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림아는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일원으로, 유복통에 의해 소명왕으로 추대된 인물이다. 1355년 유복통은 한림아를 황제로 옹립하고 보저우에 도읍을 정했다. 이후 개봉을 점령했으나 원나라 군의 공격으로 안풍으로 피신했으며, 유복통이 장사성에게 살해된 후 주원장의 보호를 받다 1366년 주원장에 의해 살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6년 사망 - 명옥진
    명옥진은 원나라 말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여 사천 지역을 평정하고 대하국을 세웠으나, 사후 아들 대에 명나라에 의해 멸망한 인물이다.
  • 1366년 사망 - 이공수 (14세기)
    이공수는 고려 말 문신으로, 홍건적과 최유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원나라에서 공민왕 복위를 위해 노력했으며, 신돈 집권 후 은거하다 왜구 침입 시 왕실 위패를 보호하여 익산부원군에 봉해지고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 1340년 출생 - 하스다이 크레스카스
    하스다이 크레스카스는 14세기 후반 이베리아 반도에서 활동한 유대인 학자이자 철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하고 유대교 신앙을 옹호했으며, 저서 『오르 아도나이』는 16세기 과학 혁명에 영향을 미쳤다.
  • 1340년 출생 - 제1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
    에드워드 3세의 아들이자 랭커스터 공작인 곤트의 존은 백년 전쟁 참여, 카스티야 왕위 주장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세 번의 결혼으로 랭커스터, 보퍼트 가문을 형성하여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가와 연결되었다.
  • 원나라의 도적 - 한산동
    한산동은 원나라 말기 미륵불 신앙을 기반으로 민중 봉기를 선동하고 북송 휘종의 후손을 자처하며 홍건적의 난을 주도하려다 처형되었으나, 그의 아들 한림아가 난을 이어갔다.
  • 원나라의 도적 - 진우량
    진우량은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에 가담하여 서수휘를 살해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어 대한을 건국했으나 주원장과의 파양호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한 인물이다.
한림아
기본 정보
이름한린얼 (韓林兒)
칭호황제
왕조
재위 기간1355년–1367년
연호용봉 (龍鳳)
출생미상
사망1367년
아버지한산동
어머니양씨
통치 정보
즉위1355년
폐위1367년
연호 기간1355년–1366년
기타 정보
사후 시호미상

2. 생애

1355년 유복통한산동의 아들 한림아를 황제로 세워 소명왕(小明王)이라 칭하고, 보저우에 도읍을 정하였다. 1358년 유복통북송의 수도였던 개봉을 함락하고 한림아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1359년 원나라의 차간 테무르, 보로트 테무르 등이 토벌군으로 카이펑을 포위하자, 한림아와 유복통은 다시 안풍(安豊)으로 도망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선생과 파두반의 홍건적이 원나라 여름 수도였던 상도와 주변 지역을 함락시키기도 했으나, 1359년 주력부대가 주둔하던 변량(개봉)을 다시 원나라에 뺐기면서 요동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1360년에는 홍건적의 고려 침공이 있었다. 한림아는 곽자흥의 부하 장수로 있던 주원장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신뢰했는데, 뒤에 그에게 배신당하게 된다.

1363년 봄, 장사성이 여진을 보내 안풍을 포위 후 공격하여 유복통을 죽였다. 이때 주원장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 여진을 물리친 후 한림아를 구출해 저주로 맞아들였으나, 1366년 12월 15일, 주원장은 한림아를 강물에 빠뜨려 죽였다고 한다.

2. 1. 출생과 배경

백련교 지도자였던 아버지 한산동북송 휘종 황제의 8대손이라 자칭하며, 신자 유복통 등과 함께 몽골 지배에 저항하여 거병을 시도하였다(홍건적의 난). 그러나 거병 직전 계획이 발각되어 한산동은 처형당하였다. 한림아는 어머니 양씨와 함께 산간으로 도망쳤다.

2. 2. 소명왕 즉위

1355년 유복통한산동의 아들 한림아를 황제(소명왕)로 추대하고 보저우에 도읍을 정했다. 한림아는 아버지 한산동의 유지를 이어 소명왕을 자칭하고, 국호를 대송(大宋), 연호를 용봉으로 정했다. 어머니 양씨는 황태후로 삼았다. 이는 원나라에 억압받던 한족의 지지를 얻기 위함이었다.

1358년 유복통북송의 수도였던 개봉을 함락하고 한림아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1359년 원나라의 차간 테무르, 보로트 테무르 등의 토벌군에 의해 카이펑이 포위되자, 한림아와 유복통은 안풍으로 도망하였다.

한림아는 전국 홍건적과 백련교도의 명목상 총수였으나, 실제로는 승상(丞相) 유복통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홍건군 내부에서도 진우량, 곽자흥 등은 독자적인 경향이 강해 결속력이 약했다. 1363년 장사성이 보낸 여진(呂珍)이 안풍을 공격하여 유복통을 살해했다.

주원장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 여진(呂珍)을 격퇴하고 한림아를 구출, 저주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1366년 12월 15일, 주원장은 한림아를 강물에 빠뜨려 죽였다고 전해진다. 일설에는 주원장의 명을 받은 부장 료영충이 암살했다고도 한다.

2. 3. 홍건적의 난과 내분

1355년 유복통한산동의 아들 한림아를 황제로 세워 소명왕(小明王)이라 칭하고, 보저우에 도읍을 정하였다.

1358년 유복통은 북송의 수도였던 개봉을 함락하고 한림아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1359년 원나라의 차간 테무르, 보로트 테무르 등이 토벌군으로 카이펑을 포위하자 한림아와 유복통은 다시 안풍(安豊)으로 도망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선생과 파두반의 홍건적이 원나라 여름 수도였던 상도와 주변 지역을 함락시키기도 했으나, 1359년 주력부대가 주둔하던 변량(개봉)을 다시 원나라에 뺐기면서 요동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1360년에는 홍건적의 고려 침공이 있었다.

1363년 봄, 장사성이 여진을 보내 안풍을 포위 후 공격하여 유복통을 죽였다. 이 때 주원장이 구원을 와 여진을 물리친 후 한림아를 구출해 내어 저주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1366년 12월 15일, 주원장은 한림아를 강물에 빠뜨려 죽였다고 한다.

2. 4. 주원장과의 관계와 죽음

1355년 유복통한산동의 아들 한림아를 황제로 세워 소명왕이라 칭하고, 보저우에 도읍을 정하였다. 1358년 유복통북송의 수도였던 개봉을 함락하고 한림아를 맞아들였다. 그러나 1359년 원나라의 차간 테무르, 보로트 테무르 등이 토벌군으로 카이펑을 포위하자 한림아와 유복통은 다시 안풍으로 도망하였다.

1363년 봄, 장사성이 여진을 보내 안풍을 포위 공격하여 유복통을 죽였다. 이때 주원장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 여진을 물리치고 한림아를 구출해 저주로 맞아들였다. 그러나 1366년 12월 15일, 주원장은 한림아를 강물에 빠뜨려 죽였다고 한다.

한림아는 아버지 한산동의 유지를 이어 주현에서 소명왕을 자칭하고, 국호를 대송(大宋), 연호를 용봉으로 정했다. 어머니 양씨를 황태후로 삼았다. “송”을 재흥함으로써, 원에 억압받던 한족의 지지를 얻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반란을 계속하던 홍건군, 백련교도의 명목상 총수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승상이 된 유복통의 꼭두각시였다. 또한 홍건군 내부도 진우량, 곽자흥 등은 독립적인 경향을 강하게 보여 하나로 뭉친 세력이 아니었다.

1363년, 평강로를 근거지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던 장사성 군대에 공격받아 유복통은 전사했다. 한림아는 곽자흥의 사후 그의 병력을 이어받은 오국공 주원장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주원장은 군대를 이끌고 여진을 무찔렀고, 한림아를 서주로 이송했다. 1364년 주원장은 오왕을 자칭했고, 마찬가지로 오왕을 칭한 장사성과는 불구대천의 원수가 되었다.

1366년, 주원장은 자신의 근거지인 응천부로 한림아를 불러들였지만, 그 도중 과보에서 배가 전복되어 한림아는 익사했다. 일설에는 주원장의 명을 받은 부장 료영충에게 암살당했다고도 한다.

3. 평가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문서 제목, 섹션 제목, 요약(있는 경우)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4. 대중문화 속 한림아

소설 『의천도룡기』에서는 아버지 한산동(韓山童)이 부하 주원장(朱元璋)의 계략에 걸려 죽었을 때, 주원장은 자비로운 척하며 한림아(韓林兒)의 처형을 망설이는 듯 보였으나, 결국 강에 빠뜨려 익사시켰다. 후에 주원장은 명교(明教)를 이용하여 천하를 제압했다고 묘사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