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랑은 본당을 성소, 후진, 성가대 등과 분리하는 건축 요소이다. 교차부에서 본당을 가로지르며, 건물 평면 형태에 따라 라틴 십자형 또는 그리스 십자형을 이룬다. 북쪽과 남쪽 끝 벽에는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이 설치되기도 한다. 익랑은 더 큰 주 복도를 가로지르는 부속 복도, 또는 지하철역의 승강장과 철로 위에 있는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회 건축 - 금박
금박은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금속 박편으로, 내구성과 가소성을 이용하여 장식, 건축, 불상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소량으로 넓은 면적을 장식할 수 있고 식용으로도 사용되지만 순도 및 과다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 교회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가톨릭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가톨릭 건축 - 종탑
종탑은 시간을 알리거나 종교 의식 등에 사용되는 건축물로, 교회에서 예배나 기도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며 특별한 경우에도 종을 울리고, 종을 울리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익랑 | |
---|---|
개요 | |
정의 | 건축 용어로서, 교회의 본당과 내진성소 사이를 가로지르는 부분 |
역할 | 평면도를 십자가 형태로 만드는 역할 |
어원 | |
유래 | 라틴어 "trans" (넘어서) + "septum" (울타리, 칸막이) |
의미 | 본당에서 뻗어나와 "넘어서" 가로지르는 공간 |
역사 및 기능 | |
기원 | 초기 기독교 교회 건축에서 유래 |
기능 변화 | 초기에는 단순한 통로였으나, 점차 중요한 공간으로 발전 |
추가 기능 | 예배 공간 확장, 성유물 안치, 채광 및 환기 기능 |
구조 및 형태 | |
일반적인 형태 | 본당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 |
길이 | 본당 폭과 비슷하거나 더 긴 경우가 많음 |
위치 | 본당과 내진성소 사이에 위치 |
공간 분할 |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나뉠 수 있음 |
건축학적 중요성 | |
상징성 | 기독교 십자가의 형태를 나타냄 |
공간 구성 | 교회 내부 공간을 확장하고 변화를 줌 |
시각적 효과 |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여 드라마틱한 효과 연출 |
다양한 형태 | |
단일 익랑 | 본당 양쪽에 하나씩 있는 일반적인 형태 |
이중 익랑 | 본당 양쪽에 두 개씩 있는 형태 |
삼중 익랑 | 본당 양쪽에 세 개씩 있는 형태 (드문 경우) |
둥근 익랑 | 둥근 형태의 익랑 (특정 건축가에 의해 설계) |
관련된 건축 요소 | |
교차점 | 본당과 익랑이 만나는 지점 |
돔 | 교차점 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음 |
첨탑 | 교차점 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음 |
후진 | 내진성소 뒤쪽에 위치한 반원형 공간 |
측랑 | 본당 양쪽에 위치한 통로 |
참고 문헌 |
2. 상세
익랑은 본당을 성소, 후진, 성가대, 쉐베, 사제관, 또는 성가대석과 분리한다.[1] 때로는 익랑 없이 짓거나, 익랑이 일치하는 예배당으로 축소되기도 한다. 그러나 더 자주 익랑은 건물의 나머지 측면을 훨씬 넘어 뻗어 십자형을 형성하는데, 이를 라틴 십자형 평면도라고 하며, 이러한 연장을 익랑의 "팔"이라고 한다.[1]
2. 1. 구조 및 특징
익랑은 본당과 교차부에서 만나는데, 이 교차부는 본당의 주축과 익랑에 모두 속한다. 교차부 위에는 네 개의 기둥 위에 첨탑(예: 솔즈베리 대성당), 중앙 탑(예: 글로스터 대성당) 또는 돔(예: 세인트 폴 대성당)이 설치될 수 있다.[1] 제단은 보통 교회의 동쪽에 위치하므로, 익랑은 북쪽과 남쪽으로 뻗어 나가게 된다. 북쪽과 남쪽 끝 벽에는 종종 스테인드 글라스로 장식된 창문, 특히 돌 트레이서리로 만들어진 장미 창이 설치된다.[1]익랑은 때때로 예배당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건물의 평면 형태가 익랑이 본당보다 짧은 라틴 십자형을 이루거나, 익랑과 본당의 길이가 같은 그리스 십자형을 이루기도 한다.[1]
퍼쇼어 수도원처럼 교회가 익랑을 하나만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역사적인 재앙, 화재, 전쟁, 또는 재정 문제 등의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보베 대성당의 경우, 쉐베와 익랑만 남아있고, 본당은 1284년 높은 볼트가 무너진 후 완성되지 못했다. 프라하의 성 비투스 대성당은 19세기에 건설이 재개될 때까지 성가대와 남쪽 익랑 일부만 완성되었다.[1]

2. 2. 다양한 의미
'익랑'이라는 단어는 때때로 더 큰 주 복도를 가로지르는 부속 복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1851년 만국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유리와 철로 된 런던 크리스탈 팰리스의 횡단 홀 또는 "익랑"이 이에 해당한다.지하철역이나 유사한 구조에서 익랑은 측면 승강장이 있는 역의 승강장과 철로 위에 있는 공간으로, 승강장 사이의 다리가 위치해 있다. 다리를 갇힌 터널 대신 익랑에 배치하면 승객들이 승강장을 볼 수 있어 답답함을 덜 느끼고 방향 감각을 쉽게 할 수 있다.
3. 같이 보기
- 본당
- 성소
- 후진
- 성가대
- 쉐베
- 사제관
- 성가대석
- 교차부
- 기둥
- 첨탑
- 솔즈베리 대성당
- 탑
- 글로스터 대성당
- 돔
- 세인트 폴 대성당
- 제단
- 창문
- 스테인드 글라스
- 트레이서리
- 장미 창
- 바실리카
- 대성당
- 예배당
- 라틴 십자형
- 그리스 십자형
- 퍼쇼어 수도원
- 보베 대성당
- 볼트
- 성 비투스 대성당
- 지하철역
- 승강장
- 철로
- 다리
- 터널
3. 1. 건축 요소
익랑은 본당을 성소, 후진, 성가대, 쉐베, 사제관, 또는 성가대석과 분리한다.[1] 익랑은 교차부에서 본당을 가로지르며, 교차부는 본당의 주축과 익랑에 동일하게 속한다. 교차부는 네 개의 기둥 위에 첨탑 (예: 솔즈베리 대성당), 중앙 탑 (예: 글로스터 대성당) 또는 교차부 돔 (예: 세인트 폴 대성당)을 지지할 수 있다. 제단은 보통 교회의 동쪽에 위치하므로 익랑은 북쪽과 남쪽으로 뻗어 있다. 북쪽과 남쪽 끝 벽에는 종종 스테인드 글라스의 장식된 창문이 있으며, 예를 들어 돌 트레이서리의 장미 창이 있다.때때로, 바실리카와 거기에서 파생된 교회 및 대성당 계획은 익랑 없이 지어졌다. 때로는 익랑이 일치하는 예배당으로 축소되었다. 더 자주, 익랑은 건물의 나머지 측면을 훨씬 넘어 뻗어 십자형을 형성했다. 이 디자인을 라틴 십자형 평면도라고 하며, 이러한 연장을 익랑의 "팔"이라고 한다.[1] 네 개의 연장부가 동일한 길이인 그리스 십자형 평면도는 중앙 집중식 구조를 생성한다.
퍼쇼어 수도원과 같이 교회가 익랑을 하나만 가지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변칙성을 설명하기 위해 역사적인 재앙, 화재, 전쟁 또는 자금 조달 문제가 발생한다. 보베 대성당에서는 쉐베와 익랑만 남아 있으며, 대성당의 본당은 1284년 대담한 높은 볼트가 무너진 후 결코 완성되지 않았다. 프라하의 성 비투스 대성당에서는 19세기에 재개된 건설 캠페인이 시작될 때까지 성가대와 남쪽 익랑의 일부만 완성되었다.
3. 2. 십자형
익랑이 건물의 나머지 측면을 훨씬 넘어 뻗어 십자형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 디자인을 라틴 십자형 평면도라고 하며, 이러한 연장을 익랑의 "팔"이라고 한다.[1] 네 개의 연장부가 동일한 길이인 그리스 십자형 평면도는 중앙 집중식 구조를 생성한다.3. 3. 유명 건축물
- 솔즈베리 대성당 : 첨탑이 있는 교차부가 있다.
- 글로스터 대성당 : 중앙 탑이 있는 교차부가 있다.
- 세인트 폴 대성당 : 교차부 돔이 있다.
- 퍼쇼어 수도원 : 익랑이 하나만 있다.
- 보베 대성당 : 쉐베와 익랑만 남아 있다.
- 성 비투스 대성당 : 성가대와 남쪽 익랑의 일부만 완성되었다.
3. 4. 기타
지하철역이나 이와 비슷한 구조에서 익랑은 측면 승강장이 있는 역의 승강장과 철로 위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승강장 사이의 다리가 위치해 있다. 다리를 갇힌 터널 대신 익랑에 배치하면 승객들이 승강장을 볼 수 있어 답답함을 덜 느끼고 방향 감각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