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접촉자 추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접촉자 추적은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찾아내어 관리하는 공중 보건 전략이다. 1930년대 매독 추적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HIV 유행 시기에도 활용되었다. 접촉자 추적은 노출 알림, 인터뷰, 권고사항 전달, 자가 격리 지원, 의료 모니터링, 접촉 종료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며, 역추적 및 순추적 방식이 존재한다.

접촉자 추적은 질병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에볼라, 천연두, 코로나19 등 다양한 감염병 관리에 활용된다. 기술 발전에 따라 디지털 접촉자 추적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개인 정보 보호, 기술 접근성, 준수 여부 등 윤리적, 법적,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중위생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중위생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접촉자 추적
개요
접촉 추적의 메커니즘
접촉 추적 메커니즘
정의감염병 환자와 접촉한 사람을 찾아 식별하는 과정
목적감염 확산 방지
역사
역사적 맥락공중 보건의 오랜 역사를 가짐
과거 활용성병과 같은 질병 관리
현대적 중요성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 효과적인 공중 보건 도구로 부상
참고 문헌Brandt, Allan M. "The History of Contact Tracing and the Future of Public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12.8 (2022): 1097-1099.
방법
단계환자 식별 및 인터뷰
접촉자 식별
접촉자 정보 획득 및 위험 평가
접촉자 관리
환자 인터뷰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정보를 수집
접촉자 추적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추적
접촉자 관리접촉자들에게 정보 제공, 자가 격리 권고, 검사 실시
추가 정보WHO의 지침 참고
CDC의 지침 참고
관련 기관
주요 기관WHO
CDC
역할지침 제공 및 지원

2. 역사

접촉자 추적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방글라데시에서 콜레라 유행(2014년) 동안 추적 조사: FETP 연구자가 인덱스 환자의 어머니를 면담하고 있다.

2. 1. 성병 관리

접촉자 추적 프로그램은 1930년대에 매독 사례를 추적하기 위해 처음 시행되었다.[4] 초기에는 성병과 관련된 사회적 낙인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4] 개인들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로 감염 사실을 보고하는 것을 꺼렸으며,[5] 파트너의 병력 및 성적 활동에 대한 세부 사항을 공개하는 것은 개인과 지역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4][5] 또한, 공중 보건 관계자들이 성노동자, 소수 민족 및 위험군과 같은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삼아 사회에 두려움, 수치심, 죄책감을 유발하기도 했다.[4]

특히 성병 분야에서 접촉자 추적이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면서, 공중 보건 관계자들은 노출된 개인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HIV 유행 기간 동안 많은 감염자들이 정보 보고를 꺼려 HIV에 대한 이해와 확산 방해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2] 이러한 부정적인 낙인을 완화하기 위해, 1980년대에 보건 부서는 접촉자 추적을 파트너 통보라고 부르기도 했다.[4][5] 파트너 통보는 감염된 사람의 성적 파트너에게 알리고 그들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접촉자 추적의 하위 집합으로,[2] 감염된 개인을 식별하는 것에서 나아가 감염 치료를 위한 상담 및 의료 서비스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4]

2. 2. 영국 소두창 대응

영국에서 소두창 발생 기간 동안 '계약 추적자'라는 공식 명칭이 처음 시행되었다.[6] 질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헌신적인 개인들이 감시 기반 팀에서 활동했다.[6] 이 과정은 다른 공중 보건 기관이 공식화된 프로그램을 갖도록 하는 청사진 역할을 했다.[6]

2. 3. 미국 전염병 대응

2020년 코로나19에 대한 대처로, 한국은 성공사례, 이탈리아는 실패사례로 언급되는데, 한국의 접촉자 추적 방식을 미국, 이탈리아가 학습하고 있다.

미국은 결핵, HIV, SARS, SARS-CoV-2를 포함한 전염병 예방을 위한 접촉자 추적 프로그램을 제정했다.[6]

2020년 8월 뉴욕시 라과디아 공항에서 코로나19 접촉자 추적에 사용하기 위한 여행자 정보 수집 의무화.

3. 단계

접촉자 추적은 일반적으로 CDC에서 제공하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7]

# '''노출 알림'''

# '''접촉자 인터뷰'''

# '''밀접 접촉자를 위한 권장 사항'''

# '''자가 격리의 타당성 평가 및 지원'''

# '''의료 모니터링'''

# '''접촉 종료'''

접촉자 추적 시각화


전파 사슬


3. 1. 노출 알림

전염성 질환에 걸린 개인(''색인 사례''라고 함)이 확인되면, 공중 보건에 보고되거나 1차 의료 제공자가 관리한다.[7] 이상적으로 모든 알림은 노출 후 24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7] 같은 장소에 참석한 일반 대중처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없는 접촉자의 경우, 미디어 공지 등 더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이 발행될 수 있다.[7] 접촉자와의 의사 소통은 텍스트 및 이메일을 포함한 디지털 방식으로 처음 이루어진다.[7] 대면 의사 소통을 고려하기 전에 원격으로 접촉자에게 알리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7] 이 과정에서 노출의 근원 신원을 접촉자에게 공개해서는 안 된다.[7]

3. 2. 접촉자 인터뷰

색인 사례(확진자)는 이동 경로, 밀접 접촉자, 성 파트너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뷰를 받는다.[7] 질병 및 감염 상황에 따라 가족, 의료 제공자, 사례의 접촉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도 인터뷰 대상이 될 수 있다.[7] 인터뷰는 일관성을 위해 인구 통계, 증상, 기저 질환, 노출 시기 등을 포함하는 템플릿을 따른다.[8]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여러 언어의 통역사와 자료가 활용된다.[7]

2020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국은 확진자 발생 시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를 통해 방문 장소, 직장, 접촉자 등을 역추적하고, 지방자치단체가 블로그에 확진자 방문 장소의 구체적인 상호명과 주소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접촉자 인터뷰를 대체했다.

3. 3. 밀접 접촉자 관리

2020년 코로나19에 대한 대처로, 한국은 성공사례로 언급된다.

확진자와의 접촉자는 밀접접촉자와 단순접촉자, 2가지 등급으로 분류한다.

  • 밀접접촉자 - 2주간 자가격리 의무
  • 단순접촉자


확진자와 동시간대 같은 장소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확진자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해 밀접접촉자와 단순접촉자를 구분한다. 확진자 수가 늘어나자, 2가지 구분을 없애고 "접촉자"로 단일화했다.

CDC에서 제공하는 내용에 따르면, 접촉자 추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7]

# '''밀접 접촉자를 위한 권장 사항:''' 접촉자가 확인되면 공중 보건 담당자는 상담, 선별 검사, 예방 및/또는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락한다.[7] 접촉자에게는 격리, 격리, 질병의 징후 및 증상, 적시 검사에 대한 교육이 제공된다.[7] 해당하는 경우 접촉자는 질병 전파를 줄이기 위해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7]

# '''자가 격리의 타당성 평가 및 지원:''' 질병 관리에 필요한 경우 접촉자는 격리되거나(예: 집에 머물도록 요구) 제외될 수 있다(예: 학교와 같은 특정 장소에 참석하는 것을 금지).[7] 이 과정의 어려움으로는 격리 기간 동안 음식, 물, 안전한 생활 환경과 같은 자원 접근성이 있다.[7] 한부모, 간병인, 유아를 둔 개인 등 특별한 역할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적인 책임으로 인해 격리를 실천하는 것이 불편하다. 사회 서비스와 정부의 부수적인 지원은 격리 및 격리 조치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해진다.[7] 접촉자는 격리 또는 격리가 자발적인지 의무적인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7] 관심 있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정부는 접촉자 추적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법적 명령을 내릴 수 있다.[7]

3. 4. 자가 격리 지원

질병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접촉자는 격리되거나(예: 집에 머물도록 요구) 특정 장소에 참석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7] 이 과정에서 격리 기간 동안 음식, 물, 안전한 생활 환경과 같은 자원 접근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7] 한부모, 간병인, 유아를 둔 개인 등 특별한 역할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적인 책임 때문에 격리를 실천하기 어렵다.[7] 따라서 사회 서비스와 정부의 부수적인 지원이 격리 및 격리 조치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해진다.[7] 접촉자는 격리 또는 격리가 자발적인지 의무적인지 여부를 알아야 하며,[7] 질병의 특성에 따라 정부는 접촉자 추적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법적 명령을 내릴 수 있다.[7]

3. 5. 의료 모니터링

2020년 코로나19에 대한 대처로, 한국은 성공사례로 언급되며, 한국의 접촉자 추적 방식을 미국 등 여러 나라가 학습하고 있다.

한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KCDC)에서 역학조사를 하여, 확진자가 방문했던 장소와 만났던 사람을 역추적한다. 지방자치단체는 확진자가 다녀간 구체적인 상점명, 주소를 즉시 공개한다.

확진자와의 접촉자는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밀접접촉자 - 2주간 자가격리 의무
  • 단순접촉자


확진자와 동시간대 같은 장소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확진자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해 밀접접촉자와 단순접촉자를 구분했다. 확진자 수가 늘어나자, 두 가지 구분을 없애고 "접촉자"로 단일화했다.

의료 모니터링은 접촉자에게 정보, 약물 및 의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지만, 직접적인 공중 보건 참여가 알림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다.[53] 이상적으로, 접촉자 추적 담당자는 매일 접촉자를 방문하여 질병의 징후와 증상을 확인한다.[7] 다른 방법으로는 접촉자가 매일 지정된 담당자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메일 및 문자 메시지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수행된다.[7] 접촉자에게 증상이 있는 경우, 사례 조사자가 해당 개인에게 적절한 검사 및 치료를 지시하도록 배정된다.[7] 접촉자 추적의 이 단계는 자원 가용성에 매우 의존적이다.[7]

3. 6. 접촉 종료

이 단계는 증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격리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7] 격리 및 격리의 이상적인 기간은 보건 기관에서 결정한다.[7] 접촉자가 정의된 일수 동안 격리/격리를 적절하게 완료하면 종료될 수 있다.[7] 다음 단계로는 직장 복귀 및 사회 활동 참여 등이 논의된다.[7]

4. 종류



접촉자 추적은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다. 접촉자 추적은 감염 이후 접촉자를 찾는 순추적, 감염 이전 접촉자를 찾는 역추적,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추적으로 나눌 수 있다.


  • 순추적: 감염 후 접촉자를 찾아 질병 확산을 방지하는 과정으로, 사례를 조사하고 가까운 접촉자에게 격리 또는 자가 격리를 알리는 일반적인 방법이다.[18]
  • 역추적: 감염 이전에 접촉자를 찾아 감염원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18] 감염원을 알 수 없고 최소한으로 관리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18] 지표 환자와 해당 접촉자의 2차 노출을 파악하여 전파 고리를 끊는 것이 목표이다.[18]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2020년 초 일본이 역추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으며,[19][20][21][22] 대한민국도 이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4. 1. 접촉 유형

코로나19 확진자와의 접촉자는 초기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밀접 접촉자: 2주간 자가 격리 의무가 있었다.
  • 단순 접촉자


확진자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확진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하여 밀접 접촉자와 단순 접촉자를 구분했다. 이후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서 두 가지 구분은 없어지고 "접촉자"로 단일화되었다.

공중 보건 관리와 관련된 접촉 유형은 전파 방식에 따라 다양하다.[9] 성병의 경우, 환자의 성적 접촉자뿐만 아니라 환자에게서 태어난 아기도 관련된다.[9] 혈액 매개 감염의 경우, 수혈 환자, 주사기를 함께 사용한 접촉자, 환자의 혈액에 노출되었을 수 있는 모든 사람이 관련된다.[9] 폐결핵의 경우, 환자와 같은 가구에 거주하거나 상당한 시간을 같은 방에서 보내는 사람이 관련된다.[9]

4. 2. 역추적 및 순추적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2020년 초 일본이 역추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으며,[19][20][21][22] 대한민국[23]우루과이[24][25]도 이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역추적(또는 역방향 추적)은 감염 이전에 접촉자를 찾아 감염원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18] 감염원을 알 수 없고 최소한으로 관리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18] 지표 환자와 해당 접촉자의 2차 노출을 파악하여 전파 고리를 끊는 것이 목표이다.[18]

순추적은 감염 후 접촉자를 찾아 질병 확산을 방지하는 과정으로,[18] 사례를 조사하고 가까운 접촉자에게 격리 또는 자가 격리를 알리는 일반적인 방법이다.[18]

전염성이 높은 유행병의 경우 순방향 및 역방향 접촉자 추적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략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18] 역방향 추적은 확산 사건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데 유용하며, 순방향 추적은 향후 전파를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8] 두 접근 방식의 효과는 접촉자 추적에 투입된 자원에 의해 제한된다.[18]

4. 3. 하이브리드 추적

전염성이 높은 유행병의 경우 순방향 접촉자 추적과 역방향 접촉자 추적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략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18] 역방향 접촉자 추적은 확산 사건의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데 유용하며, 순방향 추적은 향후 전파를 완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8]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의 효과는 접촉자 추적에 투입된 자원에 의해 제한된다.[18]

대한민국[23]우루과이[24][25] 등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한 국가들은 역추적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그러나 언론인 겸 작가인 로리 개럿은 2020년 10월 말 미국 내 바이러스 양이 너무 많아 어떤 보건부서도 연락하고 추적할 자원이 없다고 지적했다.[29] 또한, 관계자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과 바이러스에 대한 음모론이 미국 내 접촉자 추적 노력을 방해하는 영향을 간과했다.[30]

5. 활용



순방향 접촉자 추적 대 순방향 및 역방향 접촉자 추적.

5. 1. 발병 조사

2020년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하여, 한국은 성공적인 사례로, 이탈리아는 실패 사례로 언급되고 있으며, 미국과 이탈리아는 한국의 접촉자 추적 방식을 배우고 있다.

한국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KCDC)가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역학조사를 통해 확진자가 방문했던 상점, 직장, 만났던 사람을 역추적하고, 지방자치단체는 블로그를 통해 확진자가 다녀간 상점명과 주소를 구체적으로 즉시 공개한다.

확진자와의 접촉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밀접접촉자: 2주간 자가격리 의무
  • 단순접촉자


확진자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었던 사람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확진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하여 밀접접촉자와 단순접촉자를 구분하였다. 그러나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이 두 가지 구분은 없어지고 "접촉자"로 단일화되었다.

접촉자 추적은 질병 통제에 주로 사용되지만, 새로운 질병이나 특이한 발병을 조사하는 데에도 중요한 도구이다.[9] 예를 들어, 가능성 있는 사례가 알려진 질병 사례와 연관되어 있는지, 특정 지역 사회에서 2차 전파가 발생하는지 등을 판단하는 데에 접촉자 추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사스(SARS)의 경우와 같다.[10]

접촉자 추적은 2009년 대유행 H1N1 인플루엔자와 같은 대규모 유행병의 억제 단계 동안 항공기 탑승자들 사이에서도 시작되었다.[11] 2014년 영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조사하고 2018년 영국에서 원숭이두창을 조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예를 들어, 천연두의 근절은 감염된 모든 사람을 찾기 위한 철저한 접촉자 추적을 통해 달성되었다.[13] 이어서 감염된 개인을 격리하고 천연두에 걸릴 위험이 있는 주변 지역 사회와 접촉자들을 예방 접종했다.[13]

접촉자 추적은 질병 발생의 원인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4] 1984년, 접촉자 추적은 에이즈가 성적 접촉을 통해 감염성 물질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는 최초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5][17] 이후 감염성 물질은 HIV로 확인되었다.[16]

5. 2. 코로나19 팬데믹

코로나19에 대한 대처로 한국은 성공 사례, 이탈리아는 실패 사례로 언급되는데, 미국과 이탈리아는 한국의 접촉자 추적 방식을 학습하고 있다.

한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KCDC)에서 역학조사를 하여 확진자가 방문했던 상점, 직장, 만났던 사람을 역추적한다. 지방자치단체는 블로그에 확진자가 다녀간 구체적인 상점명과 주소를 즉시 공개한다.

확진자와의 접촉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등급으로 분류했다.

  • 밀접접촉자 - 2주간 자가격리 의무
  • 단순접촉자


확진자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확진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해 밀접접촉자와 단순접촉자를 구분했다. 그러나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서 두 가지 구분을 없애고 "접촉자"로 단일화했다.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2020년 초 일본이 역추적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식을 채택한 것은 성공적인 것으로 칭송받았으며,[19][20][21][22] 대한민국[23]우루과이[24][25] 등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한 다른 국가들도 이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접촉자 추적은 감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엄청난 자원과 근무 시간을 필요로 한다.[31] COVID-19 팬데믹은 접촉자 추적 및 공중 보건 노력이 시험대에 오른 전례 없는 시기였다.[31] 싱가포르, 대한민국, 베트남은 바이러스의 초기 확산을 제한하는 데 성공했다.[31] 접촉자 추적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사람은 즉시 격리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정부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격리 시설을 제공했다.[3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양성 환자와 밀접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기기(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사용자가 외출을 자제하는 등의 행동 변화를 하도록 안내하거나, 경우에 따라 국가 공중 보건 기관이 연락을 취하는 기술도 활용되었다. '컨택트 트레이싱(Contact Tracing)'은 일반적으로 "접촉 확인"으로 번역된다[58]. 이 기술을 통해 코로나19 앱이 제공된다.

6. 기술

독일에서 COVID-19 유행병 기간 동안 접촉자 추적을 위한 세 가지 서명 방법


수동 방식은 접촉자 추적 단계에 세심하게 따라야 하는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며, 이는 정부의 막대한 투자를 필요로 해 때로는 실현 가능하지 않다.[37] 또한 수동 접촉자 추적은 접촉자가 알지 못하는 노출을 감지하는 데 적합하지 않으며, 인터뷰 및 알려진 지식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37] 레스토랑이나 쇼핑몰과 같은 지역에서는 접촉자가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아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37] 이론적 규모에서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은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중단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37]

대한민국과 달리 싱가포르블루투스 기반 앱을 사용하여 14일 후에 자동 삭제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보고했다.[44] 서방 세계는 곧 자체적인 블루투스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했다.[44]

6. 1. 소프트웨어

디지털 접촉자 추적 시대는 COVID-19 유행병 동안 주목받기 시작했다.[36] 광범위한 전파와 접촉자 추적 인력 부족으로 인해 기술은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36] 또한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접촉자 추적자가 노출된 개인을 추적하고 알리기 위해 수행하는 수동 단계를 대체한다.[36] 디지털 접촉 추적 앱을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수동 방식보다 몇 가지 이점이 있다.[36]

COVID-19 유행병 동안 수동 접촉자 추적자는 기술을 사용하여 추적 노력을 강화했다.[38] 특히 사례 관리자는 이 리소스의 혜택을 받는 전문가 그룹이었다.[38] 사례 관리 소프트웨어는 접촉자 추적자가 사례 및 접촉자 추적 활동의 기록을 유지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38] 이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로, 감염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과 밀접한 접촉을 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소프트웨어 내에서 직접 SMS 또는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과 같은 특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39]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관심 있는 사람을 추적하고 인종, 우편 번호 및 증상과 같은 데이터 포인트를 살펴볼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39] 접촉자 추적 사례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로는 세일즈포스(Salesforc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및 [https://www.watkyn.com/covid-19-case-management-contact-tracing-software/ Watkyn]이 있다.[40][41][42]

COVID-19 중 앱 기반 접촉자 추적.


대한민국은 디지털 접촉자 추적 도구 활용의 선구자가 되었다.[43] 2015년 MERS 유행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정부는 강력한 접촉자 추적 프로그램을 시행했다.[43] 개인의 이동을 추적하고 노출된 사람들에게 적절하게 알리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사용되었다.[43] 대한민국 정부는 디지털 접촉자 추적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 Corona 100m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43]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중 보건 기관은 슈퍼 전파 사건을 추적하고,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되는 경우 치료를 안내할 수 있었다.[43]

싱가포르는 접촉자 추적 노력에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였다.[43] 싱가포르는 TraceTogether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여 스마트폰이 접촉자 추적에 유용한 근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44][37] 페이스북 랩스(Facebook Labs)는 2018년에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서 블루투스 사용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45] 2020년 4월 10일, 세계 대부분의 모바일 운영 체제를 차지하는 애플(Apple Inc.)과 구글은 iOS 및 안드로이드용 코로나19 앱을 발표했다.[46]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무선 라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근접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도구는 SARS-CoV-2에 감염된 사람과 접촉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경고한다.[46][48]

6. 2. 한계

디지털 접촉자 추적은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36] 광범위한 전파와 접촉자 추적 인력 부족으로 인해 기술은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36] 기술 사용에는 몇 가지 한계와 과제가 따른다.[49][50]

  • 정확성 문제: 추적 기술은 노출된 개인에게 정확하게 알리지 못할 수 있다.[49][50]
  • 블루투스: 벽과 구조물을 구분하지 못하여, 사무실 건물 내 벽으로 분리된 사람들도 접촉한 적이 없더라도 노출된 것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49][50]
  • 매개변수: 개발자가 설정한 매개변수(근접성, 거리, 접촉 기간 등)에 따라 잠재적인 사례를 놓칠 수 있다.[49][50]
  • 접근성 및 인프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접근성과 공공 인터넷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지만, 모든 국가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49][50]
  • 준수: 개인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기술을 사용하고, 알림을 받았을 때 적절한 지침을 따라야 하지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의무화되지 않은 경우 이는 매우 어려워진다.[50]


디지털 접촉 추적의 효능을 연구한 코호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된 한계로 인해 사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제한적인 민감도를 보였다고 보고했다.[49][50] 펜실베이니아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한 디지털 노출 알림 앱을 인구의 5.7%(635,612명)가 다운로드했지만, 보고된 모든 사례 중 단 0.1%만이 해당 앱을 사용했다.[51][52]

7. 윤리적, 법적 문제

접촉자 추적 프로그램은 1930년대에 매독 사례를 추적하기 위해 처음 시행되었다.[4] 초기에는 성병과 관련된 낙인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4] 개인들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로 인해 감염 사실을 보고하는 것을 꺼렸고,[5] 파트너의 병력 및 성적 활동에 대한 세부 사항을 공개하는 것은 개인과 지역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어려운 문제였다.[4][5] 또한, 공중 보건 관계자들이 성노동자, 소수 민족 등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에 두려움, 수치심, 죄책감을 유발하기도 했다.[4]

HIV 유행 기간 동안 많은 감염자들이 정보 보고를 꺼려 HIV에 대한 이해와 확산 방지에 어려움을 겪었다.[2]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1980년대에는 접촉자 추적을 파트너 통보라고 부르기도 했다.[4][5] 파트너 통보는 감염된 사람의 성적 파트너에게 알리고 그들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접촉자 추적의 일종이다.[2]

접촉자 추적과 관련된 주요 문제점은 의료 정보 보호 및 기밀 유지와 관련되어 있다.[53] 공중 보건 실무자는 의무 보고자로서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해 행동해야 하는 동시에, 개인에게 노출 위험을 경고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도 지니고 있다.[53] 그러나 감염된 개인은 의료 정보 기밀 유지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53]

미국에서는 HIPAA가 건강 정보를 보호하는 법적 조치이다.[54] 이는 접촉자 추적 과정에서 관련 정보만 공유하도록 보장하지만, SARS-CoV2의 확산과 사망률을 고려할 때 HIPAA의 보호가 약해졌다는 주장도 제기된다.[54]

개인 정보가 공중 보건 실무자에 의해 공개되지 않더라도 프라이버시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55] 정부 및 기술 회사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데이터는 관련 없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55] 빅 테크 기업은 사람들의 방문 장소, 관심사, 상호 작용 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55] 따라서 데이터 수집 범위, 정보 보존 기간, 공유 대상 및 사용 목적에 대한 문제는 심각한 윤리적 고려 사항이다.[55]

디지털 접촉자 추적 도구를 설계할 때 안전 장치는 논쟁의 대상이 된다.[56] GPS, Wi-Fi, 블루투스와 같은 추적 소프트웨어의 사용 제한 및 사용 시점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데이터 접근 권한 또한 중요한 윤리적 문제이다.[56]

참조

[1] 웹사이트 Coronavirus disease (COVID-19): Contact tracing https://www.who.int/[...] 2022-11-03
[2] 논문 The History of Contact Tracing and the Future of Public Health 2022-08
[3] 웹사이트 Health Departments https://www.cdc.gov/[...] 2020-02-11
[4]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Contact Tracing https://oneill.law.g[...] 2020-07-13
[5]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Contact Tracing https://oneill.law.g[...] 2020-07-13
[6] 웹사이트 What is Contract Tracing and How Does it Effect Public Health? https://mphdegree.us[...] 2020-10-15
[7] 웹사이트 Health Departments https://www.cdc.gov/[...] 2020-02-11
[8] 웹사이트 Health Departments https://www.cdc.gov/[...] 2020-02-11
[9] 서적 Australasian Contact Tracing Manual http://ctm.ashm.org.[...] Australasian Society for HIV Medicine 2010
[10] 웹사이트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 multi-country outbreak https://www.who.int/[...] WHO 2013-05-28
[11] 논문 Quantifying SARS-CoV-2 transmission suggests epidemic control with digital contact tracing 2020-05
[12] 논문 Efficacy of contact tracing for the containment of the 2019 novel coronavirus (COVID-19) 2020-10
[13] 서적 Principles of public health practice https://books.google[...] Delmar Learning 2003
[14] 논문 Transmission dynamics of the etiological agent of SARS in Hong Kong: impact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2003-06
[15] 논문 Social networks an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e AIDS example 1985-01-01
[16] 논문 HIV causes AIDS 1988-07
[17] 논문 Cluster of cases of th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Patients linked by sexual contact 1984-03
[18] 웹사이트 Welcome https://www.publiche[...] 2022-11-10
[19] 뉴스 The 'Japan model' that tackled coronavirus https://www.ft.com/c[...]
[20] 뉴스 Opinion {{!}} How Japan Beat Coronavirus Without Lockdowns https://www.wsj.com/[...] 2020-07-07
[21] 논문 Cluster-Based Approach to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Response in Japan, from February to April 2020 2020-11
[22] 웹사이트 "[Addendum] Japan's Cluster-based Approach" https://www.mhlw.go.[...] 2020-05-28
[23] 논문 Nationwide Results of COVID-19 Contact Tracing in South Korea: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an Epidemiological Survey 2020-08
[24] 논문 Uruguay is winning against covid-19. This is how 2020-09
[25] 논문 An effective COVID-19 response in South America: the Uruguayan Conundrum 2020-07-27
[26] 논문 Fixing England's COVID-19 response: learning from international experience 2020-11
[27] 논문 COVID-19 Case Investigation and Contact Tracing in the US, 2020 https://doi.org/10.1[...] 2021-06-03
[28] 논문 Isolation and Quarantine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in the United States, 2020-2022 2023-07-26
[29] 웹사이트 Laurie Garrett: The amount of virus in the U.S. Is so large that 'no one has health departments large enough to do contact tracing' https://www.msnbc.co[...]
[30] 뉴스 Contact Tracing, Key to Reining In the Virus, Falls Flat in the West https://www.nytimes.[...] 2020-10-03
[31] 논문 COVID-19 Isolation and Contact Tracing with Country Samples: A Systematic Review 2021-08
[32] 논문 A survey of COVID-19 contact-tracing apps 2021-10
[33] 논문 Measuring the scientific effectiveness of contact tracing: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2021-08-12
[34] 서적 Roads to COVID-19 Containment and Spread Austin Macauley
[35] 논문 Home-Based Testing and COVID-19 Isolation Recommendations, United States - Volume 29, Number 9—September 2023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 CDC https://wwwnc.cdc.go[...] 2023
[36] 웹사이트 The Tech Behind COVID-19 Contact Tracing https://www.gao.gov/[...] 2020-07-28
[37] 논문 COVID-19 digital contact tracing applications and techniques: A review post initial deployments 2021-09
[38] 뉴스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ttps://www.cdc.gov/[...] 2020-06-17
[39] 간행물 ContactPath by Watkyn Launches to Reduce the Spread of COVID-19 https://www.prnewswi[...] 2020-07-14
[40] 웹사이트 Marc Benioff says 35 states are now using Salesforce's contact tracing technology for coronavirus https://www.cnbc.com[...] 2020-06-25
[41] 웹사이트 Greater Manchester plans case management for contact tracing https://www.ukauthor[...]
[42] 웹사이트 Contact Tracing Platform Developed in QuickBase https://www.insights[...] 2020-07-14
[43] 논문 Contact Tracing for Covid-19 — A Digital Inoculation against Future Pandemics 2021-08-05
[44] 학위논문 Privacy-preserving controls for sharing mHealth data https://digitalcommo[...] 2016-05
[45] 특허 Proximity-based trust
[46] 웹사이트 Apple and Google are building coronavirus tracking tech into iOS and Android – The two companies are working together, representing most of the phones used around the world. https://www.cnet.com[...] CNET 2020-04-10
[47] 웹사이트 Contact Tracing – Bluetooth Specification https://covid19-stat[...] 2020-04-10
[48] 웹사이트 Kommentar: Mit Corona-App zurück zum halbwegs normalen Leben https://www.tagessch[...] 2020-01-04
[49] 논문 Effectiveness evaluation of digital contact tracing for COVID-19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2022-03-01
[50] 논문 Digital contact tracing technologies in epidemics: a rapid review 2020-08-18
[51] 논문 Estimated Cases Averted by COVID-19 Digital Exposure Notification, Pennsylvania, USA, November 8, 2020-January 2, 2021 2023-02
[52] 논문 Estimated Cases Averted by COVID-19 Digital Exposure Notification, Pennsylvania, USA, November 8, 2020-January 2, 2021 2023-02
[53] 서적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best practices and contact tracing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Ontario Ministry of Health and Long-Term Care 2009
[54] 웹사이트 Maintaining HIPAA Privacy with Contact Tracing https://thehipaaetoo[...] 2020-05-27
[55] 웹사이트 Digital contact tracing poses ethical challenges https://hub.jhu.edu/[...] 2020-05-26
[56] 논문 COVID-19 and Contact Tracing Apps: Ethical Challenges for a Social Experiment on a Global Scale 2020
[57] 웹사이트 Ethical practice in isolation, quarantine & contact tracing https://www.ama-assn[...] 2020-04-28
[58] 웹사이트 コロナ拡大防止策「Contact Tracing」の仕組み https://datasign.jp/[...] DataSign 2020-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