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야스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야스퍼스(1883–1969)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정신과 의사로, 실존주의 철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의학, 심리학을 거쳐 철학을 연구했으며, 정신병리학과 철학 분야에 기여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대에 핍박을 받았으며, 전후 독일의 전쟁 책임을 다룬 저서를 통해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주요 사상은 실존, 교류, 한계상황, 포괄자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인간의 자유와 책임, 그리고 초월적인 존재에 대한 탐구를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저서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인간의 실존적 의미를 탐구했으며, 정치 철학적 관점에서 자유주의와 휴머니즘을 옹호하며, 전체주의와 기술관료주의를 비판했다. 그의 저서는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쳐 민주주의 발전, 사회 통합, 역사적 성찰 등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에 거주한 독일인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웨이에 거주한 독일인 - 쿠르트 슈비터스
쿠르트 슈비터스는 독일 출신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오브제를 활용한 '메르츠'라는 독자적인 예술을 창안하고 '메르츠바우'를 제작했으며, 망명 중에도 예술 활동과 사운드 포에트리 작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작품을 남겼다. - 그리스에 거주한 독일인 - 마르코 마린 (축구인)
마르코 마린은 유고슬라비아 출생의 독일 국적 전 축구 선수로,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내며 FSV 프랑크푸르트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유소년 팀에 합류했다. - 그리스에 거주한 독일인 - 저스틴 아일러스
저스틴 아일러스는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여러 클럽에서 활동하며 디나모 드레스덴 소속으로 3. 리가 득점왕, 3. 리가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카를 야스퍼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카를 테오도어 야스퍼스 |
출생일 | 1883년 2월 23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올덴부르크 |
사망일 | 1969년 2월 26일 |
사망지 | 스위스 바젤 |
배우자 | 게르트루트 마이어 (1910년 결혼) |
국적 | 독일, 스위스 |
교육 | |
학력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MD, 1908) |
철학적 배경 | |
학파/전통 | 신칸트학파(초기) 실존주의(후기) 실존 현상학(후기) |
주요 관심사 | 정신의학, 신학, 역사철학 |
주요 사상 | |
주요 아이디어 | 축 시대; 실존철학 용어 창안; 현존재와 실존의 두 가지 존재 상태; 주체-객체 분열(Subjekt-Objekt-Spaltung); 소통적 초월 이론, 극한 상황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니콜라스 쿠사누스 바뤼흐 스피노자 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프리드리히 셸링 막스 베버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
영향을 받은 인물 | 마르틴 하이데거 장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폴 리쾨르 가브리엘 마르셀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한나 아렌트 자크 라캉 외젠 민코프스키 |
기타 | |
로마자 표기 | Karl Theodor Jaspers |
2. 생애
카를 야스퍼스는 1883년 올덴부르크에서 법률가 아버지와 농촌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철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아버지의 영향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러나 곧 법학에 흥미를 잃고 1902년 의학으로 전향하여 범죄학 논문을 썼다. 1910년에는 친구의 여동생인 게르트루트 마이어(1879~1974)와 결혼했다.[5]
1908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정신병원에서 프란츠 니슬 등과 함께 일했다. 야스퍼스는 당시 의학계의 정신 질환 연구 방식에 불만을 품고 정신과 접근 방식 개선을 목표로 삼았다. 191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철학부에서 교수 자격을 획득하고, 1914년 심리학 강사직을 얻었다. 이후 정규 철학 교수직을 맡게 되면서 임상 실습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이 시기 야스퍼스는 막스 베버 등 베버 가족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6]
1921년, 38세에 야스퍼스는 심리학에서 철학으로 전향하여 정신과 연구에서 발전시킨 주제들을 확장하며 독일과 유럽 전역에서 유명한 철학자가 되었다.
1938년 출판 금지령 이후에도 오랜 친구들의 지지로 연구를 계속했지만, 강제 수용소 이송 위협을 받았다. 1945년 3월 30일 하이델베르크가 미군에 점령되면서 이 위협에서 벗어났다.
1948년 야스퍼스는 스위스 바젤 대학교로 이주했다.[14] 1963년 올덴부르크 시 명예 시민이 되었고,[8] 바젤에서 스위스 시민으로 살다가 1969년 아내의 90세 생일에 사망했다.
어린 시절부터 철학에 관심이 있었으나, 아버지 영향으로 법학을 공부하다 1901년 의학으로 전향, 1909년 의대 졸업 후 하이델베르크 정신병원에서 의사로 일했다. 당시 정신의학계에 의문을 품고 191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정신의학을 가르쳤으며, 이후 임상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야스퍼스는 『정신병리학 총론』 개정판 제4판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판할 정도로 정신의학에 대한 관심을 평생 유지했다.
1921년부터 1937년까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한나 아렌트 등을 가르쳤다. 나치 집권 후, 유대인 아내와 나치 저항으로 대학에서 쫓겨났으나, 칩거하며 강제 수용소 수감을 막았다. 전쟁 말기 수용소 이송 직전 1945년 3월 30일 미군이 하이델베르크를 점령하며 이송을 면했다. 그는 "자국 정부에 의해 살해당할 뻔했고, 적국 군대에 의해 목숨을 구했다"고 회고하며, 이 경험은 그의 철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전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재건에 힘썼지만, 『책임론』으로 비난받아 1948년 스위스 바젤 대학교로 이주했다.
야스퍼스는 정치 철학 저술과 함께, 전후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진영 간 냉전과 핵무기 위험을 "극한 상황"으로 규정하고, 정치적 대화를 "교류"로 보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1958년 독일 도서협회 평화상, 1959년 에라스무스상을 수상했다.
2. 1. 나치즘과 강제 수용 위협
1933년 나치의 권력 장악 이후, 야스퍼스는 유대인 아내 게르트루트 마이어 때문에 "유대인적 오염"(jüdische Versippungde)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져 1937년 교수직을 박탈당했다.[7] 1938년에는 출판 금지령을 받았다.[7] 그러나 그의 오랜 친구들이 그를 지지했고, 그는 완전히 고립되지 않고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7] 하지만 그와 그의 아내는 1945년 3월 30일 하이델베르크가 미군에 점령될 때까지 강제 수용소로 이송될 위협을 끊임없이 받았다.[7]전후, 독일의 전쟁 책임 문제에 대해 쓴 『책임론』을 둘러싸고 독일 사회에서 비판을 받았다.
3. 사상
야스퍼스는 실존개명, 실존적 교류, 한계상황, 포괄자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니체와 키르케고르의 실존주의 영향을 받아 개인의 자유를 깊이 탐구한 철학자이다.
야스퍼스는 《철학》(1932)에서 사람들이 현실에 대해 의문을 가질 때, 경험적 방법으로는 초월할 수 없는 경계에 직면한다고 지적했다. 이때 개인은 절망하거나 믿음의 도약을 통해 초월을 경험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이 도약을 통해 개인은 무한한 자유 (엑시스텐츠)를 마주하고 진정한 존재를 경험한다.
야스퍼스는 초월(혹은 “포괄자”)을 시공간을 넘어선 궁극적인 비객관성(혹은 무(無))으로 보았으나, 주관성과 객관성 모두를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명시적인 종교 교리,[14], 특히 인격신 개념을 거부했지만, 그의 철학은 신비주의 기독교 전통, 특히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니콜라우스 쿠사누스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동양 철학, 특히 불교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춘추전국시대 이론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루돌프 불트만의 기독교 "탈신화화"를 비판하며 논쟁을 벌였다.[9]
야스퍼스는 근대 과학과 근대 경제, 정치 제도가 인간의 자유에 가하는 위협에 대해 저술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내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교수직을 포기해야 했다. 전후 복귀하여 《독일의 죄의 문제》에서 제3제국의 잔혹 행위에 대한 독일 전체의 책임을 조사했다.[10]
그는 한계상황 속에 초월자와의 만남이 숨겨져 있으며, 자기 존재와 초월자를 추구하는 노력은 좌절되지만, 그 좌절을 암호로 해독함으로써 초월자의 존재가 증명된다고 보았다.
에드문트 후설의 "본질적 병리에 관한 직관적 추측"을 배제하고, 환자의 말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기술 정신병리학"을 시도했다.
3. 1. 실존개명
야스퍼스의 철학적 사유의 본질을 규정하는 방법개념이며 주저 《철학》 제2권의 주제이다. 즉, 실존적 사유를 뜻한다. 과학적 사유와 대비되어 인간의 실존이 자기 자신에 관해 알려고 하는 실존적 자기 이해를 의미한다. 실존은 객관적 대상으로서 과학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이며, 실존적 자기이해는 개명 혹은 개시로서 실존적인 앎이 되는 것이다.[14]3. 2. 실존적 교류 (실존적 교통)
야스퍼스 철학의 실천적 목표는 '실존적 교류'이다. 야스퍼스는 자신의 철학 중심이 실존개명이지만, 철학하는 것이 사귐(코무니카치온)이 되지 않는다는 불만에서 나왔다고 스스로 인식했다. 실존은 고립된 것이 아니라, 다른 실존에 의해, 그리고 다른 실존과 함께해야만 비로소 실존으로서 현실화된다. 즉, 실존과 실존 사이에는 사귐 또는 교통이 존재한다. 인간은 '사랑의 투쟁'을 통해 본래적 자기를 찾게 된다.[22]제2차 세계 대전 경험을 바탕으로, 야스퍼스는 핵무기와 그 파괴력에 대한 공포로 인해 양 진영 모두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극한 상황"으로 파악했다. 그는 정치적 대화를 "교류"로 보며, 단순한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넘어선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실존적 교류는 실존 상호 간의 교류를 의미한다. 실존은 사고와 행위의 근원이며, 자기 자신 및 초월자와 관련된다. 실존하는 "나"는 고립된 존재가 아니며, 다양한 상황 및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본래적인 자기에 이르게 된다. 이를 "사랑의 투쟁" 또는 "사랑하면서의 싸움"이라고 부른다.[22]
3. 3. 한계상황
야스퍼스는 실존철학에서 벗어날 수 없는 한계상황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현존재로서의 인간은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한계상황을 벗어날 수 없다. 즉, 인간을 한계 짓는 보편적 상황이다. 구체적으로는, 나는 언젠가 죽어야 한다(죽음)는 것, 나는 고민하는 것을 벗어날 수 없다(고뇌)는 것, 의식적·무의식적을 막론하고 죄를 짓는 것을 벗어날 수 없다(죄책감)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평소에는 기분전환 등에 빠져 자신이 한계상황에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한계상황에 직면했을 때 비로소 "교류"나 초월자와의 만남에 이르고, 실존으로 눈뜨는 기회가 주어진다.[20]야스퍼스는 <교류>, <한계상황>, <절대적 의식>의 세 가지가 자신의 철학 목표인 "존재 의식의 변혁"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한계상황>이란 누구든 부딪히는 벽과 같은 것이며, 그 전형적인 것이 "자기의 죽음"이다. 인간은 죽음이라는 한계상황에 부딪힘으로써 그때까지 의식하고 있던 자기 존재에 대한 확실성이 좌절됨을 자각하게 된다.
야스퍼스는 전후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양 진영의 냉전과 핵무장 경쟁을 인류 멸망의 위협으로 보고, 이를 "극한 상황"으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3. 4. 포괄자
카를 야스퍼스의 실존철학에서 중요한 용어이다. "초월자", "포괄자"라고도 한다. 인간은 주관으로만 존재할 수 없고 객관과 상관적으로 존재한다. 주관과 객관을 하나로 융합하고 있는 것이 "포괄자"이다. 인간은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자신의 유한성을 자각하고, 자신의 유한성을 초월한 포괄자와 만난다.[21]3. 5. 축의 시대
야스퍼스는 기원전 800년에서 200년 사이를 축의 시대라고 칭하며, 이 시기에 인류의 정신사에 큰 전환이 일어났다고 보았다. 이 시기에는 이스라엘의 예언자, 그리스의 철학자, 중국의 제자백가, 인도의 붓다 등 여러 사상가들이 등장하여 철학적, 종교적 발전을 이끌었다.[14]4. 정신의학에 대한 기여
야스퍼스는 정신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에 불만을 품고, 진단 기준과 임상 정신의학의 방법 모두에 의문을 제기했다.[14] 그는 환자 개인의 전기적 정보와 환자 자신의 증상에 대한 주관적 느낌을 기록하는 "전기적 방법"을 도입했다.
야스퍼스는 1913년에 출판한 자신의 저서 ''일반 정신병리학''에서 정신 질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14] 그는 정신 질환 증상을 내용이 아닌 '형태'로 진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환각을 진단할 때 환자가 무엇을 보는지보다 감각 자극 없이 시각적 현상을 경험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야스퍼스는 망상을 진단할 때 믿음의 내용이 아닌 환자가 믿음을 갖는 방식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차적" 망상과 "이차적" 망상을 구분했는데, 일차적 망상은 명백한 원인 없이 발생하여 이해하기 어렵지만, 이차적 망상은 개인의 배경, 현재 상황, 정신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고 정의했다.
야스퍼스는 일차적 망상이 궁극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이러한 견해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R. D. 레잉과 리처드 벤트올 등은 치료자가 환자를 이해할 수 없다고 속단하여 추가 조사를 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5. 철학과 신학에 대한 기여
실존주의 철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카를 야스퍼스는 개인의 자유라는 주제를 강조했다. 야스퍼스는 저서 《철학》(전3권, 1932년)에서 근대 과학과 경험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며, 인간이 현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때 경험적 방법으로는 초월할 수 없는 경계에 직면한다고 보았다. 이때 개인은 절망에 빠지거나 초월에 대한 믿음의 도약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 도약을 통해 개인은 무한한 자유 (엑시스텐츠)에 직면하고 진정한 존재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4]
야스퍼스는 초월을 시간과 공간 너머에 존재하는 궁극적인 비객관성(혹은 무(無))으로 보았다. 그는 명시적인 종교 교리, 특히 인격신 개념을 거부했지만,[14] 그의 철학은 신비주의 기독교 전통(특히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니콜라우스 쿠사누스)과 동양 철학(특히 불교)의 영향을 받아 현대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루돌프 불트만의 기독교 "탈신화화"를 비판하기도 했다.[9]
야스퍼스는 한계상황 속에 초월자와의 만남이 숨겨져 있으며, 자기 존재와 초월자를 추구하는 노력은 좌절되지만, 그 좌절을 암호로 해독함으로써 초월자의 존재가 증명된다고 보았다. 그는 키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불안"과 "절망"을 실존의 심리 상태로 보았으며, <교류>, <한계상황>, <절대적 의식>을 통해 "존재 의식의 변혁"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6. 정치적 관점
막스 베버의 자유주의적 정치 철학에는 공감했지만, 베버의 민족주의는 거부했다.[12] 휴머니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을 중시했고, 임마누엘 칸트의 영향을 받아 영구 평화를 주장하며 공유된 헌법, 법률 및 국제 법원을 갖춘 국가들의 국제 연합을 옹호했다.[13] 전체주의적 전제 정치에 강력히 반대했고, 인간을 과학이나 이념적 목표의 단순한 도구로 여기는 기술관료주의로 향하는 증가하는 경향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또한 다수결주의 민주주의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따라서 그는 개인의 자유와 제한된 정부를 보장하는 통치 형태를 지지했고, 베버와 마찬가지로 민주주의는 지식인 엘리트에 의해 인도될 필요가 있다고 믿었다.[14] 그의 견해는 반공주의로 여겨졌다.[15]
7. 영향
야스퍼스는 칸트와 플라톤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니체와 키르케고르를 칸트 이후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겼다.[16][17] 그는 스피노자, 칸트, 니체를 통해 자신의 철학적 사유를 발전시켰다.[18]
그는 한나 아렌트를 가르쳤으며, 마르틴 하이데거와 서신을 교환하기도 했다. 또한, 하인리히 블뤼허에게서 "반정치적 원리"라는 용어를 빌려왔다.[19] 그의 철학은 폴 리쾨르,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등 현상학적 해석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8.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
정신병리학총론 | 1913 |
세계관의 심리학 | 1919 |
현대의 정신적 상황 | 1931 |
철학 (전3권) | 1932 |
이성과 실존 | 1935 |
책임론 | 1946 |
철학적 논리학 제1권 | 1947 |
철학적 신앙 | 1948 |
역사의 기원과 목표 | 1949 |
니체와 기독교 | 1946 |
위대한 철학자들 | 1957 |
니체 | |
신의 암호 |
위와 같이 저서 목록을 표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출판 연도가 명시된 경우 함께 표기하여 시간 순서대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9.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출력을 유지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ertrud Jaspers (Mayer)
https://www.geni.com[...]
[2]
서적
Practising Existential Psychotherapy: The Relational World
Sage
[3]
웹사이트
Duden Karl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ttps://www.duden.de[...]
2018-10-22
[4]
웹사이트
Duden Jaspers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ttps://web.archive.[...]
2018-10-22
[5]
백과사전
Karl Jaspers
https://search.ebsco[...]
2020-01-30
[6]
서적
Max Weber: A Biography
Polity Press
[7]
서적
Die Universität Heidelberg im Nationalsozialismus
Springer-Verlag
[8]
뉴스
1963: Prof. Dr. Dr. h.c. Karl Jaspers
http://www.oldenburg[...]
Stadt Oldenburg
[9]
서적
Myth and Christianity: An Inquiry into the Possibility of Religion without Myth
The Noonday Press
[10]
서적
Distance from the Belsen Heap: Allied Forces and the Liberation of a Concentration Camp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웹사이트
The Nazis: A Warning from History
https://web.archive.[...]
2000-08-26
[12]
서적
The Philosophy of Karl Jaspers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3]
서적
The Political Theory of Global Citizenship
Routledge
[14]
백과사전
Karl Jasper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7-16
[15]
서적
Apocalypse is disappointing. Friendship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Great Philosophers, Volume 4: The Disturbers: Descartes, Lessing, Kierkegaard, Nietzsche. Philosophers in Other Realms: Einstein, Weber, Marx
Harcourt, Brace & World
[17]
서적
From Shakespeare to Existentialism: An Original Stud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On My Philosophy
https://www.marxists[...]
1941
[19]
서적
Arendt in Jerusalem
[20]
서적
용어집 윤리 최신 제2판
清水書院
[21]
서적
용어집 윤리 최신 제2판
清水書院
[22]
서적
용어집 윤리 최신 제2판
清水書院
[23]
서적
용어집 윤리 최신 제2판
清水書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