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희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희택은 일제강점기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여 법조인으로 활동하다가, 1961년 변호사로 개업했다. 이후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 민주정의당 윤리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방송위원회 위원장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방송위원회 위원장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고령군 출신 - 최재욱 (정치인)
    최재욱은 경향신문 사장,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환경부 장관, 국회의원,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고령군 출신 - 김병준 (1954년)
    김병준은 영남대 정치학과 졸업 후 한국외대와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민대 행정정책학부 교수를 거쳐 노무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과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박근혜 정부 국무총리 후보,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윤석열 정부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으로 활동 중인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이다.
정희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희택
한문鄭喜澤
출생일1919년 4월 8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북 고령군
사망일2000년 2월 10일
학력일본 중앙대학 법학부
직업국회의원
배우자김영례
자녀태진(태가통상 감사)
태우(ABC협회 잡지부장)
태익(SBS 라디오PD)
관련 정보
디지털고령문화대전정희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디지털고령문화대전정남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디지털고령문화대전정춘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엠파스 인물정보정희택
중앙일보 기사정희택 전 감사원장 별세

2. 학력


  • 1942년 :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미국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법을 수학했다.

3. 경력

3. 1. 법조 경력

정희택은 1942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다.[1][4][5] 1946년부터 사법부 감찰관,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및 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 및 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 및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를 역임했다. 또한 중앙수사국장, 연합정보위원회 의장을 지냈다.[1][4][5] 1961년 변호사로 개업했다.[1][4][5]

3. 2. 정치 및 기타 경력

정희택은 1942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고, 1946년 사법부 감찰관을 시작으로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및 부장검사, 대구 및 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 및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등을 역임하였다.[1][4][5] 중앙수사국장과 연합정보위원회 의장을 지냈으며, 1961년 변호사로 개업하였다.[1][4][5] 1972년부터 1982년까지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를 맡았다.[1]

1972년부터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을 역임하였고, 1980년에는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았다.[1][4][5] 같은 해 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81년에는 민주정의당 윤리위원장 및 공명선거추진위원장을 역임하였다.[1][4][5] 또한 같은 해 제11대 국회의원과 한뉴질랜드의원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2년부터 1984년까지 감사원장을,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방송위원회 위원장을, 1986년부터 1993년까지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1][4][5]

4. 생애 및 활동

경상북도(日本統治時代の慶尚北道) 고령군 고령면 출신이다. 1942년 중앙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영어에서 국제법을 수학했으며, 일본 고등문관시험(高等文官試験) 사법과에 합격했다.[1][4][5] 1946년 이후 사법부 감찰관, 서울지방검찰청(ソウル地方検察庁) 검사·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大邱地方検察庁) 차장검사, 부산지방검찰청(釜山地方検察庁)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大邱高等検察庁) 차장검사, 서울고등검찰청(ソウル高等検察庁) 차장검사, 대한민국 대검찰청(大韓民国大検察庁) 검사, 중앙수사국장, 연합정보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4][5]

1961년 변호사 개업을 하였다.[1][4][5] 1972년 ~ 1982년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1][4][5],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1972년~1980년)[1][4][5], 1980년 헌법개정심의위회 위원[1],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1][4][5], 민주정의당(民主正義党) 창당 발기인[1][4][5], 1981년 민주정의당 윤리위원장, 공명선거추진위원장[1][4]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1982년까지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1][4][5] 같은 해 한뉴질랜드의원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82년 ~ 1984년 감사원(監査院)장[1][4][5], 1984년 방송위원회(放送委員会) 위원장(1984년~1986년)[1][4][5],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1986년~1993년)을 역임했다.[1][4][5] 2000년 2월 10일 지병으로 삼성서울병원(サムスンソウル病院)에서 사망했다. 향년 82세.[5]

4. 1. 초기 생애 및 법조 활동 (1919~1961)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출신으로, 1942년 중앙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법을 수학했다.[1][4][5] 같은 해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다.[1][4][5] 1946년 사법부 감찰관을 시작으로,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및 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 및 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 및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를 역임했다.[1][4][5] 대한민국 대검찰청 검사, 중앙수사국장, 연합정보위원회 의장 등을 거쳐 1961년 변호사로 개업했다.[1][4][5]

4. 2. 5.16 군사정변 이후의 활동 (1961~1980)

1961년 변호사로 개업하였다.[1][4][5] 1972년부터 1982년까지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를 역임했다.[1][4][5]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1972년~1980년)을 지냈다.[1][4][5] 1980년 헌법개정심의위회 위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았다.[1][4][5] 같은 해 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다.[1][4][5]

4. 3. 신군부 집권과 제5공화국 참여 (1980~1988)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출신이다. 1942년 중앙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법을 수학했으며,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다.[1][4][5] 1980년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1],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1][4][5]을 역임했다. 1980년 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고,[1][4][5] 1981년 민주정의당 윤리위원장, 공명선거추진위원장을 맡았다.[1][4] 1981년부터 1982년까지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1][4][5] 같은 해 한뉴질랜드의원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4. 4. 감사원장 및 이후 활동 (1982~2000)

정희택은 1982년부터 1984년까지 감사원장을 역임했다.[1][4][5] 감사원장 퇴임 후 1984년에는 방송위원회 위원장을, 1986년부터 1993년까지는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4][5] 2000년 2월 10일 지병으로 삼성서울병원에서 사망했으며, 향년 82세였다.[5]

5. 평가

6.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역대 선거 결과
1981년총선국회의원민주정의당5,776,624표35.6%전국구 7번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정희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http://goryeong.gran[...] 2024-03-10
[2] 웹사이트 정남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http://goryeong.gran[...] 2024-03-10
[3] 웹사이트 정춘택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http://goryeong.gran[...] 2024-03-10
[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4-03-10
[5] 웹사이트 정희택 전 감사원장 별세 https://www.busan.co[...] 2000-02-11
[6] 뉴스 정희택 전 감사원장 별세 http://isplus.live.j[...] 중앙일보 2011-02-03
[7] 웹인용 정희택 http://people.empas.[...] 엠파스 인물정보 2008-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