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등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등 함수는 집합 X의 모든 원소를 자기 자신으로 대응시키는 함수이며, 정의역과 공역이 같다. 임의의 함수 f에 대해 항등 함수는 함수의 합성에 대한 항등원 역할을 하며, 전단사 함수는 역함수를 갖는다. 항등 함수는 선형 연산자, 등거리 변환, 연속 함수이며 멱등 함수이다. 범주론에서 항등 함수는 항등 사상으로 일반화되며, 항등 함자와 항등 자연 변환과 같은 관련 개념이 존재한다.

2. 정의

집합 X의 '''항등 함수''' \operatorname{id}_X는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 \operatorname{id}_X\colon X\to X
  •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operatorname{id}_X(x)=x


형식적으로, 집합 X에 대한 항등 함수 f는 정의역과 공역이 모두 X이고,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된다.

:f(x) = x 집합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1]

다시 말해, 공역 X에서의 함수 값 f(x)는 정의역 X에서의 입력 원소 x와 항상 같다. 집합 X에 대한 항등 함수는 단사 함수이자 전사 함수 (공역이 치역이기도 하다)이므로, 전단사 함수이다.[2]

집합 X에 대한 항등 함수 f는 종종 \operatorname{id}_X로 표기된다.

집합론에서 함수가 특정한 종류의 이항 관계로 정의될 때, 항등 함수는 X의 항등 관계 또는 "대각선"으로 주어진다.[3]

엄밀히 말하면, 집합 M 위의 '''항등 함수''' f정의역공역이 모두 M인 함수로서, M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해

:f(x) = x

를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12]. M 위의 항등 함수는 M의 각 원소 xx 자신을 대응시켜 얻어지는 M에서 M으로의 하나의 함수이다[13]

M 위의 항등 함수는 종종 \operatorname{id}_M 또는 1_M 등으로 표기된다.

함수를 이항 관계로 볼 때, 항등 함수는 '''항등 관계'''라고 불리는 functional relation|함수 관계영어, 즉 M의 대각 집합(diagonal set) \Delta = \{(x, x) | x \isin M\}로 주어진다[14]

3. 성질

임의의 함수 f\colon X\to Y에 대하여,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4]

:f\circ\operatorname{id}_X=\operatorname{id}_Y\circ f=f

즉, 항등 함수는 범주에서의 항등 사상이다. 특히, X의 자기 함수 집합 \operatorname{End}(X)함수의 합성에 대해 모노이드를 이룬다. 모노이드의 항등원은 유일하므로,[5] 항등 함수는 이 항등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함수 f\colon X\to Y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f전단사 함수이다.
  • 다음을 만족시키는 역함수 f^{-1}\colon Y\to X가 존재한다.
  • * f^{-1}\circ f=\operatorname{id}_X
  • * f\circ f^{-1}=\operatorname{id}_Y


즉, 전단사 함수는 집합의 범주에서 동형 사상이다. 특히, X의 자기 전단사 함수 집합 \operatorname{Sym}(X)은 함수의 합성에 대해 을 이루며, 이를 X대칭군이라고 한다.

항등 함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갖는다.

  • 선형 사상이 벡터 공간에 적용될 때 선형 연산자이다.[6]
  • n차원 벡터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공간에 대해 선택된 기저에 관계없이 항등 행렬 I_n으로 표시된다.[7]
  • 양의 정수에 대한 항등 함수는 완전 곱셈 함수(본질적으로 1을 곱하는 것)이며, 이는 정수론에서 고려된다.[8]
  • 거리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자명하게 등거리 변환이다. 대칭성이 없는 객체는 이 등거리 변환(대칭 유형 C_1)만 포함하는 자명군대칭군으로 갖는다.[9]
  • 위상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항상 연속이다.[10]
  • 멱등이다.[11]

4. 예

양의 정수의 집합 \mathbb Z^+의 항등 함수는 완전 곱셈적 함수에 속한다.

실수의 집합 \mathbb R의 항등 함수는 일차 함수에 속한다.


  • 항등 함수는 선형 사상이 벡터 공간에 적용될 때 선형 연산자이다.[6]
  • n-차원 벡터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공간에 대해 선택된 기저에 관계없이 항등 행렬 I_n으로 표시된다.[7]
  • 양의 정수에 대한 항등 함수는 완전 곱셈 함수(본질적으로 1을 곱하는 것)이며, 이는 정수론에서 고려된다.[8]
  • 거리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자명하게 등거리 변환이다. 대칭성이 없는 객체는 이 등거리 변환(대칭 유형 C_1)만 포함하는 자명군대칭군으로 갖는다.[9]
  • 위상 공간에서 항등 함수는 항상 연속이다.[10]
  • 항등 함수는 멱등이다.[11]

5. 관련 개념

범주에서 각 대상의 '''항등 사상'''(恒等寫像, identity morphism영어)은 항등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4]

만약 가 임의의 함수이고, "∘"가 함수 합성을 나타낸다면, 가 성립한다.[4] 특히, 는 함수 합성에 대해 에서 로 가는 모든 함수의 모노이드항등원이다.

모노이드의 항등원은 유일하므로,[5] 상의 항등 함수는 이 항등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범주론에서 항등 사상 개념으로 일반화되며, 여기서 의 자기 사상은 함수일 필요가 없다.

범주 의 '''항등 함자'''(恒等函子, identity functor영어) 는 다음과 같다.


  • 모든 대상 에 대하여,
  • 모든 대상 및 사상 에 대하여,


함자 의 '''항등 자연 변환'''(恒等自然變換, natural transformation영어) 는 다음과 같다.


  • 모든 대상 에 대하여,

5. 1. (범주 속의) 항등 사상

범주의 각 대상의 '''항등 사상'''(恒等寫像, identity morphism영어)은 항등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4]

만약 가 임의의 함수라면, "∘"가 함수 합성을 나타낼 때, 가 성립한다.[4] 특히, 는 (함수 합성에 대해) 에서 로 가는 모든 함수의 모노이드항등원이다.

모노이드의 항등원은 유일하므로,[5] 상의 항등 함수를 이 항등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범주론에서 항등 사상의 개념으로 일반화되며, 여기서 의 자기 사상은 함수일 필요가 없다.

만약 을 임의의 사상이라고 하면,

: f \circ \text{id}_M = f = \text{id}_N \circ f

가 성립한다("∘"는 사상의 합성). 특히, 는 에서 으로의 사상( 위의 변환) 전체가 이루는 집합이 합성에 관해 이루는 반군( 위의 전체 변환 반군) 에서의 항등원(중립원)이며, 따라서 은 모노이드를 이룬다.

모노이드의 항등원은 단 하나이므로, 위의 항등 사상의 또 다른 정의로서, 전체 변환 모노이드의 항등원으로 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의는 범주론에서의 항등 사상의 개념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이 문맥에서는 위의 자기 사상이 사상일 필요는 없다.

5. 2. 항등 함자

범주 \mathcal C의 '''항등 함자'''(恒等函子, identity functor영어) \operatorname{id}_{\mathcal C}는 다음과 같은 함자이다.

  • \operatorname{id}_{\mathcal C}\colon\mathcal C\to\mathcal C
  • 모든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에 대하여, \operatorname{id}_{\mathcal C}(X)=X
  • 모든 대상 X,Y\in\operatorname{Ob}(\mathcal C) 및 사상 f\colon X\to Y에 대하여, \operatorname{id}_{\mathcal C}(f)=f


만약 \mathcal C작은 범주일 경우, 항등 함자 \operatorname{id}_{\mathcal C}는 작은 범주의 범주에서의 항등 사상이다.

모든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에 대하여

:\operatorname{id}_{\mathcal C}(\operatorname{id}_X)=\operatorname{id}_X=\operatorname{id}_{\operatorname{id}_{\mathcal C}(X)}

이며, 모든 대상 X,Y,Z\in\operatorname{Ob}(\mathcal C) 및 사상 f\colon X\to Yg\colon Y\to Z에 대하여

:\operatorname{id}_{\mathcal C}(g\circ f)=g\circ f=\operatorname{id}_{\mathcal C}(g)\circ\operatorname{id}_{\mathcal C}(f)

이므로, \operatorname{id}_{\mathcal C}는 (공변) 함자이다.

5. 3. 항등 자연 변환

함자 F\colon\mathcal C\to\mathcal D의 '''항등 자연 변환'''(恒等自然變換, natural transformation영어) \operatorname{id}_F는 다음과 같은 자연 변환이다.

  • \operatorname{id}_F\colon F\Rightarrow F
  • 모든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에 대하여, (\operatorname{id}_F)_X=\operatorname{id}_{F(X)}


만약 \mathcal C\mathcal D가 작은 범주일 경우, 항등 자연 변환 \operatorname{id}_F\mathcal C\mathcal D 사이의 함자 사이의 자연 변환의 범주에서의 항등 사상이다.

모든 대상 X,Y\in\operatorname{Ob}(\mathcal C) 및 사상 f\colon X\to Y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id}_F)_Y\circ F(f)

=\operatorname{id}_{F(Y)}\circ F(f)

=F(f)

=F(f)\circ\operatorname{id}_{F(X)}

=F(f)\circ(\operatorname{id}_F)_X

따라서, \operatorname{id}_F는 자연 변환이다.

참조

[1] 서적 Basic algebra Springer
[2] 서적 Higher Algebra Abstract and Linear Sarat Book House 2014-04-07
[3] 서적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74
[4] 서적 Continuity Theory https://books.google[...]
[5] 서적 Finitely Generated Commutative Monoids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1999
[6] 서적 Elementary Linear Algebra (Applications Version) Wiley International
[7] 서적 Applied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8] 서적 Number Theory through Inquiry Mathematical Assn of Amer
[9] 서적 Hyperbolic Geometry Springer
[10] 서적 A First Course in Topology: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Thinking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4-05-21
[11] 서적 Found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1968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