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칠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칠홍은 1915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나, 평북 의주 농업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재직했다. 길선주의 추천으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목사 안수를 받은 후, 여러 교회에서 전도사로 활동했으며, 월남 후에는 대구 서문교회 부목사, 대구 서산교회, 성밖교회를 개척하여 담임했다. 이후 서울 중앙교회를 개척하고 담임목사로 시무했으며, 칼빈 고등성경학교 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70년 미국에서 개혁교회를 개척하고, 1972년 귀국하여 숭신교회에서 목회하던 중 소천했다. 박윤선, 이인재 등과 함께 한국교회 개혁주의 확장에 기여했으며, 김병철, 노윤석 등과 교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교 목사 - 신원균 (신학자)
    신원균은 대한민국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안양대학교와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성경신앙신학회 서기, 웨스트민스터 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마음교회 목사로 섬기며 칼빈 신학,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을 중심으로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 교단공역본 번역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개혁주의 신학에 기여하고 있다.
  • 장로교 목사 - 노윤석
    평안북도 선천 출신의 노윤석 목사는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여러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했으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이사와 기독교개혁신보사 이사장을 역임하며 성경신학적 설교와 개혁신학에 따른 목회를 추구했다.
  • 선천군 출신 - 방지일
    방지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에 활동한 장로교 목사이자 선교사로, 중국 선교, 신사참배 저항, 독립운동 지원, 한국 개신교 발전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선천군 출신 - 박성범 (정치인)
    박성범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KBS 기자, 앵커, 방송총본부장을 역임하고 제15대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목회자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목회자 - 인명진
    인명진은 대한민국의 목사, 시민운동가, 정치인으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새누리당 및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전칠홍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칠홍 목사
원어 이름田七洪
당교회숭신교회, 서울중앙교회
노회대한예수교장로회 경기노회
직책前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노회장
성직
목회평양신학교 목사 안수
개인 정보
출생 이름전칠홍
출생일1915년 12월 16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
타계일1972년 4월 25일
타계 장소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종교대한예수교장로회|장로교
배우자김명옥
가족전동휘, 전동선, 전동삼, 전동신, 전동인, 전혜순, 전혜옥
학력평양신학교 신학 학사

2. 생애

전칠홍 목사는 1915년 12월 16일 평북 선천군 심천면 마천동에서 출생하였다.[3] 평북 의주 농업학교를 1등으로 졸업하였다.[3] 졸업 후, 조선 독립을 주장하는 혈서를 썼다가 투옥되었으나, 석방 후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평북 승지동 기독교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3] 이 시기, 승지동의 유지였던 김의백의 맏딸 김명옥과 결혼하여 5남 2녀를 두었다.[3] 장인 김의백은 승지동에 최신식 교회당을 건립하고, 교인들과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데 헌신하였다.[3] 이 교회당은 현재 북한의 기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3] 이후 길선주 목사의 추천으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선천 남교회에서 사역하였다.[3] 장인 김의백은 맏사위인 전칠홍을 만나기 위해 막내 아들 김병철 (기업인)을 데리고 평양신학교를 방문하기도 하였다.[3]

전칠홍은 길선주 목사의 추천으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선천 남교회에서 사역하였다. 그의 장인 김의백은 승지동의 유지이자 거부로, 전칠홍의 신앙생활과 물질적인 부분을 지원했다. 김의백은 맏사위인 전칠홍을 만나기 위해 막내 아들 김병철 (기업인)을 대동하고 평양신학교를 방문하기도 했다.[3]

전칠홍은 평양신학교에서 3년 동안 학우회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신사참배 문제로 학교와 갈등을 겪었다. "신사참배는 우상숭배가 아니라 국가의식이다"라고 주장하는 교장 밑에서는 배울 것이 없다며 신학교를 그만두었다가, 해방 후 다시 신학교에 복학하여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3]

전칠홍은 해방 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3] 철산군 신곡교회에서 전도사로 사역하였고, 그 이전에는 정주 마름매 교회, 선천 백현동 교회, 승지동 교회, 닭모리 교천 교회 등 여러 교회에서 전도사로 활동했다.[3] 신학교 졸업 후에는 황해도 사리원 미곡교회에서 사역하다가 월남하였다.[3]

남한에서는 대구 서문교회 부목사로 사역한 후, 대구 서산교회, 성밖교회를 개척하여 담임하였다.[3] 이후 서울로 상경하여 중앙교회를 개척하고 담임목사로 시무하였으며, 서울 중앙교회 재직 시에는 대법관 사광욱 장로와 한국산업은행 이사인 현호택 장로가 출석하였다.[3] 칼빈 고등성경학교 교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충현교회 당회장을 잠시 맡기도 했다.[3]

1970년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필라델피아에서 개혁교회를 개척하였다.[3] 1972년 한국으로 돌아와 서울 강남의 숭신교회(합신교단)에서 목회하던 중 4월 25일 소천하였다.[3] 박윤선 목사, 이인재 목사 등과 함께 한국교회의 개혁주의 교회 확장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노윤석 목사, 김재완 목사, 서운갑 목사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전칠홍 목사는 1915년 12월 16일 평북 선천군 심천면 마천동에서 출생하였다.[3] 평북 의주 농업학교를 1등으로 졸업하였다.[3] 졸업 후, 조선 독립을 주장하는 혈서를 썼다가 투옥되었으나, 석방 후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평북 승지동 기독교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3] 이 시기, 승지동의 유지였던 김의백의 맏딸 김명옥과 결혼하여 5남 2녀를 두었다.[3] 장인 김의백은 승지동에 최신식 교회당을 건립하고, 교인들과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데 헌신하였다.[3] 이 교회당은 현재 북한의 기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3] 이후 길선주 목사의 추천으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선천 남교회에서 사역하였다.[3] 장인 김의백은 맏사위인 전칠홍을 만나기 위해 막내 아들 김병철 (기업인)을 데리고 평양신학교를 방문하기도 하였다.[3]

2. 2. 목회자의 길

전칠홍은 길선주 목사의 추천으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선천 남교회에서 사역하였다. 그의 장인 김의백은 승지동의 유지이자 거부로, 전칠홍의 신앙생활과 물질적인 부분을 지원했다. 김의백은 맏사위인 전칠홍을 만나기 위해 막내 아들 김병철 (기업인)을 대동하고 평양신학교를 방문하기도 했다.[3]

전칠홍은 평양신학교에서 3년 동안 학우회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신사참배 문제로 학교와 갈등을 겪었다. "신사참배는 우상숭배가 아니라 국가의식이다"라고 주장하는 교장 밑에서는 배울 것이 없다며 신학교를 그만두었다가, 해방 후 다시 신학교에 복학하여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3]

2. 3. 해방 이후 목회 활동

전칠홍은 해방 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3] 철산군 신곡교회에서 전도사로 사역하였고, 그 이전에는 정주 마름매 교회, 선천 백현동 교회, 승지동 교회, 닭모리 교천 교회 등 여러 교회에서 전도사로 활동했다.[3] 신학교 졸업 후에는 황해도 사리원 미곡교회에서 사역하다가 월남하였다.[3]

남한에서는 대구 서문교회 부목사로 사역한 후, 대구 서산교회, 성밖교회를 개척하여 담임하였다.[3] 이후 서울로 상경하여 중앙교회를 개척하고 담임목사로 시무하였으며, 서울 중앙교회 재직 시에는 대법관 사광욱 장로와 한국산업은행 이사인 현호택 장로가 출석하였다.[3] 칼빈 고등성경학교 교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충현교회 당회장을 잠시 맡기도 했다.[3]

1970년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필라델피아에서 개혁교회를 개척하였다.[3] 1972년 한국으로 돌아와 서울 강남의 숭신교회(합신교단)에서 목회하던 중 4월 25일 소천하였다.[3] 박윤선 목사, 이인재 목사 등과 함께 한국교회의 개혁주의 교회 확장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노윤석 목사, 김재완 목사, 서운갑 목사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3]

3. 신학적 입장과 활동

3. 1. 개혁주의 신학

3. 2. 교단 분열과 반(反)고소 운동

고려파 총회의 제20회 경기노회가 반 고소운동을 전개하자 총회에서 행정보류를 하였다.[4] 이에 경기노회 소속의 노회장 전칠홍 목사, 고흥봉 목사, 최훈 목사, 김창인 목사, 이병규 목사가 고신을 떠나게 되었다.[4]

4. 사회 참여

4. 1. 민족 운동

4. 2. 민주화 운동 (언급 추가)

5. 영향과 유산

5. 1. 후대에 미친 영향

6. 관련 인물



1958년도 고려신학교 제 12회 졸업생 사진, 졸업생 서울 숭신교회 노윤석 목사 보관


고려신학교 교수들, 좌로부터 한상동, 한부선, 박윤선, 전칠홍, 박손혁, 1956년


대학광학 회장이며 기업인 매제인 김병철 회장은 교회당 건립시 큰 도움을 주었다. 동서인 노윤석 목사는 숭신교회를 담임하였다. 1958년도 고려신학교 제 12회 졸업생 사진에는 노윤석 목사가 있다. 1956년 고려신학교 교수들 사진에는 좌로부터 한상동, 한부선, 박윤선, 전칠홍, 박손혁이 있다.

6. 1. 가족

김의백은 승지동 유지로 교회 설립을 지원했다. 부인은 김명옥이다. 매제 김병철은 기업인으로 대학광학 회장이며, 교회당 건립에 큰 도움을 주었다. 동서는 숭신교회 노윤석 목사이다.

6. 2. 신학적 동역자

박윤선은 개혁주의 신학자였다. 이인재는 개혁주의 신학자였다. 이학인, 한상동, 한부선, 박손혁, 고흥봉, 최훈, 김창인, 이병규 등이 신학적 동역자였다.

6. 3. 교류 인물

김병철 대학광학 회장은 전칠홍의 매제로, 교회당 건립에 큰 도움을 주었다. 동서인 노윤석 목사는 서울 숭신교회를 창립하였다. 1956년 고려신학교 교수들 사진에는 좌로부터 한상동, 한부선, 박윤선, 전칠홍, 박손혁이 있다.

7. 저서 및 번역서

7. 1. 번역서

C.H.스펄전의 아침저녁설교와 명상 - 새벽기도회와 가정예배를 위한이 백합출판사에서 1974년에 번역 출판되었다.

8. 연표


  • 1915년: 평안북도 선천 출생
  • 1947년 10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목사 장립[5]
  • 1948년 7월: 대구 서문교회 부목사[5]
  • 1950년 1월 1일: 대구 달서교회(과거명 서산교회)[5]
  • 1951년 10월 28일: 대구서교회 설립[6]
  • 1953년 8월 2일: 서울중앙교회 개척
  • 1954년 11월: 대한예수교장로회 경기노회 노회장[5]
  • 1956년 5월: 칼빈 고등성경학교 교장
  • 1956년 8월 16일 - 1957년 9월 7일: 서울 충현교회 5대 담임 겸임(서울 중앙교회)[5]
  • 1957년 2월 8일: 서울중앙교회 사임[5]
  • 1957년 3월: 서울 숭신교회 창립
  • 1962년 4월: 대한예수교장로회 경기노회 노회장[5]
  • 1965년 4월: 대한예수교장로회 서울노회장[5]
  • 1972년: 소천

참조

[1] 뉴스 SFC의 태동기 역사’ 학술논문으로 대화하다 http://www.kosinnews[...] 고신뉴스 2013-03-28
[2] 웹사이트 서울중앙교회 교회역사 http://www.jungang.o[...]
[3] 웹사이트 충현교회 연원 및 변천 http://encykorea.aks[...]
[4] 논문 고려파운동과 반고소 경향문화사 1996
[5] 웹사이트 달서교회 교회연혁 http://www.dalseo.or[...]
[6] 웹사이트 대구서교회 http://m.dwpc.ne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