격할 때 사주를 지켰으며, 시중(侍中),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북수용(北秀容) 제1 추장으로 임명된 뒤 위장군(衛將軍)으로 승진했다.[1]2. 2. 형고의 난 진압과 원호 격퇴
529년, 원천목 휘하에서 사지절(使持節) · 진동장군(鎭東將軍) · 도독(都督)을 제수받아 형고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1] 원호가 낙양에 입성하자, 하내(河內)에서 이주영과 합류하여 상서복야(尙書僕射)를 겸하고 병주(幷州)의 내정을 담당했다.[1] 원호 격퇴 후 낙양으로 돌아와 표기장군(驃騎將軍) 및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임명되고 광종군공(廣宗郡公)에 봉해졌으며, 좌위장군(左衛將軍)으로 승진했다.[1]2. 3. 관중 지역 평정과 반란 진압
530년, 묵기추노(万俟醜奴)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주천광은 사지절(使持節) ·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 옹주(雍州)자사(刺史)에 임명되어 하발악(賀拔岳), 후막진열(侯莫陳悅)과 함께 반란 진압에 나섰다. 이들은 울지보살(尉遲菩薩)을 격파하고 묵기추노를 생포하는 데 성공했다.[1]이후 묵기도락(萬俟道洛)과 왕경운(王慶雲) 등 잔당이 계속 저항하자, 이주천광은 이들을 진압하라는 명을 받았으나 처음에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무군장군(撫軍將軍)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결국 잔당들을 소탕하여 관직이 복귀되었고, 시중(侍中) 및 의동삼사(儀同三司)가 더해졌다.[1]
묵기추노의 잔당인 숙근명달(宿勤明達)이 다시 위협하자, 이주천광은 하발악 등과 함께 숙근명달을 공격해 동하주(東夏州)로 쫓아냈다. 그러나 이주영이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추격을 중지하고 정세를 관망하였다.[1]
2. 4. 이주씨 세력의 내분과 몰락
효장제가 이주영을 살해한 후, 이주천광은 광종왕(廣宗王)으로 봉해졌다. 이주세륭이 옹립한 원엽은 이주천광을 농서왕(隴西王)으로 추봉했다. 이주조가 낙양으로 진군하자 이주천광은 함께 낙양으로 들어가 이주세륭과 면담 후 옹주로 복귀했다.[1] 531년, 다른 이주씨 일족들과 함께 절민제를 옹립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상서령, 관서대행대(關西大行臺)로 임명되었다.[1] 또한 도주했던 숙근명달을 체포해 낙양으로 압송하는 공을 세워 대사마(大司馬)로 승진하였다.[1]이 무렵 이주씨 사이는 험악했고, 서로 협력하지 않아 고환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2] 이주세륭이 여러 번 이주천광을 불렀지만, 이주천광은 응하지 않았다.[2] 혹사춘의 권유를 받고 군대를 동쪽으로 보냈다.[2] 532년 윤3월, 이주씨의 군대와 고환의 군대는 한릉에서 전투를 벌였고, 이주씨는 크게 패했다.[2] 혹사춘이 배반하여 하량에서 이주천광이 강을 건너는 것을 막았기 때문에 낙양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2] 이주천광은 서북쪽으로 도망치려 했지만, 폭우를 만나 전진할 수 없었고, 혹사춘 등에게 사로잡혔다.[2] 이주도율과 함께 고환에게 보내져 낙양의 시장에서 처형당했다.[2]
2. 5. 고환과의 전투 패배와 최후
532년, 이주씨 일족과 함께 고환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였다.[2] 곡사춘(斛斯椿)에게 붙잡혀 낙양으로 보내져 사형당했다.[2]이 무렵 이주씨 사이는 험악했고, 상호 연계를 결여하여, 고환의 세력 신장을 허용했다. 이주세륭이 여러 번 천광을 소환하려 했지만, 천광은 응하지 않았다. 혹사춘의 권유를 받아, 마침내 군대를 동쪽으로 내려보냈다. 532년 윤3월, 이주씨의 군대와 고환의 군대는 한릉에서 결전을 벌였고, 이주씨는 대패했다. 혹사춘이 배반하여, 하량에서 천광의 도하를 막았으므로, 낙양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천광은 어쩔 수 없이 서북으로 도망치려 했지만, 폭우를 만나 전진할 수 없었고, 혹사춘 등에게 사로잡혔다. 이주도율과 함께 신병을 고환에게 보내져, 낙양의 시장에서 참수되었다. 향년 37세.
참조
[1]
서적
"Wei Shu, vol.11"
[2]
서적
"Wei Shu, vol.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