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BN 교통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BN 교통방송은 도로교통 안전 홍보 및 교통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교통방송 네트워크이다. 1997년 광주교통방송 개국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방송 권역을 확대했으며, 2024년 한국도로교통공단으로 명칭이 변경됨에 따라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TBN 교통방송은 24시간 종일 방송을 실시하며, 각 지역별로 TBN 서울방송센터를 포함한 13개의 지역본부를 운영하며 교통 정보, 뉴스,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YTN - N서울타워
    N서울타워는 서울 남산에 위치한 랜드마크이자 방송 송신탑으로, 다양한 시설과 관광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KBS, MBC, SBS 등 방송 송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YTN - 연합뉴스
    연합뉴스는 1945년 합동통신으로 시작하여 1980년 합병을 거쳐 설립된 대한민국의 뉴스통신사이며,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지정되어 한국어 등 7개 언어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합뉴스TV 등의 자회사를 운영한다.
  • TBN 교통방송 - 전북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은 2002년 전주교통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M 102.5MHz와 FM 106.1㎒로 방송을 송출하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출발! 전북대행진 등이 있다.
  • TBN 교통방송 - 경북교통방송
    경북교통방송은 FM 103.5MHz와 FM 103.7MHz 주파수로 24시간 방송을 송출하며,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평일 출발! 경북대행진 등이 있다.
  • 2024년 설립 -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은 2024년 5월 27일 출범한 대한민국 정부 부처로, 우주항공 관련 정책 수립, 연구개발, 산업 육성 등을 담당하며, 2032년 달, 2045년 화성 착륙을 목표로 세계 5대 우주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한다.
  • 2024년 설립 -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은 도지사, 행정 및 정무부지사, 그리고 다양한 실, 국, 본부, 과로 구성되어 도정 운영 기획, 도민 생활 안정, 지역 경제 활성화, 문화 예술 진흥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전북특별자치도의 행정 총괄 기관으로, 2024년 1월 18일에 전라북도청에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도지사는 김관영이다.
TBN 교통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명TBN 교통방송
한자- 交通放送
영문명Traffic Broadcasting Network
약칭TBN
구분공영 방송
개국일1997년 12월 20일 (한국교통방송)
2024년 7월 31일 (TBN 교통방송)
폐국일2024년 7월 30일 (한국교통방송)
이전한국교통방송
본사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혁신로 2 (반곡동)
사장김환열 (본부장)
주주한국도로교통공단
웹사이트TBN 교통방송

2. 역사

TBN 교통방송은 도로교통법 및 공단 정관에 명시된 도로교통안전 홍보 및 방송, 교통정보 수집 제공을 근거로 설립되었다.[1] 1997년 12월 20일 광주교통방송을 시작으로, 1997년 12월 23일 부산교통방송, 1999년 7월 14일 대전교통방송, 1999년 7월 30일 대구교통방송이 차례로 개국하였다.[1] 2000년에는 경주, 서산, 충주에, 2001년에는 광양, 진주, 울진 등에 FM 중계소가 설치되었다.[1]

2001년 11월 13일 원주교통방송2001년 11월 30일 인천교통방송이 개국하였고,2002년 5월 15일에는 전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03년 원주교통방송은 강원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했다.[1] 2005년 10월 31일에는 TBN 교통방송에서 TBN 한국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2005년 12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서 DMB 방송을 시작하여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1]

2010년대 이후에도 방송 권역이 확대되어, 2012년 7월 23일 울산교통방송, 2013년 8월 26일 창원교통방송, 2014년 7월 9일 경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15년 4월 30일 서울 DMB 방송을 종료했고, 2015년 11월 30일 본부를 강원도 원주시로 이전하였다.[1] 서울방송센터는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서초구 염곡동 소재)로 이전하여 전국방송 제작과 네트워크 유지관리 업무를 계속하고 있다.[1]

2016년 8월 18일 제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18년 1월 창원교통방송, 인천교통방송, 전주교통방송이 각각 경남교통방송, 경인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2020년 1월 1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시작하였으며, 정기정파는 마지막 주 월요일 2시~6시이다.[1] 2020년 11월 24일 충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24년 7월 31일 한국도로교통공단으로 명칭이 변경됨에 따라 한국교통방송에서 다시 '''TBN 교통방송'''으로 변경했다.[1]

2. 1. 설립 근거

2. 2. 연혁

TBN 교통방송은 도로교통법 제123조 및 공단 정관 제5조에 의거, 도로교통안전에 관한 홍보 및 방송, 교통정보 수집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1] 1997년 12월 20일 광주교통방송을 시작으로, 1997년 12월 23일 부산교통방송, 1999년 7월 14일 대전교통방송, 1999년 7월 30일 대구교통방송이 차례로 개국하였다.[1] 2000년 2월 경주, 2000년 12월 서산충주, 2001년 1월 광양, 진주, 울진 등지에 FM 중계소가 설치되었다.[1]

2001년 10월 30일 전북체신청으로부터 전주교통방송 허가를 받았고,[1] 2001년 11월 13일 원주교통방송, 2001년 11월 30일 인천교통방송, 2002년 5월 15일 전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03년 원주교통방송은 강원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2005년 10월 31일 TBN 교통방송에서 TBN 한국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2005년 12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YTN 임대채널 DMB 방송을 시작하여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1]

2010년대 이후에도 방송 권역이 확대되어, 2012년 7월 23일 울산교통방송, 2013년 8월 26일 창원교통방송, 2014년 7월 9일 경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15년 4월 30일 서울 DMB 방송을 종료하였고, 서울방송센터는 전국방송 제작 및 네트워크 유지관리 업무를 계속하고 있다.[1] 본부는 2015년 11월 30일 강원도 원주시 반곡동으로 이전했으며, 서울방송센터는 서초구 염곡동 도로교통공단 서울지부로 이전했다.[1]

2016년 8월 18일 제주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18년 1월 창원교통방송, 인천교통방송, 전주교통방송이 각각 경남교통방송, 경인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2020년 1월 1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시작했으며, 정기정파는 마지막 주 월요일 2시~6시이다.[1]

2020년 11월 24일 충북교통방송이 개국하였다.[1]

2024년 7월 31일 한국도로교통공단으로 변경됨에 따라 국명을 한국교통방송에서 '''TBN 교통방송'''으로 변경했다.

3. 특징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내보내지 않는다. 이는 공익광고방송을 포함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이 시작 및 종료되기 때문이다.[2][3]

4. 방송 프로그램

TBN 서울방송센터에서 제작하여 전국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2023년 4월 10일 개편 기준)



평일 7:00 ~ 10:55, 14:05 ~ 19:55, 주말 12:00 ~ 17:55에는 지역 방송 시간대이다. 매일 새벽 5시 42분에는 TBN 재난재해 리포트가 방송된다. 설날과 추석 교통특별방송기간에는 특집 프로그램으로 <TBN 네트워크>가 아침 9시에 특별 편성된다.

4. 1. 개요

4. 2. 프로그램 목록 (서울방송센터 제작, 전국 방송)

TBN 서울방송센터에서 제작하여 전국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2023년 4월 10일 개편 기준)

매일 새벽 5시 42분에는 TBN 재난재해 리포트가 방송된다. 설날과 추석 교통특별방송기간에는 특집 프로그램으로 <TBN 네트워크>가 아침 9시에 특별 편성된다. 평일에는 7:00 ~ 10:55, 14:05 ~ 19:55에, 주말에는 12:00 ~ 17:55에 지역 방송 시간대가 있다.

4. 3. 지역 방송 시간

4. 4. 특집 프로그램

5. TBN 뉴스 및 교통정보

평일에는 TBN 뉴스가 10시, 14시, 16시, 18시에 방송되며, TBN 정오뉴스는 12시에 방송된다.[4] 주중 및 주말 모두 06시부터 22시까지 교통정보가 수시로 방송된다.

6. 구성원

6. 1. 아나운서

6. 2. DJ

7. 시보 및 로고송

7. 1. 시보

매 정시 1분 전에 교통 캠페인을 방송한 후 주파수·국명고지·호출부호 멘트(예: 대구교통방송 = "FM 103.9㎒ TBN 대구교통방송입니다. HLDU")와 로고송 후 시보멘트를 방송한다.

시보 멘트는 초기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시보 ○시를 알려드립니다."를 사용하다가 2008년 6월 22일 도로교통공단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도로교통공단 TBN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바뀌었다. 2011년 4월 (DMB는 5월 1일)부터는 "선진 교통문화의 리더 도로교통공단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변경되었고, 2019년 1월부터는 "배려하는 교통문화의 동반자 도로교통공단에서 ○시를 알려드립니다."로 사용되고 있다.

시보음은 초기 표준 3초 시보를 사용하다가, 2009년 대구교통방송이 자체 멜로디 시보를 처음 도입한 것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2011년 3월부터는 기존 멜로디 시보음을 같은 음에 다른 버전으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7. 2. 로고송

생생한 라디오 살아있는 방송 한국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에서만 사용하며, 부산교통방송[5]의 경우 일부 시간 시보에 사용함)

행복한 순간마다 내곁에는 TBN 한국교통방송 (거의 모든 지역국에서 10초간 사용되지만 대전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 강원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 등은 사용되지 않음)

선진 교통 문화의 리더 TBN 한국교통방송 (경북교통방송에만 사용)

달리는 라디오 TBN (지역)교통방송

열린 방송 빠른 정보 하나되는 방송 티비엔 티비엔 티비에~엔 한국교통방송 열린 방송 빠른 정보 하나되는 방송 티비엔 티비엔 티비에~엔 한국교통방송 (시보 이후 로고송) (강원교통방송, 대전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에서만 사용)

함께한 방송 즐거운 라디오 TBN 한국교통방송 (강원교통방송, 대전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 등에서만 사용)

운전 할 땐 언제나 TBN (지역)교통방송 (대전교통방송, 강원교통방송, 광주교통방송 등에서만 사용, 대구교통방송은 더 이상 사용 불가)

TBN TBN TBN 강원교통방송~ (강원교통방송에서만 사용)

TBN TBN 한국교통방송~

함께하는 좋은친구 라디오는 TBN (지역)교통방송

소중한 시간 당신곁엔 언제나 TBN (지역)교통방송~

신속하고 정확한 TBN 대구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에서만 사용)

하루의 시작과 끝엔 언제나 TBN (지역)교통방송

즐거운 운전 행복한 시간 TBN과 함께 (지역)교통방송

안전한 길 즐거운 동행 TBN (지역)교통방송

행복한 방송 즐거운 라디오 TBN (지역)교통방송

작은 대화 큰 웃음 행복을 약속해요 전국이 하나되는 TBN 교통방송[6]

생생한 정보 살아있는 방송 TBN 교통방송

나누는 정보 함께하는 세상 TBN 교통방송

생활속의 알찬 정보 함께하는 라디오 TBN 교통방송

소중한 시간을 함께 달리는 TBN TBN 교통방송

언제나 함께 하는 DMB 여러분의 TBN 한국교통방송 (DMB에만 사용)

여러분의 라디오 여러분의 TBN 한국교통방송

다정하게 언제나 TBN 대전교통방송 (대전교통방송에만 사용)

즐거운 동행 유익한 방송 TBN 한국교통방송[7]

즐거운 시간 행복한 방송 TBN 한국교통방송

새로운 탄생 생활의 길잡이 TBN 교통방송~ (부산교통방송대전교통방송 개국초기에 사용)

푸른도시 열린부산 TBN 교통방송~ (1999년경 부산에서 사용하였으며, 지금도 아침 6시 시보전 사용중)

8. 방송망

8. 1. 개요

8. 2. FM 주파수

본부호출부호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주소개국 년월
광주본부HLDM-FM무등산 송신소FM 97.3MHz3㎾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1-1 (kbc 광주방송)1997년 12월 20일
구봉화산 중계소FM 103.5MHz2㎾전라남도 광양시 성황동 산2282001년 10월
부산본부HLDN-FM황령산 송신소FM 94.9MHz3㎾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산181-3 (KNN)1997년 12월 23일
대전본부HLDT-FM식장산 송신소FM 102.9MHz3㎾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 (TJB)1999년 7월 14일
공주 중계소FM 102.9MHz30W충청남도 공주시 무령로 332-1 (공주시 상수도시설관리소)2012년 2월
대구본부HLDU-FM팔공산 송신소FM 103.9MHz3㎾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 141-5 (TBC)1999년 7월 30일
김천 중계소FM 95.9MHz100W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 101-8 달봉산 (대구문화방송)[8]2017년 12월 28일
강원본부HLSV-FM백운산 송신소FM 105.9MHz1㎾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 166 (KT)2001년 11월 13일
대룡산(춘천) 중계소FM 103.7MHz3㎾강원 춘천시 동내면 대룡산길 944 (춘천MBC)2003년 6월 30일
대관령(강릉) 중계소FM 105.5MHz3㎾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KT)
양양 중계소FM 95.1MHz300W강원 양양군 손양면 상황도리 산158-4 (MBC강원영동)2013년 9월
초록봉(동해) 중계소FM 95.3MHz1㎾강원 동해시 비천길 310 (MBC강원영동)[9]2015년 9월 23일
장암산(평창) 중계소FM 89.3MHz100W강원 평창군 평창읍 여만리 산 46 (KBS원주)[10]2017년 12월
경인본부HLSU-FM수봉산 송신소FM 100.5MHz1㎾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2동 산21-1 (경인방송)2001년 11월 30일
영종 중계소FM 105.5MHz100W인천 중구 용유서로 3792014년 4월 29일
전북본부HLCM-FM모악산 송신소FM 102.5MHz1㎾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 15길 (JTV 전주방송)2002년 5월 15일
팔공산 중계소FM 106.1MHz250W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용계리 산110-28[11][12]2018년 하반기
울산본부HLCV-FM무룡산 송신소FM 104.1MHz1㎾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동 20-1 (ubc 울산방송)2012년 7월 23일
경남본부HLEE-FM불모산 송신소FM 95.5MHz1㎾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213-8 (MBC경남)2016년 8월 1일
장군대산 중계소FM 100.1MHz1㎾경남 진주시 문산읍 달음산로 198-203 (MBC경남)2001년 1월 11일
감악산 중계소FM 107.3MHz1㎾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MBC경남)2025년 1월
경북본부HLEF-FM도음산 송신소FM 103.5MHz1㎾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도음로 764-150 (세림이동통신)2000년 2월 22일
현종산 중계소FM 103.7MHz1㎾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산리 산 10 (KT)2001년 1월 13일
제주본부HLEH-FM견월악 송신소FM 105.5MHz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584[13]2016년 8월 18일
광해악 중계소FM 105.5MHz100W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중산간서로 1969-31[14]2017년 하반기
미악산 중계소FM 105.9MHz1㎾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 산 7[15]2016년 8월 18일
충북본부HLEO-FM부모산 송신소FM 103.3MHz1㎾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 7-32020년 11월 24일
남산 중계소FM 93.5MHz500W충북 충주시 목벌동 산 58-3 (문스톤)[16]2000년 12월
충남본부rowspan="2" |원효봉 송신소FM 103.9MHz1㎾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 25-1 (TJB 서산지사)2025년 6월
흑성산 중계소FM 103.1MHz100W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산24-9 (KBS대전방송총국)2025년 6월


8. 3. TBN 교통방송 전국 네트워크

TBN 교통방송은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에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7] 각 지역본부는 특정 지역을 담당하며, 자체적인 방송국을 운영한다.

지역본부개국일연주소-방송국 위치(도로명주소)교통정보무료제보문자참여(50/100원)
TBN서울방송센터2005년 12월 1일(DMB 개국)
2015년 4월 30일(DMB 폐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42080-272-8000#9977(전국방송)
TBN광주교통방송1997년 12월 20일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82번길 40080-333-8000#0973
TBN부산교통방송1997년 12월 23일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68080-450-8000#0949
TBN대전교통방송1999년 7월 14일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17080-665-8000#6001
TBN대구교통방송1999년 7월 30일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20080-664-8000#1039
TBN강원교통방송2001년 11월 13일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동부순환로 183080-363-8000#1059
TBN경인교통방송2001년 11월 30일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251080-357-8000#5001
TBN전북교통방송2002년 5월 15일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정여립로 1097-10080-776-8000#1025
TBN울산교통방송2012년 7월 23일울산광역시 중구 함월7길 11080-947-8000#1041
TBN경남교통방송2013년 8월 26일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천로94번길 82-4080-210-8000#9550
TBN경북교통방송2014년 7월 9일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삼흥로 95080-240-8000#3456
TBN제주교통방송2016년 8월 18일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기자길 101080-248-8000#1055
TBN충북교통방송2020년 11월 24일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밀레니엄2로 45-25080-220-8000#1033
TBN충남교통방송2025년 6월충청남도 홍성군 내포신도시 도시첨단산업단지 산학시설용지080-230-8000#1057


9. 방송 시간

wikitable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비고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 방송중, ○ 방송종료(정파)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비고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 방송중, ○ 방송종료(정파)


참조

[1] 문서 설날과 추석 교통 특별방송 정기 정파 기준
[2] 문서 라디오방송국 개국 시 광고방송 실시 여부
[3] 문서 광고방송 없는 라디오 채널 목록
[4] 문서 지역 뉴스 제작 시간 및 공휴일 방송 여부
[5] 문서 시보 방송 시간 변천
[6] 문서 버전 정보
[7] 문서 특정 기간 사용 버전
[8] 웹인용 TBN 대구교통방송 김천 FM 방송 보조국(중계소) 구축 http://www.koroad.or[...] 2017-11-24
[9] 웹인용 TBN강원, 23일 동해 초록봉 중계소 개국 https://web.archive.[...] 2015-09-23
[10] 웹인용 TBN 강원교통방송 평창 실용화실험국 구축 http://www.koroad.or[...] 2017-11-24
[11] 웹사이트 TBN 전주교통방송, 장수 팔공산 중계소 허가 http://m.domin.co.kr[...]
[12] 웹인용 TBN 전북교통방송 노후방송장비 교체(중계소 신설)사업 https://www.koroad.o[...] 2018-07-20
[13] 웹인용 TBN 제주교통방송 방송시스템 구축 사업 http://www.koroad.or[...] 2016-04-12
[14] 웹인용 TBN제주교통방송 중계소 구축 및 방송장비 납품 설치 http://www.g2b.go.kr[...] 2017-07-14
[15] 웹인용 TBN 제주교통방송 방송시스템 구축 사업 http://www.koroad.or[...] 2016-04-12
[16] 문서 충북교통방송 개국 이전 중계소 정보
[17]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새주소 안내페이지 http://www.juso.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