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는 인천광역시가 지정한 무형문화유산을 의미한다. 1985년 삼현육각을 시작으로, 예능, 기능 분야에서 다양한 종목이 지정되었다. 예능 분야에는 인천 근해 갯가노래 뱃노래, 강화 용두레질소리, 갑비고차농악 등이 있으며, 기능 분야에는 단소장, 대금장, 자수장 등이 있다.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는 관련 단체 및 인물에 의해 보존 및 전승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건조물, 서적, 불상, 비석 등 다양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시대 건축물부터 개항기 근대 건축물, 종교 건축물까지 시대와 양식을 아우르며 지정 및 해제 정보를 통해 인천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보여준다.
  •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인천광역시의 기념물은 문학산성, 화도진 터, 김재로 묘 등 다양한 유형의 유적과 유물을 포함하며,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개요
유형무형문화재
지정 관리인천광역시
목록
승경도놀이승경도놀이
앉은굿앉은굿
옹기장옹기장
소목장소목장
궁시장궁시장
만수받이만수받이
조각장조각장
단청장단청장
화각장화각장
신석복 배뱅이굿신석복 배뱅이굿
사직 윷놀이사직 윷놀이
장도장장도장
호군농악호군농악
부평 두레놀이부평 두레놀이
인천 장태산 엿장수인천 장태산 엿장수
강화 용두레질 소리강화 용두레질 소리
강화 사기장강화 사기장
송현 배뱅이굿송현 배뱅이굿
서창동 호미씻이서창동 호미씻이
주철장주철장
전통 옹기전통 옹기
세마치세마치

2. 지정 목록

(三鉉六角)인천 남동구 구월동김석숭(남)1985년 10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10000,23]2호단소장
(短簫匠)인천 인천전역김환중(남)1990년 11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20000,23]3호인천근해 갯가노래 뱃노래
(仁川近海 갯가노래 뱃노래)인천 인천전역김병기(남), 김정숙(여)1988년 12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30000,23]4호대금정악
(大笒正樂)인천 인천전역진철호(남)1989년 12월 28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40000,23]5호주대소리
(주대소리)인천 인천전역김필운(남)1992년 5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50000,23]6호대금장인천 인천전역임경배(남)1993년 7월 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60000,23]7-1호가곡(남창)
(歌曲(男唱))인천 연수구-1995년 11월 1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70100,23]7-2호가곡(여창)
(歌曲(女唱))인천 남구김명순(여)2006년 10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70200,23]8호강화외포리곶창굿
(江華外浦里곶창굿)인천 인천전역정정애(여)1997년 7월 1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80000,23]9호대금장(일반대금)
(大芩匠(一般大芩))인천 인천전역이정대 (남)2002년 2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23]10-1호범패와작법무(바라춤)
(梵唄와 作法舞)인천 남구김종형(능화)(남)2002년 2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00100,23]10-2호범패와작법무(나비춤)
(梵唄와 作法舞)인천 부평구박치훈(일초)(남)2002년 2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00200,23]11호규방다례
(閨房茶禮)인천 인천전역최소연 (여)2002년 12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10000,23]12호강화용두레질소리
(강화용두레질소리)인천 인천전역황길범 (남)2003년 10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20000,23]13호자수장
(刺繡匠)인천 인천전역-2003년 10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30000,23]14호단청장
(丹靑匠)인천 인천전역정성길 (남)2004년 4월 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40000,23]15호인천수륙재
(仁川水陸齋)인천 인천전역박치훈(일초)(남)2004년 4월 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50000,23]16호인천근해도서지방상여소리
(仁川近海島嶼地方喪輿소리)인천 인천전역박상주 (남)2006년 1월 23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60000,23]17호완초장
(莞草匠)인천 남구한명자 (여)2008년 12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000,23]18호서곶들노래인천 서구2008년 12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80000,23]19호갑비고차농악인천 강화군전내익 (남), 임명선 (남)2008년 12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90000,23]20호휘모리잡가인천 서구김국진 (남)2008년 12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00000,23]21호경기12잡가
(京畿 十二雜歌)인천 남구-2009년 3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10000,23]22호목조각장인천 계양구이방호 (남)2009년 3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20000,23]23호고법(북·장구)
(鼓法(북·장구))인천 서구조경곤 (남)2013년 4월 30일 지정,
2019년 5월 7일 종목 명칭변경[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30000,23]24호꽃맞이굿인천 미추홀구김매물 (여)2013년 4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40000,23]25호지화장
(紙花匠)인천 중구김은옥 (여)2013년 4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50000,23]26호부평두레놀이
(富平두레놀이)인천 부평구-2015년 3월 1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60000,23]27호강화 교동 진오기굿
(江華 喬桐 진오기굿)인천 강화군주정자(여)2019년 5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70000,23]


2. 1. 예능

인천광역시 지역 어민들이 갯벌이나 배 위에서 작업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1988년 12월 24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병기(남), 김정숙(여)이다.

2. 1. 1. 인천 근해 갯가노래 뱃노래

인천광역시 지역 어민들이 갯벌이나 배 위에서 작업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1988년 12월 24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병기(남), 김정숙(여)이다.

2. 1. 2. 강화 용두레질소리

강화 지역에서 논에 물을 댈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2003년 10월 27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으며, 황길범(남)이 보유자이다.

2. 1. 3. 서곶들노래

서구 지역에서 논농사를 지을 때 부르던 농요이다. 2008년 12월 15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었다.

2. 1. 4. 갑비고차농악

2008년 12월 15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다. 강화군 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빠른 가락과 역동적인 춤사위가 특징이다. 보유자는 전내익(남), 임명선(남)이다.

2. 1. 5. 부평두레놀이



부평두레놀이는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농사 과정을 재현하는 놀이이다. 2015년 3월 16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부평 지역은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한 곳으로, 두레를 통해 농사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힘든 노동의 고통을 덜기 위해 두레놀이가 발달하였다. 부평두레놀이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농사철에 행해지던 농사 과정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그 명맥을 유지하여 민족의 얼을 지켜온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2. 1. 6. 강화외포리곶창굿

강화도 외포리 지역에서 행해지는 굿으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굿이다. 1997년 7월 14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정정애(여)이다.

2. 1. 7. 꽃맞이굿

꽃맞이굿은 무당이 꽃을 들고 굿을 하는 것으로, 봄에 신을 맞이하고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13년 4월 30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매물(여)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전승되고 있다.

2. 1. 8. 강화 교동 진오기굿

강화군 교동 지역에서 행해지는 굿으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이다. 2019년 5월 7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주정자(여)이다.

2. 1. 9. 삼현육각

150px


삼현육각은 피리, 젓대, 해금, 장구, 북으로 구성된 전통 관악 합주이다. 1985년 10월 23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석숭(남)이다. 소재지는 인천 남동구 구월동이다.

2. 1. 10. 대금정악

대금으로 연주하는 정악으로, 궁중 음악이나 풍류방 음악에 사용된다. 1989년 12월 28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진철호(남)이다.

2. 1. 11. 가곡 (남창/여창)

가곡(歌曲)은 시조시에 곡을 붙여서 부르는 한국 전통 성악곡이다. 남자가 부르는 노래는 남창(男唱), 여자가 부르는 노래는 여창(女唱)으로 구분한다. 인천광역시에는 1995년 11월 14일에 지정된 가곡(남창)과 2006년 10월 30일에 지정된 가곡(여창)이 있다. 가곡(여창)은 김명순(여)이 보유자이다.

2. 1. 12. 범패와 작법무 (바라춤/나비춤)

범패와 작법무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노래와 춤을 말한다. 범패는 불교 음악의 일종으로, 가곡, 판소리와 함께 한국 3대 성악곡으로 꼽힌다. 작법무는 불교 의식에서 추는 춤으로, 바라춤나비춤이 대표적이다.

바라춤은 바라라는 악기를 들고 추는 춤으로, 악귀를 쫓고 도량을 정화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02년 2월 4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종형(능화)이다.

나비춤은 나비의 날갯짓을 형상화한 춤으로, 부처에게 공양을 올리고 중생을 구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02년 2월 4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박치훈(일초)이다. 박치훈은 인천수륙재의 보유자이기도 하다.

2. 1. 13. 인천수륙재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5호 인천수륙재(仁川水陸齋)는 물과 육지에서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불교 의식이다. 2004년 4월 6일에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박치훈(일초)이다.

2. 1. 14. 휘모리잡가

휘모리잡가는 경기 지역의 잡가 중 하나로, 빠른 장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이다. 2008년 12월 15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김국진(남)이 그 맥을 잇고 있다.

2. 1. 15. 경기12잡가

경기12잡가(京畿 十二雜歌)는 경기 지역에서 전승되는 12가지 잡가를 의미한다. 2009년 3월 30일 지정되었다.

2. 1. 16. 고법 (북·장구)

고법(鼓法)은 전통 음악에서 북과 장구를 연주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2013년 4월 30일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되었고, 2019년 5월 7일 종목 명칭이 변경되었다. 보유자는 조경곤(남)이며, 소재지는 인천광역시 서구이다.

2. 2. 기능

(短簫匠)인천 인천전역김환중(남)1990년 11월 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20000,23]6호대금장인천 인천전역임경배(남)1993년 7월 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60000,23]9호대금장(일반대금)
(大芩匠(一般大芩))인천 인천전역이정대 (남)2002년 2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23]13호자수장
(刺繡匠)인천 인천전역-2003년 10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30000,23]14호단청장
(丹靑匠)인천 인천전역정성길 (남)2004년 4월 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40000,23]17호완초장
(莞草匠)인천 남구한명자 (여)2008년 12월 1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170000,23]22호목조각장인천 계양구이방호 (남)2009년 3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20000,23]25호지화장
(紙花匠)인천 중구김은옥 (여)2013년 4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250000,23]



단소장은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단소를 만드는 장인을 말하며, 보유자는 김환중(남)이다. 소재지는 인천 전역이다.

대금장(일반대금)은 대금을 만드는 장인으로, 일반대금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2월 4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이정대(남)이다.

단청장은 건축물에 단청을 칠하는 장인이다. 2004년 4월 6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으며, 정성길(남)이 보유하고 있다.

2003년 10월 27일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자수장은 수를 놓는 장인을 말한다.

2008년 12월 15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완초장은 왕골(莞草)로 돗자리, 방석 등을 만드는 장인이다. 인천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한명자(여)가 보유자로 지정되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2009년 3월 30일에 지정된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이다. 목조각장은 나무를 깎아 불상이나 조각품을 만드는 장인이다. 보유자는 인천 계양구에 거주하는 이방호(남)이다.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5호 '''지화장'''(紙花匠)은 종이로 꽃을 만드는 장인이다. 2013년 4월 30일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은옥(여)이다.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다.

2. 2. 1. 단소장

단소장은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단소를 만드는 장인을 말하며, 보유자는 김환중(남)이다. 소재지는 인천 전역이다.

2. 2. 2. 대금장 (일반대금)

대금장(일반대금)은 대금을 만드는 장인으로, 일반대금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2월 4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이정대(남)이다.

번호명칭소재지보유자지정일참조
9호대금장(일반대금)인천광역시 전역이정대 (남)2002년 2월 4일[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2,00090000,23]


2. 2. 3. 자수장

2003년 10월 27일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자수장은 수를 놓는 장인을 말한다.

2. 2. 4. 단청장



단청장은 건축물에 단청을 칠하는 장인이다. 2004년 4월 6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으며, 정성길(남)이 보유하고 있다.

2. 2. 5. 완초장

2008년 12월 15일에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완초장은 왕골(莞草)로 돗자리, 방석 등을 만드는 장인이다. 인천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한명자(여)가 보유자로 지정되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2. 2. 6. 목조각장

2009년 3월 30일에 지정된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2호이다. 목조각장은 나무를 깎아 불상이나 조각품을 만드는 장인이다. 보유자는 인천 계양구에 거주하는 이방호(남)이다.

2. 2. 7. 지화장

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제25호 '''지화장'''(紙花匠)은 종이로 꽃을 만드는 장인이다. 2013년 4월 30일 지정되었으며, 보유자는 김은옥(여)이다.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다.

3. 관련 단체 및 인물

4. 보존 및 전승 활동

5. 인천 무형문화재의 미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