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복자 145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복자 1453은 2012년 개봉한 터키 영화로,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는 예언, 메흐메트 2세의 성장과 준비, 비잔틴 제국과의 갈등, 그리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주요 줄거리로 한다. 데브림 에빈, 이브라힘 첼리콜, 레제프 아크투그 등 터키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제작비는 800만 달러에서 1,700만 달러 사이로 추정된다. 터키 개봉 당시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사실 왜곡과 오스만 제국군 묘사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전쟁 영화 - 쿠오바디스, 아이다
    1995년 스레브레니차 학살 당시 UN 통역사 아이다의 시선으로 스레브레니차 학살 사건을 극화하여 전쟁의 참혹함과 국제 사회의 무관심을 비판적으로 조명한 야스밀라 즈바니치 감독의 영화 쿠오바디스, 아이다는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고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 동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고라 (영화)
    2009년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의 스페인 영화 《아고라》는 4세기 알렉산드리아를 배경으로 여성 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히파티아의 삶과 종교적 갈등 속 과학과 이성을 추구한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 동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바이킹: 왕좌의 게임
    2024년 러시아 영화 바이킹: 왕좌의 게임은 키예프 루스 시대를 배경으로 스뱌토슬라프 1세 사후 권력 다툼과 블라디미르 대공의 기독교 개종 과정을 그린 영화로, 시각 효과와 연기는 호평을 받았지만 역사 왜곡과 기독교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4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관상 (영화)
    영화 《관상》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관상으로 운명을 읽는 천재 관상가 김내경이 권력 다툼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루며, 송강호, 김혜수, 이정재 등이 출연하고, 913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14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성 잔 다르크 (1957년 영화)
    진 세버그가 잔 다르크 역을 맡아 조지 버나드 쇼의 희곡을 그레이엄 그린이 각색하고 오토 프레밍거가 감독한 영화 《성 잔 다르크》는 신의 계시를 받은 잔 다르크가 프랑스를 구원하려다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정확성과 캐스팅 논란 등으로 비평가들의 반응이 엇갈렸다.
정복자 1453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파룩 악소이
제작자아이셰 게르멘
각본가이르판 사루한
원작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출연데브림 에빈
이브라힘 셀리콜
딜레크 세르베스트
음악벤자민 월피쉬
스튜디오악소이 필름 프로덕션
배급사티글론 필름
키노스타
상영 시간160분
국가튀르키예
언어튀르키예어
그리스어
아랍어
우르두어
영어
제작비1820만 달러
흥행 수익6120만 달러 (튀르키예 리라 183.241.062)

2. 줄거리

영화는 627년 메디나에서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가 아부 아유브 알-안사리를 통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을 예언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 예언은 15세기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현실화될 조짐을 보인다.

메흐메트 2세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 무라드 2세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으나, 대재상 할릴 파샤의 영향력으로 다시 아버지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 이후 다시 왕위에 오른 메흐메트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이라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주변 국가들과 평화 조약을 맺는 등 전략적인 준비를 한다.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메흐메트 2세를 과소평가하고, 오스만 제국 내의 분란을 이용하려 하지만, 이는 메흐메트 2세의 계략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카라만 반란을 진압하고 예니체리 군단을 재정비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격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춘다.

메흐메트 2세는 갈리폴리의 조선소를 복원하여 1년에 100척의 갤리선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루멜리 요새를 건설하여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을 준비한다.

1453년, 오스만 군대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하고, 치열한 공방전 끝에 도시를 함락시킨다.

2. 1. 주요 장면

3. 등장인물


  • 데브림 에빈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7대 술탄 메흐메트 2세 역을 맡았다. 메흐메트의 어린 시절은 에제 우슬루가 연기했다.
  • 이브라힘 첼리콜은 메흐메트의 친구이자 멘토, 오스만 기병대 대장 울루바틀리 하산 역을 맡았다. 하산은 여러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꼭대기에 오스만 깃발을 꽂고 순교한다.
  • 딜레크 세르베스트는 오르반이 콘스탄티노폴리스 노예 시장에서 사들인 양녀이자, 하산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는 에라 역을 맡았다. 에라의 어린 시절은 알군 몰라가 연기했다.
  • 레제프 아크투그는 마지막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 역을 맡았다. 영화에서 그가 죽자 메흐메트는 비잔틴 귀족들에게 기독교 전통에 따라 그를 매장하라고 명령한다.
  • 젱기즈 코슈쿤은 제노바 장군이자 하산에게 죽는 기사 주스티니아니 역을 맡았다.
  • 에르덴 알칸은 무라드 2세와 메흐메트 2세 치하에서 복무하는 오스만 대재상 찬다를르 할릴 파샤 역을 맡았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과 관련된 모든 메흐메트의 계획을 거부하고 비잔틴과의 평화를 주장한다.
  • 나지 아디구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지막 메가 두크이자, 콘스탄티노스가 바티칸과 제노바의 도움을 구하려는 의도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대공 노타라스 역을 맡았다.
  • 에르도안 아이데미르는 헝가리 출신 기술자 오르반 역을 맡았다. 오르반은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 공격에 사용된 오스만 제국을 위한 대구경 포를 설계한다.
  • 일케르 쿠르트는 6대 오스만 술탄이자 메흐메트 2세의 아버지 무라드 2세 역을 맡았다.
  • 세다트 메르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을 열렬히 옹호했던 오스만 군 지휘관 자간 파샤 역을 맡았다.
  • 라이프 히크메트 참은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악셰메세딘 역을 맡았다.
  • 남크 케말 이이이투르크는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물라 휘스레프 역을 맡았다.
  • 외메르 아스는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물라 귈라니 역을 맡았다.
  • 무스타파 아틸라 쿤트는 오스만 군 지휘관이자 재상 샤하베틴 파샤 역을 맡았다.
  • 외잔 알리세르는 오스만 군 지휘관이자 재상 사루자 파샤 역을 맡았다.
  • 무라트 세잘은 오스만 군 지휘관 이사 파샤 역을 맡았다.
  • 파이크 악소이는 오스만 군 지휘관 카라자 파샤 역을 맡았다.
  • 후세인 산투르는 오스만 제독 쉴레이만 파샤 역을 맡았다.
  • 알리 르자 소이단은 익명의 바티칸 교황 (당시 교황은 교황 니콜라오 5세) 역을 맡았다.
  • 알리 에르신 예나르는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제노바 화물선에 대한 공격 이후 주스티니아니에게 제노바 군대를 지휘하라고 명령하는 익명의 제노바 도제 (당시 도제는 피에트로 디 캄포프레고소) 역을 맡았다.
  • 이제트 치브릴은 비잔틴에 바티칸의 지원을 제공하는 추기경 이시도르 역을 맡았다.
  • 아드난 퀴르크취는 동방 정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통합하려는 황제의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는 정교회 신학자 겐나디우스 스콜라리우스 역을 맡았다.
  • 샤히카 콜데미르는 메흐메트의 아내이자 왕자 바예지드의 어머니 귈바하르 하툰 역을 맡았다.
  • 에디프 튀페크치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망명 중인 오스만 왕위 찬탈자 왕자 오르한 역을 맡았다.
  • 아슬란 이즈미를리는 콘스탄티노스 11세에 의해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선동된 카라만 왕조의 베이 카라만오을루 이브라힘 역을 맡았다.
  • 이이치트 엘말르는 메흐메트 2세의 아들 왕자 바예지드 역을 맡았다.
  • 오우즈 옥타이는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이자 메흐메트의 선조 오스만 1세 역을 맡았다.
  • 툰자이 겐츠칼란은 무함마드의 사하바 중 한 명인 아부 아이유브 알-안사리 역을 맡았다.
  • 일마즈 바바튀르크는 오스만 장군 이스하크 파샤 역을 맡았다.
  • 할리스 바이라크타로을루는 예니체리 지도자 쿠르트추 도안 역을 맡았다.
  • 송굴 카야는 할릴 파샤의 아내 레이디 에미네 역을 맡았다.
  • 릴리 리치는 저녁 식사 테이블 댄서 역을 맡았다.
  • 후세인 외자이는 하산의 스승 대장장이 알리 역을 맡았다.
  • 부민한 데데잔은 오스만 터널 기술자 무스타파 역을 맡았다.
  • 엠라흐 외즈데미르는 오스만 터널 감독 셀림 역을 맡았다.
  • 이이치트 야라르는 오스만 병사 후세인 역을 맡았다.
  • 후세인 보즈데미르는 오르반의 조수 마흐무드 역을 맡았다.

3. 1. 주연


  • 데브림 에빈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려는 오스만 제국의 7대 술탄 메흐메트 2세 역을 맡았다. 메흐메트의 어린 시절은 에제 우슬루가 연기했다.
  • 이브라힘 첼리콜은 메흐메트의 친구이자 멘토, 오스만 기병대 대장 울루바틀리 하산 역을 맡았다. 하산은 여러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으면서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꼭대기에 오스만 깃발을 꽂고 순교한다.
  • 딜레크 세르베스트는 오르반이 콘스탄티노폴리스 노예 시장에서 사들인 양녀이자, 하산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는 에라 역을 맡았다. 에라의 어린 시절은 알군 몰라가 연기했다.
  • 레제프 아크투그는 마지막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 역을 맡았다. 영화에서 그가 죽자 메흐메트는 비잔틴 귀족들에게 기독교 전통에 따라 그를 매장하라고 명령한다.
  • 젱기즈 코슈쿤은 제노바 장군이자 하산에게 죽는 기사 주스티니아니 역을 맡았다.
  • 에르덴 알칸은 무라드 2세와 메흐메트 2세 치하에서 복무하는 오스만 대재상 찬다를르 할릴 파샤 역을 맡았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과 관련된 모든 메흐메트의 계획을 거부하고 비잔틴과의 평화를 주장한다.
  • 나지 아디구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지막 메가 두크이자, 콘스탄티노스가 바티칸과 제노바의 도움을 구하려는 의도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대공 노타라스 역을 맡았다.
  • 에르도안 아이데미르는 헝가리 출신 기술자 오르반 역을 맡았다. 오르반은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 공격에 사용된 오스만 제국을 위한 대구경 포를 설계한다.
  • 일케르 쿠르트는 6대 오스만 술탄이자 메흐메트 2세의 아버지 무라드 2세 역을 맡았다.
  • 세다트 메르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을 열렬히 옹호했던 오스만 군 지휘관 자간 파샤 역을 맡았다.
  • 라이프 히크메트 참은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악셰메세딘 역을 맡았다.
  • 남크 케말 이이이투르크는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물라 휘스레프 역을 맡았다.
  • 외메르 아스는 메흐메트의 튜터 중 한 명인 물라 귈라니 역을 맡았다.
  • 무스타파 아틸라 쿤트는 오스만 군 지휘관이자 재상 샤하베틴 파샤 역을 맡았다.
  • 외잔 알리세르는 오스만 군 지휘관이자 재상 사루자 파샤 역을 맡았다.
  • 무라트 세잘은 오스만 군 지휘관 이사 파샤 역을 맡았다.
  • 파이크 악소이는 오스만 군 지휘관 카라자 파샤 역을 맡았다.
  • 후세인 산투르는 오스만 제독 쉴레이만 파샤 역을 맡았다.
  • 알리 르자 소이단은 익명의 바티칸 교황 (당시 교황은 교황 니콜라오 5세) 역을 맡았다.
  • 알리 에르신 예나르는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제노바 화물선에 대한 공격 이후 주스티니아니에게 제노바 군대를 지휘하라고 명령하는 익명의 제노바 도제 (당시 도제는 피에트로 디 캄포프레고소) 역을 맡았다.
  • 이제트 치브릴은 비잔틴에 바티칸의 지원을 제공하는 추기경 이시도르 역을 맡았다.
  • 아드난 퀴르크취는 동방 정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통합하려는 황제의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는 정교회 신학자 겐나디우스 스콜라리우스 역을 맡았다.
  • 샤히카 콜데미르는 메흐메트의 아내이자 왕자 바예지드의 어머니 귈바하르 하툰 역을 맡았다.
  • 에디프 튀페크치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망명 중인 오스만 왕위 찬탈자 왕자 오르한 역을 맡았다.
  • 아슬란 이즈미를리는 콘스탄티노스 11세에 의해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선동된 카라만 왕조의 베이 카라만오을루 이브라힘 역을 맡았다.
  • 이이치트 엘말르는 메흐메트 2세의 아들 왕자 바예지드 역을 맡았다.
  • 오우즈 옥타이는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이자 메흐메트의 선조 오스만 1세 역을 맡았다.
  • 툰자이 겐츠칼란은 무함마드의 사하바 중 한 명인 아부 아이유브 알-안사리 역을 맡았다.
  • 일마즈 바바튀르크는 오스만 장군 이스하크 파샤 역을 맡았다.
  • 할리스 바이라크타로을루는 예니체리 지도자 쿠르트추 도안 역을 맡았다.
  • 송굴 카야는 할릴 파샤의 아내 레이디 에미네 역을 맡았다.
  • 릴리 리치는 저녁 식사 테이블 댄서 역을 맡았다.
  • 후세인 외자이는 하산의 스승 대장장이 알리 역을 맡았다.
  • 부민한 데데잔은 오스만 터널 기술자 무스타파 역을 맡았다.
  • 엠라흐 외즈데미르는 오스만 터널 감독 셀림 역을 맡았다.
  • 이이치트 야라르는 오스만 병사 후세인 역을 맡았다.
  • 후세인 보즈데미르는 오르반의 조수 마흐무드 역을 맡았다.

3. 2. 조연

딜레크 세르베스트는 오르반의 양녀 에라 역을 맡았고, 에라의 어린 시절은 알군 몰라가 연기했다. 에라는 오스만 기병대 대장 울루바틀리 하산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는다. 센기즈 코스쿤은 제노바 장군 기사 주스티니아니 역을 연기했다. 주스티니아니는 하산에게 죽는다.

4. 제작

영화 제작에는 3년이 걸렸으며, 제작비는 800만 달러에서 1,700만 달러 사이로 추정된다.[4][5][6] 터키 언론인 알리 에유보글루는 제작자에게 예산을 문의했으나, 제작자는 언론에 예산을 밝힌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 다른 공동 제작자는 알리 에유보글루에게 400만 표가 영화의 비용을 충당할 것이라고 언급했다.[7] 이 영화는 터키 영화 역사상 가장 제작비가 많이 들어간 영화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8]

영화 예고편 제작에는 1개월 반이 소요되었으며, 60만 달러의 비용이 투입되었다. 예고편은 공개 24시간 만에 150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8] 대규모 전투 장면을 위해 16,000명 이상의 엑스트라가 동원되었다.[9]

5. 개봉 및 반응

''정복자 1453''은 2012년 2월 15일 현지 시각 14시 53분에 터키에서 개봉했다.[10] 같은 해 2월 16일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독일, 네덜란드, 마케도니아, 키르기스스탄,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방글라데시, 대한민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도 개봉되었다.[10] 유니버설 픽처스는 이 영화의 배급권 인수에 관심을 표명했다.[11] 2012년 10월 2일에는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12]

터키에서는 개봉 18일 만에 레제프 이베딕 2를 넘어 역대 최다 관람객을 기록했다. 2012년 5월 13일 기준으로 6,468,777장의 표가 판매되었다.[16]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는 특별 시사회에서 영화를 관람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7]

하지만, 개봉 전부터 그리스에서는 이 영화가 인종차별적이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3] 그리스의 프로토 테마 신문은 이 영화를 "터키의 정복 선전"이라고 칭했다.[14]

6. 역사적 정확성

영화는 오스만 제국군을 민족적으로 터키인 요소만 묘사하여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8] 실제 오스만 제국군은 매우 다양했으며, 발칸 반도의 개종자들뿐만 아니라 기독교 징집병과 술탄의 기독교 및 이슬람 봉신들의 군대도 포함되었다.[18]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를 정복하고, 바르나 전투에서 헝가리를 격파하는 등 일련의 정복 활동을 펼쳤다. 1450년경 동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의 몇 제곱킬로미터로 축소되어 과거의 그림자에 불과했으며, 도시는 빈곤해지고 인구가 감소했다. 1453년에는 1000년 된 테오도시우스 성벽으로 둘러싸인 광대한 들판으로 분리된 일련의 벽으로 둘러싸인 마을로 구성되었다.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는 터키군에 의한 학살을 우려하여 오스만 제국의 항복 제안을 거부했다. 영화는 도시의 최종 함락에서 메흐메트 2세가 병사들에게 허용한 약탈의 날을 생략하고, 메흐메트 2세가 주민들을 살려두었다고 묘사했다.[19]

7. 평가 및 비판

영화는 오스만 제국군을 묘사하면서 민족적으로 터키인 요소만 부각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실제 오스만 제국군은 매우 다양했으며, 발칸 반도의 개종자들뿐만 아니라 기독교 징집병과 술탄의 기독교 및 이슬람 봉신들의 군대도 포함되었다.[18]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를 정복하고, 바르나 전투에서 헝가리를 격파하는 등 이전 10년 동안 일련의 정복 활동을 벌였다. 1450년경 동로마 제국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의 몇 제곱킬로미터로 축소되어 과거의 그림자에 불과했다. 도시는 빈곤해지고 인구가 감소했으며, 1453년에는 1000년 된 테오도시우스 성벽으로 둘러싸인 광대한 들판으로 분리된 일련의 벽으로 둘러싸인 마을로 구성되었다.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는 터키군에 의한 학살을 우려하여 오스만 제국의 항복 제안을 거부했다. 또한, 영화는 도시의 최종 함락에서 메흐메트 2세가 병사들에게 허용한 약탈을 생략하고, 주민들을 살려두었다고 묘사하여 역사 왜곡 논란이 있다.[19]

참조

[1] 웹사이트 Fetih 1453'ün gerçek bütçesi belli oldu https://www.ensonhab[...]
[2] 웹사이트 Box Office Türkiye http://boxofficeturk[...]
[3] 웹사이트 Fetih 1453 Official Web Site http://www.1453fetih[...] 1453fetih.com 2012-07-31
[4] 웹사이트 Conquest 1453 http://www.imdb.com/[...]
[5] 뉴스 Turkey's Blockbuster Replays Istanbul Conquest, Stoking Controversy – Emerging Europe Real Time – WSJ https://blogs.wsj.co[...] Blogs.wsj.com 2012-02-16
[6] 웹사이트 Fetih 1453'ün gerçek maliyeti 17 milyon dolar değilmiş http://www.habervitr[...] Habervitrini.com 2012-07-31
[7] 웹사이트 'FETiH 1453' ZARAR ETTiRMEDi / Cadde / Milliyet İnternet / Türkiye, anket, Paris, medya, promosyon, Show TV, Hürriyet, Amerika, Mülkiye, kâr, film, saat, Kitap, dolar, fetih 1453 http://cadde.milliye[...] Cadde.milliyet.com.tr 2009-11-15
[8] 웹사이트 CINEMA-TV – 'Fetih 1453' movie trailer stirs up Greece http://www.hurriyetd[...] Hurriyetdailynews.com
[9] 웹사이트 Başbakan beğendi – Hürriyet Magazin Hattı http://www.hurriyet.[...] Hurriyet.com.tr 2012-02-17
[10] 뉴스 Turkish film in the Star Cineplex (Bengali) http://archive.proth[...] 2013-03-09
[11] 웹사이트 Gündem Fetih 1453 filmine Hollywood yolu göründü ZAMAN http://www.zaman.com[...] Zaman.com.tr 2012-02-13
[12] 웹사이트 Battle of Empires Blu-ray https://www.blu-ray.[...]
[13] 간행물 Greeks express outrage at 'Fetih 1453' film http://www.todayszam[...] Today's Zaman 2012-01-12
[14] 간행물 Turkish Film "Fetih 1453" Causes Outrage Among Greeks http://greece.greekr[...] Greek Reporter 2012-01-13
[15] 웹사이트 BOX OFFICE TÜRKİYE – 17-19 Şubat 2012 http://boxofficeturk[...] Boxofficeturkiye.com
[16] 웹사이트 BOX OFFICE TÜRKİYE – 11-13 Mayıs 2012 http://boxofficeturk[...] Boxofficeturkiye.com
[17] 웹사이트 Fetih 1453 ü herkesten önce Başbakan Erdoğan izledi son dakika haberleri http://www.gazete5.c[...] Gazete5.com 2011-07-28
[18] 뉴스 Turkish delight in epic film Fetih 1453 https://www.theguard[...] 2012-04-12
[19] 서적 Ways of the World St. Mart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