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조는 북위의 무장으로, 이주영의 조카이다. 용감무쌍하여 이주영의 심복으로 활약하며, 육진의 난, 효장제 시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이주영 사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을 일삼았으나 고환과의 대립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주씨 - 이주영 (북위)
이주영은 북위 말 군벌로, 하음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효장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강화했지만, 효장제와의 갈등으로 암살당하며 북위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이주씨 - 이주천광
이주천광은 북위 말기의 무장으로 이주영의 측근으로 활약하며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이주영 사후 고환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생애는 북위 말기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이주씨 일족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 북위의 대장군 - 우문태
우문태는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의 실권자이자 북주의 추존 황제로, 하발악 사후 세력을 흡수하여 서위의 실력자가 되었고 효무제 독살 후 문제 옹립, 부병제 확립, 균전제 부활 등 내정 개혁을 통해 북주 건국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사후 태조 문황제로 추존되었다. - 북위의 대장군 - 우근 (인물)
우근은 남북조 시대 서위와 북주의 무장으로, 팔주국 중 한 명으로서 북위에서 무관으로 시작해 서위 건국에 기여하고 높은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이주조 | |
---|---|
기본 정보 | |
![]() | |
성명 | 이주조 |
로마자 표기 | I Ju-jo |
한자 | 爾朱兆 |
신상 정보 | |
출생 | 몰년 미상 |
사망 | 533년 |
사인 | 자살 |
가족 | 이주영 (족형) |
경력 | |
활동 시기 | 6세기 |
직위 | 북위의 권력자 |
기타 | |
관련 사건 | 하음참사 |
2. 생애
이주영의 조카인 이주조는 용맹하고 무예가 뛰어나 이주영의 총애를 받으며 그의 심복이 되었다. 육진의 난 때 이주영을 따라 종군하였으며, 효장제 시기에는 여러 관직을 거치며 공을 세워 영천군공에 봉해졌다. 529년, 원호가 양나라의 지원을 받아 낙양을 점령하자, 이주조는 원호의 아들을 기습 공격하여 효장제의 복위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으로 시중, 거기대장군, 분주자사 등을 역임하며 권세를 누렸다.
530년, 이주영이 효장제에게 살해당하자, 이주조는 장광왕 원엽을 옹립하고 낙양으로 진군하여 효장제를 사로잡아 살해했다. 이후 영천군왕으로 봉해졌으며, 원엽을 폐위하고 절민제 원공(元恭)을 옹립하는 등 정권을 장악했다. 531년, 원공(절민제)이 즉위하자, 이주조는 사지절·시중·도독중외제군사·주국대장군·영군장군·영좌우·병주 자사의 지위를 받고, 녹상서사·대행대를 겸했다. 또한 천주대장군 직함을 받았지만 사양했다. 이주조는 자신의 딸을 황후로 삼게 하고 조정을 장악하여 전횡을 일삼았다.
고환이 이주조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531년 반란을 일으키자, 이주조는 이주세륭 등 다른 이주씨 일족과 연합하여 고환에게 대항했으나, 한릉 전투에서 대패했다. 533년, 고환의 추격을 받던 이주조는 수용(秀容)에서 궁지에 몰리자 스스로 목을 매 자결했다.
2. 1. 이주영의 심복
이주영의 조카로, 어렸을 때부터 용맹하고 무예가 출중하여 이주영의 총애를 받았다. 특히 승마와 궁술에 능했으며, 맨손으로 맹수와 싸울 정도였다고 한다. 이주영은 사냥을 즐겼는데, 이주조는 그의 수행원 중 유일하게 사냥에서 그를 따라갈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났다.[2] 이주영은 이주조를 자신의 심복으로 삼고 중요한 임무를 맡겼다.육진의 난 때 이주영이 낙양에 들어가자, 이주조는 전봉도독(前鋒都督)이 되었다.[2] 효장제 때 여러 차례 도독에 임명되고, 영천군공(潁川郡公)에 봉해졌다.[2] 529년에는 원천목의 휘하에서 형고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2] 같은 해, 원호가 양나라의 지원을 받아 낙양을 점령하자, 이주조는 원호의 아들 원관수(元冠受)를 기습 공격하여 원호의 군대를 무너뜨리고 효장제가 복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
이러한 공으로 이주조는 시중(侍中),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 분주자사 등을 역임하며 권세를 누렸다.[2] 530년 이주영이 효장제에게 살해당하자, 이주조는 장광왕 원엽을 옹립하고 낙양으로 진군하여 효장제를 살해하는 등 권력을 휘둘렀다.[2]
2. 2. 권력 장악과 전횡
이주영이 효장제에게 살해당하자, 이주조는 장광왕 원엽을 옹립하고 낙양으로 진군하여 효장제를 사로잡아 살해했다. 이주조는 영천군왕(潁川郡王)으로 봉해졌으며, 이후 원엽을 폐위하고 절민제 원공(元恭)을 옹립하는 등 정권을 장악했다.531년, 원공(절민제)이 즉위하자, 이주조는 사지절·시중·도독중외제군사·주국대장군·영군장군·영좌우·병주 자사의 지위를 받고, 녹상서사·대행대를 겸했다.[1] 또한 천주대장군(天柱大將軍) 직함을 받았지만, 숙부인 이주영의 최종 관직이라고 말하며 굳이 사양했다.[1]
이주조는 자신의 딸을 황후로 삼게 하고 조정을 장악하여 전횡을 일삼았다.
2. 3. 고환과의 대립과 패배
고환은 이주조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531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주조는 고환에게 수차례 패배하여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주세륭 등 다른 이주씨 일족과 연합하여 고환에게 대항했으나, 한릉 전투에서 대패했다. 533년, 고환의 추격을 받던 이주조는 수용(秀容)에서 궁지에 몰리자 스스로 목을 매 자결했다. 고환은 예를 갖춰 장례를 치러주었다.531년 여름, 고환은 이주 세력이 부패하여 취약해졌다고 판단하고 반란을 일으켜 원랑을 황제로 옹립하여 절민제와 대립하게 했다. 이주 세력이 고환에 맞서기 위해 광아(廣阿, 현대의 싱타이, 허베이)에 집결하자, 고환은 이간계를 사용하여 그들끼리 서로 의심하게 만들었다. 이주조에게는 이주세륭과 그의 형제들이 자신을 음모한다고 믿게 하고, 이주세륭과 이주중원에게는 이주조가 고환과 음모를 꾸민다고 믿게 했다. 그 결과, 이주조와 이주중원 사이에 큰 다툼이 벌어진 후, 이주중원과 이주영의 사촌인 이주도률이 물러나면서, 이주조는 고환보다 훨씬 더 큰 군대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립되었다. 고환은 이후 그를 격파하고 군대를 물리친 후 남쪽으로 진격하여 532년 봄에 중요한 도시인 야성에 입성했다.
이주 세력은 다시 결집했고, 이주세륭의 제안에 따라 절민제는 이주조의 다른 딸을 황후로 맞이하여 결속을 다졌다. 이후 이주조는 야성을 점령하려 반격을 시도했지만 고환에게 패했다. 패배 후, 이주조는 군대를 돌려 낙양으로 돌아가 이주세륭과 이주천광(당시 장안 기지에서 도착)과 합류하는 대신, 진양으로 돌아갔다. 한편, 장군 호사춘이 낙양에서 이주 세력에 대항하여 봉기하여 이주세륭과 이주언백을 죽이고 이주천광과 이주도률을 생포하여 고환에게 넘겼고, 고환은 낙양에 입성한 후 그들을 처형했다. 이주중원은 양으로 도주했고, 이주조는 이주씨 가문에서 유일하게 상당한 군대를 거느린 인물이 되었다. 그는 진양에서 물러나 옛 칠호 부족의 영토인 수용(秀容, 현대의 삭주, 산서성)에 새로운 본부를 설치했다.
533년 봄, 고환은 여러 차례 공격을 선언했지만 실제로 공격하지 않아 이주조의 경계를 풀게 한 후, 수용을 기습하여 이주조의 군대를 격파했다. 이주조는 산으로 도망쳤지만, 탈출로가 막히자 측근인 장량(張亮)과 진산제(陳山提)에게 자신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장과 진이 그렇게 할 수 없자, 그는 자신의 군마를 죽인 후 나무에 목을 매달아 자살했다.
3. 평가
이주조는 용맹하고 군사적 재능은 뛰어났으나, 잔혹하고 포악한 성격으로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1] 그는 정치적으로 미숙했으며, 이주씨 일족 간의 갈등을 조장하여 결국 고환에게 패배하는 원인을 제공했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주조를 북위 말기 혼란을 가중시킨 권신으로 평가하며, 그의 잔혹함과 정치적 무능을 비판한다.
4.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Emperor Xiaowu's biography in Bei Shi
Bei Shi
533-02-17
[2]
서적
Wei Shu
Wei Sh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