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액군은 중국 역사에서 여러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주로 간쑤성 지역에 위치했다.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흉노 정벌 후 하서 4군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이후 왕망 시대에는 설병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후한, 진, 서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명칭과 관할 지역이 여러 번 바뀌었다. 수나라 시대에는 간저우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장액군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간저우로 명칭이 바뀌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역사

기원전 121년 곽거병이 흉노의 혼야왕과 휴저왕을 격파하고 혼야왕이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하서 4군 중 하나인 장액군이 설치되었다. 장액군은 "나라의 팔과 겨드랑이를 뻗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장액군은 시대에 따라 그 명칭과 관할 지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 신나라: 왕망이 집권하면서 설병군으로 개칭.
  • 후한: 후한 건국 후 장액군으로 명칭 복귀.
  • 진(晉): 진 시대에도 장액군 유지.
  • 서위: 서위 시대에 서량주 설치로 장액군이 이에 속함. 554년 서량주가 간저우로 개칭되면서 장액군은 간저우에 속함.
  • 수나라: 583년 군제 폐지로 장액군은 간저우로 개칭. 607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간저우는 다시 장액군으로 개칭.
  • 당나라: 619년 당나라가 이궤를 평정하면서 장액군은 간저우로 개칭. 742년 간저우는 다시 장액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 장액군은 다시 간저우로 개칭되면서 장액군의 명칭은 사라짐.

2. 1. 전한

기원전 121년(원수 2년) 곽거병이 흉노의 혼야왕과 휴저왕을 격파하자 혼야왕이 휴저왕을 죽이고 휴저왕의 무리와 함께 투항하면서[6] 한나라가 혼야왕과 휴저왕의 땅에 하서 4군을 설치했는데, 장액군은 그 중 하나로 혼야왕의 옛 땅에 설치되었다. 군의 명칭은 응소에 따르면 “나라의 팔과 겨드랑이를 뻗치다”라는 뜻의 장국비액(張國臂掖)에서 따온 것이다. 설치된 시기는 이설이 있으나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따르면 기원전 104년(태초 원년)에 설치됐다.[8] 혹은 기원전 111년(원정 6년)에 주천군무위군을 분할해 돈황군과 함께 설치됐다.[7] 2만 4352호, 8만 8731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녹득현觻得縣장예 시 북서천금거(千金渠)가 서쪽으로 악관(樂涫)에서 택중(澤中)으로 들어간다. 강곡수(羌谷水)가 강중(羌中)에서 나와 동북으로 거연(居延)에서 바다[거연해(居延海)]로 들어가는데 두 군을 지나 2100리를 간다.
소무현昭武縣장예 시 린쩌 현 북동
산단현刪丹縣장예 시 산단 현
저지현氐池縣장예 시 민러 현
옥란현屋蘭縣장예 시 산단 현 북서
일륵현日勒縣장예 시 산단 현 남동도위가 택삭곡(澤索谷)에서 다스린다.
여건현驪靬縣진창 시 융창 현 남
반화현番和縣진창 시 융창 현농도위(農都尉)가 다스린다.
거연현居延縣아라산 맹 어지나 기거연택(居延澤)이 동북에 있는데 옛 글에는 유사(流沙)라고 했다. 도위가 다스린다.
현미현顯美縣진창 시 융창 현 동

[8]

기원전 111년(원정 6년), 주천군의 동부를 분리하여 장액군이 설치되었다. 장액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역득, 소무, 산단, 옥란, 저츠, 일륵, 려견, 번화, 거연, 현미의 10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 설병군으로 개칭되었다.

2. 2. 신나라

왕망이 집권하면서 군의 이름을 설병(設屏)으로 고치고, 소속 현들의 이름도 아래와 같이 바꾸었다.

전한
녹득(觻得)관식(官式)
소무(昭武)거무(渠武)
산단(刪丹)관로(貫虜)
저지(氐池)비무(否武)
옥란(屋蘭)전무(傳武)
일륵(日勒)늑치(勒治)
여건(驪靬)게로(揭虜)
반화(番和)나로(羅虜)
거연(居延)거성(居成)


2. 3. 후한

후한이 건국되자 장액군으로 명칭이 복귀되었다. 장액군은 역득, 소무, 산단, 옥란, 저츠, 일륵, 려견, 번화의 8개 현을 관할했다.

2. 4. 진(晉)

진 시대에 장액군은 영평, 린저, 옥란의 3개 현을 관할했다.

2. 5. 서위 및 수나라

서위 시대에 서량주가 설치되자 장액군은 이에 속했다. 554년 (폐제 3년), 서량주가 간저우로 개칭되면서 장액군은 간저우에 속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장액군은 간저우로 개칭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간저우는 장액군으로 개칭되었다. 장액군 관할 현은 장액, 산단, 복록 3개 현이었다.

2. 6. 당나라

619년(무덕 2년), 당나라가 이궤를 평정하면서 장액군은 간저우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간저우는 다시 장액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에 장액군은 다시 간저우로 개칭되면서 장액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3. 역대 태수

이름재임 시기
소함성제 시기?
우상? ~ 기원전 18년
복(福)전한 시기[9]
수(壽)전한 시기[9]
봉세(奉世)전한 시기 (대개 풍봉세로 추정)[9]
사포경시 정권 멸망 후 장액태수 자칭, 후한 건국 후 유임
초승(焦勝)267년 당시[10]


3. 1. 전한

3. 2. 후한

사포는 경시 정권 멸망 후 장액태수를 자칭하였고, 후한 건국 후 유임되었다.[1]

3. 3. 서진

초승(焦勝, 267년 당시)[10]

4. 속현

원수 2년(기원전 121년) 곽거병이 흉노의 혼야왕과 휴저왕을 격파하자 혼야왕이 휴저왕을 죽이고 휴저왕의 무리와 함께 투항하면서[6] 한나라가 혼야왕과 휴저왕의 땅에 하서 4군을 설치했는데, 장액군은 그 중 하나로 혼야왕의 옛 땅에 설치되었다. 군의 명칭은 응소에 따르면 “나라의 팔과 겨드랑이를 뻗치다”라는 뜻의 장국비액(張國臂掖)에서 따온 것이다. 설치 시기는 이설이 있으나, 《한서》 지리지의 주석에 따르면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설치됐다.[8] 혹은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주천군무위군을 분할해 돈황군과 함께 설치되었다는 설도 있다.[7] 2만 4352호, 8만 8731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녹득현觻得縣장예 시 북서천금거(千金渠)가 서쪽으로 악관(樂涫)에서 택중(澤中)으로 들어간다. 강곡수(羌谷水)가 강중(羌中)에서 나와 동북으로 거연(居延)에서 바다[거연해(居延海)]로 들어가는데 두 군을 지나 2100리를 간다.
소무현昭武縣장예 시 린쩌 현 북동
산단현刪丹縣장예 시 산단 현
저지현氐池縣장예 시 민러 현
옥란현屋蘭縣장예 시 산단 현 북서
일륵현日勒縣장예 시 산단 현 남동도위가 택삭곡(澤索谷)에서 다스린다.
여건현驪靬縣진창 시 융창 현 남
반화현番和縣진창 시 융창 현농도위(農都尉)가 다스린다.
거연현居延縣아라산 맹 어지나 기거연택(居延澤)이 동북에 있는데 옛 글에는 유사(流沙)라고 했다. 도위가 다스린다.
현미현顯美縣진창 시 융창 현 동

[8]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晋書
[4] 서적 隋書
[5] 서적 旧唐書
[6] 서적 한서 권94 상 흉노전제64 상
[7] 서적 한서 권6 무제기제6
[8] 서적 한서 권28 하 지리지제8 하
[9] 문서 거연한간
[10] 서적 수신기 권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