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사는 본래 불교 용어에서 유래하여, 사람을 만났을 때 주고받는 의례적인 행동이나 말, 또는 그 행위를 의미한다. 한국의 전통 인사는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절과 존댓말을 사용하며, 서구권에서는 악수, 포옹, 볼 키스 등 신체 접촉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 각지에서는 다양한 인사말과 제스처가 존재하며, 사회적 예절과 관계에 따라 인사의 형태가 달라진다. 인사는 긍정적인 첫인상을 형성하고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등 인간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역사적 배경

인사는 공식적인 표현, 키스, 악수, 포옹 및 다양한 몸짓을 포함한다.[1] 인사의 형태는 사회적 예절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1] 얼굴 표정, 몸짓, 바디 랭귀지, 시선 접촉은 모두 어떤 종류의 인사가 예상되는지를 알려준다.[1] 예를 들어, 두 팔을 벌리고 인사하는 것은 포옹이 예상된다는 신호이다.[2] 그러나 팔짱을 끼는 것은 적대감의 표시로 해석될 수 있다.[2] 눈살을 찌푸리고 시선을 내리는 것은 무관심을 나타내는 반면, 미소짓고 활기찬 태도는 환영의 표시이다.[1]

1983년 군사 사열에서 조셉 룬스(Joseph Luns) NATO 사무총장(네덜란드)이 모자를 살짝 들어 올리고 있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악수가 일반적이지만, 악력, 흔드는 힘 등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다.[1] 역사적으로 남자들은 실외에서 모자를 썼을 때, 모자에 손을 대거나, 살짝 들어 올리거나, 벗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인사했다.[1] 이는 중세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일반적이었다.[1] 모자를 들어 올리는 행위는 처음에는 사회적 열등함을 나타냈지만, 점차 그 의미를 잃었다.[1] 프랑스 루이 14세(Louis XIV of France)는 만나는 모든 여성에게 최소한 모자에 손을 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1] 남자가 모자를 쓰지 않았을 때는 머리카락을 앞쪽으로 쓸어넘겨 모자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재현하기도 했다.[1]

폴란드(Poland)와 같은 특정 지역의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이전 시대에 "주님을 찬양합니다"라는 인사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4][5][6]

"존경과 정중함"을 의미하는 아답(Adab)은 남아시아에서 세속적인 인사로 사용되는 손 제스처이다.[7] 이 제스처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오른손을 얼굴 쪽으로 들어 올려 눈 앞에 오도록 하고 손가락 끝이 이마에 거의 닿도록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포함한다.[8] 보통 "''adab arz hai''" 또는 단순히 "''adab''"이라고 말한다.[8] 같은 말이나 "''Tasleem''"이라는 말로 대답하거나 때로는 수락의 얼굴 표정으로 대답하기도 한다.[8]

중국어에서는 “挨拶”라는 글자가 나무 조각으로 손을 죄는 고문을 의미하기 때문에 “問候(문후)”가 중국어의 인사에 해당한다.[16]

2. 1. 한국의 전통 인사

한국어의 ‘인사’는 본래 선종 용어였던 ‘일애일찰(一挨一拶)’에서 유래하였다.[16] 이는 수행자들이 서로의 수행 성과를 질문하여 깨달음이나 지식, 식견의 깊고 얕음을 확인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것이 민간으로 퍼져 사람을 만났을 때 주고받는 의례적인 행동이나 말, 응대 등을 의미하게 되었다.[16]

2. 2. 서구의 인사

인간은 상호 간에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나는 경우, 곧바로 그 목적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처음 서로의 모습을 확인했을 때, 말이나 몸짓, 또는 그 둘 모두를 사용하여 서로의 존재를 인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행동을 한다(눈을 맞추거나, 손을 들거나, “안녕”이라고 말하는 등). 더욱 가까이 다가가서 이야기를 시작할 때도 특정한 동작이나 말로 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러한 일련의 행동이 인사이다.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서로에 관한 정보나 날씨 또는 전후의 무관한 대화 등을 하는 것도 보통이며, 이것도 인사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야기가 끝나고 헤어질 때에도 일정한 정해진 대화가 오가는데, 이것도 인사이다. 보통은 헤어질 때의 인사가 더 짧다. 동작이 수반되는 경우, 만날 때의 인사와 같은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인사가 보이는 경우도 있다.

어떤 상태에 들어가기 전이나 끝난 단계에서 환영의 말이나 앞으로의 각오 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도 인사라고 할 수 있다. 졸업식이나 입사식 등에서 하는 인사가 이러한 예이다.

2. 3. 기타 지역의 인사

아랍 문화권에서는 살람이라는 인사말과 함께 오른손바닥을 심장에 대는 관습이 있다.[3] 모로코에서는 동성 간 인사는 이성 간 인사와 다른데, 동성은 악수, 볼 키스, 포옹을 하지만, 공공장소에서 남녀는 악수 이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3] 모로코 왕국에서는 왼손을 불결하게 여기므로 오른손으로 인사해야 한다.[3]

차이잉원(Tsai Ing-wen) 중화민국(대만) 총통이 행하는 중국식 인사(주먹과 손바닥(Fist-and-palm))이다.


중국에서는 궁수(Gongshou)라는 인사법이 일반적인데, 주먹 쥔 오른손을 왼손바닥으로 감싸 앞뒤로 흔들고, 머리를 끄덕이거나 절을 할 수 있다.[1]

인도에서 일반적인 문화적 관습인 나마스테(Namaste) 인사이다.


인도에서는 나마스테(Namaste) 인사가 일반적인데, 손바닥을 맞대고 심장 부근에 댄 후 고개를 숙인다.[1]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인사가 존재하는데, 자바인, 바탁인 등은 상급자에게 경례 후 악수를 한다.[1] 손의 위치는 상급자가 더 높아야 한다.[1] 무슬림 남성은 양손을 잡고 손바닥을 가슴에 모으는 ''슬라메탄(slametan)'' 인사를 하고, 독실한 무슬림 여성은 손가락 끝만 살짝 닿게 할 수 있다.[1] 왕실 종자는 고개를 숙이고 뒤로 물러서며, 왼팔은 가슴, 오른팔은 아래로 내린다.[1] 젊은 무슬림은 연장자 손을 이마에 대고 존경을 표한다.[1] 육체노동자는 접촉을 피하는 "슬라메트(slamet)" 제스처를 한다.[1] 자바식 ''숭켐(Sungkem)''은 양손바닥을 맞대고 엄지를 코에 맞춘 후 깊이 절하는 것이다.[1]

태국에서는 ''와이(wai)''라는 인사법을 사용하는데, 손바닥을 맞대고 코 높이에 댄 후 절을 한다.[1] "사와디 카(여성)" 또는 "사와디 크랍(남성)"이라고 말한다.[1]

3. 인사의 종류

인사는 크게 말로 하는 인사와 몸짓으로 하는 인사로 나눌 수 있으며, 두 가지를 동시에 하는 경우도 있다.


  • 말로 하는 인사: 안녕하세요한국어처럼 말을 통해 안부를 묻거나 반가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언어적 인사"에 설명되어 있다.
  • 몸짓으로 하는 인사: 악수, , 포옹 등 몸짓이나 표정, 자세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각 문화권마다 고유한 인사법이 있으며, 특정 몸짓이 금기시되거나 특별한 의미를 갖기도 한다.


인사는 공식적인 표현, 키스, 악수, 포옹 및 다양한 제스처의 교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사의 형태는 사회적 예절뿐만 아니라 사람들 간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1]

얼굴 표정, 바디 랭귀지, 시선 접촉은 모두 어떤 종류의 인사가 예상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1] 제스처는 가장 명확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두 팔을 벌리고 누군가에게 인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포옹이 예상된다는 신호이다.[2] 그러나 팔짱을 끼는 것은 적대감의 표시로 해석될 수 있다. 얼굴 표정, 바디 랭귀지 및 시선 접촉은 감정과 관심 수준을 반영한다. 눈살을 찌푸리고 구부정하게 앉아 시선을 내리는 것은 무관심을 나타내는 반면, 미소짓고 활기찬 태도는 환영의 표시이다.

세계 여러 곳에서 간단한 인사로 사용되는 다양한 제스처가 있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악수가 매우 일반적이지만, 악력의 강도, 흔드는 힘, 한 손이 다른 손보다 지배적인 위치, 왼손을 사용하는지 여부 등 미묘한 변형이 많다.

역사적으로, 남자들이 실외에서 모자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을 때, 아는 사람이나 때로는 모르는 사람에게도 다양한 제스처로 모자에 손을 대거나, 살짝 들어 올리거나, 벗는 방식으로 인사를 했다. 이러한 제스처는 중세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남성들이 일반적으로 모자를 쓰지 않게 될 때까지 매우 많은 상황에서 일반적이었다. 모자를 들어 올리는 행위는 처음에는 사회적으로 낮은 사람이 우월성을 인식하는 요소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그 의미를 잃었다. 프랑스 루이 14세(Louis XIV of France)는 만나는 모든 여성에게 최소한 모자에 손을 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러나 여성은 옷차림에 정숙함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이 제스처를 사용하지 않았다. 남자가 모자를 쓰지 않았을 때, 그는 모자를 들어 올리는 제스처를 재현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앞쪽으로 쓸어넘길 수 있었는데, 이는 "앞머리를 잡아당기기"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복종적인 행동을 묘사할 때 쓰인다.

아랍어권에서는 ''salaam''(평화를 의미)이라는 인사와 함께 오른손바닥을 심장에 대는 관습이 있다. 모로코에서는 동성과 이성 간의 인사가 다르다. 동성 간에는 악수, 볼 키스, 포옹 등이 허용되지만, 공공장소에서 남녀 간에는 악수 이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3] 모로코에서는 왼손을 불결하게 여기기 때문에 항상 오른손으로 인사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중국식 인사인 ''궁수(Gongshou)''는 오른쪽 주먹을 왼손바닥에 놓고 앞뒤로 두세 번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머리를 끄덕이거나 절을 할 수도 있다. 이 제스처는 만날 때와 헤어질 때, 그리고 감사나 사과를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인도에서는 나마스테 인사나 시크교의 "Sat Sri Akal"처럼 손바닥을 맞대고 심장 부근에 대고 머리를 숙이는 인사가 일반적이다.

폴란드 등 일부 기독교 지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대에 "주님을 찬양합니다"라는 인사말이 사용되기도 했다.[4][5][6]

"존경과 정중함"을 의미하는 아답(Adab)은 특히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 하이데라바드(Hyderabad), 벵갈의 우르두어 사용 공동체와 파키스탄의 무하지르 사람들 사이에서 남아시아에서 세속적인 인사로 사용되는 손 제스처이다. 이 제스처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오른손을 얼굴 쪽으로 들어 올려 눈 앞에 오도록 하고 손가락 끝이 이마에 거의 닿도록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포함한다. 보통 "''adab arz hai''" 또는 단순히 "''adab''"이라고 말한다. 같은 말이나 "''Tasleem''"이라는 말로 대답하거나 때로는 수락의 얼굴 표정으로 대답하기도 한다.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인도네시아에서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진 자바인의 공식적인 인사부터 외딴 섬의 더 평등하고 실용적인 인사까지 많은 인사가 표현된다. 전통적인 자바식 ''숭켐(Sungkem)''은 양손바닥을 맞대고 엄지손가락을 코에 맞추고 고개를 숙여 무릎에서 깊이 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왕족 앞에서는 ''숭켐''을 하는 사람이 왕좌 기슭에 무릎을 꿇는다.

태국에서는 ''와이(wai)''라는 제스처를 사용하는데, 손바닥을 코 높이에 맞대고 절을 한다. 남녀 모두 "사와디 카(Sawadee ka)"(여성) 또는 "사와디 크랍(Sawadee krap)"(남성)이라고 말하며 인사한다.

3. 1. 언어적 인사

언어적 인사는 각 문화권의 언어 습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인사하는 습관은 문화와 상황,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말이 인사말로 사용되는지는 해당 문화권의 언어 습관에 따라 다르며, 문화권마다 정해진 "인사말"이 있고 지역, 집단, 직업, 연령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인사말이 존재한다.

인사말은 시간, 장소, 상황, 상대방과의 관계 등 TPO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시간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말과 언제든지 통용되는 말이 있으며, 친한 관계에서는 후자가 더 많이 사용된다. 상대방과 자신의 관계에 따라 존댓말 표현이 사용되는 문화도 있고, 프랑스어처럼 다음에 만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 작별 인사말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같은 인사말이라도 여러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역시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인사말은 대개 날씨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같은 시간과 장소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관심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어지는 간단한 대화에도 날씨에 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하며, 이 역시 인사의 일부로 간주된다. 대촌익지로는 마을 의사였을 때 "덥네요"라는 인사에 "여름에는 더운 게 당연합니다"라고 대답하여 사람들의 미움을 사기도 했다.

인사말의 내용으로는 날씨에 대한 의견,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정, 아이나 애완동물을 알아보는 말, 옷차림이나 외모에 대한 칭찬, 쇼핑 중이라면 쇼핑에 대한 내용, 안부 묻기 등이 있다.[19] 외국어 교육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초기 단계에서 해당 국가의 "인사말"을 배운다.

3. 1. 1. 한국어 인사말

한국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인사말은 "안녕하세요"이며, 시간이나 상황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19] 헤어질 때는 "안녕히 계세요" 또는 "안녕히 가세요"라고 말한다.[19]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는 "반갑습니다"라고 인사하고,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에게는 "오랜만입니다"라고 인사한다.[19] 웃어른에게는 식사 시간을 전후로 "식사하셨습니까?"라고 묻는 것이 예의이다.[19]

3. 1. 2. 세계의 인사말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인사말이 사용된다. 你好|니하오중국어 (중국어), こんにちは|곤니치와일본어 (일본어), Hello|헬로우영어 (영어), Hallo|할로de (독일어), Hola|올라es (스페인어), привет|쁘리볫ru (러시아어), Bonjour|봉쥬르프랑스어 (프랑스어), Olá|올라pt (포르투갈어), Merhaba|메르하바tr (터키어), Dobrý den|도브리덴cs (체코어), Xin chào|씬짜오vi (베트남어) 등이 그 예이다. 어떤 말이 인사말로 사용되는지는 해당 문화권의 언어 습관에 따라 달라진다.[19] 각 문화권에는 정해진 "인사말"이 있으며, 지역, 집단, 직업, 연령 등에 따라 다른 인사말이 사용되기도 한다.[19]

3. 2. 비언어적 인사

비언어적 인사는 몸짓, 표정, 자세 등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악수, 포옹, , 손 흔들기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문화권에 따라 특정 비언어적 인사가 금기시되거나 특별한 의미를 갖기도 한다.

인사는 말이나 몸짓, 또는 그 둘 모두를 사용하여 서로의 존재를 인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행동이다.[1] 얼굴 표정, 제스처, 바디 랭귀지, 시선 접촉은 모두 어떤 종류의 인사가 예상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2]

세계 여러 곳에서는 다양한 제스처가 인사로 사용된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악수가 일반적이지만, 악력, 흔드는 정도, 손의 위치 등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다. 아랍어권에서는 ''salaam''(평화를 의미)이라는 인사와 함께 오른손바닥을 심장에 대는 관습이 있다. 모로코에서는 동성과 이성 간의 인사가 다르고, 왼손을 불결하게 여기기 때문에 항상 오른손으로 인사해야 한다.[3]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인도네시아에서는 엄격한 계층 구조를 가진 자바인의 공식적인 인사부터 외딴 섬의 더 평등하고 실용적인 인사까지 많은 인사가 표현된다. 전통적인 자바식 ''숭켐(Sungkem)''은 양손바닥을 맞대고 엄지손가락을 코에 맞추고 고개를 숙여 무릎에서 깊이 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왕족 앞에서는 ''숭켐''을 하는 사람이 왕좌 기슭에 무릎을 꿇는다.

볼 키스는 유럽, 캐나다 일부 지역(퀘벡주), 라틴 아메리카에서 일반적이며, 주로 남유럽뿐 아니라 일부 중유럽 국가에서도 표준 인사가 되었다. 각 국가마다 키스 횟수와 방식이 다르다.

3. 2. 1. 일반적인 비언어적 인사

인사는 사회적 예절과 사람들 간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공식적인 인사에서는 주로 악수를 하지만, 얼굴 표정, 제스처, 바디 랭귀지, 시선 접촉 등이 인사의 종류를 암시한다.[1] 예를 들어, 두 팔을 벌리는 것은 포옹을, 팔짱을 끼는 것은 적대감을 나타낼 수 있다.[2] 미소와 활기찬 태도는 환영의 표시인 반면, 눈살을 찌푸리고 시선을 내리는 것은 무관심을 나타낸다.

세계 각지에서는 다양한 제스처가 인사로 사용된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악수가 일반적이지만, 악력, 흔드는 정도, 손의 위치 등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다.

과거 남자들이 모자를 썼을 때는 모자를 이용한 다양한 인사가 일반적이었다. 모자를 들어 올리거나, 살짝 만지거나, 벗는 등의 행동은 중세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흔히 볼 수 있었다. 프랑스 루이 14세는 만나는 모든 여성에게 모자에 손을 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지만, 여성은 옷차림 때문에 이 제스처를 사용하지 않았다. 모자를 쓰지 않은 남자는 머리카락을 앞쪽으로 쓸어넘겨 모자를 들어 올리는 행동을 흉내 내기도 했는데, 이는 "앞머리를 잡아당기기"로 알려져 있으며, 복종적인 행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랍어권에서는 ''salaam''(평화를 의미)이라는 인사와 함께 오른손바닥을 심장에 대는 관습이 있다. 모로코에서는 동성과 이성 간의 인사가 다르며, 동성 간에는 악수, 볼 키스, 포옹 등이 허용되지만, 공공장소에서 남녀 간에는 악수 이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3] 모로코에서는 왼손을 불결하게 여기기 때문에 항상 오른손으로 인사해야 한다.

중국에서는 ''궁수(Gongshou)''라는 인사가 일반적인데, 오른쪽 주먹을 왼손바닥에 놓고 앞뒤로 흔들며 머리를 끄덕이거나 절을 한다.

인도에서는 나마스테 인사나 시크교의 "Sat Sri Akal"처럼 손바닥을 맞대고 심장 부근에 대고 머리를 숙이는 인사가 일반적이다.

폴란드 등 일부 기독교 지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대에 "주님을 찬양합니다"라는 인사말이 사용되기도 했다.[4][5][6]

아답(Adab)은 남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세속적인 인사로, 오른손을 얼굴 쪽으로 들어 올리고 손가락 끝이 이마에 닿도록 상체를 구부리는 제스처이다.[7][8]

인도네시아에서는 자바인의 공식적인 인사부터 외딴 섬의 평등한 인사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자바인, 바탁인 등은 상급자에게 경례하고 악수하며, 무슬림 남성들은 양손을 잡고 가슴에 모으는 ''슬라메탄(slametan)'' 인사를 한다. 독실한 무슬림 여성들은 손가락 끝만 살짝 닿게 하고 볼 키스를 피하기도 한다. 왕실 종자들은 고개를 숙이고 뒤로 물러서며, 육체노동자들은 접촉을 피하는 "슬라메트(slamet)" 제스처를 한다. 전통적인 자바식 ''숭켐(Sungkem)''은 손바닥을 맞대고 엄지손가락을 코에 맞추고 깊이 절하는 것이다.

태국에서는 ''와이(wai)''라는 제스처를 사용하는데, 손바닥을 코 높이에 맞대고 절을 한다. 남녀 모두 "사와디 카"(여성) 또는 "사와디 크랍"(남성)이라고 말하며 인사한다.

전 영국 총리 마거릿 대처의 남편 데니스 대처가 1988년 전 미국 영부인 낸시 레이건에게 손에 입맞춤으로 인사하는 모습.


유럽에서는 근세 초기 상류층 남성이 여성에게 손에 입맞춤으로 인사하는 것이 공식적인 방식이었다. 친밀도에 따라 입맞춤을 생략하기도 했으며, 극도로 공식적인 방식은 현재 결혼 제안에서만 사용된다.

볼 키스는 유럽, 캐나다 일부(퀘벡), 라틴 아메리카에서 일반적이며, 각 국가마다 키스 횟수와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러시아, 폴란드 등에서는 세 번,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는 두 번, 멕시코와 벨기에에서는 한 번 키스한다. 갈라파고스 제도에서는 여성의 오른쪽 볼에만 키스하며, 오만에서는 남성들이 악수 후 코에 입맞추기도 한다.[9][10][11] 프랑스에서는 지역에 따라 두 번, 세 번, 네 번 등 다양한 횟수로 키스한다.[12]

2014년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와 싸우는 동안 연합 지원 작전 사령관이 팔꿈치로 인사하는 모습


스티븐 제라드가 와이를 하는 모습


손흔들기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인사들이 있다.

3. 2. 2. 특별한 의미를 갖는 비언어적 인사



역사적으로, 남자들이 실외에서 모자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을 때, 아는 사람이나 때로는 모르는 사람에게도 다양한 제스처로 모자에 손을 대거나, 살짝 들어 올리거나, 벗는 방식으로 인사를 했다. 이러한 제스처는 중세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남성들이 일반적으로 모자를 쓰지 않게 될 때까지 매우 많은 상황에서 일반적이었다.[1] 모자를 들어 올리는 행위는 처음에는 사회적으로 낮은 사람이 우월성을 인식하는 요소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그 의미를 잃었다. 프랑스 루이 14세(Louis XIV of France)는 만나는 모든 여성에게 최소한 모자에 손을 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한다. 그러나 여성은 옷차림에 정숙함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이 제스처를 사용하지 않았다. 남자가 모자를 쓰지 않았을 때, 그는 모자를 들어 올리는 제스처를 재현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앞쪽으로 쓸어넘길 수 있었는데, 이는 "앞머리를 잡아당기기"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복종적인 행동을 묘사할때 쓰인다.

가장 일반적인 중국식 인사인 ''궁수(Gongshou)''는 오른쪽 주먹을 왼손바닥에 놓고 앞뒤로 두세 번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머리를 끄덕이거나 절을 할 수도 있다. 이 제스처는 만날 때와 헤어질 때, 그리고 감사나 사과를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인도에서는 손바닥을 서로 맞대고 심장 부근에 대고 머리를 살짝 숙이는 나마스테(Namaste) 인사(또는 시크교(Sikhs)의 경우 "Sat Sri Akal")가 일반적이다.

폴란드(Poland)와 같은 세계 특정 지역의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이전 시대에 "주님을 찬양합니다"라는 인사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4][5][6]

"존경과 정중함"을 의미하는 아답(Adab)은 특히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 하이데라바드(Hyderabad), 벵갈의 우르두어 사용 공동체와 파키스탄의 무하지르 사람들 사이에서 남아시아에서 세속적인 인사로 사용되는 손 제스처이다. 이 제스처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오른손을 얼굴 쪽으로 들어 올려 눈 앞에 오도록 하고 손가락 끝이 이마에 거의 닿도록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포함한다. 보통 "''adab arz hai''" 또는 단순히 "''adab''"이라고 말한다. 같은 말이나 "''Tasleem''"이라는 말로 대답하거나 때로는 수락의 얼굴 표정으로 대답하기도 한다.

태국에서는 손바닥을 서로 맞대고 코 높이에 대고 절을 하는 ''와이(wai)''라는 제스처를 사용한다. ''와이''는 일본어 용어 ''갓쇼(gassho)''로 불교도들이 사용하는 제스처와 형태가 유사하다. 태국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보통 두 손바닥을 맞대고 살짝 절하면서 "사와디 카(Sawadee ka)"(여성 화자) 또는 "사와디 크랍(Sawadee krap)"(남성 화자)이라고 말한다.

유럽에서는 근세 초기 상류층 남성이 여성에게 인사하는 공식적인 방식으로, 여성이 내민 손(보통 오른손)을 자신의 오른손으로 잡고 절을 하면서 입맞추는 것이었다. 친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손을 잡지만 입맞추지는 않았다. 남성이 오른쪽 무릎을 꿇는 극도로 공식적인 방식은 현재는 로맨틱한 제스처로서 결혼 제안에서만 사용된다.

4. 현대 사회의 인사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인사 예절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인사가 사용되고 있다.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외국어 교육에서 해당 국가의 인사말을 배우는 등 외국어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전자우편에서는 간결함을 추구하여 인사가 생략되는 경향도 있지만, 관광지에서는 현수막 등을 통해 방언으로 된 인사말을 제시하기도 한다.

5. 인사의 사회적 기능과 중요성

인사는 사회생활의 기본이며,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한다. 긍정적인 첫인상을 형성하고, 상대방에게 존중과 호감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갈등을 예방하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17][18]

많은 사회에서 인사는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사람들은 보통 처음 만났을 때 눈을 맞추거나, 손을 들거나, "안녕"이라고 말하는 등 말이나 몸짓으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한다.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끝낼 때도 특정한 동작이나 말로 인사를 한다. 날씨 등 가벼운 대화를 나누는 것도 인사에 포함될 수 있다. 헤어질 때 하는 인사는 보통 더 짧으며, 만날 때와 같은 동작을 사용하기도 한다.

졸업식이나 입사식 등에서 하는 환영의 말이나 앞으로의 각오를 이야기하는 것도 인사의 한 형태이다. 지방자치단체나 주민자치회 등에서 "인사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17][18]

6. 참고: 동물의 인사

동물들도 인간처럼 서로 인사를 나누는 행동을 보인다. 짝짓기, 육아, 집단생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인사가 관찰된다. 동물의 인사는 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공격성을 숨기는 것이 기본 원리이다.[1] 인사 행동은 몇 가지 기본적인 행동이 점차 의례화됨으로써 인사 기능을 갖게 되고, 종 사회 내에 정착했다고 생각된다.[1]

참조

[1] 논문 Greetings forms in English and Persian: A sociopragmatic perspective
[2] 웹사이트 personpercept.html http://webspace.ship[...] Webspace.ship.edu 2011-01-27
[3] 뉴스 Real, Charming and Strange Secrets of the Moroccan Culture https://moroccanzest[...] Moroccanzest 2018-08-20
[4] 서적 Essays in Colorado History, Issues 5-10 Colorado Historical Society 1987
[5] 서적 Culture of the time of transformation: international congress: materials, Poznań, 2-5 February 1994 WiS Publishers 1998
[6] 서적 Polish-American Folklo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0
[7] 웹사이트 Adaab in a Time of Allah Hafiz https://insideislam.[...]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2-05-01
[8] 서적 The Teaching and Acquisition of South A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 웹사이트 Greetings Lesson https://web.archive.[...] Hawaii.edu 2011-01-27
[10] 웹사이트 Galapagos FAQs Preparing for your trip http://www.galapagos[...] Galapagosonline.com 2011-01-27
[11] 웹사이트 Greetings in other cultures https://web.archive.[...] Brucevanpatter.com 2011-01-27
[12] 웹사이트 Faire la bise - French Gestures https://web.archive.[...] French.about.com 2011-01-02
[13] 웹사이트 210 French Kissing Map http://bigthink.com/[...] Frank Jacobs 2007-12-02
[14] 웹사이트 Email greetings. https://grammarcheck[...] Alex 2019-10-31
[15] 논문 The Akazehe of Burundi: Polyphonic Interlocking Greetings and the Female Ceremonial. https://scholarworks[...] 2020
[16] 웹사이트 名古屋大学附属図書館2006年春季特別展「地獄物語」の世界〜江戸時代の法と刑罰〜図録ガイド https://www.nul.nago[...] 名古屋大学附属図書館 2021-01-07
[17] 웹사이트 アスリートがあいさつ運動を応援 http://www.metro.tok[...] 東京都 2010-08-15
[18] 웹사이트 「あいさつ運動」における教育委員会の取組み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2013-11-06
[19] 서적 気分改善ツールキット 金剛出版
[20] 논문 鼻の挨拶について 風響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