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스타로뱅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생애
- 3. 개인적 삶
- 4. 문학 이론
- 5. 주요 저서
- 5.1. 몽테스키외
- 5.2.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
- 5.3. 우울증 치료의 역사, 기원에서 1900년까지
- 5.4. 살아있는 눈
- 5.5. 자유의 발명
- 5.6. 광대 예술가의 초상
- 5.7. 비평적 관계
- 5.8. 단어 속의 단어: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
- 5.9. 1789: 이성의 상징
- 5.10. 세 가지 격노
- 5.11. 몽테뉴의 움직임
- 5.12. 악에서 치료법. 계몽 시대의 기교에 대한 비판과 정당화
- 5.13. 거울 속의 우울. 보들레르에 대한 세 가지 읽기
- 5.14. 화가들의 공간 속의 디드로
- 5.15. 넉넉함
- 5.16. 행동과 반작용. 한 쌍의 삶과 모험
- 5.17. 시와 전쟁, 연대기 1942-1944
- 5.18. 애무와 채찍, 앙드레 셰니에
- 5.19. 마법사들
- 5.20. 우울의 잉크
- 5.21. 고발하고 유혹하기
- 5.22. 디드로, 한 마리의 악마 같은 노래
- 5.23. 세상의 아름다움 – 문학과 예술
- 5.24. 신체와 그 이유
- 참조
1. 개요
장 스타로뱅스키는 1920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나 2019년 사망한 프랑스 문학 평론가이자 사상가이다. 제네바 대학교에서 프랑스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존스 홉킨스 대학교, 바젤 대학교, 제네바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프랑스 문학과 사상사를 가르쳤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문학 평론과 문화 비평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투명성과 장애》, 《라신과 불행의 눈》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그는 특히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과 문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문체론, 관념사, 정신의학을 융합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독창적인 방법론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 《1789년의 징후》, 《우울의 잉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젤 대학교 교수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바젤 대학교 교수 - 카를 야스퍼스
카를 야스퍼스는 정신의학 및 철학 연구에 기여하고 실존철학을 구축한 독일의 정신의학자이자 실존주의 철학자로, 나치 시대 저항과 전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재건에 기여했으며 핵무기 위협을 분석하는 정치 철학 활동을 펼쳤다. - 스위스 유대인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스위스 유대인 - 미리암 칸
미리암 칸은 스위스 출신의 화가로, 페미니즘, 아동 위험, 여성 의식 등을 주제로 성기 관련 폭력적 표현을 담은 회화와 드로잉 작품을 선보이며,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활발하게 전시 활동을 펼치고, 주요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미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제르단 샤키리
제르단 샤키리는 코소보 출신 알바니아계 스위스 축구 선수로, 스위스 국가대표팀에서 125경기 32골을 기록하고 FC 바젤, 바이에른 뮌헨 등 여러 클럽을 거쳐 2024년 은퇴했다.
장 스타로뱅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장 스타로뱅스키는 폴란드계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1948년 스위스로 귀화했다. 1957년 장 자크 루소를 다룬 〈투명과 장애''La Transparence et l’Obstacle''>라는 박사논문을 저술했는데, 이는 디드로를 비롯한 계몽주의 작가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여러 대학교에서 프랑스 문학을 가르쳤고, 제네바 대학교에서는 사상사와 의학사 수업도 맡았다. 그의 저작들은 12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해석학 문제와 18세기 예술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특히 루소, 디드로, 볼테르에 대한 연구는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의학 및 정신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우울증의 역사를 연구하기도 했다.
1964년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 연구를 처음 출판했고, 장베르트랑 퐁탈리스와 함께 <누벨 르뷔 드 프시카날리즈> 편집회의에 참여했다. 프랑스 학술원 산하 윤리·정치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0년 11월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폴란드계 유대인 부모인 아롱 스타로뱅스키(Aron Starobinski)와 샤인들라 프리드망(Szajndla Frydman)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1913년 폴란드를 떠났다. 아버지 아롱 스타로뱅스키는 의학뿐만 아니라 인문학도 공부하기로 결정했고, 아들 장 스타로뱅스키 또한 아버지의 뒤를 따라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장 스타로뱅스키는 1948년에 스위스 시민권을 얻었다. 그러나 스타로뱅스키 가족은 스위스에서도 유럽 전역의 억압의 유산을 상기시키는 현실을 피할 수 없었다. 1932년 11월, 스타로뱅스키가 11세였을 때, 가족이 살던 제네바의 플랭팔레 지역에서 반파시스트 시위를 이끌던 스위스 유대인 사회주의자 자크 디커에 대한 살인적인 폭력이 발생했다. 스위스군은 시위대에 발포하여 13명이 사망하고 65명이 부상을 입었다.[4]그는 제네바 대학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한 후 의학을 공부했으며, 문학 박사(Docteur ès lettres)와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학문적 경력
제네바 대학교에서 프랑스 문학, 사상사, 의학사를 가르쳤다.[4] 존스 홉킨스 대학교, 바젤 대학교에서도 프랑스 문학을 가르쳤다. 콜레주 드 프랑스 초빙교수(1987-1988),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프랑스 문학 교수직 대리(1992-1993)를 역임하기도 했다.상세한 학문적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기관 및 직위 |
---|---|
1946-1949 | 제네바 대학교 프랑스문학 조교 |
1949-1953 | 제네바 대학교 병원 임상치료과 인턴 |
1953-1954 | 존스 홉킨스 대학교(발티모어 소재) 로망스어학부 강사 |
1954-1956 | 존스 홉킨스 대학교(발티모어 소재) 로망스어학부 조교수 |
1957-1958 | 세리 정신병원(프리이 소재) 인턴 |
1958-1985 | 제네바 대학교 관념사 교수 |
1959-1961 | 바젤 대학교 프랑스 문학 임시교수 |
1964-1967 | 제네바 대학교 프랑스 문학 외래교수 |
1967-1985 | 제네바 대학교 프랑스 문학 정교수 |
1966-1985 | 제네바 대학교 의학부에서 의학사 강의 |
1987-1988 | 콜레주 드 프랑스 초빙교수 |
1992-1993 |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프랑스 문학 교수직 대리 |
2. 3. 주요 활동
존스 홉킨스 대학교, 바젤 대학교, 제네바 대학교에서 프랑스 문학을 가르쳤으며, 제네바 대학교에서는 사상사와 의학사 수업도 맡았다.[4] 그의 저작들은 12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걸작들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채롭게 만들었다. 동시대의 시 창작, 해석과 해석학 문제들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8세기 예술과 문학에 관한 그의 저술(특히 루소, 디드로, 볼테르)은 저술 방식의 고전이 되었고, 이 작가들을 새롭게 파악했다. 의학과 정신의학을 공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울증의 역사를 연구하기도 했다. (특히 <세 가지 분노''Trois Fureurs''>, 1974에서.)[4]1964년,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 연구를 처음으로 출판했다. 또한 장베르트랑 퐁탈리스와 함께 <누벨 르뷔 드 프시카날리즈> 편집회의에 참여하였다.[4]
윤리·정치학 아카데미(프랑스 학술원) 회원이었다.[4]
2. 4. 말년
2010년, 스타로뱅스키는 40,000권 이상의 서적을 보유한 개인 서재를 스위스 국립 도서관 문학 아카이브에 기증했다.스타로뱅스키는 2019년 3월 4일 스위스 모르주에서 9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개인적 삶
4. 문학 이론
장 스타로뱅스키는 <비평 관계>라는 저서에서 자신의 비평 방법론을 서술했다. 그는 문체론, 관념사, 정신의학의 방법론을 동시에 접목하여 적용하고자 했으며, 이를 '관계의 비평'이라고 명명했다. 이 방법은 조르주 풀레, 마르셀 레몽, 장 루세의 저술처럼 제네바 학파와 결부된다.[1]
4. 1. 관계의 비평
장 스타로뱅스키는 특히 <비평 관계''La Relation critique''>라는 제목의 저서에서 자신의 비평 방법론을 서술했다. 이 저서에서 그는 문체론, 관념사, 정신의학의 방법론을 동시에 접목하여 적용하고자 한 것을 설명한다. 그는 이를 '관계의 비평(critique de la relation)'이라고 명명한다. 이 절충주의적 방법은 때때로 '주제적(thématique)'이라 불리며, 조르주 풀레, 마르셀 레몽, 장 루세의 저술처럼 제네바 학파와 결부된다.5. 주요 저서
- 《몽테스키외》(Montesquieu), 파리, Seuil, 1953; 재편집, 1994.
-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Jean-Jacques Rousseau: la transparence et l’obstacle), 파리, Plon, 1957; Gallimard, 1971.
- 논문 《우울증 치료의 역사, 기원에서 1900년까지》(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des origines à 1900), 바젤, Acta psychosomatica, 1960.
- 《살아있는 눈》(L’Œil vivant), 파리, Gallimard, 1961.
- 《자유의 발명》(L’Invention de la Liberté), 제네바, 스키라(Skira), 1964.
- 어네스트 존스(Ernest Jones)의 《햄릿과 오이디푸스》(Hamlet and Oedipus) 서문, 《햄릿》(Hamlet)과 프로이트(Freud), Tel Gallimard, Poche
- 《광대 예술가의 초상》(Portrait de l’artiste en saltimbanque), 제네바, 스키라(Skira), 1970; 파리, Gallimard, 2004.
- 《비평적 관계》(La Relation critique), 파리, Gallimard, 1970; coll. «Tel», 2000.
- 《단어 속의 단어: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Les Mots sous les mots: les anagrammes de Ferdinand de Saussure), 파리, Gallimard, 1971.
- 《1789: 이성의 상징》(1789: Les Emblèmes de la Raison), 파리, Flammarion, 1973.
- 《세 가지 격노》(Trois Fureurs), 파리, Gallimard, 1974.
- "신체의 의식", 《프랑스 정신분석 저널》(Revue Française de Psychanalyse), 1981
- 《몽테뉴의 움직임》(Montaigne en mouvement), 파리, Gallimard, 1982.
- 《클로드 가라슈》(Claude Garache), 파리, Flammarion, 1988.
- 《방향 표지판》(Table d’orientation), 로잔, L’Âge d’homme, 1989.
- 《악에서 치료법. 계몽 시대의 기교에 대한 비판과 정당화》(Le Remède dans le mal. Critique et légitimation de l’artifice à l’âge des Lumières), 파리, Gallimard, 1989.
- 《거울 속의 우울. 보들레르에 대한 세 가지 읽기》(La mélancolie au miroir. Trois lectures de Baudelaire), 파리, Julliard, 1990.
- 《화가들의 공간 속의 디드로》(Diderot dans l’espace des peintres), 파리, 국립 박물관 연합, 1991.
- 《넉넉함》(Largesse), 파리, 국립 박물관 연합, 1994; 갈리마르, 2007.
- 《행동과 반작용. 한 쌍의 삶과 모험》(Action et réaction. Vie et aventures d’un couple), 파리, Seuil, 1999.
- 《시와 전쟁, 연대기 1942-1944》(La Poésie et la guerre, chroniques 1942-1944), Zoé, 제네바, 1999.
- 《애무와 채찍, 앙드레 셰니에》(La Caresse et le fouet, André Chénier), 클로드 가라슈의 판화, Editart, D. Blanco, 제네바, 1999.
- 《초대의 시》(Le poème d'invitation), La Dogana, 제네바, 2001.
- 《마법사들》(Les enchanteresses), Seuil, 파리, 2005.
- 《말하는 자의 절반은 말한다...: 제라르 마세와의 대화》(La parole est moitié à celuy qui parle... : entretiens avec Gérard Macé), 제네바, La Dogana, 2009.
- 《우울의 잉크》(L'Encre de la mélancolie), 파리, Le Seuil, 2012
- 《고발하고 유혹하기》(Accuser et séduire), 파리, Gallimard, 2012
- 《디드로, 한 마리의 악마 같은 노래》(Diderot, un diable de ramage), 파리, Gallimard, 2012
- 《세상의 아름다움 – 문학과 예술》(La Beauté du monde – La littérature et les arts), 파리, Gallimard, 2016
- 《신체와 그 이유.》(Le Corps et ses raisons.), 2020
5. 1. 몽테스키외
Montesquieu프랑스어는 1953년 파리에서 출판되었으며, 1994년에 재편집된 몽테스키외의 생애와 사상을 분석한 저서이다.[1] 고가 에이 사부로와 다카하시 마코토가 이 책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1993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에서 출판하였다.5. 2.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
장 자크 루소의 사상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장 스타로뱅스키의 대표작이다. 1958년에 발표되었으며, 원제는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Jean-Jacques Rousseau: la transparence et l’obstacle)이다.[4] 야마지 아키라와 마쓰모토 쓰토무가 각각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5]5. 3. 우울증 치료의 역사, 기원에서 1900년까지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des origines à 1900프랑스어〉(우울증 치료의 역사, 기원에서 1900년까지) 논문은 1960년 바젤에서 발표된 ''Acta psychosomatica''에 수록되었다.[4] 이 논문은 우울증 치료의 역사를 기원부터 1900년까지 다루고 있다.5. 4. 살아있는 눈
L’Œil vivant프랑스어 (살아있는 눈)은 장 스타로뱅스키가 코르네유, 라신, 라 브뤼예르, 루소, 스탕달 등의 작품을 분석하여 1961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간한 비평집이다.[5] 오하마 하지메가 일본어로 번역하여 1971년 리소샤에서 출간하였다.5. 5. 자유의 발명
L’Invention de la Liberté프랑스어 (자유의 발명)은 스키라에서 1964년에 출판된 책으로, 18세기의 예술과 사상을 다루고 있다.[5] 고니시 요시유키가 이 책을 번역하여 1982년 하쿠스이샤에서 출간하였다.5. 6. 광대 예술가의 초상
Portrait de l’artiste en saltimbanque|광대 예술가의 초상프랑스어은 1970년 제네바 스키라에서 출판되었고, 2004년 파리 갈리마르에서 재출판되었다[5]. 이 책은 예술가의 창조적 고뇌를 광대의 이미지에 투영하여 묘사하고 있다.5. 7. 비평적 관계
La Relation critique프랑스어』(비평적 관계)는 1970년에 출판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이 책은 파리의 갈리마르(Gallimard)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 2000년에 «Tel» 컬렉션으로 재출간되었다.[4] 스타로뱅스키는 이 책에서 자신의 비평 방법론을 설명하고 있다.5. 8. 단어 속의 단어: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
Les Mots sous les mots: les anagrammes de Ferdinand de Saussure프랑스어(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1971년 파리의 갈리마르(Gallimard)에서 출판된 책이다.[1]이 책은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아나그램 연구를 다룬다. 소쉬르는 라틴어 시를 연구하면서 특정 단어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했다. 스타로뱅스키는 소쉬르의 연구 노트를 분석하여, 시인들이 의도적으로 특정 소리나 음절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시를 구성했다고 보았다. 이는 소쉬르가 언어학에서 주장한 자의성과는 다른, 시적 언어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2]
5. 9. 1789: 이성의 상징
1789 : Les Emblèmes de la Raison프랑스어』은 장 스타로뱅스키가 프랑스 혁명의 이념적 배경을 분석한 저서이다. 1973년 파리의 플라마리옹에서 출판되었다.[4] 이 책은 혁명기의 예술과 상징을 통해 이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탐구한다. 한국어 번역본은 1989년 이노우에 타카히로가 번역하여 호세이 대학 출판국에서 출판되었다.5. 10. 세 가지 격노
스타로뱅스키는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우울증의 역사를 연구하여 1960년에 ''Histoire du traitement de la mélancolie, des origines à 1900프랑스어''(우울증 치료의 역사, 기원에서 1900년까지) 논문을 발표했다.[4] 이 논문은 바젤에서 출판된 Acta psychosomatica프랑스어에 게재되었다.[5] 1974년에는 이러한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Trois Fureurs프랑스어''(세 가지 격노)를 출간했다.5. 11. 몽테뉴의 움직임
미셸 드 몽테뉴의 사상을 분석한 저서이다. 스타로뱅스키는 이 책에서 몽테뉴의 사상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과정에 있음을 강조한다.[4] 이러한 분석은 몽테뉴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몽테뉴의 사상을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Montaigne en mouvement프랑스어 (몽테뉴의 움직임)은 1982년에 출판되었으며, 2009년에는 영어판(Montaigne in Motion영어)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되었다.[4]
5. 12. 악에서 치료법. 계몽 시대의 기교에 대한 비판과 정당화
Le Remède dans le mal. Critique et légitimation de l’artifice à l’âge des Lumières프랑스어 (한국어 번역: 악에서 치료법. 계몽 시대의 기교에 대한 비판과 정당화)는 1989년 프랑스에서 출판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이 책은 계몽주의 시대의 '인공물(artifice)'에 대한 비판과 옹호를 다루고 있다.[4]5. 13. 거울 속의 우울. 보들레르에 대한 세 가지 읽기
La mélancolie au miroir. Trois lectures de Baudelaire프랑스어는 장 스타로뱅스키가 샤를 보들레르의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저서이다. 1990년에 출판되었다.[4]5. 14. 화가들의 공간 속의 디드로
장 스타로뱅스키는 1991년에 《화가들의 공간 속의 디드로》(Diderot dans l’espace des peintres)를 출간하여 드니 디드로의 미술론을 다루었다.[5]5. 15. 넉넉함
Largesse프랑스어는 장 스타로뱅스키가 1994년 파리의 국립 박물관 연합에서 출판하고, 2007년 갈리마르에서 재출판한 저서이다. 이 책은 관대함이라는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예술 작품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스타로뱅스키는 '넉넉함'이라는 단어가 가진 다양한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이 사회적, 윤리적 가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준다.5. 16. 행동과 반작용. 한 쌍의 삶과 모험
Action et réaction. Vie et aventures d’un couple프랑스어은 1999년 파리의 세유(Seuil)에서 출판된 책으로, 부부의 삶과 모험을 통해 인간 관계를 탐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4] 이 책은 이다 나오시에 의해 『작용과 반작용 어떤 개념의 생애와 모험』이라는 제목으로 호세이 대학 출판국에서 총서・유니베르시타스 시리즈로 2004년에 출간되었다.5. 17. 시와 전쟁, 연대기 1942-1944
La Poésie et la guerre, chroniques 1942-1944프랑스어 (1999)는 제네바의 조에(Zoé)에서 출판된 책이다.5. 18. 애무와 채찍, 앙드레 셰니에
클로드 가라슈의 판화가 포함된 앙드레 셰니에에 대한 연구서이다.[4]5. 19. 마법사들
Les enchanteresses프랑스어는 2005년 파리의 세유(Seuil)에서 출판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이 책에서 스타로뱅스키는 매혹적인 여성들의 모습을 분석한다.[5]5. 20. 우울의 잉크
L'Encre de la mélancolie프랑스어는 2012년 파리의 르 세유(Le Seuil)에서 출판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이 책은 우울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담고 있으며, 스타로뱅스키는 이 책에서 우울의 역사와 문학, 예술에서의 표현을 탐구한다.[4] 그는 의학과 문학의 접점을 이루는 멜랑콜리를 주제로 한 저작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보여준다.[5]5. 21. 고발하고 유혹하기
Accuser et séduire프랑스어은 장 자크 루소의 사상을 분석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1957년에 출간된 Jean-Jacques Rousseau: la transparence et l’obstacle프랑스어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를 바탕으로 한다.[4] 2012년 갈리마르(Gallimard)에서 출판되었다.[4]야마지 아키라는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를 번역하여 1973년 미스즈 서방에서 출간했고, 마쓰모토 쓰토무 또한 같은 책을 번역하여 1973년 사소쿠샤에서 출간했다.[4] 하마나 유미와 이노우에 사쿠라코는 ''고발하고 유혹하기''를 번역하여 2019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에서 출간했다.[4]
5. 22. 디드로, 한 마리의 악마 같은 노래
Diderot, un diable de ramage프랑스어는 2012년 갈리마르(Gallimard)에서 출판된 디드로에 대한 연구서이다.[4]5. 23. 세상의 아름다움 – 문학과 예술
La Beauté du monde – La littérature et les arts프랑스어는 마르탱 르페브르의 지휘 아래 2016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으로, 문학과 예술의 관계를 탐구한다.[4]5. 24. 신체와 그 이유
Le Corps et ses raisons.프랑스어는 2020년에 출판된 장 스타로뱅스키의 저서이다. 이 책은 신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담고 있으며, 스타로뱅스키가 이전에 발표했던 글들을 모아놓은 것이다.[4]참조
[1]
뉴스
Décès du critique littéraire et psychiatre genevois Jean Starobinski
https://www.rts.ch/i[...]
[2]
뉴스
Jean Starobinski, historien des idées, est mort
https://www.lemonde.[...]
[3]
뉴스
Jean Starobinski est mort : il nous avait raconté sa vie
https://bibliobs.nou[...]
BIBLIOBS
2019-03-06
[4]
웹사이트
20世紀西洋人名事典
https://kotobank.jp/[...]
[5]
웹사이트
みすず書房
https://www.msz.c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