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와호랑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와호랑이는 한때 자바 섬에 서식했던 호랑이 아종으로,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간주된다. 1844년 학명이 처음 제안되었고, 2017년에는 수마트라호랑이, 발리호랑이와 함께 ''P. t. sondaica''로 분류되었다. 자와호랑이는 아시아 본토의 다른 호랑이 아종보다 작았으며, 수컷은 평균 248cm의 몸길이와 100~141kg의 몸무게를 가졌다. 1970년대에 자바 섬의 외딴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으며, 1990년대 초 카메라 트랩 조사에서도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멸종이 선언되었다.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는 사냥, 서식지 파괴, 먹이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2019년과 2024년에 야생 자와호랑이의 생존 가능성을 시사하는 보고가 있었지만, 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멸종한 동물 - 자바 원인
    자바 원인은 1891년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 발견된 화석으로,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호모 에렉투스로 분류된다.
  • 인도네시아의 멸종한 동물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멸종한 식육목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멸종한 식육목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호랑이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호랑이 -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며 짙은 털색과 굵은 줄무늬, 작은 체구를 특징으로 하고, 멸종 위기에 놓여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자와호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와호랑이, 1938년 [[우중쿨론 국립공원]]
1938년 우중쿨론의 자와호랑이 사진
멸종 시기2008년
멸종 연대1970년대
학명ssp.
영명Javan Tiger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네코목
고양이과
표범속
호랑이
아종자와호랑이

2. 분류

1844년 Coenraad Jacob Temminck는 자와호랑이의 학명으로 ''Felis tigris sondaicus''를 제안했다.[1] 1929년, 영국의 분류학자 Reginald Innes Pocock은 호랑이를 ''Panthera'' 속으로 편입하여 ''Panthera tigris''라는 학명을 사용했다.[2][3][4] 2017년, 고양이 전문가 그룹의 고양이 분류 태스크 포스는 고양이 분류법을 개정하여 자와호랑이를 수마트라호랑이, 발리호랑이와 함께 하나의 아종인 ''P. t. sondaica''로 인식하고 있다.[5]

2. 1. 진화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박물관에 소장된 호랑이 표본 23개에서 호랑이는 최후 빙하기 동안 110,000~12,000년 전에 순다 열도를 식민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6]

3. 특징



자와호랑이는 아시아 본토의 다른 아종에 비해 작았지만 발리호랑이보다는 컸으며, 수마트라호랑이와 크기가 비슷했다.[4] 일반적으로 길고 가느다란 줄무늬를 가졌으며, 수마트라호랑이보다 약간 더 많았다. 코는 길고 좁았으며, 후두 평면이 현저하게 좁았고, 분열치는 비교적 길었다. 이러한 두개골 차이에 따라, 자와호랑이는 분류학적 이름이 ''Panthera sondaica''인 별개의 종으로 지정될 것으로 제안되었다.[7]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248cm였고, 몸무게는 100kg에서 141kg 사이였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았고 몸무게는 75kg에서 115kg 사이였다.[4] 자와호랑이의 작은 몸집은 베르크만의 규칙과 자바에 서식하는 사냥감 종의 크기 때문인데, 이들은 아시아 본토의 사슴과 소과 종보다 작았다. 그러나 발자국 직경은 벵골호랑이보다 크다.[8]

자와호랑이는 발로 말이나 물소의 다리를 부러뜨릴 정도로 강하다고 전해졌다.[9] 몸집은 본토 아종에 비해 작았지만, 발리호랑이보다는 컸다. 줄무늬는 가늘고 길었으며, 수마트라호랑이의 것보다 개체 수가 많았다. 코는 길고 폭이 좁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자와호랑이는 다른 아종과는 별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수컷은 몸길이 248cm, 체중은 100~141kg 정도였으며, 암컷은 약간 작아 체중이 75~115kg 정도였다.[31]

자와호랑이의 작은 체격은 먹이가 되는 동물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32] 그들은 사슴, 반텐, 멧돼지, 물새, 파충류 등을 포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인도네시아의 동물원에서 자바호랑이가 사육되었지만, 전시 중 이들이 폐쇄된 탓에 사육 하에서의 수명이나 임신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32]

3. 1. 신체적 특징



자와호랑이는 아시아 본토의 다른 아종에 비해 작았지만 발리호랑이보다는 컸으며, 수마트라호랑이와 크기가 비슷했다.[4] 일반적으로 길고 가느다란 줄무늬를 가졌으며, 수마트라호랑이보다 약간 더 많았다.[4] 코는 길고 좁았으며, 후두 평면이 현저하게 좁았고, 분열치는 비교적 길었다.[7] 이러한 두개골 차이에 따라, 자와호랑이는 분류학적 이름이 ''Panthera sondaica''인 별개의 종으로 지정될 것으로 제안되었다.[7]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248cm였고, 몸무게는 100kg에서 141kg 사이였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았고 몸무게는 75kg에서 115kg 사이였다.[4] 자와호랑이의 작은 몸집은 베르크만의 규칙과 자바에 서식하는 사냥감 종의 크기 때문인데, 이들은 아시아 본토의 사슴과 소과 종보다 작았다. 그러나 발자국 직경은 벵골호랑이보다 크다.[8]

자와호랑이는 발로 말이나 물소의 다리를 부러뜨릴 정도로 강하다고 전해졌다.[9]

3. 2. 생태

자와호랑이는 한때 자바 섬 대부분에 서식했지만, 1940년경에는 외딴 산악 지대와 숲 지역으로 물러났다.[10][11] 1970년경에는 유일하게 알려진 호랑이가 자바 남동부의 가장 높은 산인 메루 베티리 지역에 살고 있었다. 경사진 지형을 가진 이 험준한 지역은 사람이 정착하지 않은 곳이었다. 500 km2 면적이 1972년에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마지막 호랑이는 1976년에 그곳에서 목격되었다.[10][11]

자와호랑이는 자바 사슴, 반텡, 멧돼지를 잡아먹었고, 드물게 물새와 파충류를 먹었다.[8] 야생 또는 사육 상태에서의 임신 기간이나 수명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몇몇 자바 호랑이가 전쟁 중에 문을 닫은 몇몇 인도네시아 동물원에 보관되었다. 전쟁 이후에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얻는 것이 더 쉬워졌다.[8]

4. 서식지 및 생태

자와호랑이는 한때 자와섬 대부분에 서식했지만, 1940년경에는 외딴 산악 지대와 숲 지역으로 물러났다.[10][11] 1970년경에는 유일하게 알려진 호랑이가 자바 남동부의 가장 높은 산인 메루 베티리 지역에 살고 있었다. 경사진 지형을 가진 이 험준한 지역은 사람이 정착하지 않은 곳이었다. 500 km2 면적이 1972년에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마지막 호랑이는 1976년에 그곳에서 목격되었다.[10][11]

자와호랑이는 자바 사슴, 반텡, 멧돼지를 잡아먹었고, 드물게 물새와 파충류를 먹었다.[8] 야생 또는 사육 상태에서의 임신 기간이나 수명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몇몇 자와호랑이가 전쟁 중에 문을 닫은 몇몇 인도네시아 동물원에 보관되었다. 전쟁 이후에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얻는 것이 더 쉬워졌다.[8]

5. 멸종

'''멸종 요인'''

1830년대에 자바호랑이 사냥에 대한 현상금이 지급되었다.[8] 1850년경 농촌 지역 사람들은 자바호랑이를 해충으로 여겼다.[8] 20세기 초, 자바섬의 인구는 2,800만 명에 달했고, 쌀 생산량 증가만으로는 늘어나는 인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8] 15년 이내에 쌀 재배를 위해 150%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다.[8] 1938년에는 자연림이 섬의 23%를 덮고 있었지만, 1975년에는 숲의 8%만 남았고 인구는 8,500만 명으로 증가했다.[8]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환경에서 자바호랑이의 멸종은 여러 상황과 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0]


  • 호랑이와 먹이는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동안 여러 장소에서 독살되었다.[10]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크(''Tectona grandis''), 커피, 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 농장을 위해 자연림이 점점 더 파편화되었고, 이는 야생 동물에게 부적합한 서식지였다.[10]
  • 호랑이의 주요 먹이 종인 자바사슴은 1960년대에 여러 보호 구역과 숲에서 질병으로 인해 사라졌다.[10]
  • 9.30 사건 이후 1965–66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 기간 동안 무장 단체들이 보호 구역으로 후퇴하여 남은 호랑이를 죽였다.[10]


멸종 요인은 사냥과 서식지인 삼림과 먹이 자원의 감소로 생각된다.[30] 20세기 후반, 1975년에는 1938년 당시 2,800만 명이었던 자바섬의 인구가 8,5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주식인 쌀이 부족했다.[30] 논농사를 확대하기 위해 삼림이 벌채되었고, 1938년에 섬 표면적의 23%를 차지했던 자연림은 1975년에는 8%로 감소했다.[30] 1940년대에는 자바호랑이는 이미 사람들의 접근이 어려운 삼림이나 산지로 내몰렸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대에 티크, 커피, 고무의 플랜테이션을 위해 숲이 세분화되었다.[30] 사슴을 비롯한 자바호랑이의 먹이가 되는 동물이 감소한 것도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30] 1965년경에는 반정부 조직이 자금원을 마련하기 위해 자바호랑이를 사냥했다.[30]

1971년에는 늙은 암컷 자바호랑이가 남동부 베틸리산 부근의 플랜테이션 근처에서 사진에 찍혔고, 1972년에는 그 지역에 자연 보호 구역이 설정되었다.[33] 1976년 자바섬 동부의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마지막으로 목격 정보가 있었다.[30][34][35] 1980년에는 Seidensticker와 Suyono가 야생 생물 보호 구역 확장을 주장했고, 1982년에 인도네시아 자연 보호 당국은 이 제안을 실행에 옮겼다.[34] 1984년, 자바섬 서부의 할리문 보호구역에서 한 마리의 호랑이가 사살되었다.[36] 1987년에는 보고르 농과대학 조사대가 메루 베티리에 파견되었지만, 호랑이 자체는 발견하지 못했다.[36] WWF 인도네시아의 지원을 받아, 1992년 가을에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 카메라 트랩이 설치되었지만,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자바호랑이의 모습은 포착되지 않았고, 이 조사 이후 자바호랑이의 멸종이 선언되었다.[37][38]

'''멸종 과정'''

1830년대에 자바호랑이 사냥에 대한 현상금이 지급되었다.[8] 1850년경 농촌 지역 사람들은 자바호랑이를 해충으로 여겼다.[8] 20세기 초, 자바섬의 인구는 2,800만 명이었고 쌀 생산량이 증가하는 인구를 충분히 공급하기에 부족했기에 15년 이내에 쌀 재배를 위해 150%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다.[8] 1938년에는 자연림이 섬의 23%를 덮고 있었지만, 1975년에는 8%만 남았고 인구는 8,500만 명으로 증가했다.[8]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환경에서 자바호랑이의 멸종은 여러 상황과 사건으로 심화되었다:[10]

  •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동안 호랑이와 먹이는 여러 장소에서 독살되었다.[10]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크 (''Tectona grandis''), 커피, 고무나무 (''Hevea brasiliensis'') 농장을 위해 자연림이 파편화되었고, 이는 야생 동물에게 부적합한 서식지였다.[10]
  • 자바사슴은 1960년대에 여러 보호 구역과 숲에서 질병으로 인해 사라졌다.[10]
  • 9.30 사건 이후 1965–66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 기간 동안 무장 단체들이 보호 구역으로 후퇴하여 남은 호랑이를 죽였다.[10]


1960년대 중반까지 우중 쿨론 국립공원, 레우엥 상찬 자연 보호구역, 발루란 국립공원에서 자바호랑이는 생존했다.[13] 1971년, 자바 섬 남동부의 베티리 산 근처 농장에서 늙은 암컷이 총에 맞아 죽었다.[13] 1972년, 이 지역은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승격되었고, 4개의 서식지 관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3] 1976년, 보호구역 동부에서 3~5마리의 호랑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발자국이 발견되었다.[13]

1979년 이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호랑이가 목격된 것은 더 이상 확인되지 않았다.[10] 1980년, 야생 동물 보호 구역을 확장하고 취약한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파괴적인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권고되었다.[10] 1982년, 보호 구역을 국립 공원으로 지정했지만, 이 지역의 몇 안 되는 남은 호랑이를 구하기에는 너무 늦었다.[10] 1987년, 보고르 농업 대학교 학생 30명이 메루 베티리에 탐험대를 파견하여 호랑이 배설물과 발자국을 발견했다.[14]

자와섬 서쪽에는 할리문 살락 산 국립공원에 통합된 할리문 보호구역이 있다. 1984년에 호랑이 한 마리가 그곳에서 죽었고, 1989년에 발견된 발자국 크기는 호랑이의 것이었다.[14] 1990년에 실시된 탐험에서는 호랑이의 존재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얻지 못했다.[14] 1992년 가을, WWF 인도네시아의 지원을 받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카메라 트랩을 배치하여 후속 조사가 계획되었다.[15]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카메라를 배치했지만 호랑이 사진을 얻지 못했고, 발자국도 발견되지 않았다.[15] 이 조사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된 후, 자바호랑이는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16]

1960년대 중반까지 우중 크론, 루엔 상찬, 발란 3개 보호 구역에서 자바호랑이는 생존했다.[13] 1971년 늙은 암컷 자바호랑이가 남동부 베틸리산 부근 플랜테이션 근처에서 사진에 찍혀 1972년 자연 보호 구역이 설정되었다.[33]

목격 정보는 1976년 자바섬 동부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의 것이 마지막이다.[30][34][35] 1980년 Seidensticker와 Suyono가 야생 생물 보호 구역 확장을 주장했고, 1982년 제안을 실행에 옮겼지만, 자바호랑이를 보호하기에는 너무 늦었다.[34]

1984년 자바섬 서부 할리문 보호구역에서 한 마리 호랑이가 사살되었다.[36] 1987년 보고르 농과대학 조사대가 메루 베티리에 파견되어 흔적을 발견했지만, 호랑이 자체는 발견하지 못했다.[36]

WWF 인도네시아 지원으로 1992년 가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 카메라 트랩이 설치되었지만,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조사에도 불구하고, 자바호랑이는 포착되지 않았고, 조사 보고서 공표 후 멸종이 선언되었다.[37][38]

5. 1. 멸종 요인

1830년대에 자바호랑이 사냥에 대한 현상금이 지급되었다.[8] 1850년경 농촌 지역 사람들은 자바호랑이를 해충으로 여겼다.[8] 20세기 초, 자바섬의 인구는 2,800만 명에 달했고, 쌀 생산량 증가만으로는 늘어나는 인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8] 15년 이내에 쌀 재배를 위해 150%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다.[8] 1938년에는 자연림이 섬의 23%를 덮고 있었지만, 1975년에는 숲의 8%만 남았고 인구는 8,500만 명으로 증가했다.[8]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환경에서 자바호랑이의 멸종은 여러 상황과 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0]

  • 호랑이와 먹이는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동안 여러 장소에서 독살되었다.[10]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크(''Tectona grandis''), 커피, 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 농장을 위해 자연림이 점점 더 파편화되었고, 이는 야생 동물에게 부적합한 서식지였다.[10]
  • 호랑이의 주요 먹이 종인 자바사슴은 1960년대에 여러 보호 구역과 숲에서 질병으로 인해 사라졌다.[10]
  • 9.30 사건 이후 1965–66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 기간 동안 무장 단체들이 보호 구역으로 후퇴하여 남은 호랑이를 죽였다.[10]


멸종 요인은 사냥과 서식지인 삼림과 먹이 자원의 감소로 생각된다.[30] 20세기 후반, 1975년에는 1938년 당시 2,800만 명이었던 자바섬의 인구가 8,5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주식인 쌀이 부족했다.[30] 논농사를 확대하기 위해 삼림이 벌채되었고, 1938년에 섬 표면적의 23%를 차지했던 자연림은 1975년에는 8%로 감소했다.[30] 1940년대에는 자바호랑이는 이미 사람들의 접근이 어려운 삼림이나 산지로 내몰렸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대에 티크, 커피, 고무의 플랜테이션을 위해 숲이 세분화되었다.[30] 사슴을 비롯한 자바호랑이의 먹이가 되는 동물이 감소한 것도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30] 1965년경에는 반정부 조직이 자금원을 마련하기 위해 자바호랑이를 사냥했다.[30]

1971년에는 늙은 암컷 자바호랑이가 남동부 베틸리산 부근의 플랜테이션 근처에서 사진에 찍혔고, 1972년에는 그 지역에 자연 보호 구역이 설정되었다.[33] 1976년 자바섬 동부의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마지막으로 목격 정보가 있었다.[30][34][35] 1980년에는 Seidensticker와 Suyono가 야생 생물 보호 구역 확장을 주장했고, 1982년에 인도네시아 자연 보호 당국은 이 제안을 실행에 옮겼다.[34] 1984년, 자바섬 서부의 할리문 보호구역에서 한 마리의 호랑이가 사살되었다.[36] 1987년에는 보고르 농과대학 조사대가 메루 베티리에 파견되었지만, 호랑이 자체는 발견하지 못했다.[36] WWF 인도네시아의 지원을 받아, 1992년 가을에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 카메라 트랩이 설치되었지만,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자바호랑이의 모습은 포착되지 않았고, 이 조사 이후 자바호랑이의 멸종이 선언되었다.[37][38]

5. 2. 멸종 과정

1830년대에 자바호랑이 사냥에 대한 현상금이 지급되었다.[8] 1850년경 농촌 지역 사람들은 자바호랑이를 해충으로 여겼다.[8] 20세기 초, 자바섬의 인구는 2,800만 명이었고 쌀 생산량이 증가하는 인구를 충분히 공급하기에 부족했기에 15년 이내에 쌀 재배를 위해 150%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다.[8] 1938년에는 자연림이 섬의 23%를 덮고 있었지만, 1975년에는 8%만 남았고 인구는 8,500만 명으로 증가했다.[8]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환경에서 자바호랑이의 멸종은 여러 상황과 사건으로 심화되었다:[10]

  •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는 동안 호랑이와 먹이는 여러 장소에서 독살되었다.[10]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크 (''Tectona grandis''), 커피, 고무나무 (''Hevea brasiliensis'') 농장을 위해 자연림이 파편화되었고, 이는 야생 동물에게 부적합한 서식지였다.[10]
  • 자바사슴은 1960년대에 여러 보호 구역과 숲에서 질병으로 인해 사라졌다.[10]
  • 9.30 사건 이후 1965–66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 기간 동안 무장 단체들이 보호 구역으로 후퇴하여 남은 호랑이를 죽였다.[10]


1900년경 동자바 케디리에서 Rampokan 동안 7마리의 자바 표범과 함께 죽은 호랑이


1960년, 우중 쿨론 국립공원의 호랑이 개체수는 10~12마리로 추정되었다.[12] 1960년대 중반까지 호랑이는 레우엥 상상 자연 보호구역, 우중 쿨론, 발루란 국립공원에서 생존했다.[13] 1971년, 자바 섬 남동부의 베티리 산 근처 농장에서 늙은 암컷이 총에 맞아 죽었다.[13] 1972년, 이 지역은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승격되었고, 4개의 서식지 관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3] 1976년, 보호구역 동부에서 3~5마리의 호랑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발자국이 발견되었다.[13]

1979년 이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호랑이가 목격된 것은 더 이상 확인되지 않았다.[10] 1980년, 야생 동물 보호 구역을 확장하고 취약한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파괴적인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권고되었다.[10] 1982년, 보호 구역을 국립 공원으로 지정했지만, 이 지역의 몇 안 되는 남은 호랑이를 구하기에는 너무 늦었다.[10] 1987년, 보고르 농업 대학교 학생 30명이 메루 베티리에 탐험대를 파견하여 호랑이 배설물과 발자국을 발견했다.[14]

자와섬 서쪽에는 할리문 살락 산 국립공원에 통합된 할리문 보호구역이 있다. 1984년에 호랑이 한 마리가 그곳에서 죽었고, 1989년에 발견된 발자국 크기는 호랑이의 것이었다.[14] 1990년에 실시된 탐험에서는 호랑이의 존재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얻지 못했다.[14] 1992년 가을, WWF 인도네시아의 지원을 받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 카메라 트랩을 배치하여 후속 조사가 계획되었다.[15]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카메라를 배치했지만 호랑이 사진을 얻지 못했고, 발자국도 발견되지 않았다.[15] 이 조사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된 후, 자바호랑이는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16]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 호랑이가 존재할 가능성에 대한 소문으로 인해, 1999년 가을에 ''수마트라 호랑이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카메라 트랩 설치 및 관찰 결과 기록 훈련을 받았다.[17] 적외선 카메라를 제공받아 1년간 노력했지만, 호랑이 사진을 찍지 못했다.[18]

2008년, 자바호랑이는 멸종된 것으로 평가되었다.[19] 멸종 요인은 사냥과 서식지인 삼림과 먹이 자원의 감소로 생각된다.[30] 20세기 후반 1975년 자바섬의 인구는 8,5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주식인 쌀이 부족했다.[8] 논농사 확대를 위해 삼림이 벌채되었고, 1938년 섬 표면적의 23%였던 자연림은 1975년 8%로 감소했다.[8] 1940년대 자바호랑이는 삼림이나 산지로 내몰렸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티크, 커피, 고무 플랜테이션을 위해 세분화되었고, 자바사슴을 비롯한 먹이가 되는 동물이 감소했다.[10] 1965년경 반정부 조직이 자금원을 마련하기 위해 자바호랑이를 사냥했다.[34]

1960년대 중반까지 우중 크론, 루엔 상찬, 발란 3개 보호 구역에서 자바호랑이는 생존했다.[13] 1971년 늙은 암컷 자바호랑이가 남동부 베틸리산 부근 플랜테이션 근처에서 사진에 찍혀 1972년 자연 보호 구역이 설정되었다.[33]

목격 정보는 1976년 자바섬 동부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서의 것이 마지막이다.[30][34][35] 1980년 Seidensticker와 Suyono가 야생 생물 보호 구역 확장을 주장했고, 1982년 제안을 실행에 옮겼지만, 자바호랑이를 보호하기에는 너무 늦었다.[34]

1984년 자바섬 서부 할리문 보호구역에서 한 마리 호랑이가 사살되었다.[36] 1987년 보고르 농과대학 조사대가 메루 베티리에 파견되어 흔적을 발견했지만, 호랑이 자체는 발견하지 못했다.[36]

WWF 인도네시아 지원으로 1992년 가을 메루 베티리 국립공원에 카메라 트랩이 설치되었지만, 1993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조사에도 불구하고, 자바호랑이는 포착되지 않았고, 조사 보고서 공표 후 멸종이 선언되었다.[37][38]

5. 3. 목격담

자와호랑이가 자바섬에 여전히 존재한다고 믿는 사람들에 의해 비공식적인 목격담이 가끔씩 보고되고 있다.[20]

2008년 11월, 중부 자바의 메르바부 산 국립공원에서 여성 등산객의 시신이 발견되었는데, 호랑이의 공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시신을 발견한 마을 사람들은 그 부근에서 호랑이를 목격했다고 주장했다.[21] 2009년 1월에는 라우 산 인근 마을에서 어미 호랑이와 새끼 두 마리가 돌아다니는 것을 보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당국은 현장에서 발자국을 발견했지만 동물들은 이미 사라진 상태였다.[22]

메라피 산이 2010년 10월 폭발한 후, 인도네시아 마을 주민 두 명이 화산재에서 고양이과 동물의 발자국을 목격했다고 주장하여 호랑이 또는 표범이 먹이를 찾아 농장을 돌아다닌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국립 공원 관계자들은 그 발자국이 호랑이의 것일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23]

2016년, 아르주노-웰리랑 산에서 자바 호랑이가 사진으로 찍혔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는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실제로는 타만 사파리 프리겐에서 찍힌 벵골 호랑이 사진이었다.[24][25] 2017년 8월, 우중쿨론 국립공원에서 야생 동물 관리인이 촬영한 동물은 자바 표범으로 확인되었다.[26]

2019년에는 수카부미 군 남부 치펜데위 마을 근처에서 자바 호랑이가 목격되었다는 보고가 있었고, 2024년 연구에서 목격 장소 근처 울타리에서 발견된 털이 유전자 분석 결과 자바 호랑이의 동물 표본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야생 자바 호랑이 생존 가능성을 뒷받침했다.[27] 그러나 같은 해 발표된 사전 인쇄물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28]

1892년 예술가 O. Fienzel의 그림

6. 문화적 의미

1890년, 네덜란드 작가 얀 게르하르트 텐 보켈은 호랑이에 대한 두려움이 사람들에게 미신적인 언어를 사용하게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자와인은 호랑이에 대해 말할 때 결코 '선생'이라는 호칭 없이 말하지 않을 것입니다. 항상 '미스터 호랑이'라고 부르죠. 그 짐승이 한 번이라도 그 말을 듣고, 친근한 방식으로 '호랑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복수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29]

참조

[1] 서적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tenent, suscepto, annis 1825 - 1830 collegit, notis, observationibus et adumbrationibus illustravit Ph. Fr. de Siebold. Mammalia Arnz et Socius
[2] 논문 Tigers https://www.biodiver[...]
[3]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Volume 1 T. Taylor and Francis, Ltd.
[4] 논문 "Panthera tigris" http://www.science.s[...]
[5]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www.catsg.org[...]
[6] 논문 Genetic ancestry of the extinct Javan and Bali tigers
[7] 논문 A taxonomic revision of the tigers ("Panthera tigris") http://www.dl.edi-in[...]
[8] 서적 Cats of the world: biolog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9] 서적 The British cyclopæedia of natural history Orr & Smith
[10] 서적 Tigers of the world: the biology, biopolitic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species https://books.google[...] Noyes Publications
[11] 간행물 On the Tiger in Indone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status and conservation. Report no. 164 Department of Nature Conservation and Nature Management
[12] 서적 Udjung Kulon: The Land of the Last Javan Rhinoceros E. J. Brill
[13] 서적 The Javan Tiger and the Meri-Betiri Reserve, a plan for management Gland: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4] 논문 Untersuchung über die Carnivoren des Gunung Halimun Naturschutzgebietes
[15] 간행물 Camera trapping survey of Javan tiger and other wild animals in Meru Betiri National Park. Project ID 0084-02 WWF Indonesia Programme 1994
[16] 간행물 Wanted alive! Tigers in the wild: 1994 WWF species status report WWF
[17] 간행물 Sumatran Tiger Project Report No. 17 & 18: July − December 1999. Grant number 1998-0093-059 http://www.nfwf.org/[...] Indonesian Sumatran Tiger Steering Committee 2010-05-18
[18] 간행물 What's Our Zoo Got to Do With It? http://www.tigers.ca[...] 2011-12-31
[19] 간행물 "Panthera tigris" ssp. "sondaica" 2008
[20] 뉴스 In search of 'extinct' Javan tiger http://www.thejakart[...] Jakarta Post 2010-04-22
[21] 뉴스 Pendaki Wanita Tewas di Gunung Merbabu, Diduga Diterkam Harimau http://www.detiknews[...] DetikNews 2008
[22] 뉴스 Harimau Teror Warga Ringin Agung http://www.jawapos.c[...] Jawa Post 2009-02-13
[23] 뉴스 Tiger rumors swirl below Indon volcano http://news.smh.com.[...]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0
[24] 웹사이트 Sight of Javan Tiger in Mount Arjuno Went Viral https://www.profauna[...]
[25] 웹사이트 Harimau Jawa di Jejaring Sosial Diduga dari Taman Safari https://www.viva.co.[...] 2016
[26] 뉴스 Tiger Species Thought Extinct Is Possibly Spotted in Indonesia https://www.nytimes.[...] NY Times 2017-09-15
[27] 논문 Is the Javan tiger "Panthera tigris sondaica" extant? DNA analysis of a recent hair sample 2024
[28] 논문 No Reliable Evidence Supports the Presence of Javan Tigers - Data Issues Related to the DNA Analysis of a Recent Hair Sample
[29] 서적 Dominee, pastoor of rabbi? Populaire kritiek. http://www.geheugenv[...] De Dageraad 2016-06-20
[30] 웹사이트 "Panthera tigris" ssp. "sondaica" http://www.iucnredli[...] 2008
[31] 논문 "Panthera tigris" http://www.science.s[...]
[32] 기타 "Large Carnivores and the Consequences of Habitat Insulariza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igers in Indonesia and Bangladesh."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Washington DC.
[33] 기타 "The Javan Tiger and the Meri-Betiri Reserve, a plan for management"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Gland.
[34] 기타 "Bearing Witness: Observations on the Extinction of Panthera tigris balica and Panthera tigris sondaica" https://books.google[...] Noyes Publications, New Jersey.
[35] 기타 "On the Tiger in Indone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status and conservation)." Department of Nature Conservation and Nature Manage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36] 논문 Untersuchung über die Carnivoren des Gunung Halimun Naturschutzgebietes 1991
[37] 간행물 Camera trapping survey of Javan tiger and other wild animals in Meru Betiri National Park WWF-IP Project ID 0084-02 1994
[38] 서적 Wanted alive! Tigers in the wild: 1994 WWF species status report WWF Gland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