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충단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충단비는 1900년 11월, 을미사변 때 순국한 장병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고종이 세운 장충단의 내력을 새겨 건립되었다. 비문은 당시 육군부장 민영환이 짓고 썼으며, 순종이 될 황태자가 전서체로 '奬忠壇'이라는 제목을 썼다. 일제강점기에는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되어 현재는 수표교 서쪽에 위치하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작품 - 핀란디아
    핀란디아는 장 시벨리우스가 핀란드인들의 민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작곡한 교향시로, 웅장한 선율과 핀란디아 송가가 특징적이며 핀란드에서 애국가로 널리 불린다.
  • 1900년 작품 - 왕벌의 비행
    왕벌의 비행은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작곡한 오페라 '술탄 황제'의 간주곡으로, 마법으로 벌이 된 왕자가 수도로 날아가는 장면을 묘사하며, 다양한 악기 편곡을 통해 연주 기교를 뽐내는 곡으로 널리 알려져 대중 매체와 교육 자료로 활용된다.
  • 석비 - 오벨리스크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집트에서 태양신을 상징하던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사각 기둥 모양의 석조 건축물로, 로마 제국 시대에 약탈되어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석비 - 당번회맹비
    당번회맹비는 티베트의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문서를 포괄하며, 티베트 제국 시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지배에 이르기까지 티베트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주요 조약 및 문서들을 다룬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와룡묘
    와룡묘는 제갈량을 모시는 사당으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어 화재로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며, 제갈량상, 관우상, 단군상 등을 모시고 한국 토속 신앙과 결합된 무속 신앙의 형태를 띤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장충단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충단비
이름장충단비 (奬忠壇碑)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1
지정일1969년 9월 18일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97번지
시대대한제국시대
면적토지 1m2
꼬리표서울 장충단공원

2. 장충단의 건립 배경

장충단은 고종 32년(1895년) 을미사변 때 순국한 홍계훈, 이경직 등 충신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광무 4년(1900년) 고종 황제의 명으로 남소영(南小營) 터에 세워진 제단이다. 건립 후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냈으나, 1910년 일제 강점 이후 폐사되었다.

2. 1. 을미사변과 순국

고종 32년(1895년) 경복궁에서는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비극적인 사건, 즉 을미사변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일본 낭인들과 군인들이 궁궐에 난입하여 벌인 만행이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의 군인과 관리들은 침략자들에 맞서 싸웠다. 특히 당시 시위대 연대장이었던 홍계훈궁내부 대신이었던 이경직 등 여러 충신과 장병들이 일본인들을 물리치려다 장렬하게 순국하였다. 이들의 숭고한 희생은 나라를 지키려 했던 충성심의 발로였으며, 훗날 고종 황제가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장충단을 세우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2. 고종의 장충단 건립 지시

조선 고종 32년(1895) 경복궁에서 일본인들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비극적인 사건, 즉 을미사변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궁궐을 침입한 일본인들에 맞서 싸우다 시위대(侍衛隊) 연대장 홍계훈과 궁내부(宮內府) 대신 이경직을 비롯한 여러 충성스러운 신하와 병사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에 고종 황제는 나라를 위해 순국한 이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충절을 기리기 위해 광무 4년(1900) 9월, 제단 건립을 명하였다. 이 제단이 바로 장충단이며, 당시 군사 훈련장이었던 남소영(南小營) 터에 세워졌다.

3. 장충단의 역사

장충단은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 시해에 저항하다 순국한 홍계훈, 이경직 등 여러 충신과 장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으로 세워진 제단이다. 이때 장충단비도 함께 건립되었는데, 앞면의 '장충단(奬忠檀)' 글씨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직접 썼고, 뒷면의 비문은 민영환이 지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매년 봄과 가을에 이곳에서 순국한 이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냈으나,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제사를 강제로 폐지하고 장충단비를 뽑아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1920년대 후반부터 일제는 이곳을 '장충단 공원'으로 만들어 벚꽃을 심고 여러 시설을 마구 설치했으며, 특히 상해사변 당시 숨진 일본군을 기리는 동상이나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된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박문사 등을 세워 장충단 본래의 의미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다.

광복 후 일제가 세웠던 건물들은 철거되었지만, 안타깝게도 6.25 전쟁을 겪으며 사당과 부속 건물들이 파괴되어 현재는 장충단비만 남아 있다. 일제에 의해 뽑혔던 비는 광복 이후 다시 찾아 영빈관(현 신라호텔 자리) 안에 세웠다가, 1969년 현재의 위치인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으로 옮겨 세워졌다.

3. 1. 대한제국 시기 장충단

고종 32년(1895) 경복궁에서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즉 을미사변 때 일본인을 물리치다 장렬하게 순사(殉死)한 시위대(侍衛隊) 연대장 홍계훈(洪啓薰)과 궁내부(宮內府) 대신 이경직(李耕稙)을 비롯한 여러 장졸들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광무 4년(1900) 9월, 고종 황제의 명으로 남소영(南小營) 자리에 장충단이라는 이름의 사당이 세워졌다.

이때 장충단비도 함께 세워졌는데, 비석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직접 쓴 글씨이다. 비석 뒷면에는 민영환이 지은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사당이 건립된 후 대한제국 시기에는 매년 봄과 가을에 이곳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이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냈다. 장충단은 이처럼 을미사변 당시 순국한 충신 및 장졸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의 충의를 기리는 중요한 상징적 공간이었다.

3. 2. 일제강점기 장충단의 훼손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장충단에서 매년 봄가을에 지내던 제사를 폐지하고, 순종이 황태자 시절에 쓴 '장충단' 글씨가 새겨진 장충단비마저 뽑아 버렸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장충단 터 일대를 '장충단공원'으로 이름 붙이고 공원 시설을 마구 설치하며 원래의 의미를 퇴색시켰다. 이곳에 일본을 상징하는 벚꽃을 대거 심고, 상해사변 당시 일본군 전사자를 기리는 이른바 육탄삼용사 동상을 세우기도 했다. 특히, 안중근 의사에 의해 처단된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기 위한 사당인 박문사를 건립했는데, 이는 을미사변 당시 순국한 조선의 충신들을 기리던 장충단의 본래 의미를 정면으로 부정하고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일제의 의도가 담긴 행위였다.

3. 3. 광복 이후 장충단의 복원

광복 후, 일제가 상해사변(上海事變) 때 전사한 일본군 결사대인 육탄삼용사(肉彈三勇士)를 기리기 위해 세운 동상과 안중근(安重根) 의사에 의해 처단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추모하기 위한 박문사(博文寺)는 모두 철거되었다. 그러나 6.25 전쟁을 거치면서 장충단의 사당과 부속 건물들이 파괴되어, 일제에 의해 뽑혔다가 광복 후 다시 세워진 장충단비만 남게 되었다. 이후 1969년, 이 비는 현재의 위치인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으로 옮겨 세워졌다.

4. 장충단비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명성황후를 지키려다 순국한 궁내부 대신 이경직과 시위대 연대장 홍계훈 등 여러 충신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으로 장충단이 세워질 때 함께 건립되었다.

비석은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 몸체를 올린 간결한 구조이다. 앞면에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직접 쓴 '장충단(奬忠檀)'이라는 글자가 전서체로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육군 부장 민영환이 직접 짓고 쓴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제에 의해 강제로 뽑혀 버려지는 수난을 겪었으나, 광복 후 다시 찾아 세웠다. 처음에는 영빈관(현 신라호텔 자리) 안에 세워졌다가, 1969년 현재의 위치인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으로 옮겨졌다.

4. 1. 장충단비의 건립과 수난

조선 고종 32년(1895) 경복궁에서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인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궁내부 대신 이경직(李耕稙, 1841∼1895)과 시위대 연대장 홍계훈(洪啓薰, ?∼1895)을 비롯한 여러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광무 4년(1900) 9월 고종 황제의 명으로 남소영 자리에 장충단이라는 제단이 세워졌다.

장충단 건립과 함께 그 내력을 새긴 장충단비도 1900년 11월에 세워졌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석 몸체를 올린 간결한 구조이다. 비석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글자가 전서체로 새겨져 있는데, 이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직접 쓴 것이다. 뒷면에는 당시 육군 부장이었던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이 직접 짓고 쓴 비문이 새겨져 있다.

장충단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냈으나,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제사를 폐지하고 장충단비를 뽑아 버렸다. 1920년대 후반부터 일제는 이곳 일대를 '장충단 공원'이라 이름 짓고 벚꽃을 심는 등 공원 시설을 마구 설치했다. 심지어 상해사변 때 사망한 일본군 결사대원의 동상과,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된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기 위한 박문사(博文寺)까지 세우며 우리 민족의 아픔이 서린 장소를 능욕했다.

광복 후, 일제가 세웠던 동상과 박문사는 철거되었다. 뽑혀졌던 장충단비도 다시 찾아 당시 영빈관(현재 신라호텔 자리) 안에 세웠다. 하지만 6.25 전쟁을 겪으며 장충단의 사당과 부속 건물들은 모두 파괴되었고, 장충단비만 남게 되었다. 이후 1969년, 장충단비는 현재 위치인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으로 옮겨져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4. 2. 비문의 내용과 의미

비의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세 글자가 전서체로 새겨져 있다. 이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쓴 글씨이다. 비의 뒷면에는 을미사변 당시 순국한 충신들을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대한제국의 육군 부장이었던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이 직접 짓고 쓴 것이다.

비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삼가 생각하건대 우리 대황제 폐하께서는 자질이 상성(上聖)처럼 빼어나고 운수는 중흥을 만나시어 태산의 반석과 같은 왕업을 세우고 위험의 조짐을 경계하셨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가끔 주춤하기도 하셨는데 마침내 갑오·을미사변이 일어나 무신으로서 난국에 뛰어들어 죽음으로 몸바친 사람이 많았다. 아! 그 의열(毅烈)은 서리와 눈발보다 늠름하고 명절(名節)은 해와 별처럼 빛나니, 길이 제향(祭享)을 누리고 기록으로 남겨야 마땅하다. 그래서 황제께서 특별히 충성을 기리는 뜻을 표하고 이에 슬퍼하는 조서(詔書)를 내려 제단을 쌓고 비를 세워 표창하며, 또 계속 봄가을로 제사드릴 것을 정하여 높이 보답하는 뜻을 보이고 풍속으로 삼으시니, 이는 참으로 백세(百世)에 보기 드문 가르침이다. 사기(士氣)를 북돋우고 군심(軍心)을 분발시킴이 진실로 여기에 있으니 아! 성대하다. 아! 성대하다.

이 비문은 1895년 을미사변명성황후를 지키려다 일본인들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시위대 연대장 홍계훈(洪啓薰), 궁내부 대신 이경직(李耕稙)을 비롯한 여러 장병들의 숭고한 죽음을 기리고 있다. 비문은 이들의 충성스러운 절개와 의로운 죽음이 "서리와 눈발보다 늠름하고 해와 별처럼 빛난다"고 칭송하며, 고종 황제가 이들의 충절을 영원히 기리고자 제단을 쌓고 비를 세워 봄가을로 제사를 지내도록 명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충성심을 후세에 전하여 본받게 하려는 고종의 뜻을 담고 있으며, 나아가 당시의 어려운 시대 상황 속에서 관리와 군인들의 사기를 높이고 충성심을 강조하려는 의도 또한 엿볼 수 있다.

5. 장충단의 현대적 의의

(내용 없음)

5. 1. 문화재로서의 가치

장충단은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를 지키려다 순국한 시위대장 홍계훈과 궁내부대신 이경직을 비롯한 여러 충신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제단이다.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으로 장충단을 조성하면서 이 비도 함께 건립되었다.

비석은 네모반듯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운 단순한 형태이다.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비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이 직접 쓴 글씨이다. 비석 뒷면에는 민영환이 직접 지은 비문이 새겨져 있어, 비의 건립 취지와 역사적 의미를 더한다.

그러나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민족정기를 억누르기 위해 장충단비를 강제로 뽑아버렸다. 이후 1920년대 후반부터는 장충단 일대에 여러 시설을 마구잡이로 짓고 공원으로 만들어버리는 등 그 의미를 크게 훼손했다. 광복 이후, 일제가 세웠던 건물들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뽑혔던 비석을 다시 찾아 세웠으며, 1969년 현재의 위치인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으로 옮겨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장충단비는 대한제국 시기 충신들을 기리는 의미와 함께 일제강점기 수난의 역사를 간직한 중요한 문화재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