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잔클로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클로돈은 '날카로운 이빨'이라는 뜻을 가진 멸종된 피토사우루스과의 악어이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유럽의 강과 호수에서 서식했으며, 넓은 두개골과 물갈퀴 형태의 발을 특징으로 한다. 원래 스밀로돈으로 명명되었으나, 동명이어로 인해 잔클로돈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잔클로돈은 잡식성으로 물고기, 갑각류, 식물 등을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여러 종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Z. laevis만이 이 속으로 인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극어류
    극어류는 멸종된 어류의 한 무리로, 가시 상어라고도 불리며 실루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했고, 비늘 장식으로 퇴적암 연대 추정에 사용되었으며, 연골어류에 속한다.
  • 184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람포링쿠스
    람포링쿠스는 쥐라기 후기에 번성한 익룡의 한 속으로, 긴 꼬리와 앞다리 막을 이용해 하늘을 날아다녔으며, 먹이 사냥 방식과 성장 과정 등에 대한 다양한 고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파라수쿠스
    파라수쿠스는 부푼 코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멸종된 파충류로, 인도와 아시아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잡식성 악어로 추정된다.
  • 트라이아스기의 동물 - 돌레로사우루스
    돌레로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오스트리아 지역에 살았던 기초적인 이궁류 파충류 속으로, 한때 피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에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작은 크기와 희소한 화석으로 인해 정보가 부족하지만 잡식성으로 추정된다.
  • 악어형류 - 크리코사우루스
    크리코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긴 주둥이와 톱 모양 이빨, 염분 배설 땀샘, 유선형 몸체와 지느러미 꼬리 등 바다 생활에 적응한 특징을 가진다.
  • 악어형류 - 스테네오사우루스
    스테네오사우루스는 쥐라기 초기에 동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바다악어의 일종으로, 큰 두개골, 뼈의 돌기, 염분 배출 기능이 특징이며, 모식종인 'S. 로스트로마요르'가 인정되었으나 속 'Steneosaurus'는 무효명이 되었다.
잔클로돈
잔클로돈
학명Zanclodon
명명자Plieninger, 1847
모식종'Zanclodon laevis'
모식종 명명자(Plieninger, 1846)
동의어'Plateosaurus plieningeri' (Fraas, 1896)
'Smilodon laevis' Plieninger, 1846 (선점됨)
'Zanclodon plieningeri' Fraas, 1896
시대중생대트라이아스기,

2. 특징

잔클로돈(Zanclodon)은 '날카로운 이빨'이란 뜻을 가진 피토사우루스과의 악어로서 넓게 확장된 두개골과 뼈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발의 모습은 물속에서의 수영에 적합하도록 물갈퀴의 모습으로 진화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빨은 날카롭게 세렝된 삼각형에 톱니 모양을 가진 이빨들이 양턱에 총 20개~25개로 줄줄이 나 있다.

분류학적으로 보면, 잔클로돈은 원래 플리닝거(1846년)에 의해 스밀로돈(Smilodon)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이 이름은 이전에 세이버 발톱이 달린 고양이(선점된 이름)에 사용되어 플리닝거가 대체 명칭인 잔클로돈(Zanclodon)을 세우게 되었다. 이전에는 테로포다 내의 테라토사우루스과(Teratosaurusae)에 놓였으며 때로는 피토사우루스과의 생물을 잔클로돈(Zanclodon)으로 잘못 참조하기도 했다. 종류종인 잔클로돈 레비스는 미확정 대공룡을 나타내는 왼쪽 맥시야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그 속은 명백하게 식별할 수 없다.

먹이로는 당대에 서식했던 물고기, 갑각류를 포함하여 양치식물과 같은 식물성의 먹이를 모두 섭이했을 잡식성의 악어로 추정된다.

3. 분류

잔클로돈은 다음과 같은 아종들이 있다.


  • Z. laevisla(플리닝거, 1846) [원래 "스밀로돈"] (기준종)
  • Z. crenatusla(플리닝거, 1846) [원래 "Smilodon"]
  • Z. bavaricusla(Fraas, 1894 비디오 샌드버거, 1894) = 사우로포도모르파 인서테아 세디스
  • Z. plieningerila(Fraas, 1896년) = Z. laevisla의 주니어 동의어
  • Z. arenaceusla(Fraas, 1896년) = 가능한 파라수치어
  • Z. cambrensisla(Newton, 1899년) = '뉴턴사우루스'(Welles & Pickering, 1993) – 테로포다 인데트주 사우스 웨일즈에서 주형으로 보존된 치아를 가진 아래턱으로부터 알려진 노먼 누덤이다.
  • Z. schutziila(Fraas, 1900년) = 바트라코토무스
  • Z. silesiacusla(Jakel, 1910) = 아르코사우로모르파(Archosauromorpha)의 노멘 두비움


''잔클로돈''은 이전에 테라토사우루스과(Teratosauridae)에 속했고,[6] 수각류 내에 위치했으며, 때로는 판룡과(Plateosauridae)의 재료가 실수로 ''잔클로돈''으로 잘못 언급되기도 했다.[7] 현재는 불확실한 원시 아르코사우르로 여겨진다.[7]

3. 1. 종 목록


  • Z. laevisla(플리닝거, 1846) [원래 "스밀로돈"] (기준종)[12][13]
  • Z. crenatusla(플리닝거, 1846) [원래 "Smilodon"] = 아르코사우로모르파 불확실 종의 ''이명''
  • Z. bavaricusla(Fraas, 1894, Sandberger, 1894) = 용각류 ''분류 불확실''[7]
  • Z. plieningerila(Fraas, 1896) = ''Z. laevis''의 주니어 동의어[7]
  • Z. arenaceusla(Fraas, 1896) = 가능한 파라수키아 피토사우루스[8][9]
  • Z. cambrensisla(Newton, 1899) = '"뉴턴사우루스" (Welles & Pickering, 1993) – ''무명종'', 웨일스 남부에서 치아가 틀로 보존된 하악에서 알려짐, 수각류 불확실 종.[10]
  • Z. schutziila(Fraas, 1900) = ''바트라코토무스''[11]
  • Z. silesiacusla(예켈, 1910) = 아르코사우로모르파 불확실 종의 ''이명''[12][13]

4. 생태

잔클로돈이 생존하던 시기는 중생대트라이아스기 후기로 지금으로부터 약 2억년전~1억 8천만년전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호수에서 주로 서식했던 종이다. 화석1846년에 유럽의 독일의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독일의 고생물학자인 플리닝거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5. 발견

1846년유럽국가 중에 하나인 독일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지층에서 독일의 고생물학자인 플리닝거에 의해 처음으로 화석이 발견되어 새롭게 명명된 종이다. 모식표본인 SMNS 56045는 이빨이 있는 위턱뼈로, 독일 남부의 가일도르프 명반 광산에서 발견되었다.[3] ''잔클로돈''(Zanclodon)은 원래 Plieninger (1846)에 의해 ''스밀로돈''(Smilodon)으로 명명되었으나, 이 이름은 이미 검치호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명이의어) Plieninger는 1847년에 대체 이름인 ''잔클로돈''(Zanclodon)을 제정했다.[4] 또한 ''Z. laevis''에 준렉토타입으로 SMNS 6045a, 즉 분리된 치아 맹아가 지정되었다.[3]

''Z. plieningeri''는 1896년 프라아스에 의해 명명되었지만,[5] 출판 직후 두 종 모두 동일한 표본인 SMNS 6045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Z. laevis''의 주니어 동의어가 되었다.[7]

이전에 많은 종들이 ''잔클로돈''(Zanclodon) 속으로 묶여 있었지만, 현재는 모식종인 ''Z. laevis''만이 이 속에 속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 잔클로돈이 생존하던 시기는 중생대트라이아스기 후기로 지금으로부터 약 2억년전~1억 8천만년전에 생존했던 악어이다. 생존했던 시기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호수에서 주로 서식했던 종이다.

참조

[1] 간행물 The vertebrate fauna of the Lower Keuper Albertibank (Erfurt Formation, Middle Triassic) in the vicinity of Schwäbisch Hall (Baden-Württemberg, Germany) 2011
[2] 웹사이트 PaleoBiology Database: ''Zanclodon'', basic info https://paleobiodb.o[...]
[3] 간행물 New archosauriform remains from the German Lower Keuper 2011
[4] 간행물 Über ein neues Sauriergenus und die Einreihung der Saurier mit flachen, schneidenden Zähnen in Eine Familie [On a new saurian genus and incorporating the saurian with flat, cutting teeth into a family] 1846
[5] 서적 Die Schwäbischen Trias-Saurier nach dem Material der Kgl. Naturalien-Sammlung in Stuttgart zusammengestellt [Swabian Triassic dinosaurs based on the material in the Royal Natural History Collection compiled in Stuttgart] Festgabe des Königlichen Naturalien-Cabinets In Stuttgart zur 42 Versammlung der Deutschen geologischen Gesellschaft in Stuttgart, August 1896. E. Schweizerbart'sche Verlag-handlung (E. Koch), Stuttgart 1896
[6] 간행물 ''Zanclodon schützii'' n. sp. aus dem Trigonodusdolomit von Hall [''Zanclodon schützii'' n. sp. from the Trigonodus-dolomite of Halle] 1900
[7] 간행물 The prosauropod dinosaur ''Plateosaurus'' Meyer, 1837 (Saurischia: Sauropodomorpha; Upper Triassic). II. Notes on the referred species Genève 2001
[8] 간행물 The statu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Zanclodon" arenaceus'': the earliest known phytosaur? 2001
[9] 간행물 Stratigraphie und Taphonomie wirbeltierreicher Schichten im Unterkeuper (Mitteltrias) von Vellberg (SW-Deutschland) 2002
[10] 간행물 On a megalosaurid jaw from Rhaetic beds near Bridgend (Glamorganshire) 1899
[11] 간행물 Ueber einen neuen Belodonten aus dem Buntsandstein von Bernburg [On a new belodontid from the Buntsandstein of Bernburg] 1910
[12] 간행물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2012
[13] journal A re-evaluation of the historical 'dinosaur' remains from the Middle-Upper Triassic of Poland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