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해종 (19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해종은 1919년 중화민국 만주 지방에서 출생한 한국의 역사학자이자 동양사학자이다. 이기백과 함께 서강학파를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를 지냈다. 한중 관계사에 정통하여 관련 연구의 기틀을 다졌으며, 독립운동가 집안의 후손으로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또한, 동양사 연구 기금 기증, 대한민국 학술원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 조남호 (1938년)
    조남호는 KBS PD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청의 주요 직책과 마포구, 동작구, 성동구청장을 거쳐 서초구청장을 3선 연임한 대한민국의 행정가이자 정치인이다.
  •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 김준선
    김준선은 1990년 데뷔 후 '아라비안 나이트'로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가수로, 솔로 활동과 더불어 그룹 활동, OST 참여, 작사, 작곡, 편곡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며 UJMC Entertainment 사장, UJMC 음악원 원장, 겸임교수,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 - 김남조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인 김남조는 1950년 등단하여 인간성과 생명력을 강조하는 시풍을 보이다가 로마 가톨릭 신앙 이후 기독교적 사랑과 윤리 의식을 주요 주제로 삼았으며, 감각적인 언어와 이미지로 인간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옌지시 출신 - 황순희
    황순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민주여성동맹 부위원장, 조선로동당 중앙위원, 조선혁명박물관 관장 등을 역임하며 항일 무장 투쟁 참여 후 북한에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고위직을 역임한 중요 인물이다.
  • 옌지시 출신 - 장률
    중국 옌지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인 장률은 연변대학교 중문학과 교수였으나 천안문 사건 이후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재중동포, 탈북자, 외국인 노동자 등 소외된 이들의 삶을 건조하고 담백하게 그려내는 작품들을 주로 연출했다.
전해종 (191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공직자 정보
이름전해종
원래 이름全海宗
임기1960년 5월 11일 ~ 1960년 9월 15일
대통령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곽상훈 대통령 권한대행
백낙준 대통령 권한대행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윤보선 대통령
총리허정 국무총리
김도연 국무총리 서리
허정 국무총리
장면 국무총리
부통령송요찬 부통령 권한대행 서리
정당무소속
장관이병도 문교부 장관
오천석 문교부 장관
차관이항녕 문교차관
윤택중 문교정무차관
서명원 문교사무차관
직책대한민국 문교부 편수국 국장 겸 이사관
출생일1919년 12월 21일
출생지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옌볜 조선족자치구 옌지 젠다오 구역
사망일2018년 1월 5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
국적대한민국
별명호(號)는 산남(山南)
경력서울가톨릭대학교 석좌교수
학력서울대 대학원
부모전성호(부)
수안 김씨 부인(모)
친인척김영하(사위)
전재일(친조부)
평주 박씨 부인(친조모)
유동헌(장인)
유동술(처종백부)
유동열(처종숙부)
유미영(6촌 처제)
유정순(6촌 처제)
전덕원(재종조부)
전경찬(7촌 재종숙부)
배우자유지수
자녀전혜란(딸)
서훈1972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동백장
1980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1985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
2001년 용재 학술상
종교유교(성리학)
개신교(장로회)
로마 가톨릭(세례명: 요셉)
웹사이트대한민국 학술원
전해종 前 교수 보도 자료

2. 생애

전해종은 이기백 등과 함께 대한민국 국사학 분야에서 "서강학파"를 주도한 한국사학자 겸 동양사학자이다.

1947년 29세 시절에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한 이후 서울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서양화가 장발[2] 화백 등의 권유를 받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였고, 이후 서강대 교수직으로 옮겨 1985년 정년 퇴임 후 서강대 명예교수가 되었다.

한중(韓中)관계사에 정통하였으며, 《한중관계사 연구》, 《동아(東亞)문화의 비교사적 연구》 등의 저서를 통해 대한민국의 동양사 연구 기틀을 다지고 역사학의 수준을 높였다.

대한민국 학술원상, 용재 학술상,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와 독립운동

전해종은 이기백 등과 함께 대한민국 국사학 분야에서 "서강학파"를 주도한 한국사학자 겸 동양사학자이다.

1919년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옌볜 조선족자치구 옌지 젠다오 구역에서 독립운동가 전성호의 차남(둘째아들)으로 출생하였다.

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 시절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당시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전임고문을 사부(師父)이자 주군(主君)으로 섬겼다. 그 당시 의친왕을 주군이자 사부로 섬기는 등 함께했던 이들은 전재일, 이오산, 이상귀, 김주로, 전성호, 구상본, 전경찬, 도상봉, 이상오, 김찬도, 전해종, 서상교 등이다.[2]

독립운동가였던 조부(전재일)와 부친(전성호)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받은 유족 지원금에 사재를 더해서 서울대학교 · 서강대학교 · 동양사학회에 총 5억의 "동양사 연구기금"을 기증 및 희사하였다.

2. 2. 학문적 업적과 사회 활동

이기백 등과 함께 대한민국 국사학 분야에서 "서강학파"를 주도한 한국사학자 겸 동양사학자이다. 한중(韓中)관계사에 정통하였으며, 《한중관계사 연구》, 《동아(東亞)문화의 비교사적 연구》 등의 저서를 펴내는 업적을 남기면서 대한민국의 동양사 연구 관련 기틀을 다지고 역사학의 수준을 끌어올렸다.[2]

독립운동가였던 조부(전재일)와 부친(전성호)으로부터 받은 국가 유족 지원금에 사재를 더해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동양사학회에 총 5억의 "동양사 연구기금"을 기증 및 희사하였다.

대한민국 학술원상, 용재 학술상,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2. 3. 기부와 헌신

이기백 등과 함께 대한민국 국사학 분야에서 "서강학파"를 주도한 한국사학자 겸 동양사학자 전해종은 독립운동가였던 조부(전재일)와 부친(전성호)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받은 유족 지원금에 사재를 더해서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동양사학회에 총 5억을 기증 및 희사하였다.[2]

3. 주요 저서 및 역서

전해종은 단독 저서, 공저, 역서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였다.

3. 1. 단독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한국근세 대외관계 문헌요비》서울대학교출판부1964년
《한중관계사 연구》일조각1970년
《한국과 동양》지식산업사1972년
《동아문화의 비교사적연구》일조각1976년
《역사와 문화》일조각1976년
《한국과 중국》지식산업사1979년
《동이전의 문헌적연구》일조각1980년
《동아시아사의 비교와 교류》지식산업사2000년


3. 2. 공저


  • 《일본사》 (지문각, 1964)
  • 《역사의 이론과 서술》 (서강대학교출판부, 1975)
  • 《중국의 천하사상》 (민음사, 1988)

3. 3. 역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러시아의 장래1957L. Schapiro 저
동양문화사 (상)을유문화사1964E. O. Reischauer and J. K. Fairbank 공저, 공역
동양문화사 (하)을유문화사1969J. K. Fairbank 저, 공역
명이대방록삼성문화문고1971황종희
중한관계론집북경사회과학출판사1997


4. 기타 경력

전해종은 학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947년 6월부터 1948년 6월까지 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을 지냈으며, 1960년 5월부터 같은 해 9월까지 대한민국 문교부 편수국장 겸 이사관을 역임하였다.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초대 동양사학회 회장을,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제3대 동양사학회 회장을 맡았다. 1976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국제세계역사학술회의 대한민국 위원회 위원장을, 1977년 6월부터 1985년 2월까지 대한민국 국사편찬위원회 대표상임위원을 역임했다.[1]

또한, 고려대학교 전임교수, 연세대학교 전임강사, 서울대학교 교수,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인하대학교 객원교수, 인천가톨릭대학교 초빙교수, 수원대학교 객원교수, 동국대학교, 홍익대학교, 단국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가톨릭대학교 석좌교수 등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였다.[1]

참조

[1] 뉴스 조선일보 보도 자료 리스트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 문서 부통령을 지낸 장면 전 국무총리의 친아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