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로, 근육질 몸, 검은 줄무늬, 강한 힘을 특징으로 한다.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tigris'에서 유래되었으며, 용맹함과 강인함을 상징하여 다양한 문화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호랑이는 9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대륙호랑이와 순다호랑이 2종으로 재분류되는 추세이며, 이 중 3종은 멸종되었다. 벵골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등이 남아 있으며, 서식지 파괴, 밀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호랑이는 주로 멧돼지, 사슴 등 대형 포유류를 사냥하며, 단독 생활을 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호랑이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가지며, 신화,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한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 밀렵, 인간과의 갈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범속 - 흑표범
흑표범은 멜라니즘으로 검은 털을 갖게 된 표범을 지칭하며, 열성 유전자에 의해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어 발생하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습윤 활엽수림에서 주로 발견된다. - 표범속 - 재규어
재규어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가장 큰 고양이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고양이과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NT)으로 분류된다. - 도시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레위니옹섬꾸밈낮도마뱀붙이
레위니옹섬에 서식하는 몸길이 12~14cm의 작은 도마뱀붙이인 레위니옹섬꾸밈낮도마뱀붙이는 다양한 색상의 줄무늬와 반점을 가지며 빨판 발가락으로 표면에 붙어 다니는 잡식성 동물이나,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도시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골리앗개구리
골리앗개구리는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개구리 종으로, 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협에 놓여 애완동물로 거래되기도 한다. - 싱가포르의 상징 - 싱가포르의 국장
싱가포르의 국장은 1959년 자치 정부 수립과 함께 제정되어 붉은 방패 안의 초승달과 별, 사자와 호랑이 지지자로 구성되었으며, 국가 모토 'Majulah Singapura'를 담고 정부 기관에서만 사용이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 싱가포르의 상징 - 싱가포르의 국기
싱가포르의 국기는 붉은색과 흰색 바탕에 초승달과 다섯 개의 별이 그려진 싱가포르의 국가적 상징으로, 1959년 12월 3일에 제정되어 국가 상징법에 따라 사용 및 관리가 규정된다.
호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Panthera tigri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명 | Tiger |
한국어 이름 | 호랑이 |
과 | 고양이과 |
속 | 표범속 |
목 | 식육목 |
아목 | 고양이아목 |
아과 | 표범아과 |
생존 시기 | 초기 플라이스토세 ~ 현재 |
멸종 위기 등급 | EN |
CITES | 부속서 I |
아종 | |
현존 아종 | P. t. tigris P. t. sondaica |
멸종된 아종 | P. t. acutidens P. t. soloensis P. t. trinilensis |
과거 학명 | |
과거 학명 | Felis tigris Tigris striatus Tigris regalis |
기타 | |
![]() | |
![]() |
2. 어원
고대 영어 ''tigras''는 고대 프랑스어 tigre|fro에서 유래하며, 이는 라틴어 tigris|la에서 온 것으로, τίγρις|tigrisgrc에서 차용된 것이다.[3]
1758년 카를 폰 린네는 호랑이를 Felis tigris로 명명했으나, 1929년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에 의해 ''Panthera tigris''로 재분류되었다.[7][8]
고대부터 τίγρις|tigrisgrc라는 단어는 아르메니아어 또는 페르시아어의 '화살'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었는데, 이는 티그리스 강의 이름의 기원이기도 할 수 있다.[4][5]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두 이름이 동음이의어로 여겨지며, 호랑이와 강 사이의 연관성은 의심스럽게 여겨진다.[5]
3. 분류
전통적으로 9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라 2개의 아종으로 재분류하는 추세이다. 2017년 IUCN 고양잇과 전문가 그룹은 2아종 분류를 인정했다.[194]
2015년 두개골 비교 및 분자계통분석 결과, 아종 간 두개골 측정값이 중복되고, 상염색체와 X염색체, Y염색체에 차이가 없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분자계통분석에서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뉘지만 그 외의 차이는 작다는 점 등을 근거로, 호랑이를 유라시아 대륙산과 순다열도산의 2아종으로만 하는 설이 제안되었다.[196]
3. 1. 아종 목록 (전통적 분류)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벵골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중국남부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자바호랑이, 발리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를 포함한 9가지 호랑이 아종이 제안되었다.[9][11] 1999년에는 털 길이, 색깔, 줄무늬 패턴, 몸집을 기준으로 구분된 여러 호랑이 아종의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0]
2017년 IUCN 고양잇과 전문가 그룹은 ''P. t. tigris''와 ''P. t. sondaica''만 인정했다.[12] 2018년 전장유전체 시퀀싱 연구 결과는 6가지 추정 아종(벵골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중국남부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이 별개의 독립적인 클레이드임을 밝혔다.[13]
다음 표는 2005년 기준 호랑이 분류[9]와 2017년 고양이 분류 태스크포스가 인정한 분류를 반영한다.[12]
개체군 | 설명 | 이미지 |
---|---|---|
벵골호랑이 [6] | 인도 아대륙 서식.[17] 털이 짧고,[8] 연한 황갈색에서 주황빛 붉은색.[8][18] | ![]() |
† 카스피호랑이 [19] | 터키에서 카스피해 주변까지 분포.[17] 밝은 적갈색 털, 가늘고 촘촘한 갈색 줄무늬. 1970년대 이후 멸종.[30] | ![]() |
시베리아호랑이 [21] |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북한 서식.[17] 긴 털과 빽빽한 털.[21] | ![]() |
중국남부호랑이 [23] | 중국 중남부 서식.[17] 1970년대 이후 야생 멸종.[1] | |
인도차이나호랑이 [24] | 인도차이나 반도 서식.[17] | ![]() |
말레이호랑이 [26] | 말레이시아 북부와 태국 남부 사이 명확한 지리적 장벽 없음.[1] | ![]() |
개체군 | 설명 | 이미지 |
---|---|---|
†자바호랑이 [21] | 1980년대 멸종 추정.[30] | ![]() |
†발리호랑이 [27] | 1940년대 멸종.[30] | ![]() |
수마트라호랑이 [31] | 수마트라산 표준 표본은 어두운 털.[31] | ![]() |
3. 1. 1. 대륙 호랑이 (''Panthera tigris tigris'')
벵골호랑이는 호랑이의 아종으로, 네팔, 인도, 방글라데시의 순다르반스 등에 분포한다. 갈색에 검은 줄무늬 털을 가지고 있지만, 돌연변이인 백호는 흰색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벵골호랑이 수컷은 전체 길이 2.4~3.6m, 체중은 140~320kg이며, 현재 수컷 벵골호랑이의 평균 체중은 230kg이다. 털은 짧고 등자색을 띤다.[6]호랑이 아종 중 시베리아호랑이 다음으로 크며,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전체 호랑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인도 전역, 네팔, 방글라데시, 태국까지 분포했으나, 현재는 밀렵으로 인해 인도의 밀림, 칸하국립공원, 순다르반스국립공원 등 10개 이하의 보호구역, 방글라데시, 네팔에만 서식하고 있다.
아프리카사자보다 체구가 크고 평균 무게도 230kg으로 조금 더 무겁다. 임신 기간은 105일이며 12~2월이 발정기이다. 한 번에 1~5마리의 새끼를 낳고, 1년 6개월이 지나면 독립한다. 수컷은 산이나 하천을 돌아다니거나 16시간 동안 낮잠을 자지만, 암컷은 새끼를 돌본다. 평생 단독 생활을 하지만 어미와 새끼, 발정기의 암수는 무리를 짓기도 하며, 번식기가 끝나면 혼자 생활한다.
액시스사슴, 바라싱가사슴, 삼바사슴, 원숭이, 멧돼지, 영양 등을 주로 먹지만, 순다르반스 지역의 호랑이는 사람을 자주 잡아먹기도 한다. 벵골호랑이는 백호를 가장 자주 낳는 호랑이이다.
말레이호랑이(''Panthera tigris jacksoni'')는 2004년까지는 별개의 아종으로 여겨지지 않았던 호랑이의 아종으로, 몸집이 작은 편이다. 높은 산의 깊은 숲속에 살며, 5개의 발가락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다. 24개월이면 어미를 떠나 독립한다. 말레이시아 국장에 들어가 있으며, 이 나라의 상징이다. 남부 말레이 반도와 인도차이나에만 서식한다.
인도차이나호랑이(Panthera tigris corbetti)는 과거에 말레이호랑이와 같은 아종이었으나, 2004년에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수컷은 100~190kg, 암컷은 100~130kg이다.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중국에 걸쳐 분포하며, 주로 중국 대륙 남부에 서식한다. 사슴이나 들소, 물소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보통 1~3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한 번에 6마리까지 낳기도 한다.
수마트라호랑이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만 서식하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전체 길이 2.4m, 몸무게 75kg∼140kg이며, 몸은 노란색을 띤 적자색, 무늬는 검은색이다. 현재 약 650마리가 살고 있으며, 400~500마리가 보호 지역 및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다. 멧돼지, 사슴, 산양, 물고기, 원숭이 등을 주로 잡아먹는다.
남중국호랑이 또는 아모이호랑이는 중국 양쯔 강 이남에 분포하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전체 길이 2.6m 정도이고 붉은색이 강하며, 넓은 무늬가 있다. 국제 자연 보호 연맹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자생절멸일 가능성도 높다[226]. 주로 멧돼지나 사슴, 원숭이나 너구리 등 중형 포유동물이나 새들을 잡아먹고 살며 강의 습지대나 대나무숲에 서식한다고 한다.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 살았던 호랑이의 아종이다. 수마트라호랑이보다 훨씬 작았으며, 전체 길이는 2m 정도이다. 무차별적인 사냥으로 1937년 이후 생존이 확인되지 않고 멸종되었다. 주로 사슴이나 멧돼지 등 작은 발굽동물을 잡아먹었다.
자와호랑이는 인도네시아 자와 섬에 살았던 호랑이의 아종이다. 전체 길이 2.3m 정도이며 털 색깔은 수마트라호랑이와 비슷하지만, 뺨과 귀 안쪽 털이 두드러지게 길다. 1980년대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체군 | 설명 | 이미지 |
---|---|---|
벵골호랑이 [6] | 인도 아대륙에 서식한다.[17] 털이 짧고,[8] 연한 황갈색에서 주황빛 붉은색을 띤다.[8][18] 비교적 길고 좁은 콧구멍을 가지고 있다.[22] | |
† 카스피호랑이 [19] | 터키에서 카스피해 주변까지 분포했다.[17] 밝은 적갈색 털에 가늘고 촘촘하게 배열된 갈색 줄무늬가 있었고, 넓은 후두골을 가지고 있었다.[10] 1970년대 이후 멸종되었다.[30] | |
시베리아호랑이 [21] |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북한에 서식한다.[17] 긴 털과 빽빽한 털을 가지고 있다.[21] 바탕색은 겨울에는 황토색에 가깝고 털갈이 후에는 붉은색을 띠는 등 다양하다. | |
중국남부호랑이 [23] | 역사적으로 중국 중남부에 서식했다.[17] 털은 황색이고 마름모꼴 무늬가 있다.[23] 1970년대 이후 확인된 목격 사례가 없어 야생 멸종되었고,[1] 사육 상태에서만 생존한다.[15] | |
인도차이나호랑이 [24] | 인도차이나 반도에 서식한다.[17] 벵골호랑이보다 두개골이 작고 다소 가는 줄무늬가 있는 어두운 털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24][25] | |
말레이호랑이 [26] | 말레이시아 북부와 태국 남부의 호랑이 개체군 사이에는 명확한 지리적 장벽이 없다.[1] |
개체군 | 설명 | 이미지 |
---|---|---|
†자바호랑이 [21] | 자바산 호랑이는 아시아 본토의 호랑이에 비해 작았고, 수마트라호랑이에 비해 비교적 길쭉한 두개골과 더 길고 가늘고 많은 줄무늬를 가지고 있었다.[25] 198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30] | |
†발리호랑이 [27] | 발리에 서식했고 자바호랑이보다 털이 더 밝고 두개골이 더 작았다.[27][28] 1940년대에 멸종되었다.[30] | |
수마트라호랑이 [31] | 수마트라산 표준 표본은 어두운 털을 가지고 있었다.[31] 얼굴 주변에 특히 긴 털,[17] 두꺼운 몸통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25] |
3. 1. 2. 순다 호랑이 (''Panthera tigris sondaica'')
Panthera tigris sondaicala는 인도네시아 순다 열도에 서식했거나 서식하고 있는 호랑이의 아종이다. 2017년 IUCN 고양잇과 전문가 그룹은 순다열도의 호랑이 개체군을 ''P. t. sondaica''로 통합하여 분류했다.[12]개체군 | 설명 | 이미지 |
---|---|---|
†자바호랑이 [21] | 자바호랑이는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졌으며, 여러 장의 가죽을 바탕으로 설명되었다.[21] 아시아 본토의 호랑이에 비해 작았고, 수마트라호랑이에 비해 비교적 길쭉한 두개골과 더 길고 가늘며 많은 줄무늬를 가지고 있었다.[25] 198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30] | |
†발리호랑이 [27] | 발리호랑이는 발리에 서식했고 자바호랑이보다 털이 더 밝고 두개골이 더 작았다.[27][28] 발리호랑이 두개골의 특징은 자바호랑이 두개골과 유사한 좁은 후두골이다.[29] 1940년대에 멸종되었다.[30] | |
수마트라호랑이 [31] | 수마트라호랑이는 수마트라섬의 표준 표본에서 어두운 털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31] 얼굴 주변에 특히 긴 털,[17] 두꺼운 몸통 줄무늬, 다른 섬 호랑이보다 더 넓고 작은 비골을 가지고 있다.[25] |
2015년 연구에서는 두개골 비교 및 분자계통분석 결과, 아종 간 두개골 측정값이 중복되고, 상염색체와 X염색체, Y염색체에 차이가 없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분자계통분석에서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뉘지만 그 외의 차이는 작다는 점 등을 근거로 호랑이를 유라시아 대륙산과 순다열도산의 2아종으로 분류하는 설이 제안되었다.[196] 이에 따르면, ''P. t. sondaica''는 소형 아종으로, 체색은 어둡고 가로줄무늬가 많으며, 수마트라호랑이, 발리호랑이, 자바호랑이를 포함한다.[194]
3. 2. 계통 분류
호랑이는 사자, 표범, 재규어, 눈표범과 함께 ''표범속''에 속하며, 유전자 분석 결과 눈표범과 자매종이다.[228] 호랑이와 눈표범의 계통은 270만 년에서 370만 년 전에 분기되었다.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228]
과 | 아과 | 속 | 종 |
---|---|---|---|
고양이과 | 표범아과 | 구름표범속 | 보르네오구름표범, 구름표범 |
표범속 | 눈표범, 호랑이, 재규어, 표범, 사자 | ||
고양이아과 | 마블고양이속 | 마블고양이 | |
황금고양이속 | 보르네오황금고양이, 아시아황금고양이 | ||
서벌속 | 서벌 | ||
카라칼속 | 카라칼, 아프리카황금고양이 | ||
호랑고양이속 | 오셀롯, 마게이 | ||
콜로콜로, 안데스산고양이 | |||
호랑고양이 | |||
코드코드, 조프루아고양이 | |||
스라소니속 | 붉은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스라소니, 이베리아스라소니 | ||
치타속 | 치타 | ||
퓨마속 | 퓨마 | ||
재규어런디속 | 재규어런디 | ||
마눌속 | 마눌 | ||
삵속 | 붉은점박이삵, 납작머리삵, 고기잡이삵, 삵 | ||
고양이속 | 정글고양이, 검은발고양이, 모래고양이, 들고양이(집고양이 포함) |
2015년 두개골 비교 및 분자계통분석 결과, 호랑이는 유라시아 대륙산과 순다열도산의 2아종으로 제안되었다.[196]
아종 | 분포 | 특징 | 동의어 |
---|---|---|---|
Panthera tigris tigris (Linnaeus, 1758) | 유라시아 대륙 (인도, 중국, 네팔, 파키스탄, 부탄, 러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말레이 반도) | 대형 아종. 체색은 밝고, 가로줄무늬가 적다. | 아모이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아무르호랑이 |
Panthera tigris sondaica Temminck, 1844 | 수마트라섬. 자바섬, 발리섬에서는 멸종. | 소형 아종. 체색은 어둡고, 가로줄무늬가 많다. | 수마트라호랑이, 발리호랑이 |
4. 형태
몸길이 2.2~4.2m, 꼬리길이 80~110cm, 어깨높이 90~130cm, 몸무게 90~360kg이다. 사육된 아무르호랑이 중에는 체중이 454kg에 달하는 개체도 있었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다. 몸의 바탕색은 담황갈색에서 적황갈색이며, 검은색 또는 어두운 갈색의 옆줄무늬가 있다. 배는 흰색이며, 이는 야생에서 먹잇감을 은밀하게 사냥하기 위한 위장색 역할을 한다.[223]
3월, 9월 등 1년에 두 번 털갈이를 한다. 사자에 비해 어깨가 높고 몸통이 길며, 코와 입 끝의 너비가 좁고 귀가 좁다. 등면은 검으며, 중앙에 크고 흰 반점이 있다. 갈기가 없는 대신 성장하면서 옆쪽에 긴 털이 나기 시작하는데, 성장한 수컷은 특히 길다. 수컷은 갈기나 하복부의 긴 털이 거의 없다.
앞다리는 아주 단단한 근육질이며, 먹이를 잡아 끌어당길 정도로 힘이 세다. 앞발로는 최대 227kg의 공격을 가할 수 있다.[223]
유전적인 결함으로 몸 빛깔을 띠는 색소가 없어 흰빛을 띠는 백호가 존재하며,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상상의 동물로 여겨졌다.
벵골 호랑이는 털 색깔에 따라 거의 줄무늬가 없는 눈처럼 흰색, 흰색, 황금색의 세 가지 변이체가 있다. 이들은 야생 호랑이 개체 수 감소로 인해 현재 야생에서는 거의 멸종되었지만, 사육 개체군에서는 계속 존재한다. 흰 호랑이는 흰색 바탕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황금 호랑이는 연한 황금색에 적갈색 줄무늬가 있다. 눈처럼 흰 호랑이는 매우 희미한 줄무늬와 연한 갈색 테두리가 있는 꼬리를 가진 형태다. 흰색과 황금색 형태는 각각 흰색 유전자좌와 넓은띠 유전자좌를 가진 상염색체 열성 형질의 결과이다. 눈처럼 흰 변이는 흰색과 넓은띠 유전자좌 모두를 가진 다유전자에 의해 발생한다.[53] 흰 호랑이의 번식은 보존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야생 호랑이의 0.001%만이 이 색깔 형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사육 환경에서 흰 호랑이의 과다 대표는 근친 교배의 결과이다. 따라서 이들의 지속적인 번식은 사육 호랑이의 근친 교배 쇠퇴와 유전적 변이성 손실 위험을 초래할 것이다.[54]
두껍고 합쳐진 줄무늬를 가진 가짜 흑색증 호랑이는 심리팔 국립공원과 세 곳의 인도 동물원에서 기록되었다. 인도 호랑이 표본의 집단 유전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표현형은 막 아미노펩티다아제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심리팔 호랑이 개체군의 약 37%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전적 격리와 관련이 있다.[55]
머리-몸통 길이(두부-체장)는 수컷이 189~229cm[187], 암컷이 146~177cm[187]이다. 꼬리 길이는 60~110cm[192]이며, 몸무게는 수컷이 90~306kg, 암컷이 65~167kg[192]이다. 암컷보다 수컷이 더 크다.[189] 북부의 개체군이 크며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187] 인도나 러시아 극동 지역의 개체군은 크고, 수마트라섬의 개체군이 가장 작다.[187] 배 부분의 피부는 느슨하여 주름져 있다.[189] 등은 노란색이나 황갈색이며 검은 가로줄무늬가 있다.[189] 줄무늬는 덤불 등에서는 주변 환경과 어울려 윤곽을 불분명하게 만들어 먹이에게 발각되지 않고 접근하거나 매복하는 데 적합하다.[191] 배와 사지 안쪽은 흰색이다.[189] 흑화 개체는 발견된 적이 없지만 인도에서는 백변종(흰 호랑이)이 발견된 적이 있다.[189] 야생에서는 1951년 수컷 새끼가 발견된 이후 2016년 시점까지 백변종이 발견된 적이 없으며, 사육 환경에서 보이는 백변종은 이 개체에서 유래한다.[187] 줄무늬가 두껍고 연결되어 검게 보이는 개체도 있으며, 사육 환경에서는 일반 개체와 백변종의 중간 형태(골든 태비나 스트로베리)도 볼 수 있다.[187]
코는 굵고 짧으며, 턱힘이 강하다.[191] 앞다리 근육이 발달했고,[192]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길다.[191] 이로써 앞다리는 긴 발톱을 포함하여 먹이를 붙잡는 데, 뒷다리는 도약에 적합하다.[191]
출산 직후 새끼의 몸길이는 31.5~40cm, 꼬리 길이는 13~16cm[188]이다. 몸무게는 780~1,600g[188][192]이며, 줄무늬는 있지만 성체보다 몸 색깔이 밝다.[188]
5. 생태
호랑이는 역사적으로 터키 동부, 이란 북부, 아프가니스탄에서 중앙아시아와 파키스탄 북부를 거쳐 인도아대륙과 인도차이나, 시베리아 남동부, 수마트라, 자바, 발리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서식했다.[47] 2022년 현재, 역사적 서식 범위의 7% 미만에 서식하며 인도아대륙, 인도차이나 반도, 수마트라,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1]
호랑이는 높은 적응력을 가지고 주로 산림 서식지에 산다.[57] 중앙아시아에서는 투가이 하천 삼림과 카프카스의 구릉 및 저지대 산림, 러시아와 중국의 아무르-우스리 지역에서는 잣나무와 온대 활엽수림 및 혼합림에 서식한다. 하천변 삼림은 호랑이와 유제류 모두에게 먹이와 물을 제공하는 분산 통로 역할을 한다.[58] 인도아대륙에서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온대 활엽수림 및 혼합림, 열대 습윤 상록수림, 열대 건조림, 범람원, 순다르반의 맹그로브 숲 등에 서식한다.[59]
5. 1. 서식지
삼림, 갈대밭, 바위가 많은 곳, 물가의 우거진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며, 넓은 영역을 가진다. 오줌과 항문 근처 샘에서 나오는 액체, 발톱 자국 등으로 영역을 표시한다.[47] 인도에서는 호랑이가 자신의 영역을 강하게 지켜, 형제자매나 어미까지 쫓아내는 경우도 있다.호랑이는 높은 적응력을 가지고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57] 인도아대륙에서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온대 활엽수림 및 혼합림, 열대 습윤 상록수림, 열대 건조림, 범람원, 그리고 순다르반의 맹그로브 숲에 서식한다.[59] 러시아와 중국의 아무르-우스리 지역에서는 잣나무와 온대 활엽수림 및 혼합림에 서식하며, 하천변 삼림은 호랑이와 유제류 모두에게 먹이와 물을 제공하는 분산 통로 역할을 한다.[58] 동히말라야에서는 부탄의 4200m, 미시미 구릉의 3630m, 티베트 남동부 메독 현의 3139m 고도까지 온대림에서 서식하는 것이 기록되었다.[60][61][62] 태국에서는 낙엽수림과 상록수림에,[63] 수마트라에서는 저지대 이탄 습지림과 험준한 산악림에 서식한다.[64]
2020년 기준으로 인도는 300508km2의 면적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호랑이 서식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러시아가 195819km2로 뒤따랐다.[56]
다음은 여러 지역에서의 호랑이 밀도(100km²당)를 나타내는 표이다.
5. 2. 사냥과 식성
호랑이는 주로 멧돼지, 사슴류, 산양, 영양, 고라니 등 대형 포유류를 사냥한다.[225] 꿩, 들꿩, 비둘기, 메추라기 등 조류나 물고기, 두더지 등도 먹는다. 먹이가 부족하면 가축이나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호랑이는 주로 잠복하거나 소리 없이 다가가 기습하는 방식으로 사냥한다. 짧은 거리는 빨리 뛸 수 있지만, 쉽게 피로해져 단시간에 먹이를 잡지 못하면 포기한다. 죽인 먹이는 물가로 끌고 가 뼈와 내장만 남기고 다 먹을 때까지 머문다. 턱 힘이 강해 뼈까지 부술 수 있다.

헤엄을 잘 쳐 먹이를 찾아 강을 건너거나 섬 사이를 이동한다.[49] 더운 날에는 물속에 들어가 몸을 식히기도 한다.[49]
5. 3. 번식
호랑이의 교미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주로 11월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47] 임신 기간은 105일에서 113일 정도이며, 한 번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47] 갓 태어난 새끼는 눈을 뜨지 못한 상태이며, 생후 약 2주 후에 눈을 뜨고, 4~5주가 지나면 걷기 시작한다.[47]새끼 호랑이는 생후 7개월 정도가 되면 스스로 먹이를 사냥할 수 있게 되지만, 완전히 독립하기 전인 2세 정도까지는 어미 호랑이와 함께 지낸다.[47] 새끼 양육은 주로 암컷이 담당하지만, 수컷이 새끼를 돌보는 경우도 관찰된다.[47] 안타깝게도 어린 새끼 호랑이의 사망률은 높은 편이다.[47]
6. 인간과의 관계
호랑이는 인더스 문명의 파슈파티 인장(Pashupati seal)에 새겨진 동물 중 하나이며, 초라 왕조의 문장이기도 하여, 동전, 도장, 깃발 등에 새겨졌다. 일부 초라 왕조의 동전에는 호랑이, 판디아 왕조의 문장인 물고기, 체라 왕조의 문장인 활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초라족이 후자 두 왕조에 대한 정치적 지배권을 획득했음을 보여준다.[219] 안드라프라데시주 넬로르(Nellore) 지구에서 발견된 금화에도 호랑이, 활, 그리고 몇몇 불분명한 표식이 새겨져 있다.[219]
6. 1. 위협
친근한 만남과 유대감 형성 중에, 호랑이는 서로의 몸에 몸을 비빕니다.[47] 얼굴 표정에는 주름진 얼굴, 드러난 이빨, 뒤로 당겨진 귀, 그리고 확장된 동공을 포함하는 "방어적 위협"이 있습니다.[47] 수컷과 암컷 모두 소변 자국을 맡을 때 특징적인 입술을 말아 올리는 표정인 플레멘 반응을 보입니다.[47] 호랑이는 특히 공격적인 만남이나 어미와 새끼 사이에서 흰색 반점을 보여주기 위해 귀를 움직입니다.[81] 또한 꼬리를 사용하여 기분을 표현합니다. 친근함을 보여주기 위해 꼬리는 위로 치켜들고 천천히 흔들리고, 불안한 호랑이는 꼬리를 내리거나 좌우로 흔듭니다. 평온할 때는 꼬리가 아래로 처져 있습니다.호랑이는 보통 조용하지만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다른 개체에게 자신의 존재를 멀리까지 알리기 위해 포효합니다. 이 소리는 입을 닫을 때 열린 입을 통해 강제로 내뿜어지며 3km 떨어진 곳에서도 들을 수 있습니다. 여러 번 연속으로 포효하고 다른 개체도 마찬가지로 응답합니다. 호랑이는 짝짓기 중에도 포효하고 어미는 새끼를 부르기 위해 포효합니다. 긴장했을 때 호랑이는 신음하며, 이 소리는 포효와 비슷하지만 더 부드럽고 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닫힌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신음 소리는 400m 떨어진 곳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47] 공격적인 만남에는 으르렁거림, 시끄러운 소리, 그리고 쉿 하는 소리가 포함됩니다.[47] 폭발적인 "기침 포효" 또는 "기침 으르렁거림"은 입을 벌리고 이빨을 드러낸 상태에서 발생합니다.[47][81] 더 친근한 상황에서는 호랑이는 작은 고양이의 골골거림과 유사한 부드럽고 저주파의 콧김 소리인 푸르릉거림을 냅니다.[82] 호랑이 어미는 그릉거리는 소리로 새끼와 의사소통하고, 새끼는 야옹거리며 대답합니다. 놀랐을 때는 "멍멍" 소리를 냅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사슴과 같은 "퍽" 소리를 내지만, 대부분 사냥감을 잡았을 때 발생합니다.
6. 2. 보전 노력
국가 | 연도 | 추정치 |
---|---|---|
인도 | 2022 | 3,167–3,682[149] |
러시아 | 2022 | 573–600[145] |
인도네시아 | 2022 | 393[145] |
네팔 | 2022 | 316–355[138] |
태국 | 2022 | 148–189[145] |
말레이시아 | 2022 | 150 미만[145] |
부탄 | 2022 | 131[139] |
방글라데시 | 2022 | 118–122[140] |
중국 | 2022 | 60 이상[145] |
미얀마 | 2022 | 28[145] |
합계 | 5,638–5,899 |
국제적으로 호랑이는 CITES 부속서 I에 따라 보호되며, 살아있는 호랑이와 그 신체 부위의 거래를 금지하고 있다.[1]
- 러시아에서는 1952년부터 호랑이 사냥이 금지되었다.[47]
- 부탄에서는 1969년부터 보호되었으며, 1995년부터 완전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141]
- 인도에서는 1972년부터 야생동물 보호법에 따라 최고 수준의 보호를 받고 있다.[142]
- 네팔과 방글라데시에서는 1973년부터 보호되고 있다.[142][143]
- 말레이시아에서는 1976년부터 야생동물 보호법에 따라 완전 보호되고 있으며,[144] 2010년에 제정된 야생동물 보전법은 야생동물 관련 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했다.[145]
- 인도네시아에서는 1990년부터 보호되고 있다.[146]
- 중국에서는 1993년에 호랑이 신체 부위 거래가 금지되었다.[147]
- 태국에서는 2019년에 야생동물 보존 및 보호법이 제정되어 밀렵과 신체 부위 거래를 단속하고 있다.[148]
1973년, 인도에서는 호랑이 보전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얻기 위해 국립 호랑이 보전 당국과 프로젝트 타이거가 설립되었다.[120] 그 이후로 2022년까지 75796km2 면적의 53개 호랑이 보호구역이 조성되었다.[149] 미얀마의 국가 호랑이 보전 전략(2003년 개발)은 훼손된 서식지 복원, 보호 지역 및 야생동물 이동 통로 확장, 호랑이 먹이 종 보호, 호랑이 사냥 및 불법 거래 방지, 야생동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대중 인식 제고 등의 관리 업무를 포함한다.[150] 부탄의 첫 번째 호랑이 행동 계획(2006-2015년 시행)은 서식지 보전, 인간과 야생동물의 갈등 관리, 교육 및 인식 제고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번째 행동 계획은 2015년 대비 2023년까지 부탄의 호랑이 개체 수를 20%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41] 2009년, 방글라데시 호랑이 행동 계획은 국가의 호랑이 개체 수 안정화, 서식지 및 충분한 먹이 기반 유지, 법 집행 개선, 호랑이 보전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 간의 협력 증진을 위해 시작되었다.[151] 2010년에 비준된 태국 호랑이 행동 계획은 서부 삼림 복합 단지와 동파야옌-카오야이 삼림 복합 단지에서 호랑이 개체 수를 50% 증가시키고 2022년까지 세 개의 잠재적 지역에 개체군을 재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52] 2010년에 비준된 인도네시아 국가 호랑이 회복 프로그램은 2022년까지 수마트라 호랑이 개체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53]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수마트라 호랑이 보전을 위한 세 번째 전략 및 행동 계획은 성체 20마리 미만의 소규모 호랑이 개체군 단위 관리와 북 수마트라 및 서 수마트라 지방의 13개 삼림 지역 간의 연결성 강화를 중심으로 한다.[154]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러시아의 네 개 보호 지역에서 반(反)밀렵 순찰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밀렵이 감소하고, 호랑이 개체 수가 안정되고, 유제류 개체군 보호가 개선되었다.[155] 2019년 밀렵과 밀매는 중범죄로 선포되었다.[145] 2010년 네팔에서도 기관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가 강화된 반밀렵 작전이 설립되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수년간 "밀렵 제로"가 달성되었고, 10년 만에 네팔의 호랑이 개체 수가 두 배로 증가했다.[145] 1200km2 규모의 타만 네가라 핵심 지역에서의 반밀렵 순찰은 2015-2016년 34건의 밀렵 사건에서 2018-2019년 20건으로 밀렵 빈도를 감소시켰다. 7개의 밀렵팀 체포와 올무 제거는 3마리의 성체 암컷 호랑이와 최소 11마리의 새끼 생존에 기여했다.[156] 말레이시아에서는 보호 지역 직원과 함께 군인과 경찰이 순찰에 배치된다.[145]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보호 지역 간의 호랑이 개체군 연결을 용이하게 하므로 중요한 보전 조치이다. 호랑이는 네팔과 인도의 테라이 아크 경관과 시발리크 구릉에 조성된 최소 9개의 이동 통로를 이용한다.[157] 인간의 침입이 적은 산림 지역의 이동 통로가 매우 적합하다.[158][159] 서 수마트라에서는 인간과 야생동물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12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최우선 순위로 선정되었다.[160] 2019년 중국과 러시아는 동북 중국 호랑이 표범 국립공원과 표범의 땅 국립공원이라는 두 보호 지역 간의 국경 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는데, 여기에는 야생동물 이동 통로 조성과 중국-러시아 국경을 따라 양국 간의 모니터링 및 순찰이 포함된다.[161]
구조 및 재활된 문제가 있는 호랑이와 고아가 된 호랑이 새끼들이 인도, 수마트라, 러시아에서 야생으로 방사되어 모니터링되고 있다.[74][162][163] 카자흐스탄에서는 서식지 복원과 먹이 종 재도입이 일레-발카시 자연보호구역에서 진행되었으며, 2025년 호랑이 재도입이 계획되어 있다.[164] 보호 지역 관리가 개선되고 산림 손실이 안정화되면 캄보디아 동부 지역에 호랑이를 재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165] 중국 남부 호랑이는 중국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새끼들을 외딴 보호 지역에 재도입할 계획이다.[15][90] 동물원 간의 조정된 번식 프로그램으로 인해 호랑이의 유전적 다양성이 충분해져 "야생 멸종에 대한 보험" 역할을 한다.[166]
6. 3. 한국 문화 속의 호랑이
한반도에서는 민화 속에도 종종 등장하고 심지어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등장할 정도였으나, 남획으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멸종하지 않고 소수가 남아 있다고도 한다. 조선 개국 이래로, 냇가에 천방을 설치하여 논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야생동물이 많이 서식하던 무너미의 넓은 숲, 초지나 습지는 야생동물의 서식지에서 급속히 농경지로 바뀌었다. 그 결과 호랑이는 먹이와 서식지가 산록지대로 줄어들게 되었고, 일부 호랑이는 사람을 해치게 되었다.17세기에는 늘어난 인구가 산간지대에서 화전을 개발하여 새로운 삶의 터전을 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하삼도를 중심으로 한반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호랑이의 안정적인 서식지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화전개발의 심화, 야생으로 전파된 우역으로 멧돼지와 사슴 등이 거의 절멸에 이르게 되면서 호랑이와 표범의 개체수는 더욱 줄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극단적인 대규모 호환(虎患)이 빈발하기도 했다.
조선은 국초부터 농지개간 과정에서 호환(虎患)이 빈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착호갑사를 설치하는 등 국가가 주도적으로 호환(虎患)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다. 경국대전에는 포호조가 신설되어 호랑이와 표범을 잡은 사람에게 군공에 버금가는 큰 상을 주어 호랑이와 표범 사냥을 장려하였다. 또한 호피공납제를 통해 각 지방에서 포획한 호랑이와 표범의 가죽을 거두어들였다. 백성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시행된 포호정책으로 인해 17세기에 이르면 국가에서 정한 호피와 표피를 거둘 수 없게 되어, 17세기 중엽 대동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실제 가죽 대신에 그 값을 내는 호속목제를 법제화하였지만, 실제 호랑이와 표범을 잡을 수 없는데 그 값을 거두는 것은 명분과 실제가 어긋나는 것이라는 이유로 1724년에 호속목제를 혁파하였다. 이는 18세기 초에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서 호랑이와 표범 사냥이 대단히 어렵다는 현실을 국가에서 공인한 조처였다.
이처럼 호랑이 수가 줄면서, 일시적으로 몽골 등에서 유입된 늑대가 한반도에서 최고 포식동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후 늑대 수가 줄어들면서 삵과 검독수리가 실질적으로 한반도 최상위 포식동물이 되었다.


호랑이는 위험한 맹수로 무서움의 상징이나 인간의 말을 알아듣는 영물, 의리를 아는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 호랑이는 12지 중 세 번째 동물이다.
- 단군 신화나 ‘호랑이와 곶감’과 같이 한국의 옛 이야기 속에 자주 등장하며, 조선 시대 민화와 같은 회화 속에서도 표범, 까치와 함께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 사방신(四方神) 중 서쪽 방위를 담당하고 있는 것은 백호로 불린다.
- 후백제의 군주로 맹장이었던 견훤(甄萱)이 어릴 적 부모가 견훤을 놓아두고 농사일을 하고 있었는데 보니 호랑이가 있어서 깜짝 놀랐는데 알고 보니 호랑이 젖을 먹고 있었다는 설화가 《삼국사기》에도 전한다.[230]
- 대충(大蟲), 병표(炳豹) 등의 다른 이름도 있다.
- 호랑이를 뜻하는 한자 '호'(虎) 자는 동해남부선의 호계역에 사용된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범계역도 '호계동(虎溪洞)'에서 따왔다.
- 서울 올림픽의 마스코트 호돌이와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 왕범이는 호랑이를 도안으로 만들어졌다. 평창 올림픽의 수호랑은 백호를 도안으로 만들어졌다.
- 골프 선수 양용은은 타이거 우즈를 이겨 '''호랑이 사냥꾼'''이라고 불린다.
- 호랑이는 고려대학교의 상징 동물이다.
- 호랑이는 기아 타이거즈를 상징한다.
- 호랑이는 KD운송그룹의 상징이다.[231]
- 호랑이 들어와요는 호랑이 신령을 주제로 한 웹툰이다.
6. 4. 일본 문화 속의 호랑이
일본에는 호랑이가 살지 않지만, 조선과 중국을 통해 호랑이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었다.[219]6. 5. 서양 문화 속의 호랑이
곰돌이 푸의 티거, 알라딘의 쟈스민 공주가 기르는 애완동물, 쿵푸팬더의 타이그리스 등 여러 대중 매체에서 호랑이가 등장한다.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중부에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라는 야구팀이 있으며,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축구팀이 '티그레스'(호랑이의 스페인어식 명칭)를 팀명으로 사용한다.참조
[1]
IUCN
Panthera tigris
2022-08-31
[2]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British Museum
1951
[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2021-02-21
[4]
서적
De lingua latina
W. Heinemann
[5]
학술지
Naming the tiger in the Early Modern world
[6]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us Salvius
[7]
학술지
Tigers
https://archive.org/[...]
[8]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 Taylor and Francis, Ltd.
[9]
MSW3
[10]
서적
Tiger distribution, phenotypic variation and conservation issues
[11]
학술지
2015
[12]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9-08-27
[13]
학술지
Genome-wide evolutionary analysis of natural history and adaptation in the world's tigers
2018
[14]
학술지
Recent evolutionary history of tigers highlights contrasting roles of genetic drift and selection
[15]
학술지
Population genomic analysis provides evidence of the past success and future potential of South China tiger captive conservation
[16]
웹사이트
Tiger
http://www.catsg.org[...]
CatSG
2024-06-14
[17]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
2024-01-25
[18]
보고서
Indian National Studbook of the Bengal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https://cza.nic.in/u[...]
Central Zoo Authority, Wildlife Institute of India
2024-05-27
[19]
학술지
Überblick der Säugethiere nach ihrer Verteilung über die Welttheile
https://bibliothek.b[...]
1815
[20]
학술지
Mitochondrial phylogeography illuminates the origin of the extinct Caspian Tiger and its relationship to the Amur Tiger
2009
[21]
서적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tenent, suscepto, annis 1825–1830 collegit, notis, observationibus et adumbrationibus illustravit Ph. Fr. de Siebold
Lugduni Batavorum
1844
[22]
학술지
Craniometric variation in the tiger (Panthera tigris): Implications for patterns of diversity, taxonomy and conservation
[23]
학술지
Über einige Tigerschädel aus der Straßburger zoologischen Sammlung
https://archive.org/[...]
1905
[24]
학술지
Nouvelle sous-espèce de tigre provenant de l'Asie du sud-est
1968
[25]
학술지
A taxonomic revision of the tigers (Panthera tigris) of Southeast Asia
http://www.dl.edi-in[...]
2024-01-15
[26]
학술지
Phylogeography and genetic ancestry of tigers (Panthera tigris)
2004
[27]
학술지
Notes on Malay tigers, with description of a new form from Bali
https://archive.org/[...]
1912
[28]
서적
Der Tiger
Westarp Wissenschaften Hohenwarsleben
[29]
학술지
Skin and Skull of the Bali Tiger, and a list of preserved specimens of Panthera tigris balica (Schwarz, 1912)
1978
[30]
서적
Preface
[31]
학술지
Tigers
https://archive.org/[...]
1929
[32]
학술지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2016
[33]
학술지
Supermatrix and species tree methods resolve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ig cats, Panthera (Carnivora: Felidae)
[34]
학술지
The tiger genome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lion and snow leopard genomes
[35]
학술지
Oldest Known Pantherine Skull and Evolution of the Tiger
[36]
논문
Himalayan fossils of the oldest known pantherine establish ancient origin of big cats
2014
[37]
논문
The identity of the "lion", ''Panthera principialis'' sp. nov., from the Pliocene Tanzanian site of Laetoli and its significance for molecular dating the pantherine phylogeny, with remarks on Panthera shawi (Broom, 1948), and a revision of Puma incurva (Ewer, 1956), the Early Pleistocene Swartkrans "leopard" (Carnivora, Felidae)
[38]
논문
Discovery of jaguar from northeastern China middle Pleistocene reveals an intercontinental dispersal event
2023
[39]
서적
What is a Tiger? Biogeography, Morphology, and Taxonomy
[40]
간행물
Fossil tiger from limestone mine of Tsukumi City, Oita Prefecture, Kyushu Island, Japan
https://www.gmnh.pre[...]
[41]
논문
An extinct and deeply divergent tiger lineage from northeastern China recognized through palaeogenomics
[42]
논문
Ancient DNA reveals genetic admixture in China during tiger evolution
[43]
논문
Interspecific hybrids of animals-in nature, breeding and science–a review
[44]
웹사이트
Genomic Imprinting
https://learn.geneti[...]
Genetic Science Learning Center, Utah.org
2018-08-26
[45]
논문
Combination of facial and nose features of Amur tigers to determine age
[46]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0-10-17
[47]
논문
Panthera tigris
[48]
논문
Why the leopard got its spots: relating pattern development to ecology in felids
[49]
서적
Tiger
[50]
논문
The adaptive significance of coloration in mammals
[51]
논문
Zebra stripes and tiger stripes: the spatial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pattern compared to that of the background is significant in display and crypsis
[52]
논문
Optimizing colour for camouflage and visibility using deep learning: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and the observer's visual system
[53]
논문
The genetics of tiger pelage color variations
https://www.luo-lab.[...]
2018-08-25
[54]
논문
A new conservation policy needed for reintroduction of Bengal tiger-white
https://www.currents[...]
2024-01-29
[55]
논문
High frequency of an otherwise rare phenotype in a small and isolated tiger population
[56]
논문
Range-wide trends in tiger conservation landscapes, 2001–2020
[57]
서적
What is a Tiger? Ecology and Behaviour
[58]
서적
Hierarchical spatial analysis of Amur tiger relationships to habitat and prey
[59]
서적
Where can tigers live in the future? A framework for identifying high-priority areas for the conservation of tigers in the wild
[60]
논문
Camera-trap records of tigers at high altitudes in Bhutan
[61]
논문
First photographic record of tiger presence at higher elevations of the Mishmi Hills in the Eastern Himalayan Biodiversity Hotspot, Arunachal Pradesh, India
[62]
논문
Tiger reappearance in Medog highlights the conservation values of the region for this apex predator
[63]
논문
How many tigers ''Panthera tigris'' are there in Huai Kha Khaeng Wildlife Sanctuary, Thailand? An estimate using photographic capture-recapture sampling
[64]
논문
Population status of a cryptic top predator: An island-wide assessment of Tigers in Sumatran rainforests
[65]
논문
Demography of a high-density tiger popul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iger recovery
[66]
논문
Estimating abundance with sparse data: tigers in northern Myanmar
[67]
논문
Tiger density, movements, and immigration outside of a tiger source site in Thailand
[68]
논문
Conserving tigers in Malaysia: A science-driven approach for eliciting conservation policy change
[69]
논문
Coexistence between wildlife and humans at fine spatial scales
[70]
논문
Ranging, activity and habitat use by tigers in the mangrove forests of the Sundarban
[71]
논문
Coexisting large carnivores: spatial relationships of tigers and leopards and their prey in a prey-rich area in lowland Nepal
[72]
논문
Do prey availability, human disturbance and habitat structure drive the daily activity patterns of Amur tigers (''Panthera tigris altaica'')?
[73]
논문
Female tiger ''Panthera tigris'' home range size in the Bangladesh Sundarbans: the value of this mangrove ecosystem for the species' conservation
[74]
논문
Movement and home range characteristics of reintroduced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 in Panna Tiger Reserve, central India
[75]
논문
Spatial structure of Amur (Siberian) tigers (''Panthera tigris altaica'') on Sikhote-Alin Biosphere Zapovednik, Russia
[76]
논문
The influence of reproductive status on home range size and spatial dynamics of female Amur tigers
[77]
논문
Connectivity of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s in the Human-Influenced Forest Mosaic of Central India
[78]
논문
The role of dispersal in structuring the Chitwan tiger population
[79]
논문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erritorial marking fluid of male Bengal tiger, ''Panthera tigris''
https://citeseerx.is[...]
2023-06-29
[80]
논문
Scent marking in free-ranging tigers, ''Panthera tigris''
[81]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2]
논문
Evolution of acoustic communication signals of mammals: Friendly close-range vocalizations in Felidae (Carnivora)
[83]
논문
Prey preferences of the tiger ''Panthera tigris''
[84]
논문
The effects of prey depletion on dietary niches of sympatric apex predators in Southeast Asia
[85]
논문
Prey selection by the Indian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outside protected areas in Indias Western Gha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86]
논문
What drives prey selection? Assessment of Tiger (''Panthera tigris'') food habits across the Terai-Arc Landscape, India
[87]
논문
Tiger ecology and conservation in the Indian subcontinent
http://repository.ia[...]
[88]
논문
Estimation of tiger densities in India using photographic captures and recaptures
http://erepo.usiu.ac[...]
2021-12-16
[89]
서적
The World of the Tiger
Cassell
[90]
논문
Hunting performance of captive-born South China tigers (''Panthera tigris amoyensis'') on free-ranging prey and implications for their reintroduction
[91]
논문
Canine morphology in the larger Felidae: implications for feeding ecology
[92]
논문
Topcats and underdogs: intraguild interactions among three apex carnivores across Asia's forestscapes
[93]
논문
Behavioural correlates of predation by tiger (''Panthera tigris''), leopard (''Panthera pardus'') and dhole (''Cuon alpinus'') in Nagarahole, India
[94]
논문
Prey selection by tiger, leopard and dhole in tropical forests
[95]
논문
Do tigers displace leopards? If so, why?
[96]
논문
Responses of leopard ''Panthera pardus'' to the recovery of a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
[97]
논문
Dhole pack size variation: Assessing the effect of prey availability and apex predator
[98]
논문
Tigers, leopards, and dholes in a half-empty forest: Assessing species interactions in a guild of threatened carnivores
[99]
논문
The ecological benefit of tigers (''Panthera tigris'') to farmers in reducing crop and livestock losses in the eastern Himalaya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of large apex predators
[100]
논문
Breeding behaviour of the tiger ''Panthera tigris'' in Rajasthan
[101]
논문
How does a tigress balance the opposing constraints of raising cubs?
[102]
논문
Mortality of Amur tigers: The more things change, the more they stay the same
[103]
논문
Demography of a small, isolated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population in a semi-arid region of western India
[104]
논문
Temporal variation in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monitoring
[105]
논문
Generation length for mammals
[106]
논문
Survival strategy – Temporal segregation of different age and sex classes of a Bengal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Linnaeus) population in Pench Tiger Reserve, Madhya Pradesh India
[107]
논문
Sex-specific actuarial and reproductive senescence in zoo-housed tiger (''Panthera tigris''): The importance of sub-species for conservation
https://findresearch[...]
[108]
뉴스
India male tiger plays doting dad to orphaned cubs
https://www.bbc.com/[...]
2011-02-14
[109]
논문
Canine distemper virus: an emerging disease in wild endangered Amur tigers (''Panthera tigris altaica'')
[110]
논문
Morbillivirus infection in a wild Siberian tiger in the Russian Far East
[111]
논문
Serologic survey of selected pathogens in free-ranging Bengal tigers (''Panthera tigris tigris'') in Nepal
[112]
논문
Synthesizing habitat connectivity analyses of a globally important human-dominated tiger-conservation landscape
[113]
논문
Surveys in southern Myanmar indicate global importance for tigers and biodiversity
[114]
논문
Habitat connectivity for endangered Indochinese tigers in Thailand
[115]
논문
Expansion of industrial plantations continues to threaten Malayan tiger habitat
[116]
논문
Future governance options for large-scale land acquisition in Cambodia: impacts on tree cover and tiger landscapes
[117]
논문
Addressing the impact of canine distemper spreading on an isolated tiger population in northeast Asia
[118]
논문
Dramatic decline of wild South China tigers ''Panthera tigris amoyensis'': field survey of priority tiger reserves
[119]
IUCN
Panthera tigris ssp. amoyensis
[120]
논문
Recovery of tigers in India: Critical introspection and potential lessons
[121]
논문
Anthropogenic pressure on large carnivores and their prey in the highly threatened forests of Tanintharyi, southern Myanmar
[122]
논문
Documenting the demise of tiger and leopard, and the status of other carnivores and prey, in Lao PDR's most prized protected area: Nam Et-Phou Louey
[123]
논문
Asia's economic growth and its impact on Indonesia's tigers
[124]
논문
Anthropogenic influences on the distribution of a Vulnerable coniferous forest specialist: habitat selection by the Siberi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125]
논문
Trade in tigers and other wild cats in Mong La and Tachilek, Myanmar – A tale of two border towns
[126]
서적
Skin and Bones: Tiger Trafficking Analysis from January 2000 – June 2022
https://www.traffic.[...]
TRAFFIC, Southeast Asia Regional Office
2024-03-01
[127]
논문
Trends, patterns, and networks of illicit wildlife trade in Nepal: A national synthesis
[128]
논문
The tide of tiger poaching in India is rising! An investigation of the intertwined facts with a focus on conservation
[129]
논문
Patterns of illegal and legal tiger parts entering the United States over a decade (2003–2012)
[130]
서적
The Illegal Wildlife Trade: Inside the World of Poachers, Smugglers and Traders (Studies of Organized Crime)
Springer
2016
[131]
논문
Who is killing the tiger ''Panthera tigris'' and why?
[132]
논문
An updated analysis of the consumption of tiger products in urban Vietnam
[133]
논문
Characterizing human–tiger conflict in and around Ranthambhore Tiger Reserve, western India
[134]
논문
Ecopsychosocial aspects of human–tiger conflict: An ethnographic study of tiger widows of Sundarban Delta, India
[135]
논문
Living with tigers ''Panthera tigris'': Patterns, correlates, and contexts of human–tiger conflict in Chitwan National Park, Nepal
[136]
논문
Unraveling the complexity of human–tiger conflicts in the Leuser Ecosystem, Sumatra
[137]
논문
Settlements and plantations are sites of human–tiger interactions in Riau, Indonesia
[138]
서적
Status of Tigers and Prey in Nepal 2022
https://dnpwc.gov.np[...]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Conservation and Department of Forests and Soil Conservation. Ministry of Forests and Environment
2022-08-06
[139]
간행물
National Tiger Survey 2021–22
Government of Bhutan
2023
[140]
웹사이트
Tiger population in Sundarban rises by 8-10pc in 2024
https://www.observer[...]
2024-07-30
[141]
보고서
Tiger Action Plan for Bhutan (2018-2023): A landscape approach to tiger conservation
Nature Conservation Division, Department of Forests and Park Services,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s
[142]
서적
CITES Implementation in Nepal and India. Law, Policy and Practice
Bhrikuti Aademic Publications
[143]
학술지
Tigers at a crossroads: Shedding light on the role of Bangladesh in the illegal trade of this iconic big cat
[144]
보고서
The Malayan Tiger Conservation Programme
https://conservewild[...]
Department of Wildlife and National Parks Peninsular Malaysia
2024-04-09
[145]
보고서
Global Tiger Recovery Program (2023–34)
https://globaltigerf[...]
Global Tiger Forum and the Global Tiger Initiative Council
2023
[146]
서적
Conservation Strategy and Action Plan for the Sumatran Tiger (''Panthera tigris sumatrae'') Indonesia 2007-2017
https://globaltigerf[...]
Government of Indonesia
2007
[147]
학술지
Transnational environmentalism and entanglements of sovereignty: The Tiger Campaign across the Himalayas
[148]
웹사이트
The future of ''Panthera tigris'' in Thailand and globally
https://www.iucn.org[...]
IUCN
2022
[149]
서적
Status of tigers, co-predators and prey in India 2022
https://wii.gov.in/i[...]
National Tiger Conservation Authority & Wildlife Institute of India
[150]
학술지
Developing a national tiger action plan for the Union of Myanmar
[151]
학술지
Identifying landscape factors affecting tiger decline in the Bangladesh Sundarbans
[152]
서적
Thailand Tiger Action Plan 2010–2022
https://www.research[...]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Wildlife and Plant Conservation,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153]
학술지
A decade on: The second collaborative Sumatra-wide Tiger survey
[154]
Doctor of Philosophy in Entomology and Wildlife Ecology
An Island-wide Status of Sumatran Tiger (''Panthera tigris sumatrae'') and Principal Prey in Sumatra, Indonesia
https://udspace.udel[...]
University of Delaware
[155]
학술지
Indicators of success for smart law enforcement in protected areas: A case study for Russian Amur tiger (''Panthera tigris altaica'') reserves
[156]
학술지
Using a crime prevention framework to evaluate tiger counter-poaching in a Southeast Asian rainforest
[157]
학술지
Connecting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s in Nepal: Identification of corridors among tiger-bearing protected areas
[158]
학술지
Demographic and ecological correlates of a recovering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 Lessons learnt from 13-years of monitoring
[159]
학술지
Assessment of habitat suitability and potential corridors for Bengal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in Valmiki Tiger Reserve, India, using MaxEnt model and Least-Cost modeling approach
[160]
학술지
Priority corridor zone for human-tiger conflict mitigation: A landscape connectivity approach in West Sumatra region, Indonesia
[161]
보고서
Evaluation of the project on transboundary cooperation on the conservation of Amur tigers, Amur leopards and Snow leopards in North-East Asia
https://repository.u[...]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162]
학술지
Home range and movements of male translocated problem tigers in Sumatra
http://ajcb.in/journ[...]
[163]
학술지
Restoration of the Amur Tiger (''Panthera tigris altaica'') population in the Northwest of its distribution area
[164]
학술지
Restoring Asia's roar: Opportunities for tiger recovery across the historic range
[165]
학술지
A framework for assessing readiness for Tiger ''Panthera tigris'' reintroduction: a case study from eastern Cambodia
[166]
학술지
Subspecies genetic assignments of worldwide captive tigers increase conservation value of captive populations
[167]
서적
The Treasures of Indian Wildlif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168]
학술지
Human–tiger conflict: A review and call for comprehensive plans
[169]
서적
''Panthera tigris'' vs ''Homo sapiens'': Conflict, coexistence, or extinction?
[170]
학술지
People in peril, environments at risk: coolies, tigers, and colonial Singapore's ecology of poverty
[171]
학술지
Profiling tigers (''Panthera tigris'') to formulate management responses to human-killing in the Bangladesh Sundarbans
[172]
서적
The Tiger in the Ancient World
[173]
웹사이트
EU's 'unlikely' role in global tiger trade revealed in new WWF, TRAFFIC report
https://tigers.panda[...]
World Wildlife Fund for Nature
2020-09-30
[174]
학술지
Effects of a modern exhibit design on captive tiger welfare
[175]
학술지
The effects of intrinsic enrichment on captive felids
[176]
논문
Are wild animals suited to a travelling circus life?
2009
[177]
웹사이트
5 Things Tiger King Doesn't Explain About Captive Tigers
https://www.worldwil[...]
2020-02-19
[178]
웹사이트
June 18 Deadline for Compliance With Big Cat Public Safety Act
https://www.fws.gov/[...]
2023-04-20
[179]
보고서
Guidance Document on the export, re-export and intra-EU trade of captive-born and bred live tigers and their parts and derivatives
https://eur-lex.euro[...]
European Commission
2023-04-18
[180]
뉴스
Endangered tiger earns its stripes as the world's most popular beast
https://archive.toda[...]
The Independent
2004-12-06
[181]
논문
The twenty most charismatic species
2018
[182]
서적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World Art
Continuum
2007
[183]
서적
In Times Past
2004
[184]
서적
Symbolic and Mythological Animals
Aquarian Press
1992
[185]
간행물
Panthera tigris virgata
2011-12-04
[186]
웹사이트
Panthera tigris
https://www.speciesp[...]
2021-12-04
[187]
서적
野生ネコの教科書
エクスナレッジ
2018
[188]
논문
Panthera tigri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81
[189]
서적
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91
[190]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91]
서적
トラ
平凡社
1986
[192]
서적
トラ
講談社
2000
[193]
웹사이트
象・猛獣エリア
http://www.kobe-ojiz[...]
2022-01-10
[194]
간행물
Panthera tigris
2017
[195]
서적
トラ
講談社
2000
[196]
논문
Planning tiger recovery: Understanding intraspecific variation for effective conservation
2015
[197]
서적
トラ
講談社
2000
[198]
웹사이트
Speed of a Tiger
https://www.ligerwor[...]
LIGERWORLD
2022-08-10
[199]
웹사이트
How high? Tiger attacks spark wall worries
https://www.nbcnews.[...]
nbcnews
2008-01-10
[200]
웹사이트
All-About Tigers
https://seaworld.org[...]
SeaWorld Parks & Entertainment
2022-08-10
[201]
서적
Udjung Kulon: The Land of the Last Javan Rhinoceros
https://books.google[...]
1970-01-01
[202]
웹사이트
A Royal Bengal Tiger and a Rhinoceros Found Dead in Kaziranga
https://www.kazirang[...]
KAZIRANGA NATIONAL PARK
2021-08-19
[203]
웹사이트
Tigers killing and eating elephants in Corbett National Park: Government study reveals worrying phenomenon
http://www.wpsi-indi[...]
WILDLIFE PROTECTION SOCIETY OF INDIA
2021-08-19
[204]
웹사이트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5-29
[205]
서적
No Beast So Fierce
HarperCollins Publishers
2019
[206]
웹사이트
A-comparison-of-food-habits-and-prey-preference-of-Amur-tiger-Panthera-tigris-altaica-Timmink-1984-at-three-sites-in-the-Russian-Far-East
https://www.research[...]
researchgate
2023-05-29
[207]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208]
논문
Ecology and Evolution
https://onlinelibrar[...]
Wiley-Blackwel
2020
[209]
서적
What is a Tiger? Ecology and Behaviour
2010
[210]
서적
Tigers of the world: The science, politics, and conservation of Panthera tigri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0
[211]
서적
Wilderness Medicine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3-20
[212]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1-12-04
[213]
웹사이트
13人殺害の「人食いトラ」射殺、駆除の手法めぐり批判も
https://www.afpbb.co[...]
AFP
2018-11-03
[214]
뉴스
14年前 トラ襲撃で飼育員死亡「人は間違うもの」京都市動物園の教訓とは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2-01-10
[215]
서적
十二支動物の話
法政大学出版局
1999
[216]
뉴스
「愛情深きトラ愛された歴史/魔よけの縁起物ヒョウとつがいの作品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1-10
[217]
웹사이트
Tiger tops dog as world's favourite animal
https://www.iol.co.z[...]
Independent Media and affiliated companies.
2019-02-03
[218]
저널
The twenty most charismatic species
[21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08
[220]
IUCN
[221]
CITES
[222]
웹인용
개호주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223]
웹인용
게임 오브 빅캣
https://www.youtube.[...]
내셔널지오그래픽
2022-07-10
[224]
Youtube
스펀지
https://www.youtube.[...]
2006-10-21
[225]
뉴스
심장이 쿵! 내 머리 위에서 호랑이 네 마리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3-04-07
[226]
IUCN
[227]
웹인용
백호랑이는 열성?… 白虎의 과학
http://kormedi.com/1[...]
코메디닷컴
2010-01-01
[228]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229]
저널
Mitochondrial Phylogeography Illuminates the Origin of the Extinct Caspian Tiger and Its Relationship to the Amur Tiger
[230]
서적
삼국사기
[231]
웹인용
버스피아 그룹상징
https://web.archive.[...]
2019-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