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정화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시아버지 김가진을 따라 상하이로 망명하여 독립운동 자금 모금, 임시정부 요인 및 가족 지원 등 10여 년간 활동했다. 한국혁명여성동맹 간부, 3·1 유치원 교사, 대한애국부인회 훈련부장 등을 역임하며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 활약했다. 광복 후 귀국하여 회고록 《녹두꽃》을 남겼고, 198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1991년 사망 - 달머스 라수라라
달머스 라수라라는 흑인 착취 영화와 TV 미니시리즈 《뿌리》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에도 출연했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991년 사망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1900년 출생 - 살로테 투포우 3세
살로테 투포우 3세는 1900년 통가에서 태어나 1918년 즉위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통가를 이끌었고, 문화 보존과 학술 연구를 지원하다 1965년 사망한 통가의 여왕이다. - 1900년 출생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정정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00년 8월 3일 |
| 출생지 | 서울, 대한제국 |
| 사망일 | 1991년 11월 2일 |
| 배우자 | 김의한 |
| 상훈 | 건국훈장 (1982년) |
| 활동 | |
| 주요 활동 | 독립운동 |
| 관련 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애국부인회 |
| 기타 | |
| 관련 정보 | 여성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 조카 안미생 과 함께 활동 |
2. 생애
한성부에서 태어나 1910년 어린 나이에 김의한과 결혼했다. 남편은 구한말 고위 관료인 김가진의 아들이었다.[8][9][10][11]
1919년 시아버지 김가진이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망명하자, '연로하신 시아버지를 모셔야한다'는 일념으로 1920년 남편을 따라 상하이로 갔다.[8][9][10][11] 정정화는 감시가 덜한 여성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는 역할을 맡아, 중국과 국내를 오가며 10여 년간 활동했다. 또한, 27년간의 중국 망명 생활 동안 이동녕,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 그 가족들을 돌보며 임시정부의 안살림을 도맡았다.[8][9][10][11]
1940년 한국혁명여성동맹을 조직하여 간부를 맡았고, 충칭의 3·1 유치원 교사로도 근무했다. 1943년 대한애국부인회 훈련부장이 되는 등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8][9][10][11]
광복 후, 미군정의 홀대 속에 1946년 개인 자격으로 귀국해야 했고, 오랫동안 임시정부에서 함께 활동했던 김구가 곧 암살되었다. 한국 전쟁 중 김의한은 안재홍, 조소앙 등과 함께 납북되었으며, 남한에 남은 정정화는 부역죄로 투옥되는 등 고초를 치렀다.[8][9][10][11]
회고록 《녹두꽃》(1987, 개정판 《장강일기》[4])을 남겼다. 이 회고록을 토대로 연극 《장강일기》[5]와 《치마》[6], 《아! 정정화》[7] 등 정정화의 일생을 소재로 한 연극이 공연되었다.[8][9][10][11]
198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4]
2. 1. 대한민국 임시정부 합류 이전
2. 2.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9년 시아버지 김가진이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망명하자, 정정화는 "연로하신 시아버지를 모셔야 한다"는 일념으로 1920년 남편 김의한과 함께 상하이로 망명했다. 여성이라 감시가 덜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정정화는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고 연락하는 역할을 맡아 10여 년간 중국과 국내를 오가며 활동했다.또한, 정정화는 27년간의 중국 망명 생활 동안 자신의 가족뿐만 아니라 이동녕,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 그 가족들을 돌보았다. 임시정부의 안살림을 도맡아 요인들이 독립운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뒷받침했다.
1940년에는 한국혁명여성동맹을 조직하여 간부로 활동했고, 충칭의 3·1 유치원 교사로도 근무했다. 1943년 대한애국부인회 훈련부장을 맡는 등,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서 활약했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광복 후 미군정 중에 1946년에 개인 자격으로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 동지 김구가 암살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전쟁 중에 남편 김의한이 안재홍, 조소앙 등과 함께 납북되었고, 한국에 남은 정정화는 부역죄로 투옥되는 등 고난을 겪었다. 1982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3. 저서 및 관련 작품
4. 평가 및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정정화
https://terms.naver.[...]
2019-04-26
[2]
뉴스
"한국의 잔다르크 '정정화'는 누구일까?"
http://www.ohmynews.[...]
2014-08-05
[3]
웹사이트
정정화(鄭靖和)
http://encykorea.aks[...]
2022-08-22
[4]
서적
장강일기
학민사
1998-08-15
[5]
웹사이트
장강일기
http://www.galaplann[...]
[6]
뉴스
내 작품을 말한다 - 연극 '치마' 여장부 정정화 일대기 그려
http://www.dongailbo[...]
동아일보
2001-08-30
[7]
뉴스
내 인생의 전환점/ 연극배우 원영애씨
http://www.hani.co.k[...]
한겨레21
1998-08-13
[8]
서적
장강일기
학민사
1998-08-15
[9]
웹사이트
장강일기
http://www.galaplann[...]
[10]
뉴스
내 작품을 말한다 - 연극 '치마' 여장부 정정화 일대기 그려
http://www.dongailbo[...]
동아일보
2001-08-30
[11]
뉴스
내 인생의 전환점/ 연극배우 원영애씨
http://www.hani.co.k[...]
한겨레21
1998-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