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인권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록 음악가로, 1979년 모던 포크 팝 밴드 따로 또 같이의 보컬리스트로 데뷔했다. 이후 솔로 활동과 밴드 들국화의 보컬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차례 마약 관련 사건으로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2003년 활동을 재개하여 앨범을 발표하고, 2012년에는 들국화 밴드 활동을 다시 시작했으나, 2014년 전인권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허스키한 음색과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로 평가받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들국화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들국화 - 최성원 (음악가)
대한민국의 음악가 최성원은 1976년 록 가수로 데뷔, 들국화의 베이시스트 겸 보컬리스트로 활동 후 솔로 가수로 활동했으며 작곡가 최영섭의 아들이고, 아들은 싱어송라이터 최지훈, 딸은 스케이팅 코치 최선영이다. - 정선 전씨 - 전태일
전태일은 1948년 대구 출생으로,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노동 운동을 펼치다 1970년 분신 자살하며 노동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 정선 전씨 - 전원책
전원책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시인, 정치평론가, 방송인이며, 경희대학교 법률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변호사, 자유경제원 원장,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YTN 라디오, JTBC, TV조선 등에서 방송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전인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전인권 |
출생일 | 1954년 9월 3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
국적 | 대한민국 |
배우자 | 정혜영 |
가족 | 아들 전진환, 딸 전인영 |
형제 | 형 2명 |
첫째 형 | 전세권(前 KBS 드라마 PD) |
둘째 형 | 전 권 |
친척 조카딸 | 권진원(싱어송라이터) |
직업 | 싱어송라이터, 밴드 리더, 음반 프로듀서 |
활동 시기 | 1979년 ~ 현재 |
소속사 | 들국화 컴퍼니 |
관련 활동 | 따로 또 같이 들국화 전인권과 가야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Jeon Ingwon |
음악 장르 | |
장르 | 포크 록 재즈 록 하드 록 |
2. 젊은 시절
전인권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에서 함경도 북청 출신의 아버지 전호준과 어머니 고옥순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6] 부모는 인사동에서 고려인쇄소를 운영하여 넉넉한 집안 환경에서 성장했다.[6] 아버지 전호준은 분가하고, 후에 큰형 전세권도 KBS PD가 되어 집을 떠나 어머니, 작은 형 전권과 함께 살았다.[7] 그의 친척 조카로는 가수 권진원이 있다.[7]
1979년 모던 포크 팝 보컬 음악 그룹 '따로 또 같이'의 보컬리스트 겸 기타리스트로 정식 데뷔했다.[7] 하지만 음반은 전인권의 성향과 맞지 않아 그는 "마스터 테이프를 없애려고 녹음실에 몰래 찾아가 불을 지를까도 생각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7] 전인권은 같은 해 개인 음반을 발표하여 솔로 가수로 두 번째 데뷔를 한다.
3. 경력
1985년에 최성원, 허성욱, 조덕환, 주찬권 등과 의기상투(意氣相投)하여 결성한 포크 록 밴드 들국화의 보컬리스트가 되면서 유명해졌다.
1987년 10월 30일, 들국화 멤버 4명과 김현식, 사랑과 평화 멤버 이철호와 함께 대마초를 흡입하다 구속됐다. 1988년에는 영국 가수 앨 스튜어트(Al Stewart)의 《The palace of Versailles》라는 곡을 번안한 `사랑한 후에`라는 곡이 수록된 음반으로 솔로 가수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후 1989년부터는 자신의 밴드 '가야'를 이끌고 음악 활동을 하였다.
1991년 9월 14일 인기듀엣 해바라기의 멤버 이광준과 이근수 공연기획자 정수영과 함께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징역 1년 6월을 선고했으나 보석으로 출소하였다.[8][9] 6년 뒤 1997년 5월 16일에는 대마초와 히로뽕을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다. 2년뒤 1999년 5월 26일에는 히로뽕을 상습 투약혐의로 다시 구속됐다. 1990년대 마약으로 4차례 구속과 수감을 반복하면서 11년 가까이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했다.
그러던 2003년, 12년만에 정규 3집 <다시 이제부터>를 발표하고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 시기 스카이라이프의 광고모델로 발탁, 광고에서 '''인권이 라이프!'''라는 대사로 히트를 끌었으며 TV 출연을 거의 하지 않았던 이전과 달리 시트콤,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에 여러 출연해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다시 재기에 성공, 2004년 정규 4집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의 타이틀 곡 <걱정말아요 그대> 로 활동했다.
2002년 영화 《몽중인》, 2004년 영화 《안녕! UFO》 등 영화에 출연한 바 있다. 2005년에는 수필집 《걱정 말아요 그대》 (청년사)를 썼다.
2007년 8월, 약 1년 동안 필로폰과 대마초를 여러 차례 투약하고 흡입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전인권은 2007년 12월 7일 마약복용혐의(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로 징역 1년형과 추징금 약 54만 원을 선고받았으나[10], 이에 항소하였다. 2008년 3월 14일 항소심 공판에서도 원심과 같이 징역 1년형과 추징금 약 54만원을 선고받았다.[11] 이후, 2008년 9월 6일에 만기 출감하며 '10개월간 독방 생활하면서 40여곡을 작곡했다'라고 언급하였다. 2009년 3월 14일에는 매스컴에서 자신의 공연을 예고한즉 5월 29일부터 5월 31일까지 출소 후 첫 콘서트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12] 그러나 노무현 前 대통령의 영결식 때문에 취소되고 같은 해 6월 14일, 노무현 前 대통령의 추모 콘서트에 참석하였다.
2012년, 전인권은 '들국화 밴드' 활동을 재개했으며, 같은 해 6월 7일부로 KBS에서도 출연정지가 해제되었다. 오랜 기간 애환을 함께 나눈 드러머 주찬권이 2013년 10월 세상을 떠나면서 큰 충격으로 팀을 해체하게 된다.[13] 그는 한때 들국화 밴드 활동을 재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전인권 밴드로 2014년 8월 20일에 컴백하면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들국화의 재결합은 없다."라고 밝혔다.[14]
2016년 다큐멘터리 영화 《무현, 두 도시 이야기》 개봉으로 공개된 뮤직비디오에서 〈걱정 말아요 그대〉를 불렀다.[15] 그리고 SNS에서 노무현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16]
전인권은 포크 록 밴드 따로 또 같이의 리드 싱어로 데뷔했다. 1979년, 그들은 첫 앨범 ''맴도는 얼굴''을 발매했다. 그러나 전인권은 앨범에 불만을 품었고, 나중에 "녹음실에 몰래 들어가 마스터 테이프에 불을 지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3]
1985년, 그는 록 밴드 들국화를 결성했고, 그들은 첫 앨범 ''행진''을 발매했다. 이 그룹은 대한민국 군사 정권 시대에 반항적인 메시지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2007년, 음악 평론가들은 그룹의 첫 앨범을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목록에서 1위로 선정했다.[2]
전인권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가수 하현우, 이은미, 안지영과 함께 존 레논의 "Imagine"을 불렀다.[4]
3. 1. 따로 또 같이 (1979)
1979년 모던 포크 팝 보컬 음악 그룹 '따로 또 같이'의 보컬리스트 겸 기타리스트로 정식 데뷔했다.[7] 데뷔 앨범은 《맴도는 얼굴》이다. 하지만 음반은 전인권의 성향과 맞지 않아 그는 "마스터 테이프를 없애려고 녹음실에 몰래 찾아가 불을 지를까도 생각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7]
제목 | 앨범 정보 |
---|---|
맴도는 얼굴 | |
3. 2. 솔로 활동 (1979, 1988, 1991, 2003, 2004)
1979년 개인 음반을 발표하여 솔로 가수로 데뷔하였다.[7] 1988년, 영국 가수 앨 스튜어트(Al Stewart)의 《The palace of Versailles》를 번안한 '사랑한 후에'가 수록된 앨범으로 솔로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후 1989년부터는 자신의 밴드 '가야'를 이끌고 음악 활동을 하였다.1991년 2집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를 발표했다.[8][9] 2003년, 3집 《다시 이제부터》를 발표하며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 시기 스카이라이프의 광고모델로 발탁, 광고에서 '''인권이 라이프!'''라는 대사로 히트를 끌었으며 TV 출연을 거의 하지 않았던 이전과 달리 시트콤,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에 여러 출연해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다시 재기에 성공했다. 2004년 4집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을 발표하고 타이틀 곡 '걱정말아요 그대'로 활동했다.
제목 | 앨범 상세 정보 |
---|---|
파랑새 | |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 | |
Destiny | |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 | |
3. 3. 들국화 (1985-1987, 1995, 2012-2013)
1985년, 최성원, 허성욱, 조덕환, 주찬권 등과 함께 포크 록 밴드 들국화를 결성하고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7] 들국화는 1985년 데뷔 앨범 《행진》, 1986년 2집 《들국화 II》를 발매하며 활동했다. `행진`은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1위에 선정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1987년 10월 30일, 들국화 멤버들과 김현식, 사랑과 평화 멤버 이철호는 대마초 흡입 혐의로 구속되었고, 이 사건으로 팀은 해체되었다.[7]
1995년, 들국화는 3집 《들국화 III》을 발매하며 재결합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해체되었다.
2012년 들국화는 재결성하여 활동을 재개하였고, 전인권은 KBS 출연 정지가 해제되었다.[13] 2013년에는 새 앨범 《들국화》를 발매하였다. 하지만 같은 해 10월, 드러머 주찬권이 사망하면서 들국화는 다시 해체되었다.[13] 이후 전인권은 2014년 8월 20일 기자회견을 통해 "들국화의 재결합은 없다"라고 밝혔다.[14]
3. 4. 전인권 밴드 (2014-)
2012년, 전인권은 '들국화 밴드' 활동을 재개했으나, 오랜 기간 애환을 함께 나눈 드러머 주찬권이 2013년 10월 세상을 떠나면서 큰 충격으로 팀을 해체하게 된다.[13] 그는 한때 들국화 밴드 활동을 재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전인권 밴드로 2014년 8월 20일에 컴백하면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들국화의 재결합은 없다."라고 밝혔다.[14] 2014년 《2막 1장》, 2015년 《전인권 밴드 겨울이야기》를 발표했다.3. 5. 주요 활동
전인권은 포크 록 밴드 따로 또 같이의 리드 싱어로 데뷔했다. 1979년, 그들은 첫 앨범 ''맴도는 얼굴''을 발매했다. 그러나 전인권은 앨범에 불만을 품었고, 나중에 "녹음실에 몰래 들어가 마스터 테이프에 불을 지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3]
1985년, 그는 록 밴드 들국화를 결성했고, 그들은 첫 앨범 ''행진''을 발매했다. 이 그룹은 대한민국 군사 정권 시대에 반항적인 메시지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2] 2007년, 음악 평론가들은 그룹의 첫 앨범을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목록에서 1위로 선정했다.[2]
2018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가수 하현우, 이은미, 안지영과 함께 존 레논의 "Imagine"을 불렀다.[4]
4. 음악 스타일
전인권은 특유의 거칠고 허스키한 음색과 포효하는 듯한 창법으로 유명하다.[13] 밴드 음악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작곡법과 기존 곡들을 재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5. 마약 사건과 재활
전인권은 1987년 김현식, 허성욱과 함께 대마초 흡연 혐의로 구속된 것을 시작으로, 마약 복용으로 여러 차례 처벌받았다. 1992년 다시 대마초 흡연으로 검거되었고, 1997년과 1999년, 2007년에는 메스암페타민(필로폰) 복용 혐의로 구속 및 사법처리를 받았다. 2004년에는 울산의 한 병원에서 마약성 진통제를 요구하다 거절당하자 난동을 부린 적도 있지만, 간이 마약 검사 결과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전인권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마약을 시작했다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1990년대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정상적인 활동을 이어갈 수 없었다. 특히 2007년 필로폰 투약 혐의로 구속된 이후에는 투옥, 출소, 정신병원 입원 등으로 긴 공백기를 보냈다.
출소 후 대상포진 치료를 위해 처방받은 모르핀에 중독되기도 했으나, 2010년 전 부인의 도움으로 요양병원에서 1년 6개월 동안 치료를 받았다. 2011년 퇴원 후 전 부인과 재결합하고, 마약과 약물을 끊고 재활에 성공했다.
2012년 들국화 재결합 이후, 마약뿐만 아니라 담배와 음주도 완전히 끊고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6. 사회적 활동 및 평가
7. 음반 목록
들국화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들국화 (밴드)#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 정규 음반
- 1988년 1집 《전인권》
- 1991년 2집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
- 2003년 3집 《다시 이제부터》
- 2004년 4집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
; 따로 또 같이
제목 | 앨범 정보 |
---|---|
맴도는 얼굴 | |
; 들국화
1985년 첫 정규 앨범 《행진》을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서라벌 레코드에서 LP와 CD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1986년에는 동아기획을 통해 두 번째 정규 앨범 《들국화 II》를 CD 형식으로 발매하였다. 1995년에는 신나라뮤직에서 세 번째 정규 앨범 《들국화 III》를 CD로 발매했다. 2013년에는 들국화 컴퍼니 레이블을 통해 《들국화》 앨범을 CD와 디지털 다운로드 형식으로 발매하였다.
제목 | 앨범 정보 |
---|---|
행진 | |
들국화 II | |
들국화 III | |
들국화 | |
; 전인권 밴드
1988년 서라벌레코드에서 발매한 ''파랑새''를 시작으로, 전인권은 꾸준히 앨범을 발표했다. 1991년에는 서울레코드에서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를 발매했고, 2003년에는 원엔터테인먼트를 통해 ''Destiny''를 내놓았다. 2004년에는 신나라뮤직에서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14년에는 《2막 1장》, 2015년에는 《전인권 밴드 겨울이야기》를 발표했다.
; 라이브 음반
- 1993년 전인권 라이브 《15년 동안》
; 참여 음반
전인권은 다양한 음반에 참여했다. 1984년 우리노래전시회 1집에서 〈그것만이 내 세상〉을 불렀다. 1988년에는 한영애 2집에서 〈바라본다〉를 피처링했다. 1990년에는 사랑으로 가는길에서 〈사랑으로가는길, 가만히 천천히〉, 겨레의 노래에서 〈이등병의 편지〉를 불렀다. 1991년에는 영화 '돈아돈아돈아' OST에 참여하여 〈자유, 나는 왜〉를 불렀다. 1994년에는 느티나무언덕(전인권, 강인원, 권인하, 김명상) 앨범에서 〈자기성찰, 무조건 사랑〉을 불렀다.
2006년에는 바이브 3집에서 〈가지 말아요〉를 피처링했고, 2007년에는 옛사랑 2 앨범에서 〈풋잠속에 문득〉을 불렀다. 2010년에는 김현식 20주년 기념 앨범 '음악처럼'에서 〈다시 처음이라오〉를 불렀다. 2014년에는 드라마 펀치 OST에서 Dok2와 함께 〈그것만이 내 세상〉을 불렀다. 2015년에는 싸이의 칠집싸이다 앨범에서 〈좋은날이 올거야〉를 피처링했고, 윤미래, 타이거 JK와 함께 〈너와 나〉를 발표했다.
2016년에는 하나의 코리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별이 되어라〉를 불렀다. 2017년에는 드라마 역적(백성을 훔친 도적) OST에서 〈봄이 온다면〉을 불렀고, 강승원과 함께 〈서른 즈음에〉를 불렀다. 2018년에는 임현정의 곡 〈내가 지금껏〉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2022년에는 〈물고기〉를 발표했다.
7. 1. 정규 음반
wikitext- 1988년 1집 《전인권》을 발표하였다.
- 1991년 2집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를 발표하였다.
- 2003년 3집 《다시 이제부터》를 발표하였다.
- 2004년 4집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을 발표하였다.
7. 2. 따로 또 같이
wikitable제목 | 앨범 정보 |
---|---|
맴도는 얼굴 | |
7. 3. 들국화
들국화는 1985년 첫 정규 앨범 《행진》을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서라벌 레코드에서 LP와 CD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1986년에는 동아기획을 통해 두 번째 정규 앨범 《들국화 II》를 CD 형식으로 발매하였다. 1995년에는 신나라뮤직에서 세 번째 정규 앨범 《들국화 III》를 CD로 발매했다. 2013년에는 들국화 컴퍼니 레이블을 통해 《들국화》 앨범을 CD와 디지털 다운로드 형식으로 발매하였다.제목 | 앨범 정보 |
---|---|
행진 | |
들국화 II | |
들국화 III | |
들국화 | |
7. 4. 전인권 밴드
1988년 서라벌레코드에서 발매한 ''파랑새''를 시작으로, 전인권은 꾸준히 앨범을 발표했다. 1991년에는 서울레코드에서 ''지금까지 또 이제부터''를 발매했고, 2003년에는 원엔터테인먼트를 통해 ''Destiny''를 내놓았다. 2004년에는 신나라뮤직에서 ''전인권과 안 싸우는 사람들''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14년에는 《2막 1장》, 2015년에는 《전인권 밴드 겨울이야기》를 발표했다.7. 5. 라이브 음반
- 1993년 전인권 라이브 《15년 동안》
7. 6. 참여 음반
전인권은 다양한 음반에 참여했다. 1984년 우리노래전시회 1집에서 〈그것만이 내 세상〉을 불렀다. 1988년에는 한영애 2집에서 〈바라본다〉를 피처링했다. 1990년에는 사랑으로 가는길에서 〈사랑으로가는길, 가만히 천천히〉, 겨레의 노래에서 〈이등병의 편지〉를 불렀다. 1991년에는 영화 '돈아돈아돈아' OST에 참여하여 〈자유, 나는 왜〉를 불렀다. 1994년에는 느티나무언덕(전인권, 강인원, 권인하, 김명상) 앨범에서 〈자기성찰, 무조건 사랑〉을 불렀다.2006년에는 바이브 3집에서 〈가지 말아요〉를 피처링했고, 2007년에는 옛사랑 2 앨범에서 〈풋잠속에 문득〉을 불렀다. 2010년에는 김현식 20주년 기념 앨범 '음악처럼'에서 〈다시 처음이라오〉를 불렀다. 2014년에는 드라마 펀치 OST에서 Dok2와 함께 〈그것만이 내 세상〉을 불렀다. 2015년에는 싸이의 칠집싸이다 앨범에서 〈좋은날이 올거야〉를 피처링했고, 윤미래, 타이거 JK와 함께 〈너와 나〉를 발표했다.
2016년에는 하나의 코리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별이 되어라〉를 불렀다. 2017년에는 드라마 역적(백성을 훔친 도적) OST에서 〈봄이 온다면〉을 불렀고, 강승원과 함께 〈서른 즈음에〉를 불렀다. 2018년에는 임현정의 곡 〈내가 지금껏〉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2022년에는 〈물고기〉를 발표했다.
8. 출연작
8. 1. 방송
전인권은 1988년 KBS 《젊음의 록 콘서트》, 1993년 KBS2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1998년 MBC 《MBC 가요콘서트》에 출연했다. 2000년 12월 16일에는 KBS2 《이소라의 프로포즈》에 출연했고, 2001년에는 2월 28일 SBS 《스페셜 - 들국화 헌정 콘서트》와 4월 26일, 8월 4일에 KBS2 《이소라의 프로포즈》에 출연했다. 2002년에는 5월 5일 KBS2 《윤도현의 러브레터》, 10월 19일 MBC 《MBC 대학가요제》에 출연했다. 2003년에는 5월 10일과 5월 17일, 그리고 9월 27일에 KBS2 《윤도현의 러브레터》에 출연했다.2004년에는 3월 16일 SBS 《최수종쇼 - 서태지 스페셜》, 4월 1일 MBC 청춘시트콤 《논스톱 4》에 특별출연했고, 5월 15일 MBC FM4U 《배철수의 음악캠프 5000회 특집 콘서트》, 7월 30일 MBC 《2004 울산서머페스티벌 - ROCK 콘서트》, 7월 31일 MBC 《대한민국 음악축제》, 8월 18일 CBS 《CBS 창사 50주년 기념콘서트》, 10월 30일 MBC 《사과나무》, 12월 11일 KBS2 《콘서트 7080》, 12월 16일 KBS2 《이홍렬 박주미의 여유만만》에 출연했다.
2005년에는 1월 7일 KBS2 《윤도현의 러브레터》, 1월 26일 KBS1 《낭독의 발견》, 2월 22일 KBS2 《열린음악회》, 6월 4일 CBS 《CBS FM 10주년 콘서트 - 아줌마의 힘》, 6월 28일 YTN 《뉴스큐》, 11월 2일 MBC 《웃는 Day》, 11월 4일 KBS2 《윤도현의 러브레터》, 11월 19일 KBS2 《콘서트 7080》에 출연했다. 2006년에는 3월 4일, 7월 8일 KBS2 《콘서트 7080》, 5월 19일 KBS2 《윤도현의 러브레터》에 출연했다. 2007년 1월 6일에는 KBS2 《콘서트 7080》에 출연했다.
2014년에는 KBS1 《콘서트 7080》과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했고, 2016년에는 SBS 《판타스틱 듀오》와 tvN 《노래의 탄생》 <축하해요>에 출연했다. 2018년에는 JTBC 《히든싱어 5》와 KBS1 《TV는 사랑을 싣고》에 출연했고, 2019년에는 tvN 《수미네 반찬》에 출연했다.
8. 2. 영화
2002년 몽중인에 본인 역으로 특별출연하였으며, 2004년 안녕! 유에프오에도 본인 역으로 특별출연하였다.8. 3. 광고
KT스카이라이프 광고에 출연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전인권 소개
http://www.mnet.com/[...]
2018-02-10
[2]
뉴스
Deulgukhwa to split after drummer's death
https://www.koreaher[...]
2018-02-10
[3]
뉴스
전인권, 들국화 향기에 취하던 날
http://www.segye.com[...]
2018-02-10
[4]
뉴스
Who Were the Singers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Winter Olympics?
https://www.nytimes.[...]
2018-02-10
[5]
링크
링크
https://entertain.na[...]
[6]
뉴스
"[추억의 LP여행] 들국화(上)"
https://news.naver.c[...]
2003-11-13
[7]
뉴스
"[박준희의 뮤직칼럼] 전인권, 들국화 향기에 취하던 날"
http://www.segye.com[...]
[8]
뉴스
가수 전인권 또 구속 히로뽕 상습투약혐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6-11-02
[9]
뉴스
대마초흡연 구속수감 가수全仁權(전인권) 보석허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1-31
[10]
뉴스
‘마약’ 전인권 징역 1년 선고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연예
2007-12-07
[11]
뉴스
"`마약복용' 전인권씨, 항소심도 징역 1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연예
2008-03-14
[12]
뉴스
전인권 출소, 가수 활동 다시 시작 '감옥에서 40곡 작곡했다'
http://www.maxmovie.[...]
맥스무비
2009-03-14
[13]
뉴스
Deulgukhwa to split after drummer’s death
http://khnews.kheral[...]
2018-02-10
[14]
뉴스
전인권 “들국화 재결합 없다…최성원과 그만 싸우고 싶다”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4-08-20
[15]
뉴스
"'무현, 두 도시 이야기' 개봉, 전인권 다시 부른 '걱정말아요 그대' 뭉클"
http://tvdaily.asiae[...]
2016-11-02
[16]
뉴스
전인권 "'무현'에 상영관 안 내준단 얘길 들었습니다"
http://www.nocutnews[...]
2016-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