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령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령군은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서쪽에는 문수산과 미숭산이 솟아 있고 낙동강이 동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대가야국의 수도였으며, 42년부터 562년까지 대가야가 존속했다. 현재는 1읍 7면으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인구는 34,655명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채소, 담배 등을 생산하며,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지나고 고령 나들목과 동고령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대가야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과 대가가야박물관, 지산동 고분군 등의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함평군, 서초구, 고창군 등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령군의 행정 구역 - 다산면
    다산면은 경상북도 고령군의 면으로, 과거 성주군에 속했으나 1906년 고령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다산면과 벌지면의 통합으로 현재에 이르며, 평리리를 포함한 10개의 법정리와 다산주공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고령군의 행정 구역 - 대가야읍
    대가야읍은 경상북도 고령군에 위치한 읍으로, 1914년 고령면으로 설치되어 201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3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고령군 - 대가야체험축제
  • 고령군 - 대가야박물관
    대가야박물관은 대가야 유물을 전시하며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역사관, 우륵박물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1980년에 대가야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고령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고령군
한글 표기고령군
한자 표기高靈郡
로마자 표기Goryeong-gun
방언경상도
일반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대한민국 내 위치
행정 구역
종류
하위 행정 구역1읍 7면
인구 통계
2024년 9월 기준30,200명
인구 밀도91.2명/km²
지리
면적383.7km²
상징
고령군의 휘장
고령군의 기
군목오동나무
군화철쭉
군조왜가리
행정
군수이남철 (국민의힘)
국회의원정희용 (국민의힘,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군청 소재지대가야읍 왕릉로 55 (지산리 190)
웹사이트고령군청
기타 정보
주산 남쪽 기슭의 대가야왕릉전시관. 오른쪽은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지리

경상북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대구광역시, 서쪽과 남쪽은 경상남도 합천군, 북쪽은 경상북도 성주군과 접한다.[1] 소백산맥의 여맥이 뻗쳐 서쪽에는 문수산, 미숭산이 솟아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낙동강 본류는 군의 동쪽 경계를 곡류한다. 대가천, 소가천과 북류하는 안림천이 중앙 부근에서 합쳐지고, 남류하는 회천이 낙동강에 합류한다. 낙동강 서안과 지류 유역에 좁은 평야가 발달했고, 과거 수운이 좋았다. 고령 박씨 등의 성씨들이 고령군을 관향으로 한다.[1]

2. 1. 지질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에 새겨진 고령 장기리 암각화


동쪽 낙동강으로부터 고령까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경상 누층군이 띠 모양으로 발달하고 그 서쪽은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3. 역사

42년 대가야국이 건국되었다. 대가야는 시조 내진주지부터 도설지왕까지 16대 520년 동안 이어졌다. 가야 시대 전기의 맹주는 김해금관가야였으나, 5세기 이후에는 대가야가 가야 연맹의 맹주가 되었다. 562년 대가야는 신라에 멸망하여 대가야군(大伽倻郡)이 되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강주(康州) 고양군(高陽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에는 경산부(京山府)에 합병되었다가 영천현(靈川縣)으로 개편되었으며, 고려 명종 때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 1394년(조선 태조 3년) 고양현(高陽縣)·영천현(靈川縣)의 첫 글자를 따서 고령현(高靈縣)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조선 태종 때 현감이 설치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고령군이 되었다가,[15]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고령군으로 개편되었다.[16] 1906년 성주군 일부(인곡·운라·흑수·도장·소야·가현·덕곡·노다·다산 이상 9면)와 현풍군 일부(진촌·답곡·왕지 이상 3면)를 편입하였다. (26면)

1912년 10월 15일 서부면을 현내면에 합면하는 등 , 을 합병하였고,[17][18] 1914년 4월 1일 읍내면 등을 고령면으로 합면하는 등의 개편이 있었다.[19][20] 1934년 4월 1일 쌍동면(雙洞面)과 임천면(林泉面)이 쌍림면으로 합면하였다.[21]

1950년에는 한국 전쟁 중에 일부 지역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가 다시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79년 5월 1일 고령면이 고령읍으로 승격했고,[22] 2015년 4월 2일 고령읍이 대가야읍(大伽倻邑)으로 읍 이름을 바꾸었다.[23][24]

4. 행정 구역

고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51개리 620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고령군의 면적은 384km2이며, 인구는 16,132세대 34,655명이다. 1965년에는 인구가 78,288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계속 인구가 감소해 1970년에는 67,537명, 1980년에는 48,961명으로 5만 명 선이 무너졌고, 1990년에는 35,298명으로 4만 명 선마저 무너졌다.[25]

고령군 지도


고령군은 1개의 읍과 7개의 면으로 나뉜다.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 (km2)
대가야읍大伽倻邑4,44710,59347.37km2
덕곡면德谷面7481,53738.57km2
운수면雲水面1,0682,21245.84km2
성산면星山面1,2843,02248.45km2
다산면茶山面3,5459,42345.87km2
개진면開津面1,0862,41939.5km2
우곡면牛谷面9332,07447.04km2
쌍림면雙林面1,9384,39971.45km2
합계15,04935,679384.09km2



고령군은 1읍, 7면, 147개 리로 구성된다.

읍·면법정리
대가야읍쾌빈리, 고아리, 헌문리, 장기리, 연조리, 지산리, 본관리, 중화리, 저전리, 내상리, 신리, 외리, 내곡리
덕곡면가륜리, 원송리, 노리, 백리, 예리, 옥계리, 용흥리, 본리리, 반성리, 후암리
운수면봉평리, 대평리, 팔산리, 운산리, 월산리, 화암리, 신간리, 법리, 유
성산면어곡리, 득성리, 삼대리, 오곡리, 강정리, 무계리, 박곡리, 대흥리, 용소리, 상룡리, 고음리, 기족리, 기산리, 사포리
개진면양전리, 반운리, 신안리, 인안리, 개포리, 오사리, 구곡리, 옥산리, 부리, 성리, 직리
다산면평리리, 호촌리, 곽촌리, 상곡리, 좌학리, 월성리, 노곡리, 송곡리, 나정리, 벌지리
우곡면도진리, 예곡리, 답곡리, 대곡리, 사전리, 사촌리, 야정리, 봉산리, 객기리, 월오리, 포리, 연리, 속리
쌍림면귀원리, 송림리, 산당리, 산주리, 백산리, 하차리, 신촌리, 신곡리, 매촌리, 합가리, 평지리, 안화리, 안림리, 고곡리, 월막리, 용리


5. 인구

고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151개리 620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고령군의 면적은 384km2이며, 인구는 16,132세대 34,655명이다. 1965년에는 인구가 78,288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계속 인구가 감소해 1970년에는 67,537명, 1980년에는 48,961명으로 5만 명 선이 무너졌고, 1990년에는 35,298명으로 4만 명 선마저 무너졌다.[25]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대가야읍大伽倻邑4,44710,59347.37km2
덕곡면德谷面7481,53738.57km2
운수면雲水面1,0682,21245.84km2
성산면星山面1,2843,02248.45km2
다산면茶山面3,5459,42345.87km2
개진면開津面1,0862,41939.5km2
우곡면牛谷面9332,07447.04km2
쌍림면雙林面1,9384,39971.45km2
합계15,04935,679384.09km2


  • 고령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26]


연도총인구
1960년72,167명
1966년76,093명
1970년66,265명
1975년63,005명
1980년48,953명
1985년41,188명
1990년35,280명
1995년31,664명
2000년35,517명
2005년30,895명
2010년31,817명
2015년34,655명
2017년33,909명


6. 산업

농업 인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매년 줄어들고 있다. 대가천·소가천·안림천 등을 끼고 있는 연안평야는 관개 수원이 좋아 매년 풍작지대를 이루며, 낙동강 연안은 상습 수해 지구였으나 호안 공사를 실시하고 양·배수장을 설치함으로써 미곡 증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주곡 생산 외에 채소·담배·양잠을 한다. 소채류는 밭이 논으로 바뀌고 있어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대구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성하다. 축산에 있어서는 초지가 많고 비교적 교통이 편리하여, 달령지구(達靈地區)에서는 낙농사업을 행한다. 특히 수백 년의 전통을 가진 약초 재배가 유명한데 여기서 나는 30여 종의 약초는 대구로 보내진다. 광공업은 부진하여 ·이 약간 생산될 따름이다.[1]

주요 농산물은 ·맥류·두류·채소류·담배·과실·누에고치 및 천궁·황기·소희향·향부자 등의 약초이고, 육우의 사육과 낙농업도 성하다. 공업단지로서 쌍림·개진공업단지, 다산주물단지 등의 각 공장에서 섬유·기계·비금속·화학·식품·주물 등을 생산한다.[1] 특산물로는 돼지고기, 다산 향부자, 감자, 참외, 메론, 수박, 쌀, 딸기, 토마토, 도자기, 기와 등이 유명하다.[1]

7. 교통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군의 중앙을 지나고 있으며, 고령 나들목동고령 나들목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중부내륙고속도로는 성산면 고령 분기점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교차하나 고령군 관내에는 나들목이 없어 광주대구고속도로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국도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거창, 합천군으로 통한다. 기타 도로망은 남북으로 인접 군들과 연결되고 있다.

철도 교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천역진주역을 잇는 남부내륙선, 광주역대구역을 있는 대구-광주선이 국토교통부의 제2차 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현재 계획에 따르면, 남부내륙선은 고령군을 통과하지만 정차하지 않고 대신 성주역을 고령군에서 접근할 수 있는 성주군 남부에 건설하며 대구광주선에 고령역을 신설할 계획이다.

군에는 두 곳의 농어촌버스 업체가 존재하며, 이들이 고령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고령시외버스터미널이 읍내에 있다. 한편, 다산면의 경우 달성군 화원읍, 성산면, 논공읍과의 경계에 있어서 사실상 대구 생활권이다.

8. 교육

고령군에는 고등학교 2개, 중학교 7개, 초등학교 19개가 있다. 고령군 내 사립대학교는 없다.[27]



학교명비고
고령중학교
고령중학교 개진분교장분교
다산중학교
성산중학교
쌍림중학교
우곡중학교



학교명비고
고령초등학교
덕곡초등학교
운수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박곡초등학교
다산초등학교
개진초등학교
우곡초등학교
쌍림초등학교


9. 문화

가야대학교와 대가가야박물관이 있다.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양전동 암각화가 있으며, 지산동 고분군은 1977년에 발굴되었다. 고위동 벽화 고분 등 다수의 고분군이 존재한다.

고령군의 학교 현황
구분학교 수분교 수
초등학교19개교4개교
중학교7개교1개교
고등학교2개교해당 없음


10. 자매 도시

고령군은 대한민국 내 함평군,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창군과, 국외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쯔보시 린쯔구와 자매결연을 맺었다.[28]

또한,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크레모나시, 미국 메릴랜드주 몽고메리카운티,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마안산시와 우호 교류 중이다.[28]

국가도시
대한민국함평군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서초구
대한민국고창군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산둥성 쯔보시 린쯔구


11. 미디어

KBS 2TV 배틀트립에서 고령군이 소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 문서 勅令第98号(1895年旧暦5月26日)
[4] 문서 勅令第36号(1896年8月4日)
[5] 문서 道令第2号(1912年10月15日)
[6] 문서 道告示第15号(1912年10月15일)
[7] 문서 朝鮮総督府令第111号(1913年12月29日)
[8] 문서 道令第2号(1914年3月16日)
[9] 문서 道令第83号(1933年10月6日)
[10] 문서 大統領令第9409号(1979年4月7日)
[11] 문서 高霊郡条例第2065号、2015年3月5日
[12] 뉴스 경북 고령군 '고령읍', 2일부터 '대가야읍'으로 변경 http://news1.kr/arti[...] 뉴스1 2015-04-01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문서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895년 음력 5월 26일)
[16] 문서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년 8월 4일)
[17] 문서 도령 제2호 (1912년 10월 15일)
[18] 문서 도고시 제15호 (1912년 10월 15일) (16면)
[19]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20] 문서 도령 제2호 (1914년 3월 16일) (9면)
[21] 문서 도령 제83호 (1933년 10월 6일)
[22] 문서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23] 문서 고령군조례 제2065호, 2015년 3월 5일
[24] 뉴스 경북 고령군 '고령읍', 2일부터 '대가야읍'으로 변경 http://news1.kr/arti[...] 뉴스1 2015-04-01
[25] 웹사이트 고령군의 일반현황 http://www.goryeong.[...]
[26] 간행물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27] 문서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28] 웹인용 자매결연도시 http://www.goryeong.[...] 2023-08-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