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공진 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 공진 결합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1894년 니콜라 테슬라가 처음 시연했으며, 1960년대부터 의료 기기에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연구를 통해 기술이 발전했으며, 애플 등에서 관련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원리는 Q값이 높은 코일과 캐패시터를 이용한 LC 회로의 공진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다. 공진 결합은 전압 이득을 높이고 에너지 전송 효율을 개선하며,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 다양한 회로 구성 요소를 사용한다. 응용 분야는 의료 기기, 가전 제품, 교통 분야 등 광범위하며, RFID 태그, 테슬라 코일, 전력 인버터 등에도 활용된다. 이 기술은 자기장을 사용하므로 비교적 안전하며, 안전 기준과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비공진 유도 방식에 비해 효율성이 뛰어나며, 배터리보다 경제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압기 -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압기는 전력 시스템에서 전압 측정 및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로, 전자기, 광학, 콘덴서, 커패시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력선 통신 기능도 수행하여 전력 시스템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인다. - 변압기 - 비정질 금속 변압기
비정질 금속 변압기는 철심 재료로 비정질 금속을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 변압기로, 철손 감소를 통해 CO2 배출량 감소에 기여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높고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를 위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자기 공진 결합 | |
---|---|
자기 유도 결합 | |
개요 | |
유형 | 유도 결합 공진 유도 결합 |
용도 | 무선 전력 전송 RFID 유도 가열 근거리 무선 통신 |
관련 항목 | 변압기 유도기 테슬라 코일 안테나 |
자기 조상 결합 | |
기타 이름 | 자기 위상 동기 결합 공진 유도 결합 |
관련 주제 | |
관련 기술 | 무선 전력 전송 자기 공명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니콜라 테슬라 |
2. 역사
1894년, 니콜라 테슬라는 "전기역학적 유도"라고도 알려진 공진 유도 결합을 사용하여 뉴욕시의 연구소에서 인광 및 백열 전구를 무선으로 켰다.[56][57][58] 1897년 그는 고전압 공진 변압기 ("테슬라 코일")를 특허냈다.[59] 테슬라 코일은 1차 코일에서 2차 코일로 공진 유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전달하여 고전압에서 고주파의 고전압을 생성할 수 있었다. 개선된 설계는 "장치 자체의 파괴 및 이에 접근하거나 취급하는 사람에게 심각한 위험 없이" 고전위 전류를 안전하게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했다.
1960년대 초, 공진 유도 무선 에너지 전송은 심박 조율기 및 인공 심장과 같은 이식형 의료 기기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60] 초기 시스템은 공진 수신기 코일을 사용했지만, 후기 시스템[61]은 공진 송신기 코일도 구현했다. 오늘날 공진 유도 에너지 전송은 많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의료 이식형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된다.[62]
실험적으로 전기 자동차 및 버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전기 에너지 전송은 공진 유도 에너지 전송의 고전력 애플리케이션(>10 kW)이다. 1990년경에 건설된 실험용 전동 도로 시험 트랙은 특별히 장비를 갖춘 버스 정류장에서 프로토타입 버스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면서 60%를 약간 넘는 전기 효율을 달성했다.[63][64]
1993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의 존 보이스 교수와 그랜트 코빅 교수는 작은 공기 간극을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44] 이는 일본에서 이동식 크레인 및 AGV 무접촉 전원 공급 장치로 실용화되었다.[48]
1998년,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RFID 태그가 특허를 받았다.[65]
2006년 11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Marin Soljačić영어와 다른 연구원들은 강하게 결합된 공진기를 기반으로 근거리장 거동을 무선 전력 전송에 적용했다.[66][67][68] 이론적 분석에서,[69] 그들은 방사 및 흡수로 인한 손실이 최소화되고 중간 범위(즉, 공진기 크기의 몇 배)의 근거리장을 갖는 전자기 공진기를 설계함으로써, 중간 범위의 효율적인 무선 에너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애플은 2010년에, WiPower는 2008년에 이 기술의 특허 신청을 했다.[70]
과거 JR 도카이 초전도 리니어(SCMaglev) 차량에 사용된 전원은 가스 터빈 발전기로 생성되었다. 2011년, 그들은 AGV의 무선 전원 방식과 유사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JR 도카이 독점 9.8 kHz 위상 동기화 기술을 통해 큰 간극을 가로질러 주행 중(CWD: 주행 중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일본 국토교통성은 실용화를 위한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이 기술을 평가했다.[71][72] SCMaglev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상업적 사용은 2027년에 시작될 예정이다.[73]
2. 1. 초기 연구
1894년 니콜라 테슬라는 "전기역학적 유도"라고도 알려진 공진 유도 결합을 사용하여 뉴욕시의 연구소에서 인광 및 백열 전구를 무선으로 켰다.[11][12][13] 1897년 그는 고전압 공진 변압기 ("테슬라 코일")를 특허냈다.[14] 테슬라 코일은 1차 코일에서 2차 코일로 공진 유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전달하여 고전압에서 고주파수의 고전압을 생성할 수 있었다. 개선된 설계는 "장치 자체의 파괴 및 이에 접근하거나 취급하는 사람에게 심각한 위험 없이" 고전위 전류를 안전하게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했다.1960년대 초, 공진 유도 무선 에너지 전송은 심박 조율기 및 인공 심장과 같은 이식형 의료 기기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5] 초기 시스템은 공진 수신기 코일을 사용했지만, 후기 시스템[16]은 공진 송신기 코일도 구현했다. 이러한 의료 기기는 저전력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고효율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코일의 정렬 불량 및 비틀림을 효율적으로 수용한다. 이식형 애플리케이션에서 코일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20cm 미만이다. 오늘날 공진 유도 에너지 전송은 많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의료 이식형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된다.[17]
2. 2. 기술 발전
1894년 니콜라 테슬라는 "전기역학적 유도"라고도 알려진 공진 유도 결합을 사용하여 뉴욕시의 연구소에서 인광 및 백열 전구를 무선으로 켰다.[56][57][58] 1897년 그는 고전압 공진 변압기 또는 "테슬라 코일"이라고 불리는 장치를 특허냈다.[59]1960년대 초, 공진 유도 무선 에너지 전송은 심박 조율기 및 인공 심장과 같은 이식형 의료 기기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60] 초기 시스템은 공진 수신기 코일을 사용했지만, 후기 시스템[61]은 공진 송신기 코일도 구현했다. 오늘날 공진 유도 에너지 전송은 많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의료 이식형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된다.[62]
실험적으로 전기 자동차 및 버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전기 에너지 전송은 공진 유도 에너지 전송의 고전력 애플리케이션(>10 kW)이다. 1990년경에 건설된 실험용 전동 도로 시험 트랙은 특별히 장비를 갖춘 버스 정류장에서 프로토타입 버스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면서 60%를 약간 넘는 전기 효율을 달성했다.[63][64]
1993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의 존 보이스 교수와 그랜트 코빅 교수는 작은 공기 간극을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44] 이는 일본에서 이동식 크레인 및 AGV 무접촉 전원 공급 장치로 실용화되었다.[48]
1998년,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RFID 태그가 특허를 받았다.[65]
2006년 11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Marin Soljačić영어와 다른 연구원들은 강하게 결합된 공진기를 기반으로 근거리장 거동을 무선 전력 전송에 적용했다.[66][67][68] 이론적 분석에서,[69] 그들은 방사 및 흡수로 인한 손실이 최소화되고 중간 범위(즉, 공진기 크기의 몇 배)의 근거리장을 갖는 전자기 공진기를 설계함으로써, 중간 범위의 효율적인 무선 에너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애플(Apple Inc.)은 2008년에 WiPower가 특허를 출원한 후 2010년에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70]
과거 JR 도카이 SCMaglev 차량에 사용된 전원은 가스 터빈 발전기로 생성되었다. 2011년, 그들은 AGV의 무선 전원 방식과 유사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JR 도카이 독점 9.8 kHz 위상 동기화 기술을 통해 큰 간극을 가로질러 주행 중(CWD: 주행 중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일본 국토교통성은 실용화를 위한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이 기술을 평가했다.[71][72] SCMaglev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상업적 사용은 2027년에 시작될 예정이다.[73]
2. 3. 대한민국 관련 기술 발전
대한민국은 자기 공명 무선 전력 전송 기술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개발을 진행해 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 또는 진보 진영은 관련 기술 개발 정책 및 R&D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1993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의 존 보이스(John Boys) 교수와 그랜트 코빅(Grant Covic) 교수가 개발한 소형 공극을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은[1][20] 일본에서 이동식 크레인 및 AGV 무접촉 전원 공급 장치로 실용화되었다.[1] 이 기술은 1998년 RFID 태그의 전력 공급 방식으로 특허를 받았다.[21]
2011년, JR 도카이는 초전도 리니어(SCMaglev) 차량에 사용되는 전원을 가스 터빈 발전기 대신, 9.8 kHz 위상 동기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주행 중 무선 급전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데 성공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이 기술이 실용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평가했으며,[27] SCMaglev는 2027년 상업 운행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28]
3. 원리
공진 결합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근거리 전계에서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은 Q 값이 높은 코일이 결합된 LC 회로를 만들기 위해 코일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공진 변압기에서 발생한다.[34][5][2]
가장 기본적인 공진 유도 결합은 1차 측에 하나의 구동 코일과 2차 측에 하나의 공진 회로로 구성된다.[34][5][2] 2차 측의 공진 상태가 1차 측에서 관찰될 때, 한 쌍의 두 공진, 즉 반공진 주파수(병렬 공진 주파수 1)와 공진 주파수(직렬 공진 주파수 1')가 관찰된다.[35][5] 2차 코일의 단락 인덕턴스와 공진 캐패시터는 공진 회로로 결합된다.[36][5] 1차 코일이 2차 측의 공진 주파수(직렬 공진 주파수)로 구동되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자기장의 위상이 동기화된다.[5] 결과적으로 상호 플럭스의 증가로 인해 2차 코일에 최대 전압이 생성되고, 1차 코일의 구리 손실이 감소하며, 발열이 감소하고, 효율이 상대적으로 향상된다.[2]
일반적인 변압기와 달리, 비공진 결합 인덕터는 1차 코일이 자계를 생성하고 2차 코일이 해당 자계로부터 가능한 많은 전력을 수신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계가 2차 코일을 통과해야 하므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제한되며,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등의 코어가 필요하다. 비공진 유도 결합은 거리가 커지면 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에너지의 대부분은 1차 코일의 동손으로 인해 발열로 손실된다.
반면, 공진 결합을 사용하면 2차 코일에 용량성 부하를 연결하여 LC 회로를 형성하고, 1차 코일의 구동 주파수와 2차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일치시켜 효율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길이의 수배 거리를 사이에 둔 코일 사이에서도 상당한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52]
변압기에서 1차 코일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플럭스의 일부만 2차 코일에 결합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결합되는 부분을 ''상호 플럭스'', 결합되지 않는 부분을 ''누설 자속''이라고 한다.[37] 시스템이 공진 상태가 아닐 때, 2차 측에 나타나는 개방 회로 전압은 코일의 권선비로 예측한 것보다 작아진다.
결합의 정도는 ''결합 계수'' (결합 계수)라는 매개변수로 나타내며, 변압기 개방 회로 전압비와 모든 플럭스가 한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결합될 경우 얻을 수 있는 비율의 비율로 정의된다. ''k'' 값은 0과 ±1 사이에 있다. 각 코일 인덕턴스는 ''k'':(1−''k'')의 비율로 두 부분, 즉 상호 플럭스를 생성하는 인덕턴스와 누설 플럭스를 생성하는 인덕턴스로 나눌 수 있다.
결합 계수는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두 코일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 계수는 시스템이 공진 상태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또는 시스템이 공진 상태이고 권선비보다 큰 2차 전압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다.
공진 시스템은 결합 정도에 따라 강하게 결합, 느슨하게 결합, 임계 결합 또는 과도하게 결합으로 분류된다. 강한 결합은 결합 계수가 약 1인 경우(기존의 철심 변압기)이다. 과도한 결합은 2차 코일이 너무 가깝고 상호 플럭스 형성이 반공진의 영향으로 방해받을 때이며, 임계 결합은 통과 대역에서의 전달이 최적일 때이다. 느슨한 결합은 코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대부분의 플럭스가 2차 측을 놓칠 때이다. 테슬라 코일에서는 약 0.2가 사용되며, 유도 무선 전력 전송의 경우 0.01보다 낮을 수 있다.
공진 조건에서는 결합 계수가 증가한다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올바르지 않다. 실제로는 결합 계수는 변하지 않고 주 자속이 증가하는 것이다.[53]
3. 1. 공진 결합
공진 결합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근거리 전계에서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은 Q 값이 높은 코일이 결합된 LC 회로를 만들기 위해 코일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공진 변압기에서 발생한다.[34][5][2]
가장 기본적인 공진 유도 결합은 1차 측에 하나의 구동 코일과 2차 측에 하나의 공진 회로로 구성된다.[34][5][2] 2차 측의 공진 상태가 1차 측에서 관찰될 때, 한 쌍의 두 공진, 즉 반공진 주파수(병렬 공진 주파수 1)와 공진 주파수(직렬 공진 주파수 1')가 관찰된다.[35][5] 2차 코일의 단락 인덕턴스와 공진 캐패시터는 공진 회로로 결합된다.[36][5] 1차 코일이 2차 측의 공진 주파수(직렬 공진 주파수)로 구동되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자기장의 위상이 동기화된다.[5] 결과적으로 상호 플럭스의 증가로 인해 2차 코일에 최대 전압이 생성되고, 1차 코일의 구리 손실이 감소하며, 발열이 감소하고, 효율이 상대적으로 향상된다.[2]
일반적인 변압기와 달리, 비공진 결합 인덕터는 1차 코일이 자계를 생성하고 2차 코일이 해당 자계로부터 가능한 많은 전력을 수신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계가 2차 코일을 통과해야 하므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제한되며,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등의 코어가 필요하다. 비공진 유도 결합은 거리가 커지면 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에너지의 대부분은 1차 코일의 동손으로 인해 발열로 손실된다.
반면, 공진 결합을 사용하면 2차 코일에 용량성 부하를 연결하여 LC 회로를 형성하고, 1차 코일의 구동 주파수와 2차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일치시켜 효율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길이의 수배 거리를 사이에 둔 코일 사이에서도 상당한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52]
변압기에서 1차 코일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플럭스의 일부만 2차 코일에 결합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결합되는 부분을 ''상호 플럭스'', 결합되지 않는 부분을 ''누설 자속''이라고 한다.[37] 시스템이 공진 상태가 아닐 때, 2차 측에 나타나는 개방 회로 전압은 코일의 권선비로 예측한 것보다 작아진다.
결합의 정도는 ''결합 계수'' (결합 계수)라는 매개변수로 나타내며, 변압기 개방 회로 전압비와 모든 플럭스가 한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결합될 경우 얻을 수 있는 비율의 비율로 정의된다. 값은 0과 ±1 사이에 있다. 각 코일 인덕턴스는 의 비율로 두 부분, 즉 상호 플럭스를 생성하는 인덕턴스와 누설 플럭스를 생성하는 인덕턴스로 나눌 수 있다.
결합 계수는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두 코일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 계수는 시스템이 공진 상태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또는 시스템이 공진 상태이고 권선비보다 큰 2차 전압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다.
공진 시스템은 결합 정도에 따라 강하게 결합, 느슨하게 결합, 임계 결합 또는 과도하게 결합으로 분류된다. 강한 결합은 결합 계수가 약 1인 경우(기존의 철심 변압기)이다. 과도한 결합은 2차 코일이 너무 가깝고 상호 플럭스 형성이 반공진의 영향으로 방해받을 때이며, 임계 결합은 통과 대역에서의 전달이 최적일 때이다. 느슨한 결합은 코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대부분의 플럭스가 2차 측을 놓칠 때이다. 테슬라 코일에서는 약 0.2가 사용되며, 유도 무선 전력 전송의 경우 0.01보다 낮을 수 있다.
공진 조건에서는 결합 계수가 증가한다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올바르지 않다. 실제로는 결합 계수는 변하지 않고 주 자속이 증가하는 것이다.[53]
3. 2. 전압 이득
일반적으로 비공진 결합 코일의 전압 이득은 2차 및 1차 인덕턴스 비율의 제곱근에 정비례한다.:
그러나 공진 결합 상태에서는 더 높은 전압이 생성된다. 단락 인덕턴스 Lsc2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2차 측에서 얻을 수 있다.
:
단락 인덕턴스 Lsc2와 2차 측의 공진 커패시터 Cr은 공진한다. 공진 주파수 ω2는 다음과 같다.
:
부하 저항이 Rl이라고 가정하면, 2차 공진 회로의 Q 값은 다음과 같다.
:
공진 주파수의 피크에서 공진 커패시터 Cr에서 생성되는 전압은 Q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공진할 때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전압 이득 Ar은 다음과 같다.
:
Type P-P형의 경우, Q1은 전압 이득에 기여하지 않는다.
3. 3. 에너지 전송 효율
Q값이 매우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코일에 낮은 전력이 공급되더라도 여러 사이클에 걸쳐 비교적 강한 장이 형성되어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이 증가한다. 공진 시에는 진동하는 장에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훨씬 더 많은 전력이 있으며, 수신 코일은 해당 전력의 일부를 수신한다.[54]마린 숄야치치가 발명한 WiTricity의 자기 공명은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이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측 공진기는 구동 코일 전류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1차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속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1차 코일을 고전압으로 구동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정량의 진동 에너지 (펄스 또는 펄스 열)를 용량성 부하를 가진 1차 코일에 입력하면 1차 코일은 "링잉"을 일으키며 진동 자계를 발생시킨다. 에너지는 인덕터 내의 자계와 캐패시터 내의 전계 사이를 공진 주파수로 왕복한다. 이 진동은 주로 저항 손실과 방사 손실에 의해, 이득 대역폭 (''Q'' 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손실 속도 Γ에 의해 결정되는 속도로 감쇠한다. 그러나 2차 코일이 충분한 자계를 받고 있다면, 1차 코일의 공진 주기 동안 손실되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대부분을 전송할 수 있다.
''Q'' 값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실증 실험에서는 공심 코일로 약 1000[54]), 자계가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쇠하여 자계 중 극히 작은 부분만 상대 코일과 결합되어 있어도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거리가 코일 직경의 수배여도 문제가 없다.
효율 성능 지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이 밝혀졌다[55]。
:
''Q''1 과 ''Q''2 는 각각 송전 측과 수전 측 코일의 Q 값이며, ''k'' 는 전술한 결합 계수이다.
또한, 달성 가능한 최대 효율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4. 구성 요소
4. 1. 송전 코일 및 회로
자기 공진 결합을 위한 코일은 비공진 변압기의 다층 2차 코일과는 달리, 표피 효과를 최소화하고 ''Q''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일층 솔레노이드 형태로 제작되며, 적절한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다.[40] 대체 공진기 형태로는 파형으로 감긴 리츠선과 루프 갭 공진기(LGR)가 있다.[40] 리츠선 기반 공진기는 절연재가 없거나, 유전율이 낮고 손실이 적은 실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40] LGR 형태는 공진기 구조 외부의 전기장이 매우 약하다는 장점이 있다.[40]1차 코일에 주기마다 에너지를 점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콜피츠 발진기를 사용하는 회로가 있다.[38]
테슬라 코일에서는 간헐적인 스위칭 시스템, 즉 "회로 제어기" 또는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1차 코일에 임펄스 신호를 주입한다. 그러면 2차 코일이 울리고 감쇠한다.
4. 2. 수전 코일 및 회로
보조 수신기 코일은 주 송신 코일과 유사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 보조 코일을 주 코일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작동시키면 보조 코일이 송신기의 주파수에서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며 에너지가 최적으로 흡수된다.
보조 코일에서 에너지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교류 전류를 직접 사용하거나 정류하여 조정 회로를 사용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의 경우, 수신기는 칩에 연결된 코일을 가지고 있으며, 칩은 공진을 제공하는 커패시턴스와 적절한 전압을 제공하는 조절기를 제공한다.
5. 응용 분야
자기 공진 결합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단거리(최대 2미터) 무선 전력 시스템에 사용되거나 개발 중인 다양한 공진 결합 시스템은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로봇 청소기, 이식형 의료 기기, 전기 자동차, SCMaglev 열차[7] 및 자동 안내 차량과 같은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8] 구체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 WiTricity
- Rezence
- eCoupled
- 무선 공진 에너지 링크 (WREL)
기타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수동 RFID 태그 (예: 여권) 및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와 같은 데이터 전송.[77]
- 전력 인버터의 공진 변압기는 냉음극 형광 램프에 전원을 공급한다.
- 초고주파 수신기의 단계를 결합하며, 여기서 수신기의 선택성은 중간 주파 증폭기의 동조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9]
- X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 (100만 볼트) 소스.[77]
테슬라 코일은 매우 높은 전압을 생성하는 공진 변압기 회로이며 반 데 그라프 발전기와 같은 고전압 정전기 기계보다 훨씬 높은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10] 그러나 이 유형의 시스템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빈 공간으로 방사하며, 에너지를 거의 낭비하지 않는 현대 무선 전력 시스템과는 다르다.
공진 변압기는 무선 통신 회로에서 대역 통과 필터로, 그리고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5. 1. 의료 기기
자기 공진 결합은 랩톱, 태블릿, 스마트폰, 로봇 청소기와 같은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SCMaglev 열차[7] 및 자동 안내 차량과 같은 차량에도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8] 특히, 이 기술은 심박 조율기, 인공 심장과 같은 이식형 의료 기기에도 활용된다.5. 2. 가전 제품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휴대 기기, 로봇 청소기, 이식형 의료 기기, 전기 자동차, SCMaglev 열차[7], 자동 안내 차량[8]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거리(최대 2미터) 무선 전력 시스템에 사용되거나 개발 중이다. 구체적인 기술로는 WiTricity, Rezence, eCoupled, 무선 공진 에너지 링크 (WREL) 등이 있다.5. 3. 교통
전기 자동차, 버스, SCMaglev 열차[7], 자동 안내 차량[8] 등에 자기 공진 결합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사용되거나 개발 중이다. 단거리(최대 2미터) 무선 전력 시스템은 랩톱, 태블릿, 스마트폰, 로봇 청소기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5. 4. 기타
RFID 태그(여권 등) 및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와 같은 데이터 전송에 활용된다.[77] 냉음극 형광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인버터의 공진 변압기, 초고주파 수신기의 단계 결합, X-ray 발생을 위한 고전압(100만 볼트) 소스[77] 등에 사용된다. 테슬라 코일은 매우 높은 전압을 생성하는 공진 변압기 회로이며, 반 데 그라프 발전기와 같은 고전압 정전기 기계보다 훨씬 높은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10] 그러나 이 시스템은 에너지를 빈 공간으로 방사하여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공진 변압기는 무선 통신 회로에서 대역 통과 필터로, 그리고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6. 안전성 및 규제
결합은 주로 자기장을 사용하므로 이 기술은 비교적 안전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자기장 노출에 대한 안전 기준 및 지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ICNIRP 지침은 100 kHz 미만에서 수십 마이크로테슬라의 RMS 필드를 허용하고, VHF에서는 200 나노테슬라로 허용치가 감소하며, 400 MHz 이상에서는 더 낮은 수준을 허용한다.[31][32][75][76] 시스템이 지침 또는 덜 엄격한 법적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는 송신기에서 전달되는 전력과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이미 배포된 시스템은 자기장을 생성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높은 자기장이 허용되는 수십 kHz의 유도 가열기와 필요한 에너지가 더 낮은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리더가 있다. 스웨덴 군대를 위한 한 연구에 따르면 차량용 동적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85 kHz 시스템은 최대 300km 반경에서 전자기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33]
전원 연결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감전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비를 밀봉할 수 있다.
7. 타 기술과의 비교
일반적인 변압기와 같은 비공진 결합 인덕터는 1차 코일이 자기장을 생성하고 2차 코일이 가능한 한 해당 자기장의 대부분을 덮어 2차 코일을 통과하는 전력이 1차 코일의 전력과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자기장이 2차 코일에 의해 덮여야 한다는 이 요구 사항은 매우 짧은 거리를 초래하며 일반적으로 자성 코어가 필요하다. 더 먼 거리에서는 비공진 유도 방식은 효율성이 매우 낮고 1차 코일의 저항 손실로 인해 대부분의 에너지가 낭비된다.[29]
공진을 사용하면 효율성을 극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공진 결합을 사용하면 2차 코일에 커패시턴스 부하를 가하여 튜닝된 LC 회로를 형성한다. 1차 코일이 2차 측 공진 주파수에서 구동되면, 합리적인 효율성으로 코일 직경의 몇 배에 걸쳐 코일 간에 상당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29]
기존 변압기에서 유도 전송이 약 98-99%의 효율을 달성하는 것과 비교하면, 코일 간 거리가 코일 직경보다 짧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효율은 근거리에서 80%로 떨어진다. 이 때문에 더 먼 거리에서 더 큰 전력을 전송하는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배터리, 특히 일회용 배터리의 비용과 비교하면 배터리 비용이 100배 더 비싸다. 전력원을 가까이에 설치할 수 있는 경우, 더 저렴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74][30] 또한 배터리는 주기적인 유지 보수 및 교체가 필요하지만, 공진 전력 전송은 그것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조 및 폐기 시 오염을 발생시키지만, 이를 회피할 수 있다.
참조
[1]
Youtube
resonant structure in only the secondary side
https://www.youtube.[...]
[2]
간행물
Techno Frontier 2017
https://jp.cluez.biz[...]
OMRON AMUSEMENT Japan
[3]
논문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al Power Overview of Recent Research & Development
http://ijcee.org/pap[...]
2012-04
[4]
간행물
Theory and verification of a model of wireless power transfer having a resonant structure in only the secondary side
http://www.ieice.or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2015-02-13
[5]
간행물
Breakthrough was finally found in the wireless power transfer - Improve efficiency and robustness by slightly modifying the problem of magnetic resonance theory
https://translate.go[...]
CQ publishing
2017-10
[6]
웹사이트
Power Your Entire Home Without Wires!
http://msnvideo.msn.[...]
Revision3 on msn.com with Dnews announcer Trace Dominguez @tracedominguez
2014-03-23
[7]
문서
About the power supply on the car by induction current collecting method
http://www.mlit.go.j[...]
[8]
문서
Non-Contact Power Supply Transport System Technology of DAIFUKU AGV
http://www.daifuku.c[...]
[9]
서적
Secrets of RF Circuit Design
Mcgraw-hill
2000-12-11
[10]
서적
High-Voltage Engineering: Theory and Practice
[11]
웹사이트
Experiments with Alternating Currents of Very High Frequency and Their Application to Methods of Artificial Illumination, AIEE, Columbia College, N.Y., May 20, 1891
http://www.tfcbooks.[...]
1891-06-20
[12]
웹사이트
Experiments with Alternate Currents of High Potential and High Frequency, IEE Address,' London, February 1892
http://www.tfcbooks.[...]
1892-02-01
[13]
웹사이트
On Light and Other High Frequency Phenomena, 'Franklin Institute,' Philadelphia, February 1893, and National Electric Light Association, St. Louis, March 1893
http://www.tfcbooks.[...]
1893-03-01
[14]
특허
Electrical Transformer
[15]
논문
Powering an artificial heart: Birth of the inductively coupled-radio frequency system in 1960
2002
[16]
간행물
High efficiency driver for transcutaneously coupled coils
1989-11
[17]
웹사이트
What is a cochlear implant?
http://www.cochleara[...]
Cochlearamericas.com
2009-01-30
[18]
문서
Roadway Powered Electric Vehicle Project, Track Construction and Testing Program
http://www.path.berk[...]
[19]
간행물
PATH at 20: History and Major Milestones
2006
[20]
문서
Wireless power Transfer: Introduction and History - Tutorial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RFID Coil Design
http://ww1.microchip[...]
[22]
웹사이트
Wireless electricity could power consumer, industrial electronics
http://web.mit.edu/n[...]
MIT News
2006-11-14
[23]
웹사이트
Gadget recharging goes wireless
http://physicsworld.[...]
Physics World
2006-11-14
[24]
웹사이트
'Evanescent coupling' could power gadgets wirelessly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com news service
2006-11-15
[25]
논문
Efficient wireless non-radiative mid-range energy transfer
[26]
웹사이트
Ready for Another Patent War? Apple 'Invents' Wireless Charging
https://www.theregis[...]
Situation Publishing
[27]
문서
Evaluation of superconducting Maglev railway practical technology on on-board power supply by induction current collector
http://www.mlit.go.j[...]
[28]
문서
SCMaglev construction applic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adopted and total construction cost increase
https://translate.go[...]
[29]
서적
Elementary Lectures on Electric Discharges, Waves, and Impulses, and Other Transient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30]
웹사이트
Eric Giler demos wireless electricity
http://www.ted.com/t[...]
TED
2009-07
[3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cnirp.de[...]
[32]
문서
IEEE C95.1
[33]
간행물
Interference Risks from Wireless Power Transfer for Electric Vehicles
https://www.electron[...]
Swedish Defence Research Agency (FOI)
2021-05-02
[34]
문서
Wireless power Transfer: Introduction and History-Tutorial
https://web.archive.[...]
[35]
간행물
Theory and verification of a model of wireless power transfer having a resonant structure in only the secondary side
[36]
논문
Wireless power transfer technology and practice
http://shop.cqpub.co[...]
CQ publishing
2011-09
[37]
웹사이트
ELECTRICAL ENGINEERING
http://ecoursesonlin[...]
[38]
논문
Wireless Power Transfer via Strongly Coupled Magnetic Resonances André Kurs, Aristeidis Karalis, Robert Moffatt, J. D. Joannopoulos, Peter Fisher, Marin Soljacic
http://www.sciencema[...]
[39]
간행물
WiTricity White Paper-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Safe, Efficient, and Over Distance-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Safe, Efficient, and Over Distance 2017 Morris Kesler
https://web.archive.[...]
[40]
논문
Mid-Range Wireless Power Transfer at 100 MHZ Using Magnetically Coupled Loop-Gap Resonators
[41]
웹사이트
高い給電効率を実現 オムロンの2nd-resonance方式
https://jp.cluez.biz[...]
オムロン
2017-06-16
[42]
간행물
Theory and verification of a model of wireless power transfer having a resonant structure in only the secondary side
http://www.ieice.or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2015-02-13
[43]
논문
ついに突破口が見つかったワイヤレス給電の新方式 磁界共振理論の問題を微修正して効率とロバスト性を改善
http://shop.cqpub.co[...]
CQ出版
2017-10
[44]
웹사이트
Wireless power Transfer: Introduction and History-Tutorial
http://docplayer.net[...]
2017-06-16
[45]
뉴스
新エネルギー新聞【展示会レポート】テクノ・フロンティア2017
http://www.newenergy[...]
[46]
논문
電磁誘導と磁界共振の中間的な構成による電力伝送のシミュレーションと実験 : 二次側のみに共振構成を有する電力伝送モデルを理論的に検証する
https://www.worldcat[...]
2015-02-13
[47]
논문
ワイヤレス給電の技術と実際
http://shop.cqpub.co[...]
CQ出版
2011-09
[48]
문서
1993に実用化された非接触給電搬送システムの技術 ダイフク
http://www.daifuku.c[...]
[49]
서적
Secrets of RF Circuit Design
[50]
서적
High-Voltage Engineering: Theory and Practice
[51]
문서
誘導集電方式による車上電源について
https://www.mlit.go.[...]
[52]
서적
Elementary Lectures on Electric Discharges, Waves, and Impulses, and Other Transient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53]
웹사이트
ELECTRICAL ENGINEERING
http://ecoursesonlin[...]
[54]
논문
Wireless Power Transfer via Strongly Coupled Magnetic Resonances André Kurs, Aristeidis Karalis, Robert Moffatt, J. D. Joannopoulos, Peter Fisher, Marin Soljacic
http://www.sciencema[...]
[55]
간행물
WiTricity White Paper-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Safe, Efficient, and Over Distance-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Safe, Efficient, and Over Distance 2013 Morris Kesler
http://www.witricity[...]
[56]
웹사이트
Experiments with Alternating Currents of Very High Frequency and Their Application to Methods of Artificial Illumination, AIEE, Columbia College, N.Y., May 20, 1891
http://www.tfcbooks.[...]
1891-06-20
[57]
웹사이트
Experiments with Alternate Currents of High Potential and High Frequency, IEE Address,' London, February 1892
http://www.tfcbooks.[...]
1892-02-01
[58]
웹사이트
On Light and Other High Frequency Phenomena, 'Franklin Institute,' Philadelphia, February 1893, and National Electric Light Association, St. Louis, March 1893
http://www.tfcbooks.[...]
1893-03-01
[59]
특허
Electrical Transformer
[60]
문서
Powering an artificial heart: Birth of the inductively coupled-radio frequency system in 1960
[61]
문서
High efficiency driver for transcutaneously coupled coils
1989-11
[62]
웹사이트
What is a cochlear implant?
http://www.cochleara[...]
Cochlearamericas.com
2009-01-30
[63]
문서
Roadway Powered Electric Vehicle Project, Track Construction and Testing Program
[64]
문서
PATH at 20: History and Major Milestones
[65]
웹사이트
RFID Coil Design
http://ww1.microchip[...]
Microchip Technology
2002
[66]
웹사이트
Wireless electricity could power consumer, industrial electronics
http://web.mit.edu/n[...]
MIT News
2006-11-14
[67]
웹사이트
Gadget recharging goes wireless
http://physicsworld.[...]
Physics World
2006-11-14
[68]
웹사이트
'Evanescent coupling' could power gadgets wirelessly
http://www.newscient[...]
NewScientist.com news service
2006-11-15
[69]
논문
Efficient wireless non-radiative mid-range energy transfer
[70]
뉴스
Ready for ANOTHER patent war?
http://www.theregist[...]
[71]
간행물
誘導集電方式による車上電源について
https://www.mlit.go.[...]
[72]
간행물
誘導集電による車上電源に関する超電導磁気浮上式鉄道実用技術評価
https://www.mlit.go.[...]
[73]
뉴스
リニア工事申請、ワイヤレス給電を採用し総工費増
https://www.nikkei.c[...]
2014-08-26
[74]
웹사이트
Eric Giler demos wireless electricity
http://www.ted.com/t[...]
TED
2009-07
[75]
간행물
ICNIRP Guidelines Guidelines for Limiting Exposure to Time-Varying.
http://www.icnirp.de[...]
[76]
문서
IEEE C95.1
[77]
서적
resonant transformer
https://books.google[...]
[78]
콘퍼런스
Theory and verification of a model of wireless power transfer having a resonant structure in only the secondary side
http://www.ieice.or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2015-02-13
[79]
저널
Breakthrough was finally found in the wireless power transfer - Improve efficiency and robustness by slightly modifying the problem of magnetic resonance theory
https://translate.go[...]
CQ publishing
201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