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딸기는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키는 20~60cm이며, 잎과 가지에 털과 가시가 있다. 5~6월에 흰색 꽃이 피고, 7~8월에 붉은색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var. brevipedicellus와 var. hirsutus 두 가지 변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미과 -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장미과 낙엽성 활엽 소교목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달콤하고 새콤한 맛의 사과 열매를 맺으며 목재로도 활용된다.
  • 장미과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산딸기속 - 블랙베리
    블랙베리는 2년생 식물로, 늦봄에서 초여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식이 섬유와 비타민을 제공하며 후식, 잼, 와인 등 다양한 식품에 사용된다.
  • 산딸기속 - 라즈베리
    라즈베리는 산딸기속에 속하는 여러 식물의 열매를 통칭하며, 유럽 라즈베리, 아메리카 라즈베리, 검은 라즈베리 등이 대표적이고, 생과일, 잼, 양과자, 허브티, 리큐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잎은 허브차로도 사용된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장딸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원 환경에서의 모습
정원 환경에서의 모습
열매
열매
학명Rubus hirsutus
명명자Thunb.
기타 이름와세이치고 (早稲苺)
나베이치고 (鍋苺)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
아강 (계급 없음)핵심 진정쌍떡잎식물
하강 (계급 없음)장미군
상목 (계급 없음)진정장미군 I
장미목
장미과
아과장미아과
Rubeae
키イチゴ속
아속R. subg. Idaeobatus
Rubus hirsutus
분포
서식지정원
품종
품종 목록야에자키쿠사이치고 (R. h. f. harae)
마루바쿠사이치고 (R. h. f. simplicifolius)
키미노쿠사이치고 (R. h. f. xanthocarpus)
학명 정보
이명Rubus thunbergii Siebold et Zucc.
Rubus ohmatiensis Nakai
Rubus hirsutus Thunb. f. ohmatiensis (Nakai) Ohwi
일본어 이름
일본어 이름クサイチゴ (쿠사이치고)

2. 분포 및 생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다도해 섬 지역, 영남 및 호남 지방의 해안가 산지나 들에서 주로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혼슈, 시코쿠, 규슈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 번식하며, 생명력이 강하여 뿌리에서 싹이 잘 튼다.

3. 형태

장딸기는 한국 원산으로, 높이가 20~60cm 정도이다. 가지와 잎 전체에 짧은 연모가 빽빽하게 나 있으며, 드문드문 선모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3~5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앞뒤로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은 가지 끝에 5~6월에 지름 3~4cm 크기로 흰색 꽃이 핀다. 꽃잎은 난원형이며, 길이는 15~20mm이다. 꽃 중앙에는 암술이 다수 있으며, 그 주위에 역시 다수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소형의 핵과이고 다수가 모여 지름 1cm가량으로 7~8월에 둥글게 붉은색으로 익으며 맛이 좋다. 열매는 집합과이며 크고 붉게 익으며 먹을 수 있고, 신맛이 적고 단맛이 난다.

4. 하위 분류

다음과 같은 변종이 인정된다.[1]


  • ''Rubus hirsutus'' var. ''brevipedicellus'' – 안후이성 남동부
  • ''Rubus hirsutus'' var. ''hirsutus'' – 전체 분포 지역

5. 사진

참조

[1] 간행물 Rubus hirsutus Thunb. 2022-01-29
[2] 웹사이트 Rubus hirsutus https://plants.ces.n[...] N.C. Cooperative Extension 2022-01-29
[3] 논문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Rubus hirsutus Thunb. a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in Rubus species https://link.springe[...] 2022-01-29
[4] 웹사이트 2022-12-26
[5] 웹사이트 2022-12-26
[6] 웹사이트 2022-12-26
[7] 웹사이트 2022-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