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세계 문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세계 문제는 1979년 처음 사용되었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 밈으로 유행하며, 현대 사회의 사소한 불편함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된다. 느린 인터넷 속도, 휴대폰 배터리 부족, 리모컨 작동 불능 등 정보통신 및 소비생활과 관련된 문제들이 예시로 제시된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도 나타나며, 과도한 소비,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제3세계 문제 외면 등의 비판적 관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 세계 인구
세계 인구는 지구 거주 인간의 총 수로, 2022년 80억 명을 돌파하며 꾸준히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으며, 과거 추정의 불확실성, 산업혁명 이후 급증, 최근 출산율 감소, 지역별 불균형, 자연적/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특징과 함께 미래 전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세계 -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는 2021년 기준 14,800 Mtoe에 달하는 1차 에너지 생산을 중심으로 석유, 가스, 석탄, 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별 생산과 국가 간 무역, 그리고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주요 과제이다. - 사회 특권 -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대상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접근 제어 목록으로, 정보보안, 무역,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목록 선정 기준의 불명확성, 사회적 문제점 등의 위험성으로 투명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 사회 특권 - 현상 유지 편향
현상 유지 편향은 손실 회피, 보유 효과, 인지적 제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현재 상태를 선호하고 변화를 꺼리는 심리적 경향을 말하며, 개인의 의사 결정은 물론 사회, 경제, 정치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1970년대 신조어 - 힙합
힙합은 1970년대 후반 뉴욕 브롱크스에서 시작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 운동으로, 랩, 디제잉, 브레이크댄스, 그라피티 아트 4대 요소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독자적인 음악 형태와 서브컬처를 형성, 시대별 다양한 스타일과 아티스트를 거치며 미국 대중음악의 주요 장르이자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 1970년대 신조어 - 마약과의 전쟁
마약과의 전쟁은 닉슨 대통령이 1971년 선포한 마약류 억제 정책 및 운동으로, 국제 협력을 통해 강화되었으나 인권 침해 논란과 함께 문제 해결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근에는 공중 보건 문제로 접근하는 대안적 정책과 비범죄화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제1세계 문제 | |
---|---|
정의 및 특징 | |
설명 | 제1세계 국가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또는 불만을 의미함. 일반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고난과는 거리가 먼 사소하고 짜증나는 문제들을 지칭함. |
관련 개념 | 상대적 박탈감 |
사용 시기 | 1979년 처음 등장 |
특징 | 사소한 불편함에 대한 불평 풍요 속의 불만 실제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 대한 공감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예시 | |
일반적인 예시 | 와이파이가 너무 느려. 차가 너무 더러워. 오늘 입을 옷이 없어. 커피가 너무 뜨거워. 아, 오늘따라 데이터가 안 터지네. |
심화된 예시 | 새로 산 스마트폰의 카메라 화질이 기대에 못 미쳐. 해외여행 갔는데 호텔 뷔페 메뉴가 마음에 안 들어. 최신형 노트북이 너무 무거워서 들고 다니기 힘들어. 유기농 채소만 먹고 싶은데, 가격이 너무 비싸. |
비판 및 논쟁 | |
문제점 | 실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고통을 경시한다는 비판이 존재함. 풍요로운 환경에 대한 감사를 잊게 만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음. 사소한 불만을 과장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음. |
긍정적 측면 | 스트레스 해소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 소소한 즐거움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유의어 및 관련 용어 | |
유의어 | 부자들의 고통 풍요 속의 불만 배부른 투정 |
관련 용어 | 상대적 박탈감 선진국 삶의 질 |
2. 역사
"제1세계 문제"라는 용어는 1979년 G. K. 페인의 저서 《건축 환경》(Built Environment)에서 처음 등장했지만,[4] 200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 밈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특히 유행했다.[5][6] 2012년, 유니세프 뉴질랜드는 뉴질랜드에서 제1세계 문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느린 웹 접속"이 가장 흔한 문제임을 발견했다.[9] 이 문구는 2012년 11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7] 2012년 12월에는 온라인 《맥쿼리 사전》에 추가되었다.[8]
2. 1. 인터넷 밈의 확산
"제1세계 문제"라는 용어는 1979년 G. K. 페인의 저서 《건축 환경》(Built Environment)에서 처음 등장했지만,[4] 2005년부터 인터넷 밈으로 인기를 얻어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특히 유행했다.[5][6]이는 인기 있는 해시태그 형태로 널리 사용되었다.[5][6] 2012년, 유니세프 뉴질랜드는 뉴질랜드에서 제1세계 문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느린 웹 접속"이 가장 흔한 문제임을 발견했다.[9] 이 문구는 2012년 11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7] 2012년 12월에는 온라인 《맥쿼리 사전》에 추가되었다.[8]2. 2. 사전 등재
"제1세계 문제"라는 용어는 1979년 G. K. 페인의 저서 《건축 환경》(Built Environment)에서 처음 등장했지만,[4] 2005년부터 인터넷 밈으로 인기를 얻어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특히 유행했다.[5][6] 2012년 유니세프 뉴질랜드는 뉴질랜드에서 제1세계 문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느린 웹 접속"이 가장 흔한 문제임을 발견했다.[9] 이 문구는 2012년 11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7] 2012년 12월에는 온라인 《맥쿼리 사전》에 추가되었다.[8]3. 한국 사회와 제1세계 문제
3. 1. 한국인의 일상생활
3. 2. 소비문화와 제1세계 문제
4. 예시
- 느린 인터넷 속도[9]
- 불량한 휴대 전화 통신망[9]
- 휴대폰 배터리 방전 (배터리 부족 불안)[10]
- TV 리모컨 작동 불능[9]
- AirPods를 잃어버림 (AirPods에 대한 가장 흔한 불만). 애플은 2017년에 "나의 AirPods 찾기" 앱을 도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습니다.[11]
- 가게에서 물건을 찾을 수 없음[9]
- 잘못된 이발[9]
- 맛없는 과일[9]
- 상점의 셀프 계산대[12]
- 헤드폰을 잊어버림[13]
- 먹을 것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먹을 것이 없다고 느낌[14]
4. 1. 정보통신 관련
느린 인터넷 속도[9], 불량한 휴대 전화 통신망[9], 휴대폰 배터리 방전 (배터리 부족 불안)[10], TV 리모컨 작동 불능[9]과 같은 문제들이 제1세계 문제로 언급된다. AirPods 분실은 AirPods에 대한 가장 흔한 불만 사항인데, 애플은 2017년에 "나의 AirPods 찾기" 앱을 도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11]4. 2. 소비생활 관련
가게에서 물건을 찾을 수 없거나,[9] 마음에 들지 않는 이발,[9] 맛없는 과일[9], 상점의 셀프 계산대 이용에 대한 불편함[12], 헤드폰을 잊고 오는 상황[13] 등이 제1세계 문제로 언급된다. 먹을 것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은 것[14] 또한 포함된다.4. 3. 한국 특유의 예시
새로 산 스마트폰 가격이 바로 떨어져서 속상하거나, 텔레비전에서 더 이상 볼 드라마가 없는 경우가 제1세계 문제에 해당한다.[9] 리모컨 배터리가 다 닳았는데 사러 나가기 귀찮은 상황도 포함된다.[9] 배달 앱에서 뭘 시켜 먹을지 고민되는 것도 제1세계 문제의 예시로 볼 수 있다.5. 비판적 관점
5. 1. 사회적 불평등 심화
5. 2. 제3세계 문제 외면
제1세계 문제에 대한 담론이 제3세계의 현실을 가리고, 국제적인 문제 해결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에이즈 감염으로 사망한 인구가 440만명으로 추산된다. 60년 만에 최악의 가뭄으로 소말리아 인구의 30%가 극심한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시리아 내전으로 수백명의 마을 주민이 학살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Eduardo Saverin's Billionaire Blues
http://bits.blogs.ny[...]
2013-01-25
[2]
서적
All about Them: Grow Your Business by Focusing on Others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2016-09-06
[3]
뉴스
As the First World turns
http://www.smh.com.a[...]
2013-01-25
[4]
웹사이트
First World (Special uses)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18
[5]
웹사이트
How acknowledging your "First World problems" can make you happier
http://www.voxxi.com[...]
Voxxi
2012-07-11
[6]
간행물
Oxford Dictionaries adds 'deets', '4G' and 'First World problems'
https://newsfeed.tim[...]
2012-11-20
[7]
웹사이트
First World problem definition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18
[8]
웹사이트
Word of the Year 2012
http://www.macquarie[...]
Macquarie Dictionary
2023-10-23
[9]
뉴스
Kiwis complain about 'First World problems'
http://www.nzherald.[...]
2013-01-25
[10]
뉴스
"Battery anxiety" making smartphone users miss meetings, dates and jeopardize relationships
http://www.geelongad[...]
2016-10-03
[11]
웹사이트
Solving First World Problems: Apple To Release 'Find My AirPods' Feature With Latest iOS Update
http://www.geekwire.[...]
GeekWire
2017-01-24
[12]
웹사이트
Impatient Nation: I Can't Wait For You To Read This
https://www.npr.org/[...]
NPR
2024-11-18
[13]
웹사이트
First world problems: ISU Edition
https://www.videtteo[...]
2017-02-20
[14]
웹사이트
Different Drum Humor First world fridge problems loom large in life
https://www.hillsdal[...]
2021-03-07
[15]
웹인용
Korea and the Politics of Innovation
http://online.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2012-04-13
[16]
문서
Urban Dictionary
http://www.urbandict[...]
[17]
웹인용
한국의 선진국문제
http://realtime.wsj.[...]
2012-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