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한(수학)은 함수 또는 관계의 정의역을 특정 부분 집합으로 축소하는 연산이다. 함수 f를 집합 A로 제한한다는 것은 f와 동일한 함수이지만, A에서만 정의된다는 의미이다. 함수의 제한은 단사 함수를 만들거나, 연속 함수의 연속성을 보존하는 등 다양한 수학적 성질을 갖는다. 제한은 역함수 정의, 붙이기 보조정리, 층 이론 등에서 응용되며, 함수의 확장 및 관계의 제한과 같은 개념과 연관된다.
를 집합 에서 집합 로 가는 함수라고 하자. 만약 집합 가 의 부분집합이라면, '''의 로의 제한'''은 에 대해 로 주어진 함수 이다.[11] 비공식적으로, 의 으로의 제한은 에서만 정의된 와 동일하다.
단사 함수가 아닌 함수 을 정의역 로 제한하면 단사 함수 이 된다. 팩토리얼 함수는 감마 함수를 양의 정수로 제한한 것으로, 인수가 1만큼 이동된다:
함수가 역함수를 가지려면 단사 함수여야 한다. 함수 가 일대일 함수가 아니면, 정의역을 제한하여 의 '''부분 역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정의
함수 를 관계 로 생각하면, 를 로 제한한 것은 다음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쌍 는 그래프 에서 순서쌍을 나타낸다.[1],[6]
3. 성질
4. 예시
5. 응용
:
로 정의된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는, 모든 에 대해 이므로 일대일 함수가 아니다. 그러나 정의역을 로 제한하면 함수는 일대일 함수가 되며, 이 경우
:
가 된다. 또는, 역함수가 다중값 함수가 되도록 허용한다면 정의역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
위상수학에서 함수의 연속성과 부분 집합으로의 제한의 연속성을 관련짓는 중요한 정리인 붙이기 보조정리가 있다.[1] 위상 공간 `A`의 부분 집합 `X`, `Y`가 모두 닫혀 있거나 모두 열려 있고, `A = X ∪ Y`를 만족하며, `B`도 위상 공간이라고 하자. 사상 `f : A → B`의 `X`와 `Y`로의 제한이 모두 연속이라면, `f` 자신도 연속이다.[2]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위상 공간의 닫힌 집합들(또는 열린 집합들) 위에서 정의된 두 개의 연속 사상으로부터, 그것들을 붙여서 새로운 연속 사상을 만들 수 있다.[2]
층은 함수 외의 대상에 대한 제한을 일반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층 이론에서, 위상 공간의 각 열린 집합 에 범주의 대상 를 할당하고, 해당 대상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요구한다. 가장 중요한 조건은 중첩된 열린 집합과 연관된 모든 대상 쌍 사이에 ''제한 사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이면, 함수의 제한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다음 속성을 만족하는 사상 가 존재한다.
이러한 모든 대상의 모음을 '''층'''이라고 한다. 처음 두 속성만 만족하는 경우, '''예비층'''이라고 한다.
5. 1. 역함수
함수가 역함수를 가지려면, 단사 함수여야 한다. 함수 가 일대일 함수가 아니면, 정의역을 제한하여 의 '''부분 역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로 정의된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는, 모든 에 대해 이므로 일대일 함수가 아니다. 그러나 정의역을 로 제한하면 함수는 일대일 함수가 되며, 이 경우
:
가 된다. (만약 정의역을 로 제한한다면, 역함수는 의 제곱근에 음수를 곱한 값이 된다.) 또는, 역함수가 다중값 함수가 되도록 허용한다면 정의역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
5. 2. 붙이기 보조정리
위상수학에서 함수의 연속성과 부분 집합으로의 제한의 연속성을 관련짓는 중요한 정리이다.[1]
위상 공간 `A`의 부분 집합 `X`, `Y`가 모두 닫혀 있거나 모두 열려 있고, `A = X ∪ Y`를 만족하며, `B`도 위상 공간이라고 하자. 사상 `f : A → B`의 `X`와 `Y`로의 제한이 모두 연속이라면, `f` 자신도 연속이다.[2]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위상 공간의 닫힌 집합들(또는 열린 집합들) 위에서 정의된 두 개의 연속 사상으로부터, 그것들을 붙여서 새로운 연속 사상을 만들 수 있다.[2]
5. 3. 층
층은 함수 외의 대상에 대한 제한을 일반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층 이론에서, 위상 공간의 각 열린 집합 에 범주의 대상 를 할당하고, 해당 대상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요구한다. 가장 중요한 조건은 중첩된 열린 집합과 연관된 모든 대상 쌍 사이에 ''제한 사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이면, 함수의 제한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다음 속성을 만족하는 사상 가 존재한다.
이러한 모든 대상의 모음을 '''층'''이라고 한다. 처음 두 속성만 만족하는 경우, '''예비층'''이라고 한다.
6. 확장
함수 가 다른 함수 의 확장이라고 하는 것은, 가 의 정의역에 속할 때마다 가 의 정의역에도 속하고 일 경우이다. 즉, 이고 일 때이다.
함수 의 선형 확장(각각, 연속 확장 등)은 의 확장으로, 또한 선형 사상(각각, 연속 사상 등)이다.
7. 관계의 제한
일반적으로, 이항 관계 ''R''의 '''제한'''(또는 '''정의역 제한''', '''왼쪽 제한''') ''A'' ◁ ''R''은 ''E''와 ''F'' 사이의 관계에서, 정의역이 ''A'', 공역이 ''F'', 그래프가 G(''A'' ◁ ''R'') = {(''x'', ''y'') ∈ G(''R'') | ''x'' ∈ ''A''}인 관계로 정의될 수 있다. 비슷하게, '''오른쪽 제한''' 또는 '''치역 제한''' ''R'' ▷ ''B''을 정의할 수 있다. 실제로, n항 관계뿐만 아니라 이항 관계의 데카르트 곱 ''E'' × ''F''와 같은 관계로 이해되는 부분 집합에 대한 제한을 정의할 수 있다.[10]
함수 또는 이항 관계 ''R''(정의역 ''E''와 공역 ''F''를 가짐)의 '''정의역 반제한'''(또는 '''정의역 뺄셈''')은 집합 ''A''에 의해 (''E'' ∖ ''A'') ◁ ''R''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정의역 ''E''에서 ''A''의 모든 원소를 제거한다. 이는 때때로 ''A'' ⩤ ''R''로 표시된다. 비슷하게, 함수 또는 이항 관계 ''R''의 '''치역 반제한'''(또는 '''치역 뺄셈''')은 집합 ''B''에 의해 ''R'' ▷ (''F'' ∖ ''B'')로 정의되며, 공역 ''F''에서 ''B''의 모든 원소를 제거한다. 이는 때때로 ''R'' ⩥ ''B''로 표시된다.[5]
Mapping영어에서 → 는 집합 에서 집합 로의 사상을 나타낸다. 즉, 의 정의역은 ()이다. 의 부분 집합 에 대해, '''사상 의 에 대한 제한'''은
:
인 사상을 말한다.[6]
사상 를 데카르트 곱 상의 관계 }로 생각하면, 의 에 대한 제한은 그래프로
:
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
[1]
서적
Sets, Logic and Axiomatic Theories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1974
[2]
서적
Naive Set Theory
D. Van Nostrand
[3]
서적
Topology
Prentice Hall
[4]
서적
Introduction to Topology: Pure and Applied
Pearson Prentice Hall
[5]
서적
Unifying Theories of Programming: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UTP 2006, Walworth Castle, County Durham, UK, February 5–7, 2006, Revised Selected ... Computer Science and General Issues)
Springer
2006
[6]
harvnb
[7]
harvnb
1960
[8]
harvnb
2000
[9]
harvnb
2008
[10]
harvnb
2006
[11]
서적
Sets, Logic and Axiomatic Theories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