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청은 전북특별자치도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도지사,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체제로 운영되며, 산하에 기획조정실, 도민안전실 등 다양한 부서와 소방본부를 둔다. 직속기관으로는 농업기술원, 지방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연구원을, 사업소로는 서울사무소, 농식품인력개발원 등을 운영한다. 전북특별자치도에는 6개의 시와 8개의 군이 있으며, 2018년 총예산은 5조 6207억여 원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청 -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조직은 소방행정과, 방호구조과, 구조구급과, 소방감찰과, 119종합상황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산하에 다수의 소방서와 소방항공대를 두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청 - 전북특별자치도 부지사
전북특별자치도 부지사는 전라북도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경제부지사를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을 제공하며,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부지사, 1995년부터는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가, 2022년부터는 경제부지사가 임명되었다. - 2024년 설립 -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은 2024년 5월 27일 출범한 대한민국 정부 부처로, 우주항공 관련 정책 수립, 연구개발, 산업 육성 등을 담당하며, 2032년 달, 2045년 화성 착륙을 목표로 세계 5대 우주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한다. - 2024년 설립 - TBN 교통방송
TBN 교통방송은 도로교통공단에서 운영하며 전국 주요 도시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 정보, 뉴스, 재난 정보 등을 24시간 제공하는, 상업 광고 없는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전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은 1990년에 개관하여 상설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4만 점 이상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전주시 소재의 관공서 - 전주교도소
전주교도소는 1908년 광주감옥 전주분감으로 시작하여 전주형무소, 전주교도소를 거쳐 현재 전주시에 위치하며, 일제강점기 정치범 수감, 한국 전쟁 중 집단 피살 사건, 수감자 탈옥 사건 등의 사건이 있었고, 총 8개 과로 조직되어 운영된다.
전북특별자치도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Jeonbuk State Governmment |
표어 | 천년의 비상, 전북특별자치도 |
설립일 | 2024년 1월 18일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
직원 | 1,306명 |
예산 | 5조 6,207억 2,120만 9,000원 |
웹사이트 | 전북특별자치도청 |
주요 인물 | |
도지사 | 김관영 |
행정부지사 | 임상규 |
경제부지사 | 김종훈 |
산하 기관 | |
직속 기관 | 13 |
사업소 | 9 |
2. 조직
전북특별자치도는 도지사를 중심으로 행정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도지사는 도정을 총괄하며, 행정부지사가 도지사를 보좌한다.
전북특별자치도청에는 별도의 정무부지사가 존재하지 않지만, 대외협력국 산하에 정무기획과가 설치되어 있다.[4]
전북특별자치도청은 도민들에게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직속기관과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직속기관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전북특별자치도지방공무원교육원,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등이 있으며, 각 지역별 소방서를 운영하고 있다. 사업소로는 전북특별자치도서울사무소, 전북특별자치도농식품인력개발원 등 다양한 기관을 운영하여 도민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2. 1. 도지사
김관영, 임상규, 김종훈2. 2. 행정부지사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전북특별자치도청의 행정부지사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2. 3. 정무부지사
전북특별자치도청에는 별도의 정무부지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대외협력국 산하에 정무기획과가 설치되어 있다.[4]2. 4. 직속기관
-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전북특별자치도지방공무원교육원
-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전주덕진소방서
- 전주완산소방서
- 군산소방서
- 익산소방서
- 정읍소방서
- 남원소방서
- 김제소방서
- 완주소방서
- 진안소방서
- 장수소방서
- 무주소방서
- 임실소방서
- 순창소방서
- 고창소방서
- 부안소방서
2. 5. 사업소
- 전북특별자치도서울사무소
- 전북특별자치도농식품인력개발원
- 전북특별자치도동물위생시험소
- 전북특별자치도수산기술연구소
- 전북특별자치도산림환경연구소
-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 전북특별자치도도로관리사업소
- 전북특별자치도립미술관
- 전북특별자치도립여성중고등학교
3. 산하 자치단체
4. 정원
전북특별자치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1,306명 | |
---|---|---|
정무직 계 | 1명 | |
도지사 | 1명 | |
일반직 계 | 1,179명 | |
1급 이하 2급 이상 | 1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304명[15] | |
6급 이하 | 866명[16] | |
전문경력관 | 8명 | |
별정직 계 | 6명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3명 | |
6급 상당 이하 | 2명 | |
연구직 계 | 3명 | |
연구관 | 2명 | |
연구사 | 1명 | |
소방공무원 계 | 117명 | |
소방정 | 4명 | |
소방령 이하 | 113명 |
5. 재정
2018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9.0% 증가한 5.6207조원이며, 구체적인 세입·세출은 다음과 같다.[3]
; 세입 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1.0268조원 | +8.2% |
세외수입 | 650.852억원 | -4.0% |
지방교부세 | 8219억원 | +12.7% |
보조금 | 3.2947조원 | +7.3%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4121.584억원 | +20.6% |
; 세출 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4376.692억원 | +14.6% | |
입법 및 선거관리 | 52.62억원 | +16.4% | |
지방행정·재정지원 | 3061.0559999999996억원 | +16.4% | |
재정·금융 | 304.865억원 | -2.4% | |
일반행정 | 958.1510000000001억원 | +15.1% | |
공공질서 및 안전 | 1607.32억원 | -11.8% | |
재난방재·민방위 | 747.193억원 | -18.5% | |
소방 | 860.127억원 | -4.9% | |
교육 | 2275.2690000000002억원 | +15.2% | |
유아 및 초중등교육 | 2258.371억원 | +14.9% | |
고등교육 | 12.235억원 | +157.2% | |
평생·직업교육 | 4.66343억원 | +10.0% | |
문화 및 관광 | 2942.5209999999997억원 | +12.8% | |
문화예술 | 859.9209999999999억원 | +28.3% | |
관광 | 635.249억원 | -1.1% | |
체육 | 793.6969999999999억원 | +13.7% | |
문화재 | 551.654억원 | +11.5% | |
문화 및 관광일반 | 102억원 | 순증 | |
환경보호 | 3296.6800000000003억원 | +0.8% | |
상하수도·수질 | 2769.907억원 | -3.4% | |
폐기물 | 192.333억원 | +64.4% | |
대기 | 3.8295억원 | +33.3% | |
자연 | 307.13억원 | +19.3% | |
환경보호일반 | 23.481억원 | -13.4% | |
사회복지 | 2.3054조원 | +14.7% | |
기초생활보장 | 8617.757억원 | +7.2% | |
취약계층지원 | 2396.047억원 | +32.7% | |
보육·가족 및 여성 | 2396.047억원 | +11.9% | |
노인·청소년 | 7432.237억원 | +20.8% | |
노동 | 157.37억원 | +2.0% | |
보훈 | 29.567억원 | -5.6% | |
사회복지일반 | 244.125억원 | +35.5% | |
보건 | 990.0709999999999억원 | +26.9% | |
보건의료 | 958.346억원 | +28.2% | |
식품의약안전 | 31.724999999999998억원 | -1.7% | |
농림해양수산 | 8811.016억원 | +0.7% | |
농업·농촌 | 7427.255억원 | +1.4% | |
임업·산촌 | 1018.021억원 | -2.2% | |
해양수산·어촌 | 365.741억원 | -3.6% | |
산업·중소기업 | 1437.339억원 | +21.8% | |
산업금융지원 | 26.97억원 | -17.7% | |
무역 및 투자유치 | 215.435억원 | +12.6% | |
산업진흥·고도화 | 687.5360000000001억원 | +58.9% | |
에너지 및 자원개발 | 148.001억원 | -14.5% | |
산업·중소기업일반 | 359.39300000000003억원 | +2.5% | |
수송 및 교통 | 1287.4950000000001억원 | +2.3% | |
도로 | 938.965억원 | -0.8% | |
해운·항만 | 12.636000000000001억원 | +27.6% | |
항공·공항 | 3.8249억원 | +97.2% | |
대중교통·물류 등 기타 | 332.06899999999996억원 | +10.6% | |
국토 및 지역개발 | 2027.142억원 | +3.2% | |
수자원 | 1211.73억원 | -4.6% | |
지역 및 도시 | 738.962억원 | +15.7% | |
산업단지 | 76.44999999999999억원 | +36.6% | |
과학기술 | 160.21999999999997억원 | -9.6%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453.995억원 | -18.0% | |
예비비 | |||
기타 | 3487.5510000000004억원 | +4.79% | |
기타 |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법률
전라북도 행정기구 설치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별표3·별표4·별표5
[3]
웹사이트
전라북도청 - 예산공개
http://www.jeonbuk.g[...]
[4]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지방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6]
문서
지방부이사관·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7]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8]
문서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9]
문서
2020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0]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1]
문서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2]
문서
2019년 7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3]
문서
소방준감으로 보한다
[14]
문서
2019년 8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5]
문서
한시정원 20명 포함
[16]
문서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2명 포함. 한시정원 41명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