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스카이라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T스카이라이프는 2001년 설립된 위성방송 서비스 제공업체로, 2002년 서비스를 시작했다. KT의 자회사로, 2010년 KT그룹에 편입되었다. 4K UHD 방송, 안드로이드 기반 셋톱박스, 이동체 방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HCN 인수를 통해 케이블TV 시장에도 진출했다. 다양한 요금제와 수신 방식을 제공하며, 2024년 5월 기준 지상파, 종합편성, 보도, 종교 등 다양한 채널을 송출한다. 최대 주주는 KT이며, KBS, MBC 등도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카이라이프 - HCN (방송사)
HCN은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 여러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스카이라이프 - 브레인TV
브레인TV는 두뇌 스포츠와 교육, 교양, 문화, 예술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방송 채널로, 장기 기전 중계 및 강좌, 체스, 쇼기 관련 프로그램, 그리고 e스포츠 리그를 방영한다. - 위성방송 사업자 - 스카이 UK
스카이 UK는 1990년 스카이와 BSB의 합병으로 설립된 영국의 위성 방송 및 통신 회사로, 프리미어 리그 중계 독점권 확보, 디지털 방송 서비스 도입, 브로드밴드 사업 진출 등을 통해 성장했으며 컴캐스트의 자회사가 된 후에도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과거 반경쟁적 행위로 비판받기도 했다. - 위성방송 사업자 - DStv
DStv는 199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시작된 디지털 위성 텔레비전 서비스로, 다양한 채널과 기술 혁신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도 진출했다. -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 홈플러스
홈플러스는 1997년 삼성물산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브랜드로, 테스코와의 합작 및 MBK파트너스 인수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형태의 매장 운영과 온라인 사업 강화에 힘쓰고 있다. -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 세종텔레콤
세종텔레콤은 DX융합, 모바일, 전기공사 분야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으로, 토큰증권 플랫폼 운영, 알뜰폰 서비스 제공, 5G 특화망 구축, 국내외 전기 공사 수행 등의 사업을 하며, 2024년 통신사업 부문을 분사하여 세종네트웍스를 출범시켰다.
KT스카이라이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KT스카이라이프 |
원어 | KT Skylife Co., Ltd. |
약칭 | 스카이라이프 |
설립일 | 2001년 1월 12일 |
이전 회사 | 한국디지털위성방송 (2001년 ~ 2011년)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75 (상암동) |
서비스 지역 | 대한민국 전 지역 |
대표 | 최영범(대표이사 사장) |
산업 | 방송 서비스 |
서비스 | 위성 및 기타방송업 |
대표 상품 | 스카이라이프HD/UHD 지니TV 스카이라이프 (KT 결합 상품) |
자본금 | 119,554,915,000원 (2020.12) |
매출액 | 698,715,355,151원 (2020) |
영업이익 | 73,845,539,233원 (2020) |
순이익 | 58,190,149,540원 (2020) |
자산총액 | 919,475,827,664원 (2020.12) |
주주 | KT 외 특수관계인 : 50.00% KBS 6.78% |
모기업 | KT |
자회사 | SkyTV HCN |
직원 수 | 368명 (2020.12) |
공식 웹사이트 | KT스카이라이프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회사 형태 | 상장 회사 |
설립 | 2001년 |
위치 | 918-1 목동, 양천구, 서울, 대한민국 |
주요 인물 | 김철수 CEO |
직원 수 (2010년) | 283 |
산업 | 통신 미디어 |
제품 | 직접 위성 방송 유료 TV 서비스 & 프로그램 |
모회사 | KT 주식회사 |
홈페이지 | skylife.co.kr |
2. 연혁
KT스카이라이프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00년 12월 19일: 한국 정부가 위성방송 사업자 설립을 결정하고 KDB 컨소시엄을 사업자로 선정했다.
- 2001년 3월 30일: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 2002년 3월 1일: 위성방송 서비스를 공식 시작했다.
- 2002년 12월 24일: 유료 계약 가구가 50만 가구를 돌파했다.
- 2003년 5월 21일: 한국 방송에서 처음으로 쌍방향 TV와 돌비 5.1 서라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03년 9월 29일: 고화질(HD) 서비스와 SkyHD 채널 방송을 시작했다.
- 2003년 10월 28일: TV SMS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03년 11월 1일: T-커머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03년 11월 3일: 유료 계약 가구가 100만 가구를 돌파했다.
- 2004년 2월 26일: 대한민국 최초의 24시간 HD 전문 채널 Sky HD의 운영 회사인 한국HD방송을 설립했다.
- 2004년 3월 24일: 한국 최초의 쌍방향 선거방송을 실시했다.
- 2004년 12월 14일: 지상파 방송 권역별 재송신 협정서를 제출했다.
- 2005년 2월 22일: 지상파 방송 권역별 재송신 본방송을 시작했다.
- 2005년 3월 3일: 한국 최초의 TV뱅킹 서비스를 시작했다.
- 2006년 1월 25일: BBC 월드 뉴스 개국.
- 2006년 7월 14일: 2006 FIFA 독일 월드컵을 북한에 재송신했다.
- 2007년 2월 24일: 가입자 유료 계약 가구가 200만 가구를 돌파했다.
- 2007년 5월 23일: 한국 최초의 영어 채널 전용 패키지를 발표했다.
- 2008년 4월 1일: H.264 기술 기반의 다채널 HD 방송을 시작했다.
- 2010년 1월 1일: 세계 최초의 24시간 3D 전문 채널 Sky3D 방송을 시작했다.
- 2010년 4월 1일: KT그룹으로 편입되었다.
- 2011년 3월 30일: 주식회사 KT스카이라이프(현社名)로 사명을 변경했다.
- 2018년 9월 7일: 한국 최초의 4K 위성방송을 시작했다.
- 2019년 10월 3일: 이동체 방송 서비스 브랜드 “스카이오토”를 출범했다.
- 2021년 10월 1일: 케이블TV MSO인 현대백화점 계열의 현대HCN을 인수했다.
2. 1. 2000년대
- 2000년 12월 19일, 한국 정부는 위성방송 사업자를 선정하였고, KDB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1]
- 2001년 1월 12일,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주식회사''' 법인이 설립되었고(본사: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4),[1] 같은 해 3월 30일에 회사가 창립되었다.[1]
- 2001년 6월 26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47(공평동 100) 제일은행본점 14, 15층으로 이전하였다.[1]
- 2002년 3월 1일,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3년 3월 31일, 어린이 영어교육채널 키즈톡톡(현, 키즈톡톡 플러스)을 개국하였다.[1]
- 2003년 5월 21일, 쌍방향 방송 서비스 SkyTouch와 대한민국 방송업계 최초로 돌비 5.1채널 서비스를 개시하였다.[1]
- 2003년 9월 29일, HD 텔레비전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3년 11월 1일, T-커머스 서비스를 개시하였다.[1]
- 2004년 2월 26일, 대한민국 최초 24시간 HD 전문채널 Sky HD운영사 한국HD방송㈜을 설립하였다.[1]
- 2004년 3월 24일, 대한민국 방송 최초로 쌍방향 선거방송을 실시하였다.[1]
- 2004년 11월 8일, 대한민국 방송 최초로 연동형 데이터 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4년 12월 14일, 지상파 방송 권역별 재송신 협정서를 제출하였다.[1]
- 2005년 2월 22일, 지상파 방송 권역별 재송신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5년 9월 1일, 대한민국 방송 최초로 연동형 쌍방향 광고를 개시하였다.[1]
- 2006년 4월 29일, 스카이라이프와 소니픽처스텔레비전인터내셔널(SPTI)이 공동으로 애니맥스를 설립하였다.[1]
- 2006년 6월 14일, 북한에 2006년 독일 월드컵 경기 원본 영상을 제공하였다.[1]
- 2006년 11월 20일, 대한민국 최초 PVR서비스 SkyPVR을 출시하였다.[1]
- 2006년 11월 26일, 지역 MBC 연합 슈퍼스테이션 채널 MBC NET 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7년 2월 24일, 가입자 200만 가구를 돌파하였다.[1]
- 2007년 5월 23일, 대한민국 최초 영어 전용 패키지를 출시하였다.[1]
- 2007년 7월 18일, 대한민국 최초 쌍방향 광고를 실시하였다.[1]
- 2007년 11월 26일, 위성 공시청 규칙(SMATV) 개정 발표하였다.[1]
- 2008년 3월 10일, 인큐베이팅 채널 SkyRainbow 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8년 4월 1일, 다(多)채널 HD방송(H.264 기술 기반)을 개시하였다.[1]
- 2008년 12월 9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8-1 kt목동지점 6, 7층으로 이전하였다.[1]
- 2009년 8월 1일, 올레 TV 스카이라이프(KT OTS 결합 상품)를 출시하였다.[1]
2. 2. 2010년대
- 2010년
- * 1월 1일: 세계 최초 24시간 3D 전문 채널 Sky3D 방송 개시[1]
- * 4월 1일: KT그룹으로 편입[1]
- * 12월 29일: 고화질위성방송, 3D방송겸용 통신위성 무궁화6호(올레1호) 발사 및 서비스 운영[1]
- 2011년
- * 3월 30일: 사명을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주식회사에서 KT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KT스카이라이프'''로 변경[2]
- * 12월 26일: KT스카이라이프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공동연구로 자연재해 강한 채널 적응용 스케일러블 위성방송서비스 기술 운영.[2]
- 2012년
- * 7월 1일: HDONE,SKYEN,SKYHD에서 채널N, 디 엠 개국
- * 9월 1일: 신규 프로그램 편성.(채널원)
- 2013년
- * 3월 31일: 어린이 영어교육채널 키즈톡톡플러스 개국 10주년
- * 11월 15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상암동)으로 이전.
- * 12월 2일: 세계최초 UHD 전용 셋톱박스 출시
- * 12월 17일: KT스카이라이프 주송신국 충청남도 금산군으로 이전
- 2014년
- * 3월 28일: 이남기 제6대 대표이사 취임
- * 8월 1일: 채널N, 디엠, 채널T, 채널IT, 채널원, SkyPlus, 휴 채널에서 SkyDrama, SkySports, SkyTravel, SkyICT, SkyEnt, SkyGuide, SkyHealing 개국
- * 10월 6일: 시각 예술 전문채널 SkyA&C와 반려 동물 전문채널 Sky Pet park 개국
- 2015년
- * 1월 31일: 본사를 현 위치인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75 (상암동)로 이전.
- * 3월 9일: 대한수의사회와 MOU 체결
- 2017년
- * 7월 23일: 이동체 TV 상품 브랜드 '스카이라이프LTE' 론칭 (SLT는 스카이라이프 고품질의 실시간 위성방송에 KT의 LTE 기술을 결합한 차량형 위성방송)
- 2018년
- * 8월 30일: KT스카이라이프 슈퍼HD(SHD) 위성방송 송출
- * 9월 7일: KT스카이라이프 무궁화7호 위성으로 국내 최초로 4K Ultra HD(초고화질) 위성방송 상용화
- * 9월 20일: KT스카이라이프 IBC 2018 참가 구글 안드로이드TV존 시연
- * 10월 1일: KT스카이라이프 TV+인터넷 결합상품 30% 약정할인
- 2019년
- * 1월 2일: 안드로이드UHD 2.0 셋톱박스 출시
- * 2월 11일: 인공지능(AI) 위성방송 '기가지니2 스카이라이프' 출시
- * 4월 10일: 방송상품 전문 쇼핑몰 '십분(10BOON)' 론칭
- * 4월 25일: '토핑'처럼 간편히 추가하는 OTT제휴서비스 출시
- * 5월 16일: 스카이라이프 알뜰요금제 'sky모바일' 출시
- * 6월 30일: 세계최초 유료방송과 구글 AI의 만남, 'skylife AI' 출시
- * 10월 3일: 이동체 TV 상품 브랜드 '스카이오토' 론칭
2. 3. 2020년대
2021년 10월 1일: 케이블방송사업자인 현대HCN을 인수하고, 사명을 HCN으로 변경하였다.2022년 3월 1일: 스카이라이프 본방송 20주년을 맞이하였다.
2023년 3월 31일: 양춘식 제7대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2024년 3월 29일: 최영범 제8대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3. 요금제
지니TV 스카이라이프는 다양한 요금제를 통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SKY PVR: 대한민국 최초의 생방송 자동녹화 서비스이다.
- 스카이라이프HD: 대한민국 유일의 24시간 HD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이다. 2008년 4월부터 여러 채널로 확대되었다. (현재 IP 인터넷으로는 수신 불가하며 위성 안테나만 사용 가능하다. 현재는 sky 베이직으로 변경되었다.)
- 스카이오토: 위성방송과 KT LTE 기술을 결합한 끊김 없는 스카이라이프 차세대 이동형 방송 서비스이다. (현재 47개 채널만 이용 가능하며, 추후 채널이 추가될 예정이다.)
- 스카이라이프UHD: 4K Ultra HD(초고화질) 방송 서비스이다.
- 스카이라이프 안드로이드 UHD: 구글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4K Ultra HD(초고화질) 방송 채널과 국내 최다 OTT 서비스를 제공한다.
- 지니TV 스카이라이프 UHD: 고화질 위성방송과 국내 최다 OTT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기존에 사용했던 위성 안테나를 인터넷 IP망으로 수신 가능하며, KT 제휴 서비스로 결합 상품 요금 할인 등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다.)
- 스카이 터치: 대한민국의 쌍방향 방송 서비스이다.
- 프리미엄 유료 채널 서비스: 부가 서비스에 속하는 프리미엄 유료 채널 서비스로,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기본료 외에 채널 단위로 별도의 시청료를 지불해야 시청 가능하다. 주로 캐치온(유료 영화 채널) 및 성인전문채널(플레이보이TV, 미드나잇채널, Viki 등)이 해당된다. 청소년 보호법상 만 19세 이상의 성인 가입자만 별도로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수신 장치에 미성년자의 수신 제한을 위한 보안 시스템(수신 제한 시스템)이 장착된다.
- 쌍방향 상품: 플래티넘(스카이초이스 포함), 골드플러스, 레드('성인' 추가), 그린(기본) 상품이 있다.
4. 수신 방식
KT스카이라이프는 다양한 수신 방식을 제공하여 시청 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 '''IF (공동) 수신 방식''':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 옥상 등에 공동 수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댁내 안테나 설치 없이 TV 시청이 가능하다. 설치를 위해서는 아파트 관리 사무소 측과 아파트 입주민과의 구체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 '''DCS 수신 방식''': SkyLife 인터넷(또는 KT 인터넷) 사용 시, DTH 접시형 안테나 설치 없이 위성 신호를 IP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 데이터 전송망을 통해 TV를 시청하는 방식이다.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에 설치 가능하다. (인천 옹진군을 제외한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일부 지역에만 해당)
5. 채널
2024년 5월 기준, KT스카이라이프는 다양한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역 외 재송신 문제에도 불구하고 SBS 계열, KBS1, MBC 각 지역 방송국의 재송신을 통해 지역 방송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1]
채널 | 방송국 | 비고 | ||
---|---|---|---|---|
4K 고화질 | 2K 고화질 | 표준화질 외 | ||
지상파 재송신 | ||||
3 | EBS | 전국 일률 방송 | ||
5 | SBS(구 서울방송) | 고화질 방송은 거주 지역에 따라 수신 가능한 방송국이 다름 | ||
251 | G1(구 강원민방) | |||
252 | KNN(구 부산방송) | |||
253 | 울산방송 | |||
254 | 대구방송 | |||
255 | 광주방송 | |||
256 | 전주방송 | |||
257 |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 |||
258 | 대전방송 | |||
259 | 청주방송 | |||
7 | KBS2 | 지역별 방송 재송신 없음 | ||
9 | KBS1 | 서울국 | ||
214 | KBS1 강릉 | 지역 방송 재송신은 표준화질만 | ||
215 | KBS1 춘천 | |||
216 | KBS1 부산 | |||
217 | KBS1 울산 | |||
218 | KBS1 창원 | |||
219 | KBS1 대구 | |||
220 | KBS1 광주 | |||
221 | KBS1 전주 | |||
222 | KBS1 제주 | |||
223 | KBS1 대전 | |||
224 | KBS1 청주 | |||
11 | MBC | 표준화질은 서울국. | ||
231 | 강릉MBC | 지역 방송 재송신은 표준화질만 | ||
232 | 삼척MBC | |||
233 | 원주MBC | |||
234 | 춘천MBC | |||
235 | 부산MBC | |||
236 | MBC경남 창원국 | |||
237 | 울산MBC | |||
238 | MBC경남 진주국 | |||
239 | 대구MBC | |||
240 | 안동MBC | |||
241 | 포항MBC | |||
242 | 광주MBC | |||
243 | 목포MBC | |||
244 | 여수MBC | |||
245 | 전주MBC | |||
246 | 제주MBC | |||
247 | 대전MBC | |||
248 | 청주MBC | |||
249 | 충주MBC | |||
30 | OBS경인TV | 경기도의 독립계 TV 방송국 | ||
종합편성 | ||||
4 | 262 | JTBC | 중앙일보 계열 | |
13 | 260 | 채널A | 동아일보 계열 | |
16 | 264 | MBN | 매일경제신문 계열 | |
19 | 266 | TV조선 | 조선일보 계열 | |
엔터테인먼트 | ||||
20 | tvN | |||
27 | KBS 조이 | |||
29 | MBC 에브리원 | |||
38 | SBS funE | |||
39 | Mnet | |||
45 | JTBC2 | |||
88 | SBS FiL | |||
91 | JTBC4 | |||
109 | TV조선2 | |||
110 | 채널A플러스 | |||
111 | MBN플러스 | |||
112 | MBC M | |||
113 | SBS M | 구 SBS MTV | ||
124 | 403 | 디스커버리 채널 | ||
127 | sky UHD | |||
128 | UXN | |||
129 | SBS FiL UHD | |||
131 | UHD 드림TV | |||
드라마 | ||||
32 | SBS 플러스 | |||
34 | KBS 드라마 | |||
40 | MBC 드라마 | |||
59 | MBC ON | |||
73 | AXN | |||
77 | 중화TV | |||
87 | KBS 스토리 | |||
130 | ASIA UHD | |||
보도·시사·경제 | ||||
0 | 524 | YTN | ||
23 | 연합뉴스TV | |||
25 | SBS Biz | |||
95 | 매일경제TV | MBN과 같은 매일경제신문 계열의 경제 전문 채널 | ||
151 | 한국경제TV | |||
156 | 서울경제TV(SEN) | |||
171 | 폭스뉴스 | 영어 방송 | ||
172 | 529 | CNN International | 영어 방송 | |
173 | 519 | BBC WORLD NEWS | ||
174 | 532 | CGTN | 영어 방송(구 CCTV-9/CCTV News) | |
177 | 527 | CCTV-4 | CCTV International ASIA(중국어 방송) | |
스포츠 | ||||
202 | sky 스포츠 | |||
203 | KBS N 스포츠 | |||
206 | JTBC 골프 | |||
220 | tvN 스포츠 | |||
영화 | ||||
52 | CJ OCN | |||
66 | 스크린 | |||
69 | 인디필름 | |||
504 | 시네마천국 | |||
취미·레저 | ||||
120 | 한국낚시방송 | |||
140 | K바둑(한국바둑방송) | |||
교양·생활 | ||||
103 | 404 | 애니멀 플래닛 | ||
105 | 히스토리 채널 | |||
116 | KBS 라이프 | |||
125 | sky 지역방송 | |||
135 | NBS한국농업방송 | |||
138 | MBC NET | |||
163 | KOREAN FORCES NETWORK(KFN) | 구 국방TV | ||
164 | KTV국민방송 | |||
165 | 국회방송 | |||
166 | 육아방송 | |||
167 | OUN(방송대학)TV | |||
175 | 528 | NHK월드 프리미엄 | 일본어 방송 | |
176 | 526 | 아리랑TV | ||
188 | WBC복지TV | |||
189 | 연합뉴스TV JOB | |||
505 | sky 가이드 | |||
키즈·교육 | ||||
480 | EBS플러스 1 | 대입 전문 채널 | ||
481 | EBS플러스 2 | 수업 보완·직업 교육 채널 | ||
482 | EBS English | 영어 교육 전문 채널 | ||
486 | 656 | ANIMAX Korea | 방송법상의 의무 편성 비율 규정에 따른 한국 독자 편성, 한국 제작 애니메이션도 방송 | |
487 | 카툰네트워크 | |||
492 | KBS 키즈 | |||
494 | 투니버스 | |||
쇼핑 | ||||
14 | kt α 쇼핑 | 기타 재벌·백화점 계열 채널도 존재 | ||
종교 방송(지상파 방송국 등에 의한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방송국은 FM 라디오 방송만 실시) | ||||
180 | BBS(불교방송)TV | 라디오는 지상파 방송 실시 | ||
182 | 412 | CBS(기독교방송)TV | 라디오는 지상파 방송 실시 | |
184 | cpbc(가톨릭평화방송)TV | 라디오는 지상파 방송 실시 | ||
187 | WBS(원음방송)TV | 라디오는 지상파 방송 실시 | ||
성인 시청 가능 | ||||
261 | 플레이보이TV | |||
라디오 방송 | ||||
305 | sky울트라오디오 CD클래식 | |||
307 | sky울트라오디오 K-POP | |||
332 | Kiss Music 포털 | |||
333 | Satio Music 포털 | |||
334 | BBC 월드 서비스 | 영어 방송 | ||
종료된 채널 | ||||
127 |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 |||
128 | 내셔널 지오그래픽 와일드 | |||
156 | NHK월드TV | 영어 방송, 종료 시기 불명 | ||
163 | 한국직업방송 | |||
489 | 니켈로디언 | |||
491 | 654 | 디즈니 채널 | ||
496 | 디즈니 주니어 |
6. 주주 구성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shareholders of SkyLife
http://www.skylife.c[...]
[2]
뉴스
[IT돋보기] 'KT+현대HCN' 8월 출범 가시화…공정위·과기정통부 속도 낸다
http://www.inews24.c[...]
아이뉴스24
2021-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