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주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주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하며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군이다. 1935년 전주군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완주군으로 개칭되었으며, 2024년 1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으로 변경되었다. 행정 구역은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둔산, 모악산 등의 관광지와 삼례문화예술촌, 삼례딸기축제, 완주와일드푸드축제 등의 문화 행사가 있다. 한국철도 전라선과 호남고속도로, 익산-포항 고속도로가 지나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초구, 경기도 군포시, 경상북도 칠곡군, 멕시코 멕시코시티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주군 - 위봉사
    위봉사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사찰로, 보물 제608호 보광명전과 석가모니불을 모신 관음전, 스님들의 거처인 요사 등을 갖추고 있으며, 주변 관광 명소와 함께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 완주군 - 천호성지
    천호성지는 한국 천주교의 중요한 성지로서, 순교자들의 묘소 정비 및 기념 시설 건립을 통해 그들의 숭고한 정신과 신앙의 가치를 기리는 공간이며, 특히 기해박해 전후에는 천호공소가 은신처 역할을 하고 순교 성인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 1935년 설치 - 안덕면 (서귀포시)
    안덕면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속하는 면으로, 산방산, 용머리, 화순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과 안덕계곡 상록수림, 대정향교 등 문화재를 보유하며, 안덕계곡에서 명칭이 유래되었고 11개의 행정리를 관할한다.
  • 1935년 설치 - 광산군
    광산군은 1935년 광주군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광주직할시 편입 전까지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 나주군 지역 편입, 광주시와의 지역 조정, 송정읍의 송정시 승격 등의 변화를 겪으며 읍과 면으로 구성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순창군
    순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군으로,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을 비롯한 장류가 유명하며, 강천산 군립공원과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완주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한글 이름완주군
한자 이름完州郡
로마자 표기Wanju-gun
면적820.94 km²
인구99,042 명 (2024년 9월)
인구 밀도111 명/km²
방언전라
지역 번호+82-63-2xx
읍/면3 읍, 10 면
행정 구역
상위 행정 구역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하위 행정 구역3읍 10면
상징
군목느티나무
군화철쭉
군조까치
완주군 깃발
완주군 깃발
완주군 휘장
완주군 휘장
정치
군수유희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완주군·진안군·무주군)
기타
홈페이지완주군청
갤러리
한국 술 테마 박물관
한국 술 테마 박물관
길
대둔산 케이블카
대둔산

2. 역사

완주군은 백제 시대에는 고산·지벌지(공벌공)였다가 757년에 지벌지를 운제로 개명하였다.

1914년 4월 1일, 고산군전주군에 병합되면서 전주군에는 전주면, 직전면, 우림면, 이동면, 조촌면, 초포면, 용진면, 이서면, 상관면, 참례면, 봉동면, 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삼기면, 화산면, 운선면, 운동하면, 비봉면, 동상면이 설치되었다. (20면)[5]

1931년 4월 1일,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되었다.[20] 1935년 10월 1일에는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전주군은 '''완주군'''으로 개칭되었다.[36] 이 과정에서 우림면·난전면을 우전면으로, 삼기면을 고산면·화산면에, 운선면·운동하면을 운주면·화산면으로 합면하였다. (16면) 1940년 11월 1일에는 이동면이 전주부에 편입되었다.[37]

1956년 7월 8일, 삼례면이 삼례읍으로 승격하였다.[38] 1957년 11월 6일에는 초포면과 우전면, 조촌·용진·상관면의 일부가 전주시로 편입되었고, 초포면 잔여지는 삼례읍과 용진면에, 우전면 잔여지는 구 সৈন্যরা에 편입되었다.[39] 1966년 10월 26일에는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설치되었다.[40]

1973년 7월 1일, 봉동면이 봉동읍으로 승격되었고,[41] 익산군 왕궁면 온수리 화산마을이 삼례읍 삼례리에 편입되었으며,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전주시 우아동에 편입되었다.[42] 1981년 6월 30일에는 전주시 인후동2가 1561번지(현 백제대로 721)로 청사를 이전하였다.[36]

1985년 10월 1일, 조촌면이 조촌읍으로 승격하였으나,[43] 1987년 1월 1일 전주시에 편입되었다.[44] 1989년 1월 1일에는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용복리, 중인리, 원당리, 석구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고,[45] 4월 1일에는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경천면으로 승격하였다.[46] 1990년 8월 1일, 이서면 중리, 상림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47]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용지면 금평리(金坪里)가 이서면에 편입되면서 금계리(金溪里)로 개칭되었다.[48] 2012년 6월 7일, 군 청사를 전주시[49]에서 용진면으로 이전하였고, 2015년 10월 1일 용진면이 용진읍으로 승격되었다. (3읍 10면)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에 의해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2. 1. 고대

삼한 시대에는 마한의 영역에 속했으며, 555년(백제 위덕왕 2년)에 전주주가 설치되었으나 565년에 폐지되었다. 660년(백제 의자왕 20년) 백제가 멸망한 후 신라에 정복되어 685년(신라 신문왕 5년) 신라에 편입되었다. 전주는 신라의 9주(州) 중 하나가 되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전주로 개칭되었다. 전주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중심지로 여겨졌다.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 견훤이 완주에서 후백제를 건국하였고, 이 지역은 936년(고려 태조 19년) 후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45년간 후백제의 영역에 속해 있었다.

2. 2. 고려 시대

936년(고려 태조 19년)에 전주는 안남대도호부로 개칭되었고, 940년(태조 23년)에 다시 전주로 환원되었다. 993년에는 전주가 승화로 개칭되고 전도안무사가 설치되었으며, 995년에는 전국을 10도 12주로 나눌 때 강남도에 속하는 순의군으로 명명되었다. 1005년(고려 목종 8년)에 전주에 전도사가 파견되었고,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 때 안남대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1022년에 다시 전주목으로 개칭되었다. 1355년(고려 공민왕 4년)에 전라도의 안렴사였던 정지상이 원의 사신 야사불화를 가두는 사건으로 부고로 강등되었으나, 이듬해 전주부로 다시 승격되었다.[48]

2. 3. 조선 시대

조선 왕조는 1392년(태조 원년)에 건국되었고, 태조의 고향이라는 중요성 때문에 전주는 전주유수부로 승격되었다. 1403년(태조 3년)에는 전주부로 개칭되었고 조선 말기까지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고려 시대에 비해 영역은 축소되었다.

2. 4.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고산군전주군에 병합되었다.[36] 이때 전주군에는 전주면, 직전면, 우림면, 이동면, 조촌면, 초포면, 용진면, 이서면, 상관면, 참례면, 봉동면, 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삼기면, 화산면, 운선면, 운동하면, 비봉면, 동상면이 설치되었다.(20면)[5]

1931년 4월 1일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되었다.[20]

1935년 10월 1일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전주군이 '''완주군'''으로 개칭되었다.[36] 이때 군청은 전주부 화원정 19번지에 위치했다.[36] 우림면·난전면을 우전면으로, 삼기면을 고산면·화산면에, 운선면·운동하면을 운주면·화산면으로 합면하였다. (16면)

1940년 11월 1일 이동면이 전주부에 편입되었다.[37] (15면)

2. 5. 대한민국

3. 지리

전북특별자치도 북부 내륙에 위치하며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다. 동서 양단 거리 36Km, 남북 양단거리는 71km이다. 동쪽은 진안군, 서쪽은 김제시, 익산시, 남쪽은 임실군정읍시, 북쪽은 충청남도논산시, 금산군과 경계를 이룬다.

산악이 기복하여 고덕산과 모악산이 둘러 있으며, 서쪽은 김제평야와 연결되어 소양천, 고산천, 삼천천은 모두 서북쪽으로 흘러 만경강에 이르고 있다. 도로는 전주를 중심으로 사통오달하며, 군산, 서울, 부산, 대구, 목포, 광주, 여수에 통하는 국도와 지방도가 있고, 철도는 전라선이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50]

행정구역도

4. 행정 구역

1914년 고산군이 전주군에 병합되었고,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전주군은 완주군으로 개칭되어 15개 면을 관할하였다.

1956년 삼례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57년 초포면과 우전면 일부, 조촌·용진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1966년 운주면에 경천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73년 봉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익산군 온수리 화산마을이 삼례읍으로, 용진읍 삼례리와 산정리 일부가 전주시 옥구동으로 이관되었다. 1983년 상관면 대성리·색장리와 용진읍 산정리 일부가 전주로 이관되었고,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일부가 조촌면으로 이관되었다.

1985년 조촌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987년 전주시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경천면으로 승격되었다. 1990년 이서면 (중리, 상림리) 일부가 전주로 이관되었고, 1994년 김제군 용지면 금평리 일부가 이서면으로 이관되었다.

4. 1. 읍·면

완주군의 행정 구역은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21.05km2이며,[51]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9만 2220명, 4만 1800가구이다. 그중 28.6%가 봉동읍에, 14.9%가 삼례읍에, 15.9%가 이서면에 거주한다.[52] 전주시의 행정 구역 확장으로 이서면전주시를 사이에 두고 완주군의 다른 지역과 떨어져 있는 월경지가 되었다.

읍·면한자면적인구세대
봉동읍鳳東邑46.05km226,42810,664
삼례읍參禮邑28.61km213,7266,529
용진읍龍進邑38.5km27,2543,273
상관면上關面68.61km24,5382,051
이서면伊西面33.85km214,6326,527
소양면所陽面94.1km26,3053,040
구이면九耳面89.08km25,8762,795
고산면高山面69.58km24,7442,293
비봉면飛鳳面44.62km21,922987
운주면雲洲面91.79km21,9851,120
화산면華山面70.84km22,7401,416
동상면東上面106.52km21,092566
경천면庚川面38.9km2978539



읍·면법정리
삼례읍구와리, 삼례리, 석다리, 어다리, 해다리, 아계리, 신금리, 신탁리, 후정리, 하리
봉동읍고천리, 구만리, 구미리, 구암리, 낙평리, 초산리, 성덕리, 신성리, 용암리, 율소리, 은하리, 장구리, 장기리, 제내리
용진읍간중리, 구억리, 상삼리, 상운리, 신지리, 용흥리, 운곡리
이서면이문리, 갈산리, 금계리, 용서리, 상개리, 반교리, 남계리, 금평리, 은교리, 이성리
상관면신리, 죽림리, 용암리, 의암리, 마치리
소양면대흥리, 명덕리, 신교리, 신원리, 신촌리, 죽절리, 해월리, 화심리, 황운리
구이면계곡리, 광곡리, 덕천리, 두현리, 백여리, 안덕리, 원기리, 평촌리, 항가리
고산면남봉리, 삼기리, 서봉리, 성재리, 소향리, 양야리, 어우리, 오산리, 율곡리, 읍내리, 화정리
화산면성북리, 승치리, 와룡리, 우월리, 운곡리, 운산리, 운제리, 종리, 춘산리, 화월리, 화평리
운주면고당리, 구제리, 금당리, 산북리, 완창리, 장선리
경천면경천리, 용복리, 가천리
비봉면내월리, 대치리, 백도리, 봉산리, 소농리, 수선리, 니전리
동상면대야리, 사봉리, 수만리, 신월리


4. 2. 전주시와의 통합 문제

1935년 전주군의 전주읍이 전주부로 분리·승격되면서 완주군이 되었기 때문에 전주시와의 통합 논의가 있었다. 2013년 6월 26일에 실시된 완주군 주민투표에서 유효투표 총수의 55%가 반대해 통합이 무산되었다. 읍·면별로는 지리적으로 전주시와 가깝고 완주군의 다른 지역과는 사실상 분리되어 있는 이서면, 구이면, 상관면과 통합시청사가 들어서기로 합의됐던 용진읍은 찬성률이 높았으나, 북부 6개면과 봉동읍은 반대율이 높았다.[53]

5. 인구

완주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54]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178,559명
1955년184,293명
1960년168,013명
1966년186,093명
1970년170,695명
1975년168,651명
1980년152,268명
1985년136,950명
1990년88,354명
1995년81,367명외국인: 87명 (0.1%)
2000년79,137명외국인: 173명 (0.2%)
2005년79,541명외국인: 437명 (0.5%)
2010년83,408명외국인: 1,367명 (1.6%)
2015년95,357명외국인: 2,474명 (2.6%)
2019년96,212명외국인: 4,713명 (4.9%)


6. 관광


  • 대둔산
  • 모악산
  • 화암사
  • 삼례문화예술촌
  • 삼례딸기축제
  • 완주소싸움대회
  • 나라꽃무궁화축제
  • 완주와일드푸드축제

대둔산

  • '''대둔산 케이블카'''는 약 20도 경사의 약 1km 길이의 레일을 가진 케이블카이다. 소요 시간은 약 5분이다.[2]
  • 대둔산도립공원
  • 모악산 - 완주군 구이면김제시 사이에 있는 모악산에는 김일성의 조상인 전주 김씨의 시조 김태서의 시조묘가 있다. 모악산|母岳山한국어

7. 문화


전북도립미술관

  • '''전북도립미술관'''(Jeonbuk Museum of Art)

2004년 10월에 개관한 전라북도의 도립 미술관으로 임실읍에 위치해 있다.

완주 와일드푸드축제는 자연과의 재연결과 지역 음식 섭취를 중심으로 하는 축제이다.[3] 이 축제는 매년 9월이나 10월에 고산자연휴양림에서 열린다.

삼례읍 딸기는 전국적으로 품질이 우수하기로 유명하여 매년 3월삼례읍 청소년수련원에서 열리는 삼례딸기축제에는 많은 사람들이 딸기를 맛보러 온다. 딸기 수확 체험, 딸기 케이크와 딸기 인절미 만들기, 화분에 딸기 심기 등의 홍보 행사가 열리며, 친환경 딸기를 맛보고 구입할 수 있다.

8. 교통

완주군에는 한국철도 전라선이 지나가며, 삼례역에 여객열차가 정차한다. 호남고속도로 (서전주 나들목, 삼례 나들목)와 익산-포항 고속도로 (완주 나들목, 소양 나들목)가 지나간다.

8. 1. 철도

한국철도 전라선이 지나가며, 삼례역과 신리역, 죽림온천역이 있다. 여객열차는 삼례역에만 정차하며, 무궁화호만 하루 12회 왕복 정차한다. 봉동읍 방면으로는 삼례역, 전주역, 전주 시가지를 잇는 전주시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1]

8. 2. 도로

9. 자매 도시

완주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 도시국외 도시


9. 1. 국내

지역 & 국가도시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초구
경기도
군포시
경상북도
칠곡군


9. 2. 국외

국가도시
멕시코멕시코시티
미국캘리포니아주 칼슨시(Carlson)
중국장쑤성 화이안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Daedunsan Cable Car https://daedunsancab[...]
[3] 웹사이트 와일드&로컬푸드 이야기 http://www.wildfoodf[...] 2023-08-26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6] 간행물 (新旧対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称一覧 1917
[7] 간행물 全州面は府東面、府西面、府南面、府北面の各一部の合面。
[8] 간행물 伊東面は伊東面と府東面、府西面、府北面の合面。
[9] 간행물 助村面は助村面と伊北面の合面。
[10] 간행물 草浦面は草谷面と回浦面の合面。
[11] 간행물 伊西面は伊西面と伊南面の合面。
[12] 간행물 上関面は上関面と府南面の合面。
[13] 간행물 参礼面は昌徳面と紆西面の合面。
[14] 간행물 鳳東面は鳳翔面と紆東面の合面。
[15] 간행물 高山面は高山郡郡内面と南面の合面。
[16] 간행물 三奇面は高山郡東下面と北下面の合面。
[17] 간행물 華山面は高山郡雲西上面と雲西下面の合面。
[18] 간행물 雲仙面は高山郡雲東上面を改称した面。
[19] 간행물 飛鳳面は高山郡西面と北上面の合面。
[20]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21] 뉴스 완주군 신청사시대 활짝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2-06-06
[22]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20号 1940-10-23
[23] 법령 法律第395号
[24] 법령 法律第453号 1957-11-06
[25] 법령 郡条例第97号
[26] 법령 大統領令第6542号 1973-03-12
[27] 법령 大統領令第6543号 1973-03-12
[28]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29] 법령 大統領令第12007号 1986-12-23
[30] 법령 大統領令第12557号 1988-12-22
[31] 법령 郡条例第1065号
[32] 법령 大統領令第13046号 1990-07-09
[33] 법령 大統領令第14434号
[3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5] 뉴스 완주군 재정규모 7년여 만에 2.2배 늘어 5131억… 전국 1위 비결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4-01-30
[36] 뉴스 완주군 신청사시대 활짝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2-06-06
[3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1940-10-23
[38] 법률 법률 제395호
[39] 법률 법률 제453호 1957-11-06
[40] 법률 군조례 제97호
[41]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1973-03-12
[42]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43]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44]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45] 법률 대통령령 제12557호 1988-12-22
[46] 법률 군조례 제1065호
[47] 법률 대통령령 제13046호 1990-07-09
[48] 법률 대통령령 제14434호
[49] 기타
[50] 웹사이트 완주군의 지리 http://www.wanju.go.[...] 2011-08-06
[51] 웹사이트 완주의 현황 > 토지 http://www.wanju.go.[...] 2018-03-16
[5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10-02
[53] 뉴스 완주·전주 통합 무산..완주 주민투표 결과 읍·면별 분석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3-07-23
[54]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