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부선은 평양 출신의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의 아들로, 미국 유학 후 프린스턴 신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미국 장로교회(PCUSA)를 떠나 PCA(OPC)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만주에서 선교 활동을 했으며, 한국으로 돌아와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단 설립에 참여하여 보수 신학 정립에 기여했다. 또한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반대하며 신앙을 지켰으며, 1992년 미국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선교사 - 왕길지
독일 출신 장로교 선교사이자 신학자인 왕길지는 1902년부터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교수로 교회사와 교육학을 강의하며 '신학지남' 책임편집자, 찬송가 편찬위원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선교사 - DJ 렉스
DJ 렉스는 1974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DJ로, 1990년대 초반 디제잉을 시작하여 클럽 활동, 프로듀싱, 아티스트 공동체 결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DJ 문화를 보급해왔다.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 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한부선 |
---|
2. 학력
연도 | 학교 | 비고 |
---|---|---|
1919년 | 평양외국인학교 | 졸업 |
1919년 6월 - 1920년 9월 | 솔던 고등학교 | |
1920년 - 1923년 6월 | 휘튼 칼리지 | |
1923년 9월 - 1924년 6월 | 럿거스 대학교 | 졸업 |
1924년 9월 | 프린스턴 신학교 | 입학 |
1928년 5월 | 프린스턴 신학교 | 졸업 |
1929년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 졸업 |
한부선은 1903년 6월 4일 평양에서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인 아버지 한위렴(윌리엄 브루스터 헌트)과 어머니 버사 바이올렛 핀리 헌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선교 활동을 통해 전도 집회, 성경 학교, 사경회 등에 참여하며 선교 사역에 큰 영향을 받았다. 평양외국인학교를 졸업한 후 1919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3. 생애 및 활동
휘튼 대학교와 럿거스 대학교를 거쳐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수학하였고, 메이천을 따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였다.
한부선은 네비우스 선교 방법을 철저히 따랐고, 성경 중심적인 신앙을 강조했다. 칼빈주의를 지향하며 변증적인 태도를 보였고, 자유주의 신학에 강경하게 대응했다. 그는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적 신앙을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7] 구령 열정을 가지고 전도 활동, 사회 사업, 교육 및 문서 보급을 통한 선교에 힘썼다. 1992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 근교 퀘리빌 양로원에서 별세하였다.
3. 1. 초기 생애 (1903-1928)
한부선은 1903년 6월 4일 평양에서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인 아버지 한위렴(윌리엄 브루스터 헌트)과 어머니 버사 바이올렛 핀리 헌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의 선교 활동을 통해 전도 집회, 성경 학교, 사경회 등에 참여하며 선교 사역에 큰 영향을 받았다. 평양외국인학교를 졸업한 후 1919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1919년 6월부터 1920년 9월까지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있는 솔던 고등학교(Soldan High School)를 다녔다. 1920년, 일리노이주에 소재한 휘튼 칼리지(Wheaton College)에 입학했으나, 대학 시절 영적인 고민을 겪었다. 그러나 중생을 체험하고 선교에 헌신하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1923년 9월, 뉴저지주에 있는 럿거스 대학교(Rutgers University)로 전학하여 졸업했다. 1924년 9월,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 입학하여 1928년 5월 졸업하였다.[7]
3. 2. 신학적 입장과 선교 활동 (1928-1992)
한부선은 네비우스 선교 방법을 철저하게 시행하고, 성경 중심적인 특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칼빈주의를 지향하면서도 변증적인 태도를 강하게 지녔으며, 특히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에 대하여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적 신앙을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 속에서 지켜나가는 것이 교회를 살리는 길이라고 굳게 믿었다.[7]
구령 열정을 가지고 다양한 전도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소외되고 불우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사업에도 적극적이었으며, 교육 및 문서 보급을 통한 선교에도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4][5]
1929년 메이천을 따라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로 옮겨 졸업하였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첫 안식년을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보냈다. 1936년, 그는 미국 장로교회(PCUSA)를 떠나 PCA(후에 OPC)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J. 그레샴 메이천의 지도 아래, 장로교 독립 선교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1936년부터 1942년까지 만주에서 봉사했다. 그 기간 동안, 그는 OPC 해외 선교 위원회 소속 선교사가 되었다.[3]
1992년 7월 26일 미국 필라델피아 근교 퀘리빌 양로원에서 소천하였다.[4][5]
3. 3. 한국에서의 활동과 말년
한부선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첫 안식년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보냈다. 1936년, 미국 장로교회(PCUSA)를 떠나 미국 정통장로교회(OPC) 창립에 참여하였다. J. 그레샴 메이천의 지도 아래, 장로교 독립 선교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1936년부터 1942년까지 만주에서 봉사했다. 그 기간 동안, 그는 OPC 해외 선교 위원회 소속 선교사가 되었다.[3]
1946년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50년에 일시 귀국하였지만, 1952년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 활동을 재개하였다. 한부선은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단 설립에 참여하여 한국 장로교회의 보수 신학 정립에 기여하였다.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반대하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7] 말년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근처의 퀘리빌 양로원으로 이주했고, 1992년 7월 26일에 소천하였다.[4][5]
4. 평가
한부선은 칼뱅주의를 지향하며 자유주의 신학에 맞서 보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고 성경 중심의 신앙을 강조함으로써,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적 신앙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7] 그는 한국 장로교회를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으로부터 지키는 것이 교회를 살리는 길이라고 굳게 믿었다.[7]
1992년 7월 26일, 그는 필라델피아 근교 퀘리빌 양로원에서 소천하였다.[4][5]
참조
[1]
웹사이트
Bruce Hunt Bio
https://students.wts[...]
[2]
서적
한부선 평전
도서출판 그리심
2006
[3]
웹사이트
Bruce Hunt Bio
https://students.wts[...]
[4]
뉴스
한부선 선교사 100주년 강좌 잇따라
http://www.kidok.com[...]
기독신문
2003-08-18
[5]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 5
https://books.google[...]
[6]
서적
한부선 평전
도서출판 그리심
2006
[7]
뉴스
한부선 선교사 100주년 강좌 잇따라
http://www.kidok.com[...]
기독신문
2003-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