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병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병삼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탐구하는 대한민국의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홍익대학교와 시카고 예술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MIACRO, STRIPE, MOMENT, THIN, RELATION 시리즈 등 다양한 설치 및 미디어 아트 작품을 선보였다. 2016년 직지코리아국제페스티벌 총감독, 2015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예술총감독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5년까지 The Korea Interdisciplinary Arts Network (KoIAN)을 설립하고 대표를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동문 - 코코 리
    코코 리는 홍콩 태생의 미국 가수로, 만도팝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아시아의 머라이어 캐리'로 불렸고, 1993년 데뷔 후 아시아에서 베스트셀러 앨범을 발매하고 영화 《와호장룡》 주제가를 불러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공연했으며, 《뮬란》 만다린어 더빙판에서 뮬란 역을 맡았고, 2016년 《나는 가수다》 시즌 4에서 우승했으나 2023년 우울증으로 사망 후 《싱! 차이나》 출연 당시 부당 대우 의혹이 제기되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동문 - 윈덜 미들브룩스
    윈덜 미들브룩스는 1979년 텍사스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에서 연기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여러 TV 시리즈에 출연했고 2015년 폐색전증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예술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예술가 - 문준용
    문준용은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아들로, 국제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한국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으로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 대한민국의 미술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대한민국의 미술가 - 김아윤
    김아윤은 영화, 드라마, 텔레비전 프로그램,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전병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10월 전병삼
본명전병삼
한글전병삼
한자全丙森
로마자 표기Jeon Byeongsam
출생일1977년 1월 20일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거주지대한민국 서울 & 미국 뉴욕
직업미술가
웹사이트전병삼 웹사이트
교육
학력홍익대학교
시카고 미술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작품
주요 작품CD PROJECT (2015)
Telematic Drum Circle (2007-2009)

2. 학력

3. 주요 작품

전병삼의 주요 작품들은 설치 작품과 미디어 아트 분야에 걸쳐 있으며, 대표적인 작품 시리즈와 개별 작품들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3. 1. 설치 작품

3. 2. 미디어 아트


  • [http://bsjeon.com/miacro MIACRO 시리즈]
  • [http://bsjeon.com/stripe STRIPE 시리즈]
  • [http://bsjeon.com/moment MOMENT 시리즈]
  • [http://bsjeon.com/thin THIN 시리즈]
  • [http://bsjeon.com/relation RELATION 시리즈]
  • [https://www.youtube.com/watch?v=WZAt1eGKgG4 CD PROJECT]
  • 동적 이완
  • 팡도라니
  • 뷰틸리티
  • 그린스피어
  • 전병삼룡이
  • 하늘의 꿈
  • 대화
  • 디지털 MEM
  • 점묘 자연
  • [http://www.TelematicDrumCircle.net 텔레매틱 드럼 서클]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72500/http://www.bsjeon.net/drop_drop/ Drop Drop]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53125/http://www.bsjeon.net/10_worlds/v2/ Ten Worlds: Garden of Life]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74652/http://www.bsjeon.net/we_are_romantic/ We Are Romantic]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63304/http://www.bsjeon.net/miscommunication/v2d/ Miscommunication]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64133/http://www.bsjeon.net/dool_momzit/ Dool-Momzit]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63257/http://www.bsjeon.net/half_moon/ Half Moon]
  • [https://web.archive.org/web/20151121124821/http://www.bsjeon.net/zoo/v2/ Zoo II]
  • [https://web.archive.org/web/20151121144817/http://www.bsjeon.net/nameless_baby/ Nameless Baby]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80636/http://www.bsjeon.net/dreaming_bus/ Dreaming Bus]
  • [https://web.archive.org/web/20151121155815/http://www.bsjeon.net/buddha's_inn/ Buddha's Inn]
  • [https://web.archive.org/web/20151121140832/http://www.bsjeon.net/freedom/ Freedom Exists or Not]

4. 경력

(내용 없음)

4. 1. 전시 기획

wikitext

연도내용장소/기관국가
2004[http://www.BSJeon.net/iyoume/ Art Interactions: I=YOU=ME]시카고 G2 Gallery미국
2006미디어아트 국제전시 [http://www.BSJeon.net/sight_unseen/ Interactive Playground: Sight Unseen]시카고 Beverly Arts Center미국
2008전자예술 국제전시 [https://web.archive.org/web/20180209194423/http://www.thisability-disability.net/ thisAbility vs. Disability] - 창의적 감각으로 장애를 만나다토탈미술관 본관대한민국
2009-2015[http://www.koian.com The Korea Interdisciplinary Arts Network] (KoIAN) 설립자 및 대표이사
2015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예술총감독대한민국
2016직지코리아국제페스티벌 총감독대한민국


4. 2. 기타 경력


  • 2016 직지코리아국제페스티벌 총감독
  •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예술총감독
  • [https://web.archive.org/web/20181009183933/http://www.koian.com/ The Korea Interdisciplinary Arts Network] (KoIAN) 설립자 및 대표이사 (2009-2015)

5. 수상

wikitext

연도내용수여 기관국가
2006년Bodies of Work: Chicago Festival of Disability Arts and Culture 2006 - Selected Curator시카고 문화부 (Chicago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eng)미국
2007년한국 문화예술진흥기금 (다원예술부문)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
2007년Medici Scholar Award 2007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클레어 트레버 예술대학 (Claire Trevor School of the Arts, UCIeng)미국
2008년한국 문화예술진흥기금 (다원예술부문)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
2008년RPI HASS Grant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인문예술사회과학대학 (School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RPIeng)미국
2008년Leonardo Art/Science Contest 2008Leonardo: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Arts, Sciences, and Technologyeng미국


6. 개인전 및 공연


  • 1996년: Mysterious Angle & View - Photography and stories from a 40 days journey in 11 European countries, F504 Exhibition Space, 서울, 한국
  • 2000년: Freedom Exists or Not - Solo performance and seminar, Mapo Street & Student Center in 홍익대학교, 서울, 한국
  • 2004년: We Are Romantic, Sensorium, 112 Michigan Building, 시카고, IL, 미국
  • 2008년: Telematic Drum Circle, California Institute fo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rvine, CA, 미국

7. 주요 그룹전시, 공연 및 학술행사

wikitext

연도행사명장소지역
2000년55인의 심사위원과 14인의 아첨꾼 전시회삼동소년촌서울, 한국
2000년제2회 아트팩토리 프로젝트 - 눈먼 사랑삼표 공장서울, 한국
2001년제4회 서울변방연극제, 실험 미디어 퍼포먼스 "둘-몸짓 2"문예극장서울, 한국
2001년제7회 죽산국제예술제, 실험 미디어 퍼포먼스 "둘-몸짓 1"웃는돌 캠프한국
2001년The Fusion Ensemble, 퍼포먼스 및 스토리텔링 비디오 "이름 없는 아기"국립극장한국
2001년밑바닥 연극에 관한 44편의 필름, 단편영화 "부처의 여관"녹색극장서울, 한국
2002년Artistic experience for teens - Travel & Installation Exhibition Project(1, 2)Neoregul Cultural Village경기도, 한국
2004년SIGGRAPH 2004, Art Gallery: SynaesthesiaLos Angeles Convention CenterLA, 미국
2004년The 6th Salon Internacional De Arte Digital쿠바
2005년Digital Playground, Uijeongbu International Digital Art Festival 2005Uijeongbu Art Center의정부, 한국
2005년ManipulationsG2 Gallery시카고, IL, 미국
2005년BreatheATC Gallery시카고, IL, 미국
2005년Immersive EnvironmentsSAIC VRLab시카고, IL, 미국
2005년MFA Thesis ExhibitionG2 Gallery시카고, IL, 미국
2005년ISIMD'05 - Digital Art ExhibitionYeditepe University Museum이스탄불, 튀르키예
2006년BOXED 3.1Beall Center for Art and Technology, UCI어바인, CA, 미국
2006년Chicago Festival of Disability Arts and CultureChicago Dept. of Cultural Affairs시카고, IL, 미국
2007년interfACEd: mediating techno-cultural practiceCalifornia Institute fo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어바인, CA, 미국
2007년Maker Faire 2007Travis Expo Center오스틴, TX, 미국
2007년PlayTechOrange Lounge, Orange County Museum of Arts어바인, CA, 미국
2007년O'Reilly Emerging Technology ConferenceManchester Grand Hyatt샌디에이고, CA, 미국
2007년Webcast PerformanceCrecloo Art Gallery뉴욕, NY, 미국
2007년epicenter 07, UC Digital Arts Research NetworkUC Riverside리버사이드, CA, 미국
2008년SIGGRAPH ASIA 2008Suntec Singapore International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싱가포르
2008년ArtBots, International Robot Art ShowScience Gallery, Dublin아일랜드
2008년ASIAGRAPH 2008, International Art and Technology ConferenceShanghai Exhibition Center상하이, 중국
2008년Mapping the Beat ConferenceMedia Art Lab, Calit2어바인, CA, 미국
2008년entre-deuxBeall Center for Art and Technology어바인, CA, 미국
2008년Big Bang 08UC Berkeley Art Museum버클리, CA, 미국
2008년TechnoTravels/TeleMobility: HASTAC in MotionHumanities, Art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d Collaboratory (HASTAC)어바인, CA, 미국
2008년Meditations of North and SouthIAP Gallery피닉스, AZ, 미국


8. 주요 강연 및 연구발표

wikitext

연도기관/행사내용/유형장소
2005년9월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초빙 아티스트 및 강연서울, 한국
2005년9월의정부 예술의 전당국제 디지털 아트 심포지엄 "미디어 아트 교육의 재고" 발표의정부, 한국
2006년6월Southeast College Art Conference (밴더빌트 대학교)패널 토론 "장애와 시각 문화" 발표내슈빌, TN, 미국
2006년10월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Interdisciplinary Arts and Performance program)초빙 아티스트 강연피닉스, AZ, 미국
2007년2월Symposium of the Southern California Computing in Music (SCCiM),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USC)연구 발표로스앤젤레스, CA, 미국
2007년2월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연구 발표리버사이드, CA, 미국
2007년3월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초빙 강연서울, 한국
2007년5월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초빙 강연서울, 한국
2007년5월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초빙 강연서울, 한국
2008년1월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Arts, Media and Engineering program)아티스트 프레젠테이션피닉스, AZ, 미국
2008년1월IAP Gallery,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아티스트 프레젠테이션피닉스, AZ, 미국
2008년2월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Interdisciplinary Arts and Performance program)초청 강연피닉스, AZ, 미국
2008년5월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아티스트 프레젠테이션트로이, NY, 미국
2008년6월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세미나 "21세기 현대미술과 thisAbility vs. Disability展"서울, 한국
2008년7월토탈미술관워크숍 "창의적 감각으로 장애를 만나다"서울, 한국
2008년9월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초빙 강연서울, 한국
2008년가을 학기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Media Studio: Imaging Class)강의트로이, NY, 미국


9. 주요 논문 및 출판

10. 논란 및 이슈

인터넷 검색 시 전병삼을 사업가, 교수, 과학자, 감독 등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의 본래 직업은 전업 미술가이다.

10. 1. CD PROJECT 관련 논란

전병삼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인 CD PROJECT는 약 50만 개의 컴팩트 디스크(CD)를 사용한 대규모 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은 간혹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비교되며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잔디밭에 폐CD를 깔아 햇빛을 반사시킨 Bruce Munro의 작업이나, 작은 금속 반사판을 벽에 매달아 바람에 흔들리게 한 Ned Kahn파사드 작품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는 피상적인 측면이 있다. CD라는 재료를 대량으로 사용한 미술 작업은 이전부터 다양하게 시도되었기에 단순히 재료만으로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전병삼의 는 다음과 같은 독창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 시민 참여와 의미 부여: 세계 각지 시민들로부터 CD를 기증받고, 참여자들이 CD 뒷면에 자신의 꿈과 메시지를 적도록 했다. 이는 CD라는 오브제를 단순한 재료가 아닌,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담긴 매개체로 활용한 독창적인 방식이다.
  • 장소 특정적 맥락: 작품이 설치된 청주 연초제조창은 한때 한국 최대 규모의 담배 공장이었으나 2004년 가동 중단 후 오랫동안 방치된 공간이었다. 전병삼은 이러한 공간의 역사적 맥락과, 새로운 디지털 저장 매체의 등장으로 점차 사라져가는 '컴팩트 디스크'라는 사물의 사회적 의미를 연결시키고자 했다.
  • 구조와 감상 방식의 차이: Ned Kahn의 작품이 주로 바람에 흔들리는 반사판의 시각 효과를 멀리서 감상하는 파사드 구조인 반면, 전병삼의 는 관람객이 작품 내부를 직접 걸어 다니며 CD 뒷면에 적힌 메시지들을 가까이에서 읽을 수 있도록 시스템 비계(Scaffolding System)를 이용한 임시 가설 건축물 형태로 설계되었다.
  • 설치 방식: 일반 시민들도 쉽게 참여하여 철제 그물 구조에 PVC 타포린 원단을 고정하고, 그 위에 두 장의 CD를 볼트-너트-와셔로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작품 전체의 조립과 분해를 쉽고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한 선택으로, 다른 유사 조형물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결론적으로 는 단순히 CD를 대량 사용한 작품을 넘어, 시민 참여, 장소의 역사성, 독특한 구조와 설치 방식을 통해 고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 작업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10. 2. 김포공항 작품 <오> 작동 중단

김포공항에 설치된 작품 '<오>'가 2017년 중순경 약 2개월간 작동을 멈췄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작동 중단의 원인은 김포공항의 갑작스러운 정전 등으로 인한 작품 내부 하드웨어의 전기적 충격과 소프트웨어 오작동으로 밝혀졌다.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이 대형 미디어 작품은 이후 수리를 거쳐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10. 3. 코이안(주)와 최순실 게이트

전병삼이 2009년 설립한 로봇-뉴미디어 콘텐츠 기업 코이안(주)은 최순실 게이트와 무관하다. 또한 관련된 어떠한 정부사업도 함께 하지 않았다.

10. 4. 2014 인천아시안게임 성화대

2014 인천아시안게임 성화대는 전병삼의 작품이 아니다.

참조

[1] 뉴스 'Our Strength': using all the senses of the body to feel http://finance.sina.[...] China Business News 2009-07-17
[2] 문서 로마자 표기는 BYEONG SAM JEON 이고, 한자 표기는 全丙森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