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슈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晋中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이 지역은 주나라 시대 면상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정양, 평창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개자추와 관련된 한식과 청명절의 기원으로 유명하며, 1992년 현급시로 승격되었다. 제슈시는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5개의 가도, 7개의 진, 3개의 향으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다. G5 베이징-쿤밍 고속도로와 국도 108이 지나가며, 祆神루, 개휴 후토묘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현급시 - 융지시
    융지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윈청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94년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온대 기후에 속하며 농업, 경공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산시성 (산서성)의 현급시 - 가오핑시
    가오핑시는 전국시대 조나라의 현씨읍에서 유래하여 장평 전투의 격전지였으며, 전한 시대 현씨현을 거쳐 북위 시대 고평현으로 개칭, 1993년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현재 장평 전투 기념관이 위치한 도시이다.
  • 진중시의 행정 구역 - 핑야오현
    핑야오현은 중국 산시 성에 위치하며 약 기원전 800년 역사의 핑야오 고대 도시가 있는 곳으로, 청나라 말기 중국 금융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객이 많이 찾는 농업 중심의 지역이다.
  • 진중시의 행정 구역 - 링스현
    링스현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를 가지며 6개의 진과 6개의 향을 관할하고, 수나라 때 설치되었다가 폐지 후 재설치되었으며 왕가대원 등 역사적인 건축물이 위치해 있다.
제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介休市 (Jièxiū Shì)
다른 이름Kiehsiu
공식 이름해당 없음
지위현급시
로마자 표기Jièxiūshi
별칭키에시우
옛 이름미앤상 (Miánshǎng, Downy Heights)
핑창 (Píngchāng, Peaceful-&-Prosperous)
介州 (Jièzhōu, Jie Prefecture)
어원제자추이의 영원한 안식 도시
Xianshenlou
Xianshenlou
진중시의 介休市
진중시 내의 介休市 위치
일반 정보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지급시진중시
면적743.7 km²
도시 면적42.00 km²
고도756 m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032000
지역 번호0354
행정 구역 코드140781
인구 통계
총 인구 (2017년)437,000명
도시 인구 (2017년)222,100명
총 인구 (2020년)43만 명
정치 및 행정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문)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중문)

2. 지명

면산 주변 지역은 주나라 시대에 면상으로 알려졌다. 진 시대에는 이 지역이 정양으로, 개휴의 정착지는 평창으로 알려졌다. 북위(4~5세기) 시대에는 둘 다 개휴군으로 알려졌다. 당나라 시대에는 서기 618년부터 627년까지 개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역사

제슈 지역의 역사는 춘추 시대 개자추의 설화와 관련이 깊으며, 이는 한식과 청명절 풍습의 유래와도 연결된다.[2][3][4][5][6][7][8][9][13][14][15]

전국 시대 동안 이 지역은 조나라의 영토였으나 진나라에 의해 정복되었다. 한나라 시대에는 상군 소속의 정양현( 定陽縣|딩양현zho )이었다. 서진 시대에 '''개휴현'''( 介休縣|제슈현zho )이 처음 설치되었으나, 북위 시대인 484년경 현의 중심지가 현재 위치인 '''평창'''(平昌)으로 옮겨지고 군(郡)의 소재지가 되었다. 북주 시대에 개휴현이 폐지되어 평창현에 통합되었고, 수나라 시대인 598년에 평창현이 다시 '''개휴현'''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초기에는 잠시 군(郡)과 주(州)로 변경되기도 했다.

1992년에 현에서 현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제슈 시'''(介休市)가 되었다.

3. 1. 개자추와 한식, 청명절

면산은 기원전 636년경 진나라 문공의 신하였던 개자추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문공이 지정했다고 전해진다. 초기 기록에 따르면, 개자추는 리지의 난으로 19년간 망명 생활을 하던 문공을 충실히 따랐으나, 문공이 진나라 군주로 즉위한 후에는 관직을 바라지 않고 산으로 들어가 은둔을 선택했다.[2][3][4][5][6] 시간이 흐르면서 개자추는 도교의 신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7] 후대의 전설에는 개자추가 굶주린 문공을 위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국을 끓여 바쳤다는 이야기가 덧붙여졌다. 하지만 문공이 신하들의 조언에 따라 개자추를 산에서 나오게 하려고 산불을 질렀을 때, 개자추는 결국 불에 타 죽고 말았다.[8] 문공은 개자추가 효심 때문에라도 자존심을 굽히고 나올 것이라 생각했지만, 며칠 뒤 개자추 모자의 시신은 버드나무 아래에서 발견되었다.[8] 이후 개자추를 기리는 사당이 세워졌고, 한나라 시대 산시성 사람들은 겨울철에 한식을 지키며 개자추의 영혼을 위로하고자 했다.[9] 이러한 풍습은 여러 차례의 금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어졌으며,[9][10][11][12] 결국 시기가 봄으로 옮겨지면서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가 오늘날의 청명절로 발전하였다.[13][14][15]

3. 2. 시대별 역사

면산(綿山) 주변 지역은 주나라 시대에 '''면상'''(綿上)으로 알려졌다. 진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이 '''정양'''(定陽)으로, 개휴의 정착지는 '''평창'''(平昌)으로 불렸다. 북위 시대(4~5세기)에는 이 두 지역 모두 '''개휴군'''(介休郡)으로 알려졌다. 당나라 시대에는 서기 618년부터 627년까지 잠시 '''개주'''(介州)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면상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헌공의 신하였던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지정되었다고 한다.[2][3][4][5][6] 초기 역사에 따르면 개자추는 19년 동안 주나라 주변을 유배 생활하던 헌공을 충실히 따랐지만, 헌공이 진나라의 군주로 즉위했을 때 개자추는 공을 내세우지 않고 은둔 생활을 택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도교의 신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7] 후대의 전설에 따르면, 개자추는 헌공이 굶주렸을 때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수프를 만들어 바쳤다고 한다. 그러나 헌공이 진나라 신하들의 조언에 따라 개자추를 산에서 나오게 하려고 산불을 놓았을 때, 그는 결국 불에 타 죽었다.[8] 대신 며칠 후 그들의 시신은 버드나무 아래에서 발견되었다.[8] 이후 개자추를 기리는 사찰이 세워졌고, 한나라 시대 산시성 사람들은 겨울철에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차가운 음식을 먹는 한식 풍습을 통해 그의 영혼을 달랬다고 한다. 이러한 풍습은 여러 차례 금지령에도 불구하고[9][10][11][12] 계속 이어졌고, 결국 시기가 봄으로 옮겨지면서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가 오늘날의 청명절로 발전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3][14][15]

전국 시대 동안 개휴 지역은 조나라의 영토였으나 진나라에 의해 정복되었다. 한나라 시대에는 상군의 '''정양현'''(定陽縣)에 속했다. '''개휴현'''(介休縣)은 서진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지만, 당시 현의 중심지는 현재 위치의 남동쪽에 있었다. 북위는 서기 484년경 현의 중심지를 현재 위치(당시 평창)로 옮기고 이곳을 군의 소재지로 삼았다. 북주 시대에는 개휴현이 폐지되어 북위 때 설치되었던 '''핑창현'''(平昌縣)에 통합되었다. 이후 수나라 시대인 598년 (개황 18년)에 핑창현은 다시 '''개휴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나라 초기인 617년에는 군(郡)으로 잠시 복원되었다가 다음 해인 618년에는 주(州)로 변경되기도 했다.

1992년에 현에서 현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제슈 시'''(介休市)가 되었다.

4. 지리

(내용 없음)

4. 1. 기후

제슈시는 쾨펜 기후 구분상 반건조 기후(BSk)에 속한다. 봄은 건조하고 황사가 잦으며, 초여름에는 폭염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름은 대체로 따뜻하거나 더우며, 연 강수량의 상당 부분이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겨울은 길고 추우며, 건조하고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 건조한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을 제외한 계절에는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편이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록에 따르면, 월평균 기온은 1월 -4°C에서 7월 24.6°C 사이에 분포하며, 연평균 기온은 11.2°C이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록 기준 월별 평균 일조율은 7월 49%에서 5월 60%까지 다양하며, 이 도시는 연간 2,425시간의 밝은 햇살을 받는다.

제슈시의 기후 (1981−2010년 평균)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평균 최고 기온 (°C)2.6°C7.1°C13.1°C20.5°C25.8°C30°C30.9°C28.6°C24.4°C18.6°C10.7°C4.4°C18.1°C
일평균 기온 (°C)-4°C0.1°C6°C13.2°C18.6°C22.7°C24.6°C22.3°C17.4°C11.2°C3.9°C-1.8°C11.2°C
평균 최저 기온 (°C)-9.3°C-5.6°C-0.1°C5.8°C10.7°C15.2°C18.9°C17°C11.5°C5.1°C-1.6°C-6.8°C5.1°C
평균 강수량 (mm)3.35.312.324.036.445.995.198.867.033.311.73.5436.6
평균 상대 습도 (%)54525048525868757365595459
평균 강수일수 (≥ 0.1 mm)2.23.14.85.66.49.412.511.48.46.33.51.775.3
월평균 일조시간 (시간)175.6167.3189.8227.7259.5240.1217.5214.6195.5194.8175.5166.72424.6
평균 일조율 (%)58555258605549515356575655
출처: 중국 기상청 (강수일수 및 일조시간: 1971–2000)[19][20]



제슈시 (해발 746m)의 기후 (1991–2020년 평균, 극값 1981–20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14°C22.9°C30.2°C36.3°C35.1°C40.6°C38.7°C38.4°C36.8°C29.2°C25.4°C17.7°C40.6°C
평균 최고 기온 (°C)3°C7.5°C14.1°C21.1°C26.3°C30.3°C30.9°C28.8°C24.4°C18.6°C10.9°C4.3°C18.4°C
일평균 기온 (°C)-3.6°C0.3°C6.8°C13.7°C19.2°C23.1°C24.7°C22.6°C17.6°C11.5°C4.2°C-1.8°C11.5°C
평균 최저 기온 (°C)-9.1°C-5.5°C0.3°C6.3°C11.5°C15.8°C19.1°C17.5°C12°C5.5°C-1.1°C-6.7°C5.5°C
역대 최저 기온 (°C)-21°C-22.6°C-10°C-5.7°C-1.3°C4.7°C10.4°C9.1°C-0.5°C-6.5°C-17°C-21.9°C-22.6°C
평균 강수량 (mm)3.46.210.429.231.043.0102.7102.161.835.412.73.3441.2
평균 강수일수 (≥ 0.1 mm)2.43.03.85.96.68.511.410.48.56.53.71.972.6
평균 강설일수3.13.72.10.5000000.12.02.413.9
평균 상대 습도 (%)52504647495770757366605358
월평균 일조시간 (시간)144.4158.5195.6220.2238.7198.9172.0168.3150.5159.1148.0143.12097.3
평균 일조율 (%)47515255544539414146494847
출처: 중국 기상청[16][17][18]


5. 행정 구역

제슈시는 5개 가도, 7개 진, 3개 향으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가도
이름간체번체병음
베이관北关街道北關街道Běiguān Jiēdào
시관西关街道西關街道Xīguān Jiēdào
둥난东南街道東南街道Dōngnán Jiēdào
시난西南街道Xīnán Jiēdào
베이탄北坛街道北關街道Běitán Jiēdào
이안义安镇義安鎮Yì'ān Zhèn
장란张兰镇張蘭鎮Zhānglán Zhèn
롄푸连福镇連福鎮Liánfú Zhèn
홍산洪山镇洪山鎮Hóngshān Zhèn
룽펑龙凤镇龍鳳鎮Lóngfèng Zhèn
몐산绵山镇綿山鎮Miánshān Zhèn
이탕义棠镇義棠鎮Yìtáng Zhèn
청관城关乡城關鄉Chéngguān Xiāng
쑹구宋古乡宋古鄉Sònggǔ Xiāng
산자三佳乡三佳鄉Sānjiā Xiāng


6. 교통


  • G5 베이징-쿤밍 고속도로
  • 국도 108

7. 명소


  • 祆神루
  • 개휴 후토묘
  • 개휴 성황묘
  • 개휴 동악묘
  • 개휴 오악묘
  • 태화암 패루
  • 원신묘
  • 회란사
  • 운봉사
  • 장벽고보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논문 1872
[3] 간행물 http://ctext.org/lv-[...]
[4] 논문 2000
[5] 논문 2006
[6] 간행물
[7] 간행물
[8] 논문 2016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논문 2017
[15] 논문 2014
[16]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17]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18] 웹사이트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25
[19]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20] 웹인용 http://old-cdc.cma.g[...] 중국기상국 2010-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