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읍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마한 시대부터 백제, 신라를 거쳐 조선 시대, 일제강점기, 그리고 현재까지 역사를 이어왔다. 1895년 정읍현에서 정읍군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81년 정주시로 승격, 1995년 도농복합 형태의 정읍시로 출범했다. 내장산국립공원과 동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농업, 제조업, 관광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내장산 단풍과 무성서원 등 다양한 문화유적과 명소로 유명하다. 현재 1읍, 14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읍시 - 태인면
태인면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위치한 면으로, 백제 시대 대시산군에서 조선 시대 태인현으로 개칭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4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정읍시 - 첨단방사선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산하 연구기관으로, 방사선 이용 연구를 수행하며, 방사선 공업환경, 생명공학, 기기장치, 육종 분야를 연구하고 IAEA 협력센터로 국제 협력 활동도 수행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익산시
익산시는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 유적과 고려 시대부터 사용된 지명을 갖고 있으며, 1995년 익산시로 설치되었고, 호남선 등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보석 가공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상교동
상교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하며 상평동과 과교동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하모동, 상평동, 과교동 등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암서원지, 단군성전, 온조우 등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동이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수성동 (정읍시)
수성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동으로, 정읍충렬사, 송우암 수명 유허비 등의 문화재와 쌍화차 거리가 위치해 있으며 영창동, 장명동, 시기동, 농소동을 관할한다.
정읍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한국어 표기 | 정읍시 |
한자 표기 | 井邑市 |
로마자 표기 | Jeongeup-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Chŏngŭp-si |
관할 지역 | 호남 |
속한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
면적 | 692.66 km² |
인구 (2022년 3월) | 106,187명 |
인구 밀도 | 153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4면, 12동 |
방언 | 전라 방언 |
시청 소재지 | 정읍시 충정로 234 (수성동 440-1) |
시목 | 단풍나무 |
시화 | 구절초 |
시조 | 원앙 |
지역어 | 서남 방언 |
홈페이지 | 정읍시청 홈페이지 |
상징 | |
![]() | |
![]() | |
정치 | |
시장 | 이학수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정읍시·고창군) |
2. 역사
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현재 정읍시 지역에 위치했다고 한다. 백제 시대에는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이후 951년에는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다시 고부군으로 되돌렸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 1421년 태인향교가 신축되었다. 1593년 입암산성이 수축되었다.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압정에 반발하여 고부의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 민란은 이후 동학 농민 혁명으로 확산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라도 정읍현을 전주부 '''정읍군'''으로 개편하였고,[24]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5] 1914년 4월 1일 정읍군, 태인군, 고부군[26]을 정읍군으로 통폐합하였다.[27]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을 정주면으로 개칭하였고,[28]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35년 3월 1일 정토면·우순면을 정우면으로 합면하고, 보림면을 북면·태인면에 분할 편입하고, 용북면을 신태인면으로 개칭하였다.[30]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31]
1981년 7월 1일 정주읍 일원을 관할로 하여 정주시가 설치되었고,[32] 1983년 2월 15일 정읍군 내장면 일원과 소성면 흑암리·용계리·공평리, 덕천면 망제리, 북면 영파리·구룡리·하북리가 정주시에 편입되었고, 정읍군 소성면 봉양리가 입암면에, 태인면 백산리가 신태인읍에 편입되었다.[33] 1995년 1월 1일 정주시 일원과 정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정읍시가 설치되었다.[34] 2011년 5월 1일 시기3동을 초산동으로 개칭하였다.[35] 2021년 4월 9일 고부면 주산마을이 대뫼마을로, 산내면 평내마을이 평천마을로 명칭 변경되었으며 접지리 일부와 마석리 일부 지역을 합쳐 대흥리를 분리 신설하였다.[36][37]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로 개편되었다.
2. 1. 고대
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현재 정읍시 지역에 위치했다고 한다. 백제 시대에는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이후 951년에는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다시 고부군으로 되돌렸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2. 2. 고려 시대
마한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현재 정읍시 지역에 있었다고 한다. 백제 때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개칭되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이후 951년에는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다시 고부군으로 환원하였다.2. 3. 조선 시대
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백제 때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개칭되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이후 951년에는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다시 고부군으로 환원하였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 1421년 태인향교가 신축되었다. 1593년 입암산성이 수축되었다.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압정에 반발하여 고부의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 민란은 이후 동학 농민 혁명으로 확산되었다.[24]2. 4. 일제 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라도 정읍현을 전주부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4]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5] 1914년 4월 1일 정읍군, 태인군, 고부군[26]을 정읍군으로 통폐합하였다.[27] 이 때, 각 군/면을 조정하여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등의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변경 전 | 변경 후 (정읍군) | |
---|---|---|
정읍군 | 군내면, 서이면 | 정읍면 |
남일면, 동면 | 내장면 | |
북일면, 북이면 | 북면 | |
남이면, 서일면 | 갓암면 | |
흥덕군(興德郡) | 이동면의 일부 | |
고부군(古阜郡) | 남부면, 서부면 | 고부면 |
소정면, 성포면 | 소성면 | |
답내면, 궁동면 | 이평면 | |
북부면, 동부면 | 영원면 | |
우덕면, 달천면 | 덕천면 | |
우일면, 장순면 | 우순면 | |
벌미면, 수금면, 오금면 | 정토면 | |
태인군(泰仁郡) | 군내면, 인곡면, 흥천면 | 태인면 |
용산면, 북촌면 | 용북면 | |
서촌면, 남촌이변면 | 보림면 | |
고현내면, 남촌일변면 | 칠보면 | |
감산면, 사곡면, 은동면 | 감곡면 | |
산내일변면, 산내이변면 | 산내면 | |
산외일변면, 산외이변면 | 산외면 | |
옹지면, 동촌면 | 옹동면 |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을 정주면으로 개칭하였다.[28]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35년 3월 1일 정토면·우순면을 정우면으로 합면하고, 보림면을 북면·태인면에 분할 편입하고, 용북면을 신태인면으로 개칭하였다.[30]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31]
2. 5. 대한민국
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있었다고 한다. 백제 때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개칭되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이후 951년에는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다시 고부군으로 환원하였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 1421년 태인향교가 신축되었다. 1593년 입암산성이 수축되었다.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압정에 반발하여 고부의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 민란은 이후 동학 농민 혁명으로 확산되었다.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라도 정읍현을 전주부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4]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정읍군으로 개편하였다.[25] 1914년 4월 1일 정읍군, 태인군, 고부군[26]을 정읍군으로 통폐합하였다.[27]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을 정주면으로 개칭하였다.[28]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35년 3월 1일 정토면·우순면을 정우면으로 합면하고, 보림면을 북면·태인면에 분할 편입하고, 용북면을 신태인면으로 개칭하였다.[30]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31] 1976년 정주읍에 동부·서부·남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 일원을 관할로 하여 정주시가 설치되었다.[32]
1983년 2월 15일 정읍군 내장면 일원과 소성면 흑암리·용계리·공평리, 덕천면 망제리, 북면 영파리·구룡리·하북리가 정주시에 편입되었고, 정읍군 소성면 봉양리가 입암면에, 태인면 백산리가 신태인읍에 편입되었다.[33] 1995년 1월 1일 정주시 일원과 정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정읍시가 설치되었다.[34] 2011년 5월 1일 시기3동을 초산동으로 개칭하였다.[35] 2021년 4월 9일 고부면 주산마을이 대뫼마을로, 산내면 평내마을이 평천마을로 명칭 변경되었으며 접지리 일부와 마석리 일부 지역을 합쳐 대흥리를 분리 신설하였다.[36][37]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로 개편되었다.
3. 지리
정읍의 주요 산지는 내장산국립공원과 입암산이지만, 도시에는 몇몇 작은 산들도 있다. 도시의 동쪽은 산악 지형이고, 서쪽은 동진강 주변의 평야 지대이다. 정읍에는 여러 개의 하천이 있는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동진강의 지류인 정읍천이다.
3. 1. 위치
정읍시는 동남쪽 노령산맥의 줄기로 산세가 수려한 내장산 국립공원과 입암산이 연결되어 있다. 서북쪽 농소동과 상평동, 연지동을 관통하는 호남선 및 목포와 서울 간을 잇는 KTX고속철도, 고속도로 및 국도 3개 노선이 연결되어 서해안 지방 교통의 요지이다. 또한 서북은 평야가 광활하여 비옥한 토질로 유명한 호남평야를 이루고 하천은 지세를 따라 서북으로 흐르고 있다.[38]독금산에서 발원한 동진강이 동남단인 내장산으로부터 흐르고 있는 정읍천과 합류하여 부안군과 경계를 이어 황해에 유입된다. 동진강 유역에는 관개지로써 토지가 비옥하여 농업에 적합하다.[38]
동경 127도 07분 ~ 126도 43분, 북위 35도 27분 ~ 북위 35도 45분에 걸쳐있고 총 면적은 693.23km2로 전북특별자치도 내 시, 군 중 2번째로 넓은 도시이며 2023년 기준 인구는 103,620명이다. 곰소만(또는 줄포만)에서 고부면 백운리간 거리가 약 5㎞ 떨어져 있는 내륙지역이지만 한국의 시군단위 행정구역 중에서는 바다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정읍의 주요 산지는 내장산국립공원과 입암산이지만, 도시에는 몇몇 작은 산들도 있다. 도시의 동쪽은 산악 지형이고, 서쪽은 동진강 주변의 평야 지대이다. 정읍에는 여러 개의 하천이 있는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동진강의 지류인 정읍천이다.
3. 2. 기후
정읍의 기후는 서해안형과 내륙형의 중간형으로 구분되지만, 서해안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 겨울철에는 분지 형태의 지형적인 영향으로 폭설이 자주 내리고, 겨울철 주 풍향은 서~북서풍이다. 그 외 바람은 주로 남동풍이 많고 풍속은 1.6m/sec이다. 2022년 기준 연평균 기온은 13.2°C이며, 연간 총 강수량은 979.3mm이다.[39] 정읍은 온난 습윤 기후(Cfa)의 더 서늘한 변형을 가지고 있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 | 18.5°C | 21.7°C | 27.3°C | 31°C | 34.1°C | 34.2°C | 37.3°C | 38.4°C | 35°C | 30.7°C | 27.6°C | 19.6°C | 38.4°C |
최저 기온 기록 (℃) | -19.8°C | -20°C | -10.9°C | -4.2°C | 2.4°C | 8.5°C | 13.1°C | 11.6°C | 5.6°C | -1.5°C | -10.4°C | -15.2°C | -20°C |
4. 행정 구역
정읍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4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읍시의 면적은 693.23km2이며, 인구는 2024년 12월을 기준으로 54,691세대 102,851명이다.[42]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신태인읍 | 新泰仁邑 | 2,928 | 5,053 | 29.83km2 |
북면 | 北面 | 2,224 | 3,925 | 35.64km2 |
입암면 | 笠岩面 | 1,587 | 2,621 | 35.8km2 |
소성면 | 所聲面 | 1,201 | 1,978 | 29.06km2 |
고부면 | 古阜面 | 1,585 | 2,632 | 40.02km2 |
영원면 | 永元面 | 1,026 | 1,652 | 24.96km2 |
덕천면 | 德川面 | 980 | 1,659 | 20.66km2 |
이평면 | 梨坪面 | 1,236 | 1,898 | 25.73km2 |
정우면 | 淨雨面 | 1,435 | 2,351 | 30.34km2 |
태인면 | 泰仁面 | 1,966 | 3,189 | 34.2km2 |
감곡면 | 甘谷面 | 1,701 | 2,620 | 41.57km2 |
옹동면 | 瓮東面 | 987 | 1,571 | 39.88km2 |
칠보면 | 七寶面 | 1,232 | 2,155 | 49.6km2 |
산내면 | 山內面 | 762 | 1,206 | 64.98km2 |
산외면 | 山外面 | 1,224 | 1,945 | 62.74km2 |
수성동 | 水城洞 | 8,524 | 16,327 | 5.9km2 |
장명동 | 長明洞 | 1,386 | 2,710 | 6.55km2 |
내장상동 | 內藏上洞 | 9,149 | 20,739 | 45.17km2 |
시기동 | 市基洞 | 1,654 | 3,049 | 0.45km2 |
초산동 | 楚山洞 | 4,249 | 9,885 | 2.9km2 |
연지동 | 蓮池洞 | 2,955 | 5,737 | 1.71km2 |
농소동 | 農所洞 | 2,112 | 3,767 | 18.81km2 |
상교동 | 上橋洞 | 2,588 | 4,182 | 46.16km2 |
정읍시 | 井邑市 | 54,691 | 102,851 | 692.65km2 |
5. 인구
井邑市중국어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1966년 277,506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감소하여 2023년에는 102,507명이 되었다.[43]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49년 | 227,434명 | 정읍군 |
1955년 | 217,854명 | 정읍군 |
1960년 | 252,190명 | 정읍군 |
1966년 | 277,506명 | 정읍군 |
1970년 | 253,671명 | 정읍군 |
1975년 | 248,193명 | 정읍군 |
1980년 | 220,950명 | 정읍군 |
1985년 | 199,784명 | 정주시(79,323), 정읍군(120,461) |
1990년 | 185,323명 | 정주시(86,906), 정읍군(98,417) |
1995년 | 139,111명 | 정읍시 (외국인: 127명, 0.1%) |
2000년 | 129,152명 | 외국인: 260명 (0.2%) |
2005년 | 115,760명 | 외국인: 344명 (0.3%) |
2010년 | 110,352명 | 외국인: 894명 (0.8%) |
2015년 | 110,627명 | 외국인: 2,639명 (2.4%) |
2019년 | 107,348명 | 외국인: 3,838명 (3.6%) |
2023년 | 102,507명 | 외국인: 4,218명 (4.1%) |
[43]
정읍의 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며, 매일 평균 56명이 도시로 이주하지만 91명이 떠나고 있으며, 출산율과 사망률은 같다. 이혼율은 현재 50%이다.[2]
6. 교통
호남선과 호남고속도로가 정읍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고 있다.
도로는 국도 제1호선, 제22호선, 제29호선이 시내를 통과하고, 제21호선이 시내에 인접해 있다. 호남고속도로는 정읍 나들목과 태인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할 수 있으며, 2000년대 초반에는 내장산 나들목이 개통되어 내장산 관광객의 편의를 돕고 있다.
철도는 호남선 정읍역이 KTX 선택 정차역이자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필수 정차역으로, 정읍시와 주변 지역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신태인역은 정읍시 북부 지역의 교통 수요를 담당하며, 천원역과 노령역도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공영제 시내버스가 운행되며, 정읍시 각 지역과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일부 지역을 연결한다. 연지동에는 정읍공용터미널이 있는데, 시외버스 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시외버스는 전주, 광주, 고창, 내장산, 부안 등 인근 지역과 성남, 부천, 안양 등 수도권을 연결하고, 고속버스는 서울(센트럴시티)과 동서울을 연결한다.
6. 1. 도로
국도 제1호선, 22호선, 29호선이 시내를 통과하며, 국도 제21호선이 시내에 인접하여 놓여 있다. 호남고속도로가 정읍시의 남북을 관통하며, 농소동에 위치한 정읍 나들목과 태인면에 위치한 태인 나들목을 이용하여 진출입할 수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내장산 관광객의 이용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내장산 나들목을 개통하였다.6. 2. 철도
호남선이 정읍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정읍역은 그룹대표역으로 KTX의 선택 정차역이자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의 필수 정차역이다. 이 역을 이용하여 정읍시와 인접 시군인 고창군, 부안군, 순창군 주변 관광을 하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신태인읍에 있는 신태인역은 신태인읍, 감곡면, 태인면 등 정읍시 북부의 교통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이 밖의 철도역으로는 천원역과 노령역이 있다.6. 3. 대중교통


정읍시에는 공영제로 운영되는 시내버스가 있으며, 내장산과 황토현을 포함한 정읍시의 각 지역과 고창군, 부안군, 김제시 일부 지역을 연결한다. 해당 시군에서 운영되는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 중 일부가 역으로 정읍시를 최종 목적지로 삼기도 한다. 연지동에는 정읍공용터미널이 위치한다. 시외버스 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어서 전자는 전주, 광주, 고창, 내장산, 부안 등의 정읍 인근의 지역과 성남, 부천, 안양 등의 수도권이, 후자는 서울(센트럴시티)와 동서울이 주요 행선지다.
7. 산업
정읍시는 농업과 제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농업과 제조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을 참고하라.
7. 1. 농업
호남평야와 접하는 남부와 동진강 유역 일대에는 비옥한 토질을 바탕으로 논농사가 발달해 있으나, 산지에 접한 서부에는 밭농사가 발달해 있다. 주곡 농업 외에 채소 등의 원예작물의 재배가 활발하며, 특용작물로 사과·감 등이 많이 생산된다. 축산업으로 양계·양돈업도 영위된다. 또한 정읍은 자생녹차로 유명하다.[44]호남평야 일대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옥정호의 물을 취수하여 도수로를 통해 동진강으로 흘려보내고 있으며, 유역변경식 발전소인 칠보면의 섬진강수력발전소(칠보발전소)를 통해 최대출력 30480kW의 발전을 한다.
7. 2. 제조업
정읍시는 호남평야와 동진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를 기반으로 논농사가 발달했지만, 산지와 인접한 서부 지역은 밭농사가 발달했다. 주곡 농업 외에도 채소 등 원예작물 재배가 활발하며, 사과, 감 등의 특용작물도 많이 생산된다. 축산업으로는 양계, 양돈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견직, 면직 등의 섬유공업과 배합사료 가공, 양송이 통조림, 식용유, 전분 제조 등의 식료품 공업, 백열전구 제조업 등이 발달했다.1981년 정읍공업단지가 조성되었고, 서해안 개발 추진에 따라 1988년 이후 농소동, 북면에 공업단지 및 농공단지가 건설되면서 공업화가 진전되었다. 농소동 공단 부지(201.654km2)에는 식용유, 세탁비누, 박스 원료, 미원사료, 장판지 및 제지, 안경테, 레미콘 등이 입주해 있으며, 입암면 일대에는 면직물 제조업체가 집중되어 있다.[44]
정읍은 자생녹차로도 유명하다.[44]
7. 3. 관광산업
정읍은 호남평야와 동진강 유역의 비옥한 토질을 바탕으로 논농사가 발달했지만, 산지와 인접한 서부 지역은 밭농사가 발달했다. 주곡 농업 외에도 채소 등 원예작물 재배가 활발하며, 사과, 감 등의 특용작물도 많이 생산된다. 축산업으로는 양계, 양돈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견직, 면직 등의 섬유공업, 배합사료 가공, 양송이 통조림, 식용유, 전분 제조 등의 식료품 공업, 백열전구 제조업 등이 발달했다. 1981년 정읍공업단지가 조성되었고, 서해안 개발 추진에 따라 1988년 이후 농소동, 북면에 공업단지 및 농공단지가 건설되어 공업화가 진전되고 있다. 농소동 공단부지(201.654km2)에는 식용유, 세탁비누, 박스 원료, 미원사료, 장판지 및 제지, 안경테, 레미콘 등이 입주해 있고, 입암면 일대에는 면직물 제조업체가 집중되어 있다.[44]또한 정읍은 자생녹차로 유명하다.[44]
옥정호의 물을 취수하여 도수로를 통해 동진강으로 흘려보내 호남평야 일대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유역변경식 발전소인 칠보면의 섬진강수력발전소(칠보발전소)를 통해 최대 출력 30480kW의 발전을 한다.
8. 관광
내장산은 호남 지방의 5대 명산 (지리산, 월출산, 천원산, 방장산) 중 하나이며, 신 대한 팔경의 하나로 50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 유일한 단풍 명소로 널리 알려졌다. 내장사가 있으며, 1969년 1월 21일 관광지로, 1971년 11월 17일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75년 봉룡지구에 집단 시설을 조성하고 공원 주변과 경내 조경을 새롭게 정비하였으며,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를 받아 공원탑을 세웠다. 공원 면적은 76.03km2로 정읍시, 순창군, 전라남도 장성군과 인접해 있다. 단풍 성수기에는 하루 50만 명, 연중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다. 금선폭포, 도덕폭포 등 두 개의 폭포와 금선계곡, 원적계곡 등 두 개의 계곡, 신선봉, 서래봉, 불출봉, 연지봉, 망해봉, 까치봉, 연자봉, 장군봉, 월영봉 등 아홉 개의 웅장한 봉우리로 이루어졌고, 굴거리나무, 비자나무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희귀 식물이 자라고 있다.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푸른 녹음,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으로 사계절 관광 명소이다.
택시 기사들이 사람당 10,000원~20,000원을 부르고 호객 행위를 하는 등 불법 행위가 수년째 개선되지 않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4111018321 기사1],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2342 기사2]) 대중교통 배차 간격이 30분이지만 지켜지지 않아 한 시간 반 후에 버스 두 대가 연달아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교통 체증이 심하고 추운 주말 저녁 하산 시 특히 문제가 심각하여 관광객과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 내장산국립공원
- 내장사
8. 1. 문화유적/명소
- 은선리 삼층석탑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43번지에 있다. 백제 고사부리군(고부의 옛 이름)의 고을터였던 은선리에 있는 백제 삼층석탑이다. 높이 7.2m, 기단은 2.7m, 두께 27cm이다. 정방형에 제1층 높이는 2.28m, 넓이 1.38m의 판석 두 장을 양측에 세우고 앞뒤에 면석 2장을 더하여 모두 4매의 판석으로 세웠다. 제2층 탑신은 높이가 85cm, 넓이 90cm로 매우 낮아졌다. 제3층 탑신은 높이 55cm, 넓이 60cm 정도이다. 각 층의 옥개는 두 장의 판석을 방형으로 맞추었다. 이 탑의 특징은 제1층 탑신이 길면서도 제2층에 감실을 만들고 두 개의 석비를 달아 붙인 점이다.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과 유사하지만, 감실에 석비를 달아 붙인 점이 다르다.
- 망제동 칠층석탑
정읍시 망제동 10번지에 있다. 망제봉 서쪽 기슭 천곡리 골짜기에 있어 통칭 천곡사지 석탑이라고 한다. 원래 오층석탑이 하나 더 있었는데, 1925년경 일본인들이 다른 곳으로 옮겼다. 이때 해체한 탑 속에서 고려 태조 21년(938)이라는 글귀가 나와 이를 탑의 축조 연대로 보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현재 남아있는 칠층석탑은 남승의 탑이고, 옮겨간 탑은 여승의 탑이라고 한다. 탑의 형태는 신라의 형태를 벗어난 고려 탑의 형태이다. 그 구조는 탑의 규모에 비해 기단의 규모가 작은 편이며, 1층의 탑신은 네 개의 판석을 서로 엇물려 세웠다. 제2층의 탑신은 높이가 제1층보다 훨씬 낮고,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3층 이상의 탑신은 모두 장방형으로 다듬어진 한 덩이의 돌로 세워져 있는데, 좁은 편이지만 두꺼워서 둔중한 느낌을 준다.
- 무성서원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번지에 있다. 신라 말의 유학자인 최치원과 조선 중종 때 태인현감이던 신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원래는 태산서원이라 하던 것을 숙종 22년(1696)에 임금이 이름을 내려 무성서원이라 하였다. 사우는 최치원을 비롯하여 신잠, 정극인, 송세림, 정언충, 김약묵, 김관 등의 뛰어난 인물들을 모셨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로는 현가루를 비롯하여 강당, 동서재, 사우, 비각 등이 있다. 사우는 성종 15년(1484)에 수리되었고, 강당은 순조 25년(1825)에 불타 없어진 것을 순조 28년(1828)에 다시 지었다. 이 서원에는 성종 17년 이후의 봉심안, 강안, 심원록, 원규 등 서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무성서원은 그 역사,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전봉준 장군 고택지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 458번지에 있다. 녹두장군 전봉준이 동학운동을 일으킬 당시 살았던 집이다. 전봉준은 조선왕조 철종 6년(1855)에 이 지방의 양반 가문에서 태어나, 고종 27년(1890) 동학에 들어갔으며 서당 훈장으로 있었다. 당시 전국의 농촌은 일부 탐관오리의 잘못된 정치로 농민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었으며, 이곳 고부군 역시 군수 조병갑의 만석보 수세 강제징수 등 잘못된 정치에 시달린 농민들의 생활은 피폐하고 원성이 높았다. 이때 전봉준은 고부군의 동학 접주로서 분노에 찬 농민들과 동학교도의 조직을 이용, 제폭구민, 보국안민의 구호를 내세우고 동학운동을 주도하였다.
호남 지방의 5대 명산 (지리산, 월출산, 천원산, 방장산) 중 하나이며, 신 대한 팔경의 하나로 50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 유일한 단풍 명소로서 널리 알려졌다. 명찰 내장사가 있다. 1969년 1월 21일 관광지로 지정되었으며, 1971년 11월 17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1975년 봉룡 지구에 집단 시설을 조성하고 공원 주변과 경내 조경을 새롭게 정비하였으며 박정희 대통령의 글씨를 받아 공원탑을 세웠다. 공원 면적은 76.03km2로 정읍시, 순창군, 전남 장성군과 인접해 있고, 단풍 성수기에는 하루 50만 명의 인파가 단풍을 보기 위해 내장산을 찾고 있으며, 연중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내장산을 찾고 있다. 금선폭포, 도덕폭포 등 두 개의 폭포와 금선계곡, 원적계곡 등 두 개의 계곡, 신선봉, 서래봉, 불출봉, 연지봉, 망해봉, 까치봉, 연자봉, 장군봉, 월영봉 등 아홉 개의 웅장한 봉우리로 이루어졌고, 굴거리나무, 비자나무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희귀 식물이 자라고 있다. 봄에는 푸른 산록 사이로 피어나는 벚꽃의 아름다움과 여름에는 푸른 녹음, 가을은 불타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의 아름다움으로 4계절 관광 명소이다.
수년째 택시 기사들이 '''사람당''' 만 원에서 2만 원을 부르고 호객 행위를 하는 등 불법 행위가 문제가 되고 있으나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4111018321 기사1],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2342 기사2]) 대중교통 배차 간격이 개선되어야 하지만 오히려 30분인 배차 간격을 지키지 못해 한 시간 반 후에 버스 두 대가 연달아 나타나기도 하는 등 교통 체증이 심하고 추운 주말 저녁에 하산할 때 특히 문제가 심각해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모두 고통을 겪는다.
- 피향정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에 있다. 1963년 보물 제289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호남 제일의 정자로 널리 알려진 피향정(披香亭)은 원래 이 정자 앞뒤로 상연지(上蓮池)와 하연지(下蓮池)라는 연못이 있어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었으나, 상연지는 일제강점기 때 메워지고 현재는 하연지만 남아 있다. 연못에 연꽃이 피면 향기가 주위에 가득하다 하여 「피향정」이라 이름 했다. 신라 최치원이 태산 군수로 있을 때 이곳 연못가를 다니며 시를 읊었다는 전설이 있으나, 정자를 세운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재의 정자는 조선 인조 때 태인현감 유근(柳根)이 다시 고친 것이다.
정읍에는 유교 사당인 향교가 있었는데, 사람들이 유교적인 방식으로 수련을 받던 곳이었다. 이 건물은 오늘날 관광 명소이지만 일반인에게 공개되지는 않는다.
정읍은 백제 시대의 전통 민요인 정읍사로 유명하다. 이 노래는 행상인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다리는 여인의 애절한 마음을 노래한다.
- 내장사
636년에 처음 세워졌지만, 현재 건물 대부분은 임진왜란(1592-1598) 이후인 1597년과 한국 전쟁 이후에 건립되었다.[3] 2012년 10월 31일, 화재로 인해 절이 소실되었다.[4]
- 충렬사
- 내장산국립공원
8. 2. 축제
정읍시 내장산에서는 매년 단풍 축제가 열린다. 이곳의 단풍은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축제는 2002년에 폐지되었다가 2007년에 부활했다.[5] 축제에는 국화와 관련된 여러 행사가 포함되어 있다.
9. 교육 기관
초등학교 |
---|
중학교 |
---|
고등학교 |
---|
사립전문대학 |
---|
10.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종로구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강서구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성북구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강동구 |
대한민국 | 경상남도 사천시 |
대한민국 | 경기도 남양주시 |
대한민국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
대한민국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중국 | 장쑤성 쉬저우 시 |
일본 | 지바현 나리타시 |
정읍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녹두꽃피고 파랑새나는 정읍 만들기
http://www.jeongeup.[...]
2009-02-05
[3]
웹사이트
Simply stunning: 33 incredible Korean temples
http://travel.cnn.co[...]
CNN Travel
2012-02-10
[4]
뉴스
Temple lost to fire
http://english.hani.[...]
2012-11-01
[5]
뉴스
내장산 단풍… 마냥 고와서 문득 서러워라
국민일보
2007-11-01
[6]
웹사이트
Welcome to honam Udo nongak
http://honam.jeongeu[...]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
법령
전라북도령 제26호
1930-12-26
[12]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13]
법령
전라북도령 제1호
1935-01-30
[14]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21号
1940-10-23
[15]
법령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16]
법령
法律第3425号 光陽市等市設置及び郡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法律
1981-04-13
[17]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名称変更に関する規定
1983-01-10
[18]
법령
大統領令第1200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19]
법령
大統領令第12557号 市・郡・自治区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8-12-22
[20]
법령
法律第4774号 京畿道南楊州市等33個都農複合形態の設置などに関する法律
1994-08-03
[2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정읍(24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정읍(24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3]
웹인용
2024년 6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4]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5]
법령
칙령 제36호
1896-08-04
[26]
기타
[2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8]
법령
전라북도령 제26호
1930-12-26
[2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30]
법령
전라북도령 제1호
1935-01-30
[3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32]
법령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33]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4]
법령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5]
법령
정읍시 조례 제972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1-04-22
[36]
text
[37]
조례
정읍시 읍·면·동의 관할구역변경에 관한 조례
2021-04-09
[38]
웹인용
정읍의 지형 및 지세
http://www.jeongeup.[...]
2011-09-02
[39]
text
[4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정읍(24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정읍(24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2]
웹사이트
정읍시의 주요 통계
https://www.jeongeup[...]
2024-07-15
[43]
웹사이트
통계청
[44]
웹인용
정읍자생차
http://jeongeuptea.c[...]
2013-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