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코스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코스모스는 소련이 주도하여 동맹국 및 우호 국가들과 함께 진행한 우주 프로그램이다. 유인 우주 비행을 통해 여러 국가의 우주 비행사를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과 살류트 우주정거장에 탑승시켜 과학 실험을 수행했으며, 무인 우주 탐사 임무를 통해 지구 대기권, 전리층, 태양 활동 등을 연구했다. 이 프로그램은 소련의 우주 기술 과시와 동맹국 간 결속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나, 참여국의 제한적인 역할과 소련의 통제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은 영화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코스모스 계획 - 소유스 28호
소유스 28호는 1978년 알렉세이 구바레프와 블라디미르 레메크를 태우고 살류트 6호 우주 정거장을 방문하여 과학 실험을 수행한 유인 우주선이다. - 베트남-소련 관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베트남-소련 관계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소련-인도 관계 - 인터스푸트니크
인터스푸트니크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코메콘 회원국들을 위해 설계된 국제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 몰니야-3형 위성에서 고리존트형 정지궤도 위성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 소련-인도 관계 - 안토노프 An-32
안토노프 An-32는 An-26을 기반으로 고온 및 고지대 운용 성능을 강화하고 날개 위쪽에 엔진을 배치하여 이륙 성능을 개선한 쌍발 터보프롭 수송기로, 군용, 상업용, 소방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인터코스모스 | |
---|---|
개요 | |
![]() | |
국가 | 소련 (1967-1991) 러시아 (1992-1994) |
조직 | 소련 우주 프로그램 (1967-1991) 로스코스모스 (1992-1994) |
목적 | 소련 동맹국을 위한 유인 우주 비행 및 무인 우주선 임무 |
상태 | 완료 |
기간 | 1967–1994 |
첫 비행 | Vertikal 1 1970년 11월 28일 |
첫 유인 비행 | 소유스 28호 1978년 3월 2일 |
마지막 비행 | Interkosmos 26 1994년 3월 2일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
무인 우주선 | 해당 없음 |
유인 우주선 | 해당 없음 |
수용 능력 | 해당 없음 |
발사체 | 해당 없음 |
원어명 | 러시아어: Интеркосмос Космическая Программа 로마자 표기: Interkosmos Kosmicheskaya Programma |
2. 유인 우주 비행
소련은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을 통해 동맹국 및 우호 국가와의 유인 우주 비행을 추진했다. 1978년부터 1991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동독, 불가리아, 헝가리, 베트남, 쿠바, 몽골, 루마니아, 프랑스, 인도,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일본, 영국, 오스트리아 등의 국가가 유인 우주 비행에 참여했다.
2. 1. 참여국 및 우주 비행사
다음은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국가와 우주 비행사 목록이다.날짜 | 주 비행사 | 백업 비행사 | 국가 | 임무 | 우주 정거장 |
---|---|---|---|---|---|
1978년 3월 2일 | 블라디미르 레메크[11] | 올드리히 펠차크 | 체코슬로바키아 | 소유즈 28호 | 살류트 6호 |
1978년 6월 27일 | 미로스와프 헤르마셰프스키 | 제논 얀코프스키 | 폴란드 | 소유즈 30호 | 살류트 6호 |
1978년 8월 26일 | 지크문트 옌 | 에버하르트 쾰러 | 동독 | 소유즈 31호 | 살류트 6호 |
1979년 4월 10일 | 게오르기 이바노프 | 알렉산드르 파나요토프 알렉산드로프 | 불가리아 | 소유즈 33호 | 살류트 6호 (도킹 실패) |
1980년 5월 26일 | 베르털런 퍼르커시 | 머저리 벨러 | 헝가리 | 소유즈 36호 | 살류트 6호 |
1980년 7월 23일 | 팜투언 | 부이타인리엠 | 베트남 | 소유즈 37호 | 살류트 6호 |
1980년 9월 18일 | 아르날도 타마요 멘데스 | 호세 로페스 팔콘 | 쿠바 | 소유즈 38호 | 살류트 6호 |
1981년 3월 23일 | 주그데르데미디인 구르라그차 | 마이다르자빈 간조리그 | 몽골 | 소유즈 39호 | 살류트 6호 |
1981년 5월 14일 |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 두미트루 데디우 | 루마니아 | 소유즈 40호 | 살류트 6호 |
1982년 6월 24일 | 장루 크레티앵 | 파트리크 보드리 | 프랑스 | 소유즈 T-6 | 살류트 7호 |
1984년 4월 2일 | 라케시 샤르마 | 라비쉬 말호트라 | 인도 | 소유즈 T-11 | 살류트 7호 |
1987년 7월 22일 | 무함마드 파리스 | 무니르 하비브 | 시리아 | 소유즈 TM-3 | 미르 |
1988년 6월 7일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 | 크라시미르 스토야노프 | 불가리아 | 소유즈 TM-5 | 미르 |
1988년 8월 29일 | 압둘 아하드 모흐만드[12] | 모하마드 다우란 굴람 마숨 | 아프가니스탄 | 소유즈 TM-6 | 미르 |
1988년 11월 26일 | 장루 크레티앵 | 미셸 토니니 | 프랑스 | 소유즈 TM-7 | 미르 |
1990년 12월 2일 | 아키야마 도요히로 | 기쿠치 료코 | 일본 | 소유즈 TM-11 | 미르 |
1991년 5월 18일 | 헬렌 샤먼 | 티머시 메이스 | 영국 | 소유즈 TM-12 | 미르 |
1991년 10월 2일 | 프란츠 피뵈크 | 클레멘스 로탈러 | 오스트리아 | 소유즈 TM-13 | 미르 |
2. 2. 특징 및 평가
인터코스모스 유인 우주 비행은 주로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과 살류트 우주정거장을 이용했다.[11] 참여국 우주 비행사들은 대부분 소련 우주 비행사와 함께 비행하며 과학 실험, 우주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불가리아의 게오르기 이바노프(Georgi Ivanov)는 소유즈 33호의 도킹 실패로 우주정거장에 도달하지 못했다.[12] 프랑스의 장 루이 크레티앵(Jean-Loup Chrétien)과 같은 일부 우주 비행사들은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을 통해 두 번의 우주 비행을 경험했다.날짜 | 주 비행사 | 국가 | 임무 | 우주 정거장 |
---|---|---|---|---|
1978년 3월 2일 | 블라디미르 레메크(Vladimír Remek) | 체코슬로바키아 | 소유즈 28 | 살류트 6 |
1978년 6월 27일 | 미로스와프 헤르마셰프스키(Mirosław Hermaszewski) | 폴란드 | 소유즈 30 | 살류트 6 |
1978년 8월 26일 | 지크문트 옌(Sigmund Jähn) | GDR | 소유즈 31 | 살류트 6 |
1979년 4월 10일 | 게오르기 이바노프(Georgi Ivanov (cosmonaut)) | 불가리아 | 소유즈 33 | 살류트 6 (도킹 실패) |
1980년 5월 26일 | 벌털런 파르커시(Bertalan Farkas) | 헝가리 | 소유즈 36 | 살류트 6 |
1980년 7월 23일 | 팜 투언(Phạm Tuân) | 베트남 | 소유즈 37 | 살류트 6 |
1980년 9월 18일 | 아르날도 타마요 멘데스(Arnaldo Tamayo Méndez) | 쿠바 | 소유즈 38 | 살류트 6 |
1981년 3월 23일 | 쥐그데르데미딘 구르라그차(Jügderdemidiin Gürragchaa) | 몽골 | 소유즈 39 | 살류트 6 |
1981년 5월 14일 | 드미트루 프루나리우(Dumitru Prunariu) | 루마니아 | 소유즈 40 | 살류트 6 |
1982년 6월 24일 | 장 루이 크레티앵(Jean-Loup Chrétien) | 프랑스 | 소유즈 T-6 | 살류트 7 |
1984년 4월 2일 | 라케시 샤르마(Rakesh Sharma) | 인도 | 소유즈 T-11 | 살류트 7 |
1987년 7월 22일 | 무하메드 아흐메드 파리스(Muhammed Faris) | 시리아 | 소유즈 TM-3 | 미르 |
1988년 6월 7일 | 알렉산드르 파나요토프 알렉산드로프(Aleksandr Panayotov Aleksandrov) | 불가리아 | 소유즈 TM-5 | 미르 |
1988년 8월 29일 | 압둘 아하드 모흐만드(Abdul Ahad Mohmand) | 아프가니스탄 | 소유즈 TM-6 | 미르 |
1988년 11월 26일 | 장 루이 크레티앵(Jean-Loup Chrétien) | 프랑스 | 소유즈 TM-7 | 미르 |
1990년 12월 2일 | 아키야마 도요히로(Toyohiro Akiyama) | 일본 | 소유즈 TM-11 | 미르 |
1991년 5월 18일 | 헬렌 샤먼(Helen Sharman) | 영국 | 소유즈 TM-12 | 미르 |
1991년 10월 2일 | 프란츠 비에흐뵈크(Franz Viehböck) | 오스트리아 | 소유즈 TM-13 | 미르 |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은 유인 우주 비행 외에도 다양한 무인 우주 탐사 임무를 포함했다. 이 임무들은 주로 태양 활동, 지구의 전리층 및 자기권, 우주 방사선, 운석 등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은 소련의 우주 기술을 과시하고 동맹국 간의 결속을 다지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참여국의 우주 비행사 선발 과정과 훈련 내용이 소련의 통제 하에 이루어졌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3. 무인 우주 비행
197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까지, 소련은 여러 국가와 협력하여 다양한 과학적 목적을 가진 무인 우주선을 발사했다. 예를 들어, 베르티칼 시리즈는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을, 인터코스모스 시리즈는 지구 근처 우주 공간 및 태양 활동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폴란드 인민 공화국과의 협력으로 진행된 인터코스모스 9호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탄생 500주년을 기념하여 "코페르니쿠스-500"으로 명명되었으며, 태양과 전리층을 연구했다.[1]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마기온 위성 시리즈를 통해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마기온 1호는 인터코스모스 18호에 의해 궤도에 진입했으며, 이후 마기온 2호와 3호도 발사되어 지구 주위 공간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조사했다.[1]
1981년 발사된 인터코스모스 22호 "불가리아-1300"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주도한 임무로, 불가리아 건국 1300주년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이 임무는 지구의 전리층과 자기권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프랑스와의 협력도 주목할 만하다. 시그네 3호 위성 연구에는 20명의 프랑스 전문가가 참여했으며, 오레올 3호는 소련과 프랑스의 공동 프로젝트인 '아르카드-3' 하에 개발되었다.[1]
3. 1. 주요 임무
임무명 | 발사일 | 주요 내용 | 참여국 |
---|---|---|---|
인테르코스모스 1호 | 1969년 10월 14일 | 태양의 자외선 및 X선과 그 영향 관측 | |
베르티칼-1 | 1970년 11월 28일 | 대기권, 전리층, 태양 관측 | |
베르티칼-2 | 1971년 8월 20일 |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 | |
인터코스모스 6호 | 1972년 4월 7일 | 지구 근처 우주 공간에서의 1차 우주 방사선 및 운석 입자 조사 | |
인터코스모스 9호 ("코페르니쿠스-500") | 1973년 4월 4일 | 태양과 전리층 연구 | 폴란드 인민 공화국, 소련 |
인터코스모스 14호 | 1975년 6월 3일 | ||
베르티칼-3 | 1975년 9월 2일 |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 | |
인터코스모스 15호 | 1976년 6월 19일 | 우주 비행 조건 하에서 위성의 새로운 시스템 및 부품 테스트 | |
1977년 3월 29일 | 상층 대기 및 외우주 조사 | ||
시그네 3 | 1977년 6월 17일 | 위성 연구에 20명의 프랑스 전문가 참여 | 프랑스 |
베르티칼-5 | 1977년 8월 30일 |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 | |
인터코스모스 17호 | 1977년 9월 24일 | 지구 주위 공간에서의 에너지 하전 입자 및 중성 입자, 미세 운석 흐름 조사 | |
베르티칼-6 | 1977년 10월 25일 | 전리층, 태양 관측 | |
인터코스모스 18호 | 1978년 10월 24일 | 지구 자기권과 전리층 간의 상호 작용 조사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마기온 1 | 1978년 10월 24일 | 소련 우주선 인터코스모스 18호에 의해 궤도 진입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베르티칼-7 | 1978년 11월 3일 | 전리층, 태양 관측 | |
인터코스모스 19호 | 1979년 2월 27일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폴란드 인민 공화국 | |
베르티칼-8 | 1979년 9월 26일 |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 | |
인터코스모스 20호 | 1979년 11월 1일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
인터코스모스 21호 | 1981년 2월 6일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독일 민주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
인터코스모스 22호 "불가리아-1300" | 1981년 8월 7일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
베르티칼-9 | 1981년 8월 28일 | 태양 자외선 및 X선 관측 | |
오레올 3 | 1981년 9월 21일 | 소련-프랑스 공동 프로젝트 아르카드-3 개발 | 소련, 프랑스 |
인터코스모스 23호 | 1985년 4월 26일 |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코스모스 1809 | 1986년 12월 18일 | ||
마기온 2 | 1989년 9월 28일 | 인터코스모스 24호 (아크티브니 프로젝트)의 일부. 지구 주위 공간 플라즈마 프로세스 조사 | |
인터코스모스 24호 | 1989년 9월 28일 | 아크티브니 국제 과학 프로젝트, 체코슬로바키아 마기온-2 위성 탑재 |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민주 공화국,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미국 |
인터코스모스 25호 | 1991년 12월 18일 | 지구 전리층 및 자기권 연구 | 독일, 루마니아, 불가리아, 폴란드, 헝가리 |
마기온 3 | 1991년 12월 28일 | ||
인터코스모스 26호 | 1994년 3월 2일 | 코로나스-I 국제 프로젝트, 태양 조사 |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프랑스, 영국 |
3. 2. 참여국 및 협력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에는 소련을 중심으로 여러 국가가 참여하여 다양한 우주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무인 임무에는 유인 임무보다 더 많은 국가가 참여했는데, 주로 동유럽 국가들이 협력했다.다음은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국가 및 주요 협력 내용이다.
국가 | 주요 협력 내용 및 참여 임무 |
---|---|
소련 | 프로그램 주도, 대부분의 임무에 참여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코페르니쿠스-500 (인터코스모스 9호), 인터코스모스 18호, 19호, 24호, 25호, 26호 등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인터코스모스 18호, 19호, 20호, 21호, 23호, 24호, 마기온 1호, 2호, 3호 등 |
독일 민주 공화국 (동독) | 인터코스모스 18호, 20호, 21호, 24호, 25호 등 |
헝가리 인민 공화국 | 인터코스모스 18호, 19호, 20호, 21호, 24호, 25호 등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인터코스모스 18호, 20호, 21호, 24호, 25호 등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인터코스모스 19호, 인터코스모스 22호 "불가리아-1300", 인터코스모스 24호, 25호, 26호 등 |
프랑스 | 시그네 3호 (인터코스모스 17호), 오레올 3호, 인터코스모스 26호 등 |
미국 | 인터코스모스 24호 (아크티브니 프로젝트) |
우크라이나 | 인터코스모스 26호 |
영국 | 인터코스모스 26호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은 '불가리아 1300' (인터코스모스 22호) 위성을 통해 독자적인 우주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1]
4. 영화
인터코스모스 프로그램과 관련된 대부분의 영화는 그 시대의 짧은 TV 다큐멘터리이다. 2006년 영화 《인터코스모스》와 2009년 폴란드 합작 다큐멘터리 《Lotnicy Kosmonauci|비행사-우주비행사pl》는 예외이다.[13]
참조
[1]
서적
Interkosmos - The Eastern Bloc's Early Space Program
https://books.google[...]
Springer Praxis
[2]
웹사이트
The Interkosmos space program
https://web.archive.[...]
2019-04-05
[3]
뉴스
INDIAN JOINS SOVIET PAIR IN 8-DAY SPACE MISSION
https://www.nytimes.[...]
1984-04-04
[4]
웹사이트
From astronaut to refugee: how the Syrian spaceman fell to Earth
http://www.theguardi[...]
2016-03-01
[5]
서적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sp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The first Soviet cosmonaut team: their lives, legacy, and historical impact
https://books.google[...]
Springer
[7]
문서
Wikisource:Mir Hardware Heritage/Part 2 - Almaz, Salyut, and Mir#2.1.6 Shuttle-Salyut .281973-1978.3B 1980s.29
[8]
뉴스
How the Soviets Won the Space Race for Equality
https://www.nytimes.[...]
2019-07-16
[9]
웹사이트
Jyrki Laukkasesta piti tulla Suomen ensimmäinen kosmonautti – kieltäytyi kutsusta, kun siitä ei olisi ollut mitään hyötyä
https://yle.fi/uutis[...]
Yle.fi
2019-07-10
[10]
웹사이트
Jyrki Laukkanen
https://www.suomenti[...]
Suomen Tietokirjailijat ry
[11]
서적
From Good King Wenceslas to the Good Soldier Švejk: a dictionary of Czech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 browser's guide to the great discoveries, inventions, and the people who made them, from the dawn of time to toda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13]
웹사이트
FilmPolski
http://www.filmpolsk[...]
[14]
사전
Интеркосмос
https://dict.naver.c[...]
NAVER 사전, 조선어
[15]
백과사전
インターコスモス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6]
웹사이트
Spaceflight mission report Soyuz-TM3
http://www.spacefact[...]
[17]
웹사이트
Spaceflight mission report Soyuz-TM5
http://www.spacefact[...]
[18]
서적
The first Soviet cosmonaut team: their lives, legacy, and historical impact
http://books.google.[...]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