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방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방면군은 1942년 7월 관동군의 병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만주국 북부 지역의 치안 유지 및 예비 병력 확보를 목적으로 창설되었다. 훈련 부족과 장비 열악으로 인해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붕괴되었으며, 종전 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동군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관동군 - 차하르 작전
차하르 작전은 1937년 노구교 사건 이후 일본군이 중국 차하르성을 점령하고 친일 몽골족을 내세워 몽골 연맹 자치 정부를 수립하려 한 군사 작전으로, 양고 사건과 같은 학살이 발생하고 중국 국민당 정권이 항일 지구전 체제를 구축할 시간을 벌게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 일본 육군의 방면군 - 제14방면군
제14방면군은 1944년 필리핀 방어를 위해 일본군 육군이 편성한 방면군으로, 야마시타 도모유키 대장이 사령관을 맡아 필리핀 전역을 지휘했으나 많은 사상자를 냈다. - 일본 육군의 방면군 - 북지나 방면군
북지나 방면군은 중일 전쟁 후 일본군이 화북 지역을 지휘 및 통괄하기 위해 창설한 군대로, 화북 지역에서 활동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러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다.
제1방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제1방면군 |
다른 이름 | (일본어) |
통칭호 | 예(鋭) |
영어 명칭 | First Area Army |
소속 국가 | 일본 제국 |
군 종류 | 야전군 |
역할 | 보병 |
창설일 | 1942년 7월 2일 |
해체일 | 1945년 8월 15일 |
주둔지 | 만주국 선양시(초기), 둔화시(최종) |
담당 지역 | 만주 |
지휘 구조 | |
상급 부대 | 관동군 |
예하 부대 (1945년) | 제3군 제5군 제122 보병사단 제128 보병사단 (1945년 8월 9일부터) 제134 보병사단 (1945년 8월 9일부터) 제139 보병사단 |
주요 전투 | |
전투 목록 |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일본 전쟁 모란강 전투 |
주요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사쿠라이 료조 |
2. 역사
1942년 7월 4일 관동군의 주력 부대가 태평양 전쟁 남부 전선으로 이동하면서, 만주국 북부 지역의 치안 유지를 위해 제1방면군이 창설되었다. 제1방면군은 대부분 훈련도가 낮은 예비군, 징집된 학생, 향토 방위군 등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전투력은 매우 미약했고, 무기와 물자도 부족했다.[5]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제1방면군은 붉은 군대에 제대로 대항하지 못했다. 장비와 지휘 체계가 미흡했던 많은 부대가 붕괴되어 도주하거나 집단 항복했다.[5]
2. 1. 창설 배경
1942년 7월 4일, 일본 제국은 태평양 전쟁에서 미드웨이 해전 패배 이후 전황이 불리해지자, 만주국에 주둔하던 관동군의 정예 병력을 남방 전선으로 이동시켰다. 이로 인해 만주 북부 지역의 방어가 취약해지자, 일본은 이 지역의 치안 유지와 소련의 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관동군의 통제하에 제1방면군을 창설하였다.[5]제1방면군은 대부분 훈련도가 낮은 예비군, 징집된 학생, 향토 방위군 등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전투력은 매우 미약했다. 무기와 장비 또한 부족하여 정규전에 투입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5] 제1방면군의 본부는 현재의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둔화시에 있었다.
2. 2. 주요 전투 및 작전
1942년 7월 4일, 태평양 전쟁으로 관동군의 베테랑 사단들이 남쪽 전선으로 이동하면서, 만주국 북부의 치안 유지를 위해 제1방면군이 창설되었다. 이들은 주로 훈련이 부족한 예비군, 징집된 학생, 향토방위 민병대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와 물자가 부족했다.[5]1945년 8월, 소련이 만주 작전을 개시하자, 제1방면군은 붉은 군대에 맞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장비와 지휘 체계가 미흡했던 많은 부대가 붕괴되어 도주하거나 집단 항복했다.[2] 옌볜 조선족 자치주 둔화시를 비롯한 주요 거점들이 소련군에게 점령당했다. 일본 항복 후, 기타 세이이치 사령관을 포함한 생존 병사들은 시베리아 등지에서 포로가 되었다.[6][3]
2. 3. 종전과 해체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사령관 기타 세이이치를 비롯한 제1방면군의 많은 장병이 시베리아 등지에서 포로가 되었다.[6][3]3. 지휘부
제1방면군은 사령관과 참모장을 중심으로, 여러 참모 부서 책임자들로 구성되어 운영되었다.
3. 1. 역대 사령관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야마시타 도모유키 육군 대장 | 1942년 7월 1일 | 1944년 9월 26일 |
2 | 기타 세이이치 육군 대장 | 1944년 9월 26일 | 1945년 8월 15일 |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말레이 작전에서 영국군을 격파한 명장이었으나, 제1방면군 사령관 부임 이후에는 전세를 뒤집지 못하고 패전을 맞이했다. 기타 세이이치는 제1방면군 최후의 사령관으로, 종전 후 소련군 포로가 되어 시베리아에서 억류 생활을 했다.
3. 2. 역대 참모장
이름 | 임명일 | 해임일 | |
---|---|---|---|
1 | 아야베 키츠쥬 소장 | 1942년 7월 1일 | 1942년 12월 7일 |
2 | 시데이 츠나마사 소장 | 1942년 12월 7일 | 1944년 10월 16일 |
3 | 테라가키 타다오 소장 | 1944년 10월 16일 | 1945년 4월 1일 |
4 | 사쿠라이 료조 소장 | 1945년 4월 1일 | 1945년 8월 15일 |
3. 3. 기타 주요 지휘관
직책 | 이름 |
---|---|
사령관 | 기타 세이이치 대장 |
참모장 | 사쿠라이 료조 소장 |
참모 부장 | 사카마 쿤이치 소장 |
고급 참모 | 마츠모토 히로시 대좌 |
고급 부관 | 나카야마 료스케 대좌 |
병기 부장 | 오노 유키모리 소장 |
경리 부장 | 마사키 고로 주계 소장 |
군의 부장 | 가와시마 기요시 군의 소장 |
수의 부장 | 오미 고타로 수의 소장 |
법무 부장 | 다카다 마사노부 법무 대좌 |
4. 편제
1943년 제1방면군의 주요 부대와 지휘관은 다음과 같았다.
부대 | 지휘관 |
---|---|
제2군 | 시치다 이치로 중장 |
제71사단 | 토야마 노보루 중장 |
제3군 | 우치야마 에이타로 중장 |
제9사단 | 하라 마모루 중장 |
제12사단 | 누마타 타카조 중장 |
제1국경수비대 | 사노 코타 소장 |
제7포병사령부 | 카게사와 사다아키 소장 |
제3공병대사령부 | 카토 레이조 소장 |
제6야전수송사령부 | 니시토 킨사쿠 소장 |
제5군 | 이이무라 미노루 중장 |
제11사단 | 타카모리 타카시 중장 |
제24사단 | 네모토 히로시 중장 |
제6독립수비대 | 와타나베 마사루 대좌 |
제4국경수비대 | 아키쿠사 슌 소장 |
제12국경수비대 | 나라 후미키치로 대좌 |
기병 제3여단 | 카타오카 토오 소장 |
제8포병사령부 | 호소카와 타다야스 소장 |
제12야전방공대사령부 | 오카토 분이치로 대좌 |
제1공병대사령부 | 야스미 킨자부로 소장 |
제7야전수송사령부 | 시이하시 켄지 소장 |
제20군 | 혼다 마사자이 중장 |
제8사단 | 요코야마 시즈오 중장 |
제25사단 | 아카시바 야에조 중장 |
제2국경수비대 | 키도 칸지 대좌 |
제3국경수비대 | 모토 시게히사 대좌 |
제10국경수비대 | 우베 시오 대좌 |
제11국경수비대 | 아리마 스미히코 대좌 |
제5포병사령부 | 와다 코스케 중장 |
제1야전수송사령부 | 쿠리이와 나오하루 소장 |
독립산포병 제3연대 | 타카모리 코헤이 대좌 |
독립공병 제27연대 | 야노 시로 대좌 |
전신 제17연대 | 마츠모토 사쿠지 대좌 |
독립 징병 제55대대 | 야노 세이이치 소좌 |
무단강 제1육군병원 | 미와 후지오 군의 대좌 |
무단강 제2육군병원 | 고베 마모루 군의 대좌 |
무단강 제3육군병원 | |
봉안 육군병원 | |
제28사단 | 이시구로 사다조 중장 |
종전 당시 제1방면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
부대 | 지휘관 |
---|---|
제3군 | 무라카미 케이사쿠 중장[1] |
나진 요새 | 세야 히로시 중장[1] |
제79사단 | 오타 사다마사 중장[2] |
제112사단 | 나카무라 지키조 중장[2] |
제127사단 | 고가 류타로 중장[3] |
제128사단 | 미즈하라 요시시게 중장[3] |
독립혼성 제132여단 | 오니타케 고이치 소장[4] |
제5군 | 시미즈 노리쿠 중장[5] |
제124사단 | 시이나 마사타케 중장[5] |
제126사단 | 노미조 니히코 중장[6] |
제135사단 | 히토미 요이치 중장[6] |
제15국경 수비대 | 니시와키 다케시 대좌[6] |
제9유격대 | |
야전 중포병 제20연대 | 마쓰무라 세이 대좌[6] |
제1공병대 | 사사키 쇼스케 대좌 |
제122사단 | 아카시카 리 중장 |
제134사단 | 이세키 토오루 중장 |
제139사단 | 토미나가 쿄지 중장 |
육군 병원 | 지휘관 |
관동 제8 (무단강) | 후지모토 사키 군의 대좌 |
관동 제24 (안동) | 사사카와 다케조 군의 대좌 |
관동 제25 (린커우) | 나카오 로쿠지 군의 대좌 |
관동 제60 (둔화) | 마스자와 타케오 군의 중좌 |
관동 제69 (비덕) | 히사오카 히로오 군의 중좌 |
관동 제70 (밀산) | |
관동 제72 (보동) | 나가노 이치로 군의 중좌 |
관동 제75 (발리) | 타니무라 카즈지 군의 중좌 |
관동 제76 (수분하) | 가미시마 시게토 군의 중좌 |
관동 제77 (이도강) | 하라 켄이치 군의 소좌 |
병참 부대 | |
독립 공병 제12연대 | |
독립 자동차 제114대대 | |
전신 제17연대 | 마쓰모토 사쿠지 대좌 (최종 위치: 둔화) |
보급창 | |
제2야전 보충 마장 | 다카세 마코토 소좌 |
제16야전 병기창 | |
제25야전 자동차창 | |
제25야전 화물창 | 가와타 카즈오 주계 중좌 |
특무 부대 | |
관동군 제2특별 경비대 | 이마이 카메지로 대좌 (최종 위치: 무단강) |
관동군 제6육군 구금소 | |
제1방면군 임시 군법 회의 |
4. 1. 1943년
1943년, 제1방면군의 주요 부대와 지휘관은 다음과 같았다.부대 | 지휘관 |
---|---|
제2군 | 시치다 이치로 중장 |
제71사단 | 토야마 노보루 중장 |
제3군 | 우치야마 에이타로 중장 |
제9사단 | 하라 마모루 중장 |
제12사단 | 누마타 타카조 중장 |
제1국경수비대 | 사노 코타 소장 |
제7포병사령부 | 카게사와 사다아키 소장 |
제3공병대사령부 | 카토 레이조 소장 |
제6야전수송사령부 | 니시토 킨사쿠 소장 |
제5군 | 이이무라 미노루 중장 |
제11사단 | 타카모리 타카시 중장 |
제24사단 | 네모토 히로시 중장 |
제6독립수비대 | 와타나베 마사루 대좌 |
제4국경수비대 | 아키쿠사 슌 소장 |
제12국경수비대 | 나라 후미키치로 대좌 |
기병 제3여단 | 카타오카 토오 소장 |
제8포병사령부 | 호소카와 타다야스 소장 |
제12야전방공대사령부 | 오카토 분이치로 대좌 |
제1공병대사령부 | 야스미 킨자부로 소장 |
제7야전수송사령부 | 시이하시 켄지 소장 |
제20군 | 혼다 마사자이 중장 |
제8사단 | 요코야마 시즈오 중장 |
제25사단 | 아카시바 야에조 중장 |
제2국경수비대 | 키도 칸지 대좌 |
제3국경수비대 | 모토 시게히사 대좌 |
제10국경수비대 | 우베 시오 대좌 |
제11국경수비대 | 아리마 스미히코 대좌 |
제5포병사령부 | 와다 코스케 중장 |
제1야전수송사령부 | 쿠리이와 나오하루 소장 |
독립산포병 제3연대 | 타카모리 코헤이 대좌 |
독립공병 제27연대 | 야노 시로 대좌 |
전신 제17연대 | 마츠모토 사쿠지 대좌 |
독립 징병 제55대대 | 야노 세이이치 소좌 |
무단강 제1육군병원 | 미와 후지오 군의 대좌 |
무단강 제2육군병원 | 고베 마모루 군의 대좌 |
무단강 제3육군병원 | |
봉안 육군병원 | |
제28사단 | 이시구로 사다조 중장 |
4. 2. 종전 시
부대 | 지휘관 |
---|---|
제3군 | 무라카미 케이사쿠 중장[1] |
나진 요새 | 세야 히로시 중장[1] |
제79사단 | 오타 사다마사 중장[2] |
제112사단 | 나카무라 지키조 중장[2] |
제127사단 | 고가 류타로 중장[3] |
제128사단 | 미즈하라 요시시게 중장[3] |
독립혼성 제132여단 | 오니타케 고이치 소장[4] |
제5군 | 시미즈 노리쿠 중장[5] |
제124사단 | 시이나 마사타케 중장[5] |
제126사단 | 노미조 니히코 중장[6] |
제135사단 | 히토미 요이치 중장[6] |
제15국경 수비대 | 니시와키 다케시 대좌[6] |
제9유격대 | |
야전 중포병 제20연대 | 마쓰무라 세이 대좌[6] |
제1공병대 | 사사키 쇼스케 대좌 |
제122사단 | 아카시카 리 중장 |
제134사단 | 이세키 토오루 중장 |
제139사단 | 토미나가 쿄지 중장 |
육군 병원 | 지휘관 |
관동 제8 (무단강) | 후지모토 사키 군의 대좌 |
관동 제24 (안동) | 사사카와 다케조 군의 대좌 |
관동 제25 (린커우) | 나카오 로쿠지 군의 대좌 |
관동 제60 (둔화) | 마스자와 타케오 군의 중좌 |
관동 제69 (비덕) | 히사오카 히로오 군의 중좌 |
관동 제70 (밀산) | |
관동 제72 (보동) | 나가노 이치로 군의 중좌 |
관동 제75 (발리) | 타니무라 카즈지 군의 중좌 |
관동 제76 (수분하) | 가미시마 시게토 군의 중좌 |
관동 제77 (이도강) | 하라 켄이치 군의 소좌 |
병참 부대 | |
독립 공병 제12연대 | |
독립 자동차 제114대대 | |
전신 제17연대 | 마쓰모토 사쿠지 대좌 (최종 위치: 둔화) |
보급창 | |
제2야전 보충 마장 | 다카세 마코토 소좌 |
제16야전 병기창 | |
제25야전 자동차창 | |
제25야전 화물창 | 가와타 카즈오 주계 중좌 |
특무 부대 | |
관동군 제2특별 경비대 | 이마이 카메지로 대좌 (최종 위치: 무단강) |
관동군 제6육군 구금소 | |
제1방면군 임시 군법 회의 |
5. 평가 및 영향
1942년 7월 4일, 관동군의 통제 아래 군사 예비대 및 주둔군으로 창설된 제1방면군은 태평양 전쟁에서 관동군의 많은 베테랑 사단이 남부 전선으로 이동함에 따라 북부 만주국의 치안과 공공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훈련이 부족한 예비군, 징병된 학생, 향토 방위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충분한 무기나 물자를 갖추지 못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붉은 군대에 대항할 수 없었던 제1방면군은 충분한 장갑, 탄약 또는 지휘 능력이 부족하여 많은 부대가 붕괴되어 도주하거나 집단 항복했다.[2]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사령관 기타 세이이치 장군을 비롯한 제1방면군 생존 병사들은 시베리아 및 기타 소련 지역에서 포로가 되었다.[3]
참조
[1]
서적
The Japanese Army 1931-45
[2]
서적
The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1945
[3]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4]
서적
The Japanese Army 1931-45
[5]
서적
The Soviet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1945
[6]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