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렝게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렝게티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광활한 평원으로, 수천 년 동안 야생 동물의 서식지였다. 1800년대 초 마사이족의 이주 이후 변화가 시작되었으며, 콜레라, 천연두, 가축 전염병 등으로 마사이족은 어려움을 겪었다. 20세기 후반 탄자니아 정부는 마사이족을 응고롱고로 분화구 주변으로 재정착시켰고, 밀렵과 화재 감소로 숲과 덤불이 발달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누와 케이프 버펄로 개체수가 회복되었고, 21세기에는 광견병 예방 접종 프로그램을 통해 야생 동물 보호에 기여했다. 세렝게티는 매년 대규모 누 이동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야생 동물과 풍부한 포식자가 서식하는 생태계로, 탄자니아와 케냐 정부는 국립공원 등 여러 보호 지역을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지리 - 샤카홀라 숲
- 탄자니아의 지리 - 올두바이 협곡
올두바이 협곡은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한 계곡으로,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화석과 유물을 발굴하여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 호모 하빌리스 등의 호미니드 화석과 올도완 석기 문화를 밝혀냈으며, 현재 박물관이 운영되고 IUGS 지질 유산지로 지정되었다. - 열대·아열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클리퍼턴섬
클리퍼턴섬은 멕시코 남서쪽 태평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환초 섬으로, 독특한 담수 석호와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지만 환경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과거 영유권 분쟁을 겪은 바 있다. - 열대·아열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사헬
사헬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위치한 열대 반건조 지역으로, 아카시아 사바나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급격한 인구 증가, 사막화, 가뭄, 테러 등으로 환경 및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여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세렝게티 | |
|---|---|
| 지리 정보 | |
| 기본 정보 | |
| 위치 | 탄자니아 북부, 케냐 남서부 |
| 면적 | 30,000 제곱킬로미터 |
| 고도 | 950 m ~ 1850 m |
| 지리적 특징 | 사바나 |
| 인접 지역 | 응고롱고로 분화구 |
| 해안 | 인도양 |
| 기후 | |
| 기후 | 사바나 기후 |
| 생태 | |
| 생물 지리구 | 에티오피아구 |
| 포유류 종수 | 30여 종 |
| 조류 종수 | 500여 종 |
| 명칭 | |
| 어원 | 마사이족 언어에서 유래 |
| 기타 | |
![]() | |
![]() | |
![]() | |
2. 역사
수천 년 동안 세렝게티의 광활한 평원에는 인간의 거주가 드물었고 아프리카 야생 동물이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1800년대 초 마사이 유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변화하였다.
1970년대 중반까지 누와 케이프물소 개체 수가 회복되어 풀을 점점 더 많이 뜯어먹으면서 화재에 필요한 연료량이 감소하였다.[11] 화재 강도가 약해지면서 아카시아가 다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12]
21세기에 세렝게티에서 진행된 대규모 광견병 예방 접종 프로그램은 수백 명의 인명 피해를 간접적으로 막았을 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들개와 같은 야생 동물 종을 보호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13]
2. 1. 마사이족의 이주와 시련
1800년대 초 마사이 유목민들이 세렝게티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수천 년 동안 인간의 거주가 드물었던 세렝게티의 상황이 변화하였다.하지만 마사이족은 가뭄과 질병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1880년대에는 콜레라 유행병으로, 1892년에는 천연두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9] 더욱 심각한 것은 소를 폐멸시킨 소역이었다. 20세기 후반 탄자니아 정부는 마사이족을 응고롱고로 분화구 주변으로 재정착시켰다. 밀렵과 인간에 의한 화재의 부재로 인해 향후 30~50년 동안 울창한 삼림과 덤불이 발달하였다. 체체파리 개체 수가 증가하여 이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인간 정착이 불가능해졌다.[10]
2. 2. 생태계 변화와 체체파리
수천 년 동안 세렝게티의 광활하고 구릉진 평원에는 인간의 거주가 드물었고 아프리카 야생 동물이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1800년대 초 마사이 유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변화하였다.하지만 마사이족은 가뭄과 질병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1880년대에는 콜레라 유행병으로, 1892년에는 천연두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9] 더욱 심각한 것은 소를 폐멸시킨 소역(소의 바이러스성 질병)이었다. 20세기 후반 탄자니아 정부는 마사이족을 응고롱고로 분화구 주변으로 재정착시켰다. 밀렵과 인간에 의한 화재의 부재로 인해 향후 30~50년 동안 울창한 삼림과 덤불이 발달하였다. 체체파리 개체 수가 증가하여 이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인간 정착이 불가능해졌다.[10]
1970년대 중반까지 누와 케이프물소 개체 수가 회복되어 풀을 점점 더 많이 뜯어먹으면서 화재에 필요한 연료량이 감소하였다.[11] 화재 강도가 약해지면서 아카시아가 다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12]
21세기에 세렝게티에서 진행된 대규모 광견병 예방 접종 프로그램은 수백 명의 인명 피해를 간접적으로 막았을 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들개와 같은 야생 동물 종을 보호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13]
2. 3. 생태계 회복과 광견병 예방
1880년대에는 콜레라 유행병으로, 1892년에는 천연두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9] 더욱 심각한 것은 소를 폐멸시킨 소역리(소의 바이러스성 질병)였다. 20세기 후반 탄자니아 정부는 마사이족을 응고롱고로 분화구 주변으로 재정착시켰다. 밀렵과 인간에 의한 화재의 부재로 인해 향후 30~50년 동안 울창한 삼림과 덤불이 발달하였다. 체체파리 개체 수가 증가하여 이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인간 정착이 불가능해졌다.[10]1970년대 중반까지 누우와 케이프 버펄로 개체 수가 회복되어 풀을 점점 더 많이 뜯어먹으면서 화재에 필요한 연료량이 감소하였다.[11] 화재 강도가 약해지면서 아카시아가 다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12]
21세기에 세렝게티에서 진행된 대규모 광견병 예방 접종 프로그램은 수백 명의 인명 피해를 간접적으로 막았을 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 야생견과 같은 야생 동물 종을 보호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13]
3. 대이동 (Great Migration)
1970년대 이후 매년 같은 시기에 누를 비롯한 수많은 초식동물들이 탄자니아 남부 세렝게티의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세렝게티 국립공원을 거쳐 케냐의 마사이 마라 보호구역까지 대규모 이동을 한다. 이 이동은 풀이 자라는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한다.[14] 이 이동에는 170만 마리의 누 외에도 47만 마리의 가젤, 26만 마리의 얼룩말 등 수십만 마리의 다른 초원 동물들이 함께한다.[17][15][16]
누는 2월에 생태계 남동부의 짧은 풀 초원에서 2~3주 동안 약 50만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하지만 너무 어린 새끼들은 포식자에게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다. 5월에 비가 그치면 동물들은 그루메티 강 주변으로 이동하며, 7월부터는 악어가 기다리는 그루메티 강과 마라 강을 건너는 위험한 여정을 시작한다. 7월/8월 말에 케냐에 도착한 무리는 건기 동안 머무르지만, 톰슨가젤과 그랜트가젤은 동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11월 초 짧은 비가 시작되면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여 12월에 도착한다.[18]
탄자니아에서 케냐 남서부 마사이 마라 국립보호구역까지 800km에 달하는 여정 동안 약 25만 마리의 누는 갈증, 굶주림, 탈진, 큰 고양잇과 동물 등의 포식으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19]
3. 1. 이동 경로와 시기

1970년대 이후 매년 같은 시기에 순환하는 대규모 누 이동이 탄자니아 남부 세렝게티의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에서 시작되어 시계 방향으로 세렝게티 국립공원을 통과하여 케냐의 마사이 마라 보호구역으로 북쪽으로 이동한다.[14] 이 이동은 목초지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초기 단계는 1월부터 3월까지 지속되며, 출산기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때는 170만 마리의 누와 그 뒤를 따르는 수십만 마리의 다른 초원 동물(약 47만 마리의 가젤 포함)보다 먼저 이동하는 26만 마리의 얼룩말을 위한 충분한 비가 내린 풀이 있다.[17][15][16]
2월 동안 누는 생태계 남동부의 짧은 풀 초원에 있으며, 2~3주 안에 약 50만 마리의 새끼를 낳고 방목한다. 몇몇 새끼는 미리 태어나지만, 그중 거의 생존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매우 어린 새끼들은 전년도에 태어난 나이든 새끼들과 섞여 있을 때 포식자에게 더 눈에 띄기 때문이다. 5월에 비가 그치면 동물들은 그루메티 강 주변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6월 말까지 그곳에 머문다. 7월부터 시작되는 그루메티 강과 마라 강 횡단은 악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사파리 명소이다.[17] 무리는 7월/8월 말에 케냐에 도착하여 건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머무르지만, 톰슨가젤과 그랜트가젤은 동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11월 초에 짧은 비가 시작되면 이동은 다시 남쪽, 남동쪽의 짧은 풀 초원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보통 2월 출산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12월에 도착한다.[18]
탄자니아에서 케냐 남서부의 마사이 마라 국립보호구역까지의 여정 중 약 25만 마리의 누가 죽는데, 총 거리는 800km이다. 죽음은 보통 갈증, 굶주림, 탈진 또는 큰 고양잇과 동물을 포함한 포식에 의한 것이다.[19]
3. 2. 생태학적 중요성
1970년대 이후 매년 같은 시기에 순환하는 대규모 누 이동은 탄자니아 남부 세렝게티의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에서 시작되어 시계 방향으로 세렝게티 국립공원을 통과하여 케냐의 마사이 마라 보호구역으로 북쪽으로 이동한다.[14] 이 이동은 목초지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초기 단계는 1월부터 3월까지 지속되며, 출산기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때는 170만 마리의 누와 그 뒤를 따르는 수십만 마리의 다른 초원 동물(약 47만 마리의 가젤 포함)보다 먼저 이동하는 26만 마리의 얼룩말을 위한 충분한 비가 내린 풀이 있다.[17][15][16]
2월 동안 누는 생태계 남동부의 짧은 풀 초원에 있으며, 2~3주 안에 약 50만 마리의 새끼를 낳고 방목한다. 몇몇 새끼는 미리 태어나지만, 그중 거의 생존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매우 어린 새끼들은 전년도에 태어난 나이든 새끼들과 섞여 있을 때 포식자에게 더 눈에 띄기 때문이다. 5월에 비가 그치면 동물들은 그루메티 강 주변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6월 말까지 그곳에 머문다. 7월부터 시작되는 그루메티 강과 마라 강 횡단은 악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인기 있는 사파리 명소이다.[17] 무리는 7월/8월 말에 케냐에 도착하여 건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머무르지만, 톰슨가젤과 그랜트가젤은 동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11월 초에 짧은 비가 시작되면 이동은 다시 남쪽, 남동쪽의 짧은 풀 초원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보통 2월 출산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12월에 도착한다.[18]
탄자니아에서 케냐 남서부의 마사이 마라 국립보호구역까지의 여정 중 약 25만 마리의 누가 죽는데, 총 거리는 800km이다. 죽음은 보통 갈증, 굶주림, 탈진 또는 큰 고양잇과 동물을 포함한 포식에 의한 것이다.[19]
3. 3. 죽음과 위험
1970년대 이후 매년 같은 시기에 대규모 누 이동이 탄자니아 남부 세렝게티의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에서 시작되어 시계 방향으로 세렝게티 국립공원을 통과하여 케냐의 마사이 마라 보호구역으로 북쪽으로 이동한다.[14] 이 이동은 목초지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1월부터 3월까지는 이동 초기 단계로, 170만 마리의 누와 그 뒤를 따르는 수십만 마리의 다른 초원 동물(약 47만 마리의 가젤 포함)보다 먼저 이동하는 26만 마리의 얼룩말을 위한 충분한 비가 내린 풀이 있다.[17][15][16]
2월 동안 누는 생태계 남동부의 짧은 풀 초원에서 약 50만 마리의 새끼를 낳고 방목한다. 몇몇 새끼는 미리 태어나지만, 그중 거의 생존하지 못하는데, 이는 매우 어린 새끼들이 전년도에 태어난 나이든 새끼들과 섞여 있을 때 포식자에게 더 눈에 띄기 때문이다. 5월에 비가 그치면 동물들은 그루메티 강 주변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6월 말까지 그곳에 머문다. 7월부터 시작되는 그루메티 강과 마라 강 횡단은 악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인기있는 사파리 명소이다.[17] 7월/8월 말에 케냐에 도착한 무리는 건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머무르지만, 톰슨가젤과 그랜트가젤은 동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11월 초에 짧은 비가 시작되면 이동은 다시 남쪽, 남동쪽의 짧은 풀 초원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보통 2월 출산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12월에 도착한다.[18]
탄자니아에서 케냐 남서부의 마사이 마라 국립보호구역까지 800km의 여정 중 약 25만 마리의 누가 죽는다. 죽음의 원인은 보통 갈증, 굶주림, 탈진 또는 큰 고양잇과 동물을 포함한 포식이다.[19]
4. 생태 (Ecology)

세렝게티는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훌륭한 야생동물 서식지 중 하나로 손꼽힌다.[20] 이곳은 다양한 포식자와 초식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보호 구역을 통해 생태계가 유지 및 관리되고 있다.
4. 1. 포식자
세렝게티는 대이동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사자, 아프리카 표범, 점박이하이에나, 아프리카 치타 등 풍부한 대형 포식자들로도 유명하다. 이 생태계에는 3,000마리 이상의 사자, 1,000마리의 아프리카 표범[21], 그리고 7,700~8,700마리의 점박이하이에나(''Crocuta crocuta'')가 서식한다.[22] 아프리카 치타도 세렝게티에 서식한다.[23]아프리카 들개는 세렝게티 대부분 지역에서 비교적 드물다. 특히 세렝게티 국립공원과 같이 사자와 점박이하이에나(들개의 사냥감을 훔치고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되는 포식자)가 풍부한 곳에서는 더욱 그렇다(세렝게티 국립공원에서는 1992년에 멸종되었다).[24]
4. 2. 초식동물
세렝게티에는 케이프 버펄로, 아프리카코끼리, 멧돼지, 그랜트가젤, 일런드, 워터벅, 토피영양 등 다양한 초식 동물들이 서식한다. 세렝게티가 이처럼 다양한 초식 동물들을 부양할 수 있는 것은 각 종, 심지어 가까운 종들조차 서로 다른 식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누는 짧은 풀을 선호하는 반면, 들소는 더 긴 풀을 선호한다. 마찬가지로, 딕딕은 나무의 가장 낮은 잎을 먹고, 임팔라는 더 높은 잎을 먹고, 기린은 더 높은 곳의 잎을 먹는다.
4. 3. 지형과 기후
세렝게티의 고도는 920m 에서 1850m이며 평균 기온은 15°C 에서 25°C이다.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이지만 3월부터 5월까지, 그리고 10월부터 11월까지 두 차례의 우기가 있다. 강수량은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 고지대의 508mm에서 빅토리아호 호숫가의 1200mm까지 다양하다.[30]
빅토리아호 근처에는 고대 호수 바닥에서 형성된 범람원이 발달했다.[27] 극북서쪽에서는 아카시아 삼림이 지질학적 변화로 인해 넓은 잎을 가진 터미널리아-콤브레툼 삼림으로 대체된다. 이 지역은 이 지역에서 가장 강수량이 많으며 건기가 끝날 무렵 이동하는 초식 동물들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28][29]
4. 4. 보호 지역
탄자니아와 케냐 정부는 국립공원, 보존 지역, 야생동물 보호구역 등 여러 보호 지역을 유지 관리하여 세렝게티의 80% 이상을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25] 그러나 인간의 침입으로 인해 생태계는 원래 크기의 60% 수준으로 축소되었다.[26]이 지역에는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도 있으며, 그 안에는 응고롱고로 분화구와 올두바이 협곡이 있다. 올두바이 협곡에서는 가장 오래된 호미닌 화석 중 일부가 발견되었다.[31]
5. 미디어에서의 세렝게티
세렝게티는 여러 미디어에서 다뤄졌다.
- 음악
- * 1993년, 댄 포겔버그는 앨범 《리버 오브 소울스(River of Souls)》에 "세렝게티 문(Serengeti Moon)"을 수록했다.
- * 캐나다 기타리스트 소니 그린위치는 1994년 앨범 《하임 투 디 어스(Hymn to the Earth)》에 "세렝게티(Serengeti)"를 수록했다.
- * 토토의 1982년 노래 "아프리카"는 앨범 《토토 IV(Toto IV)》에 수록되었으며, 세렝게티를 언급한다.[33]
- * 그레이트풀 데드는 1978년 앨범 《셰이크다운 스트리트(Shakedown Street)》에 "세렝게티(Serengetti)"를 수록했다.
- 다큐멘터리
- * BBC 시리즈 《세렝게티》는 세렝게티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삶을 기록했다.[32]
5. 1. 음악
- 댄 포겔버그는 1993년 스튜디오 앨범 《리버 오브 소울스(River of Souls)》에 "세렝게티 문(Serengeti Moon)"이라는 노래를 수록했다. 이 노래는 세렝게티 달 아래서 사랑을 나누는 한 커플에 대한 아프리카를 소재로 한 러브송이다.
- 캐나다 기타리스트 소니 그린위치는 1994년 앨범 《하임 투 디 어스(Hymn to the Earth)》에 어니 넬슨의 보컬이 함께한 "세렝게티(Serengeti)"라는 곡을 수록했다.
- 6부작 BBC 시리즈 《세렝게티》는 세렝게티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삶을 기록한다.[32]
- 미국의 록 밴드 토토의 1982년 노래 "아프리카"는 원래 그들의 앨범 《토토 IV(Toto IV)》에 수록되었으며, 세렝게티를 언급하고 있다.[33] 이 노래는 킬리만자로산을 "세렝게티 위에 올림푸스산처럼 솟아오르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 킬리만자로산은 세렝게티에서 수백 마일 동쪽에 위치해 있다.
- 미국의 록 밴드 그레이트풀 데드는 1978년 앨범 《셰이크다운 스트리트(Shakedown Street)》에 디스코와 소프트록 스타일의 사운드를 끊고 부족풍의 즉흥 연주를 선보이는 연주곡 "세렝게티(Serengetti)", 즉 드럼 듀엣 연주곡을 수록했다.
5. 2. 다큐멘터리
6부작 BBC 시리즈 《세렝게티》는 세렝게티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삶을 기록했다.[32]참조
[1]
웹사이트
The Serengeti: Plain Facts about National Park & Animals
https://www.livescie[...]
2017-06-23
[2]
웹사이트
Serengeti
https://visibleearth[...]
2006-01-09
[3]
웹사이트
The Serengeti Migration Seven Natural Wonders of Africa
https://xpatsinterna[...]
2021-10-06
[4]
서적
Africa's Top Wildlife Countries
Global Travel Publishers Inc.
[5]
웹사이트
serengeti
https://rutastanzani[...]
[6]
서적
Northern Tanzania: The Bradt Safari Guide with Kilimanjaro and Zanzibar
Bradt Travel Guides
[7]
간행물
Maasai Dictionary
https://digitalcommo[...]
[8]
웹사이트
Maa (Maasai) Dictionary
https://pages.uorego[...]
[9]
웹사이트
Serengeti, Heartbreak on the Serengeti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21-05-23
[10]
웹사이트
Maasai People
https://www.worldhis[...]
2024-06-27
[11]
간행물
Return of the Forest
[12]
서적
Serengeti II: Dynamic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n Ecosyste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10-23
[13]
웹사이트
Trevor Blackburn Award 2008
http://www.bva.co.uk[...]
British Veterinary Association
2014-06-10
[14]
간행물
The Great Wildebeest Migration: Exploring Africa's biggest wildlife phenomenon
https://horizonguide[...]
[15]
웹사이트
How to Get There, Ngorongoro Crater
http://www.ngorongor[...]
Ngorongoro Crater Tanzania
2014-06-03
[16]
웹사이트
Ngorongoro Conservation Area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World Heritage Centre
2014-06-03
[17]
웹사이트
The Great Annual Wildlife Migration – The Great Migration of Wildebeest and Zebra
http://goafrica.abou[...]
About.com
2017-03-28
[18]
서적
Serengeti's Great Migration
Abbeville Press
[19]
뉴스
The fast show
http://www.findartic[...]
2007-03-14
[20]
서적
Africa's Great Rift Valley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21]
웹사이트
Cheetahs on the Edge - Pictures, More From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ngm.nationalg[...]
2016-04-05
[22]
웹사이트
Mpala Live! Field Guide: Spotted Hyena MpalaLive
http://mpalalive.org[...]
2016-04-05
[23]
웹사이트
Cheetahs in Tanzania
https://www.expertaf[...]
2021-06-22
[24]
뉴스
African Wild Dogs, True Best Friends
https://www.nytimes.[...]
2016-04-05
[25]
간행물
'Serengeti Shall Not Die': Transforming an Ambition into a Reality
2010-09-01
[26]
웹사이트
Being a responsible safari tourist - Horizon Guides
https://horizonguide[...]
2024-09-03
[27]
웹사이트
Travellers' guide to Serengeti_National_Park
https://www.travelle[...]
2024-06-27
[28]
서적
Serengeti III: Human Impacts on Ecosystem Dynam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간행물
Long-Term Ecosystem Dynamics in the Serengeti: Lessons for Conservation
http://ib.cbs.uoguel[...]
2010-11-22
[30]
웹사이트
The Serengeti National Park
http://www.glcom.com[...]
Glcom.com
2010-10-23
[31]
간행물
A one-million-year-old hominid distal ulna from Olduvai Gorge, Tanzania
2015-06-08
[32]
뉴스
Serengeti review – the Made in Chelsea of nature documentary
https://www.theguard[...]
2020-04-08
[33]
웹사이트
Toto – Africa
https://genius.com/T[...]
2023-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