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삶의 질은 개인이 삶에서 느끼는 만족도와 안녕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참여 이론은 생태, 경제, 정치, 문화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하며, 행복, 자유, 인권 등과 연관된다. 삶의 질은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인 척도로 여겨지며,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세계 은행과 같은 기관은 빈곤 감소를 통해, 비정부 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며, 정부는 외교 정책에 인간 안보를 통합하여 기여할 수 있다. 삶의 질은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로 측정되며, 인간 개발 지수, 세계 행복 보고서 등이 사용된다.
참여 이론은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생태, 경제, 정치, 문화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한다.[6] 문화 영역에는 신념과 아이디어, 창의성과 레크리에이션, 탐구와 학습, 성별과 세대, 정체성과 참여, 기억과 투사, 웰빙과 건강 등이 포함된다.[6]
1948년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헌장에서 삶의 질과 관련해서 행복의 주요 요인인 건강에 대해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라고 밝힌바있다.[39]
2. 정의 및 개념
삶의 질은 자유, 인권, 행복과 같은 개념과 관련되지만, 행복은 주관적이고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척도가 우선시된다.[7] 소득 증가가 행복 증가와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므로, 생활 수준이 행복의 척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2][8] 인간 안보도 때때로 관련된 개념으로 고려된다.
삶의 질은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인 척도로 여겨진다.[6] 개발 이론 내에서는 사회에 바람직한 변화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하며, 이는 기관들이 삶의 질을 정의하는 방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 은행은 "빈곤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32] 빈곤을 식량, 물, 쉼터, 자유, 교육, 의료 서비스 또는 고용에 대한 접근성 부족으로 정의한다.[33] 이는 낮은 삶의 질로 정의되며, 세계 은행은 빈곤 감소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 특히, 세계은행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을 통해 빈곤 퇴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는 민주당의 포용적 성장 정책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비정부 기구(NGO)는 개인이나 지역 사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며, 이들의 방법은 국가 또는 국제적 규모의 빈곤 감소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다를 수 있다.
정부는 외교 정책에 인간 안보를 통합하여 글로벌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기본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34] 특히, 문재인 정부는 신남방정책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들 국가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원래 건강 관련 개념이었던 QOL은 도로, 공원 등의 환경 정비 상황에 대한 시민의 평가로도 확장되었다.[36] QOL은 국가의 발전, 개인의 인권·자유 보장 정도, 거주의 쾌적함과 관련이 있다. 인간 개발 지수, 세계 행복 보고서 등이 삶의 질 지표로 제안된다. 특히, 한국은 민주화 이후 인권과 자유가 신장되면서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1. 객관적 지표
삶의 질은 1인당 GDP나 생활 수준과 같은 재정적 측면으로 측정하기는 어렵다. 연구자들은 개인의 웰빙을 ''정서적 웰빙''(일상적인 감정 경험의 질)과 ''삶의 평가''(자신의 삶을 전반적으로 평가)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한다.[9] 삶의 질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10]
건강 관리, 부, 물질적 재화 측면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개인의 욕구에 대한 삶의 의미 있는 표현을 측정하는 것은 더 어렵다. 한 가지 방법은 개인이 자신의 이상을 얼마나 실현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삶의 질은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인 행복을 의미할 수도 있다.[11]
생태 경제학자 로버트 코스탄자는 삶의 질(QOL)이 오랫동안 명시적 또는 암묵적인 정책 목표였지만, 적절한 정의와 측정이 어려웠다고 언급했다. 그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 척도에 걸쳐 다양한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와 주관적 웰빙(SWB) 설문 조사 및 행복 심리학에 대한 최근 연구가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한다.[12]
정치인과 경제학자들은 "삶의 질"이라는 용어를 특정 도시나 국가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널리 알려진 삶의 질 측정 지표로는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태어날 곳 지수와 머서의 삶의 질 보고서가 있다.[27] 이들은 이혼율, 안전, 인프라 등 객관적인 요인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 설문 조사를 결합하여 삶의 질을 계산한다. 이러한 지표는 개인보다는 도시, 주 또는 국가의 인구와 더 관련이 있다. 도시 설계에서 LEED-ND와 같은 인접 지역 설계 표준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2. 2. 주관적 지표
삶의 질은 1인당 GDP나 생활 수준과 같이 재정적 측면으로 측정하기는 어렵다. 연구자들은 개인의 웰빙을 ''정서적 웰빙''과 ''삶의 평가''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9] 정서적 웰빙은 기쁨, 스트레스, 슬픔, 분노, 애정 등 일상적인 감정적 경험의 빈도와 강도를, 삶의 평가는 자신의 삶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9] 이러한 측정 시스템과 척도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삶의 질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려는 시도도 있었다.[10]
개인의 욕구에 대한 삶의 의미 있는 표현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개인이 자신의 이상을 얼마나 실현했는지 평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삶의 질은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인 행복을 의미할 수 있다.[11] 개발도상국 시민들은 기본적인 의료, 교육 및 아동 보호의 필요에 만족하기 때문에 더 많이 감사하는 경향을 보인다.[11]
생태 경제학자 로버트 코스탄자는 삶의 질(QOL)이 오랫동안 명시적 또는 암묵적인 정책 목표였지만, 적절한 정의와 측정이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말한다. 그는 다양한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와 주관적 웰빙 (SWB) 설문 조사 및 행복 심리학에 대한 최근 연구가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고 언급한다.[12][27]
"삶의 질"이라는 용어는 정치인과 경제학자들도 특정 도시나 국가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널리 알려진 삶의 질 측정 지표로는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태어날 곳 지수와 머서의 삶의 질 보고서가 있다. 이 두 지표는 이혼율, 안전, 인프라 등 객관적인 결정 요인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 설문 조사를 결합하여 삶의 질을 계산한다. 이러한 지표는 개인보다는 도시, 주 또는 국가의 인구와 더 광범위하게 관련된다. 삶의 질은 도시 설계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며, LEED-ND와 같은 인접 지역 설계 표준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2. 3. 다양한 관점
참여 이론은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생태, 경제, 정치, 문화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한다.[6] 문화 영역에는 신념과 아이디어, 창의성과 레크리에이션, 탐구와 학습, 성별과 세대, 정체성과 참여, 기억과 투사, 웰빙과 건강 등이 포함된다.[6]
삶의 질은 자유, 인권, 행복과 같은 개념과 관련되지만, 행복은 주관적이고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척도가 우선시된다.[7] 소득 증가가 행복 증가와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므로, 생활 수준이 행복의 척도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2][8] 인간 안보도 때때로 관련된 개념으로 고려된다.
삶의 질은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인 척도로 여겨진다.[6] 개발 이론 내에서는 사회에 바람직한 변화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하며, 이는 기관들이 삶의 질을 정의하는 방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 은행은 "빈곤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32] 빈곤을 식량, 물, 쉼터, 자유, 교육, 의료 서비스 또는 고용에 대한 접근성 부족으로 정의한다.[33] 이는 낮은 삶의 질로 정의되며, 세계 은행은 빈곤 감소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
많은 비정부 기구(NGO)는 개인이나 지역 사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며, 이들의 방법은 국가 또는 국제적 규모의 빈곤 감소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다를 수 있다.
정부는 외교 정책에 인간 안보를 통합하여 글로벌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기본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34]
원래 건강 관련 개념이었던 QOL은 도로, 공원 등의 환경 정비 상황에 대한 시민의 평가로도 확장되었다.[36] QOL은 국가의 발전, 개인의 인권·자유 보장 정도, 거주의 쾌적함과 관련이 있다. 인간 개발 지수, 세계 행복 보고서 등이 삶의 질 지표로 제안된다.
3. 건강과 삶의 질
의료 분야에서 삶의 질은 종종 특정 질병이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고려된다. 이것은 생명을 위협하지 않지만 쇠약하게 만드는 약점일 수도 있고, 치명적이지 않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일 수도 있으며, 말기 질환, 노인의 건강이 예측 가능하고 자연스럽게 악화되는 경우, 사랑하는 사람의 예기치 못한 정신적/신체적 쇠퇴 또는 만성 말기 질환일 수도 있다. 토론토 대학교의 삶의 질 연구 부서 연구원들은 삶의 질을 "어떤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능성을 얼마나 즐기는가"로 정의한다(UofT). 그들의 삶의 질 모델은 "존재", "소속", "성장"의 세 가지 범주를 기반으로 한다. 즉, 자신이 누구인지, 환경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개인적인 목표, 희망, 열망을 달성하는지 여부이다.[28][29]
경험 표집 연구는 신체 증상과 삶의 질 사이의 개인 내 연관성에 상당한 개인 간의 변동성을 보여준다.[30] Hecht와 Shiel은 삶의 질을 "환자가 정상적인 생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능력"으로 측정하는데, 이는 삶의 질이 질병과 치료로 고통받지 않고 웰빙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31]
질병은 병명에 따라 의학적으로 정의되지만, 장애 또는 합병증 증상의 생활 면에 미치는 영향은 의학적으로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치료 행위에 수반되어 생긴 운동, 시력, 식사, 배설 등의 장애에는 각각 어떤 합병증명이 부여되지만, 장애 정도는 일반적으로 "QOL 저하"로 표현된다. 또한 의학적 검사에서 원인이 불분명한 감각적 장애 (통증, 마비, 권태감 등)는 과제로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장애(합병 증상)의 영향은 환자의 생활에 있어서 중요하며, 이를 QOL로 인식하고 지표화하는 의료상의 과제가 있다.
암 등의 치료 선택이나 치료 평가에 있어서는, 생존율이나 축소율 등을 지표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예후의 QOL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QOL도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의료기관이나 의사, 환자 본인과의 가치관의 차이 등도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적다. 최근에는, 알 권리(인폼드 컨센트)의 보급에 따라 QOL의 개념이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다.
질병의 악화나 치료에 있어서 생긴 장애의 생활 지원으로서, 공적인 장애 연금 제도가 있다.
3. 1.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
1948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헌장에서 행복의 주요 요인인 건강에 대해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라고 밝힌바있다.[39] 국제적으로 정의에 대한 합의가 반드시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1947년 세계 보건 기구의 건강 헌장에서는 "(생략)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but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만족스러운 상태)"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다.[36] 1998년에 "spirituality(영적/종교적/실존적)"이라는 문구가 추가되었으며, 그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다.[36]
일본에서는 2000년에 구 후생성 대신관방 장애 보건 복지부가 공표한 "장애인·아동 시설의 서비스 공통 평가 기준"의 용어 해설에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의 방식을 스스로의 의지로 결정하고, 생활의 목표와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본인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풍요로운 생활"을 QOL로 하는 정의가 있다.[36]
3. 2. 건강 관련 삶의 질 (HRQOL)
3. 2. 1. 평가 방법
건강 관련 QOL(삶의 질)의 평가 방법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질문하거나, 평가자 스스로가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평가 항목은 해당 문화권에서 일반적인 범용 평가 방법과 특정 질환이나 병태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환 특이적 평가 방법, QOL의 구성 개념의 각 영역별 평가 방법 등이 있다.
다음은 주요 평가 방법의 예시이다.
4. 측정 및 평가
삶의 질은 1인당 GDP나 생활 수준과 같이 재정적 측면으로 측정되는 것과는 달리, 특정 국가나 집단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삶의 질을 객관적이고 장기적으로 측정하기는 더 어렵다. 연구자들은 최근 개인의 웰빙을 ''정서적 웰빙''(일상적인 감정 경험의 질, 예를 들어 기쁨, 스트레스, 슬픔, 분노, 애정 등의 경험 빈도와 강도)과 ''삶의 평가''(자신의 삶을 전반적으로 생각하고 척도에 따라 평가)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기 시작했다.[9] 이러한 측정 시스템과 척도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연구에서는 삶의 질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0]
건강 관리, 부, 물질적 재화 측면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개인의 욕구에 대한 삶의 의미 있는 표현을 측정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이를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개인이 자신의 이상을 얼마나 실현했는지 그 범위를 평가하는 것이다. 삶의 질은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인 행복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을 통해 개발도상국 시민들은 기본적인 의료, 교육 및 아동 보호의 필요에 만족하기 때문에 더 감사하게 생각한다.[11]
생태 경제학자 로버트 코스탄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27]
"삶의 질"이라는 용어는 정치인과 경제학자들도 특정 도시나 국가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널리 알려진 삶의 질 측정 지표로는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태어날 곳 지수와 머서의 삶의 질 보고서가 있다. 이 두 지표는 이혼율, 안전, 인프라 등 삶의 질에 대한 객관적인 결정 요인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 설문 조사를 결합하여 전 세계 국가 및 도시의 삶의 질을 각각 계산한다. 이러한 지표는 개인의 삶의 질이 아닌 도시, 주 또는 국가의 인구와 더 광범위하게 관련이 있다. 삶의 질은 도시 설계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LEED-ND와 같은 인접 지역 설계 표준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4. 1. 국제 지표
아마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제 개발 지표는 인간 개발 지수(HDI)일 것이다. 이는 주어진 사회 내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정량화하기 위해 기대 수명, 교육 및 생활 수준의 척도를 결합한다. HDI는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인간 개발 보고서에 사용한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인간 개발 보고서는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를 도입했다. 원래의 HDI는 유용하지만, "IHDI는 (불평등을 고려한) 실제 인간 개발 수준이며, 원래의 HDI는 불평등이 없다면 달성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인간 개발 지수(또는 HDI의 최대 수준)로 볼 수 있다"고 명시했다.[13]
세계 행복 보고서는 전 세계 행복의 상태에 대한 획기적인 조사이다. 이 보고서는 행복과 실질적인 웰빙을 인간 개발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는 데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156개 국가의 행복 수준을 순위로 매긴다. 그 목적이 확대되면서 정부, 지역 사회 및 조직은 적절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더 나은 삶을 제공하는 정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행복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보고서는 오늘날 세계의 행복 상태를 검토하고 행복 과학이 개인 및 국가의 행복 변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보여준다.[14]
유엔에서 다시 개발되었고, 최근 HDI와 함께 발표된 이 보고서는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를 결합하여 행복도에 따라 국가 순위를 매기며, 이는 높은 삶의 질의 궁극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 보고서는 갤럽의 설문 조사, 1인당 실질 GDP, 건강 기대 수명, 의지할 사람의 유무, 삶의 선택에 대한 인식된 자유, 부패로부터의 자유, 관대함을 사용하여 최종 점수를 도출한다. 행복은 이미 세계 공공 정책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행복 보고서는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지역에서 행복의 점진적인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15]
삶의 질 지수(PQLI)는 1970년대 사회학자 M. D. 모리스가 개발한 지표로, 기본 문해력, 영아 사망률, 기대 수명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지표만큼 복잡하지 않고, 현재는 인간 개발 지수에 의해 대체되었지만, PQLI는 당시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던 세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춰 "덜 운명론적이고 비관적인 그림"을 제시하려는 모리스의 시도로 주목할 만하며, 국민 총생산 및 개선되지 않는 다른 가능한 지표는 무시했다.[16]
2006년에 도입된 행복 지구 지수는 삶의 질 지표 중에서 고유한데, 웰빙의 표준 결정 요인 외에도 각 국가의 생태 발자국을 지표로 사용한다. 그 결과, 유럽과 북미 국가들이 이 지표에서 우위를 차지하지 못한다. 2012년 목록은 대신 코스타리카, 베트남, 콜롬비아가 상위권을 차지했다.[17]
2010년, 갤럽 연구원들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덴마크가 목록의 최상위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8] 2014년에서 2016년까지 노르웨이가 덴마크를 제치고 목록의 최상위에 올랐다.[19]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2명이 2010년에 실시한 연구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000명의 미국 거주자를 장기간에 걸쳐 조사했다. 이 연구는 그들의 '삶에 대한 평가' 즉, 1에서 10까지의 주어진 척도에 따라 자신의 삶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 소득과 함께 꾸준히 증가한다고 결론 내렸다. 반면에, 그들이 보고한 '감정적 일상 경험'의 질(그들이 보고한 기쁨, 애정, 스트레스, 슬픔, 또는 분노의 경험)은 특정 소득 수준(2010년 기준 연간 약 75,000달러) 이후에는 정체된다. 75,000달러 이상의 소득은 더 많은 행복 경험이나 불행 또는 스트레스의 추가적인 완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 소득 수준 이하에서는 응답자들이 행복 감소, 슬픔 및 스트레스 증가를 보고했으며, 이는 질병, 이혼, 고독을 포함한 삶의 불행으로 인한 고통이 빈곤에 의해 악화됨을 의미한다.[20]
국민 행복 지수 및 기타 주관적인 행복 지표는 부탄 정부와 영국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다.[21]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발행하는 세계 행복 보고서[22]는 전 세계 행복에 대한 메타 분석으로, GNH를 사용하는 국가 및 풀뿌리 활동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2013년에 주관적 웰빙 지표 사용에 대한 가이드를 발행했다.[23] 미국에서는 도시와 지역 사회가 풀뿌리 수준에서 GNH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24]
사회 발전 지수는 국가가 시민의 사회적 및 환경적 요구를 얼마나 충족하는지 측정한다. 기본적 인간의 필요, 웰빙의 기반, 기회 분야의 52가지 지표는 국가의 상대적 성과를 보여준다. 이 지수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거나 가장 가까운 프록시가 있는 경우 결과 지표를 사용한다.
일상 재구성 방법은 행복을 측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연구자들이 피험자들에게 전날 했던 다양한 일들을 기억하고 각 활동 동안의 기분을 설명하도록 요청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접근하기 쉬웠지만 기억력이 필요했고, 실험 결과 사람들의 답변이 각 주제를 반복적으로 회상한 사람들의 답변과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방법은 결국 더 많은 노력과 사려 깊은 답변을 요구하면서 쇠퇴했는데, 이는 종종 매일의 모든 행동을 기록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람들에게 나타나지 않는 해석과 결과를 포함했다.[25]
디지털 삶의 질 지수는 서프샤크가 만든 121개 국가의 디지털 웰빙에 대한 연간 연구이다. 인터넷 접근성, 인터넷 품질, 전자 인프라, 전자 보안 및 전자 정부의 5가지 기둥에 따라 각 국가를 지수화한다.[26]
- 부탄 행복 지수
- 경제 진보의 광범위한 지표
- 생계비 지수
- 장애 보정 수명
- 녹색 국민 총생산
- 성 관련 개발 지수
- 진정한 진보 지표
- 국민 행복
- 국민 웰빙
- 행복 경제학
- 행복 지수
- 주택 구매 능력 지수
- 인간 개발 지수
- 점진적 활용 이론
- 레가툼 번영 지수
- 여가 만족도
- OECD 더 나은 삶 지수
- 탈물질주의
- 심리 측정
- 건강권
- 주관적 삶의 만족도
- 출생지 지수
- 위키프로그레스
- 세계 행복 보고서
- 세계 가치관 조사
4. 1. 1. 인간 개발 지수 (HDI)
아마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제 개발 지표는 인간 개발 지수(HDI)일 것이다. 이는 주어진 사회 내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정량화하기 위해 기대 수명, 교육 및 생활 수준의 척도를 결합한다. HDI는 유엔 개발 계획(UNDP)에서 인간 개발 보고서에 사용한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인간 개발 보고서는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IHDI)를 도입했다. 원래의 HDI는 유용하지만, "IHDI는 (불평등을 고려한) 실제 인간 개발 수준이며, 원래의 HDI는 불평등이 없다면 달성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인간 개발 지수(또는 HDI의 최대 수준)로 볼 수 있다"고 명시했다.[13]4. 1. 2. 세계 행복 보고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전 세계 행복의 상태에 대한 획기적인 조사이다. 이 보고서는 행복과 실질적인 웰빙을 인간 개발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는 데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156개 국가의 행복 수준을 순위로 매긴다. 그 목적이 확대되면서 정부, 지역 사회 및 조직은 적절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더 나은 삶을 제공하는 정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행복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보고서는 오늘날 세계의 행복 상태를 검토하고 행복 과학이 개인 및 국가의 행복 변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보여준다.[14]
유엔에서 다시 개발되었고, 최근 HDI와 함께 발표된 이 보고서는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를 결합하여 행복도에 따라 국가 순위를 매기며, 이는 높은 삶의 질의 궁극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 보고서는 갤럽의 설문 조사, 1인당 실질 GDP, 건강 기대 수명, 의지할 사람의 유무, 삶의 선택에 대한 인식된 자유, 부패로부터의 자유, 관대함을 사용하여 최종 점수를 도출한다. 행복은 이미 세계 공공 정책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행복 보고서는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지역에서 행복의 점진적인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15]
4. 1. 3. 기타 지표
삶의 질 지수(PQLI)는 1970년대 사회학자 M. D. 모리스가 개발한 지표로, 기본 문해력, 영아 사망률, 기대 수명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지표만큼 복잡하지 않고, 현재는 인간 개발 지수에 의해 대체되었지만, PQLI는 당시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던 세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춰 "덜 운명론적이고 비관적인 그림"을 제시하려는 모리스의 시도로 주목할 만하며, 국민 총생산 및 개선되지 않는 다른 가능한 지표는 무시했다.[16]2006년에 도입된 행복 지구 지수는 삶의 질 지표 중에서 고유한데, 웰빙의 표준 결정 요인 외에도 각 국가의 생태 발자국을 지표로 사용한다. 그 결과, 유럽과 북미 국가들이 이 지표에서 우위를 차지하지 못한다. 2012년 목록은 대신 코스타리카, 베트남, 콜롬비아가 상위권을 차지했다.[17]
2010년, 갤럽 연구원들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덴마크가 목록의 최상위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8] 2014년에서 2016년까지 노르웨이가 덴마크를 제치고 목록의 최상위에 올랐다.[19]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2명이 2010년에 실시한 연구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000명의 미국 거주자를 장기간에 걸쳐 조사했다. 이 연구는 그들의 '삶에 대한 평가' 즉, 1에서 10까지의 주어진 척도에 따라 자신의 삶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 소득과 함께 꾸준히 증가한다고 결론 내렸다. 반면에, 그들이 보고한 '감정적 일상 경험'의 질(그들이 보고한 기쁨, 애정, 스트레스, 슬픔, 또는 분노의 경험)은 특정 소득 수준(2010년 기준 연간 약 75,000달러) 이후에는 정체된다. 75,000달러 이상의 소득은 더 많은 행복 경험이나 불행 또는 스트레스의 추가적인 완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 소득 수준 이하에서는 응답자들이 행복 감소, 슬픔 및 스트레스 증가를 보고했으며, 이는 질병, 이혼, 고독을 포함한 삶의 불행으로 인한 고통이 빈곤에 의해 악화됨을 의미한다.[20]
국민 행복 지수 및 기타 주관적인 행복 지표는 부탄 정부와 영국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다.[21]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발행하는 세계 행복 보고서[22]는 전 세계 행복에 대한 메타 분석으로, GNH를 사용하는 국가 및 풀뿌리 활동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2013년에 주관적 웰빙 지표 사용에 대한 가이드를 발행했다.[23] 미국에서는 도시와 지역 사회가 풀뿌리 수준에서 GNH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24]
사회 발전 지수는 국가가 시민의 사회적 및 환경적 요구를 얼마나 충족하는지 측정한다. 기본적 인간의 필요, 웰빙의 기반, 기회 분야의 52가지 지표는 국가의 상대적 성과를 보여준다. 이 지수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거나 가장 가까운 프록시가 있는 경우 결과 지표를 사용한다.
일상 재구성 방법은 행복을 측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연구자들이 피험자들에게 전날 했던 다양한 일들을 기억하고 각 활동 동안의 기분을 설명하도록 요청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접근하기 쉬웠지만 기억력이 필요했고, 실험 결과 사람들의 답변이 각 주제를 반복적으로 회상한 사람들의 답변과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방법은 결국 더 많은 노력과 사려 깊은 답변을 요구하면서 쇠퇴했는데, 이는 종종 매일의 모든 행동을 기록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람들에게 나타나지 않는 해석과 결과를 포함했다.[25]
디지털 삶의 질 지수는 서프샤크가 만든 121개 국가의 디지털 웰빙에 대한 연간 연구이다. 인터넷 접근성, 인터넷 품질, 전자 인프라, 전자 보안 및 전자 정부의 5가지 기둥에 따라 각 국가를 지수화한다.[26]
- 부탄 행복 지수
- 경제 진보의 광범위한 지표
- 생계비 지수
- 장애 보정 수명
- 녹색 국민 총생산
- 성 관련 개발 지수
- 진정한 진보 지표
- 국민 행복
- 국민 웰빙
- 행복 경제학
- 행복 지수
- 주택 구매 능력 지수
- 인간 개발 지수
- 점진적 활용 이론
- 레가툼 번영 지수
- 여가 만족도
- OECD 더 나은 삶 지수
- 탈물질주의
- 심리 측정
- 건강권
- 주관적 삶의 만족도
- 출생지 지수
- 위키프로그레스
- 세계 행복 보고서
- 세계 가치관 조사
4. 2. 한국의 삶의 질 측정
2011년 8월 21일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성장동력, 삶의 질, 환경, 인프라 등 4개 부문의 국가경쟁력 지표를 개발해 순위를 매긴 결과, 한국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39개국 가운데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삶의 질은 지난 2000년과 2008년 모두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렀었다.[38]4. 2. 1. 대한민국 삶의 질 현황
2011년 8월 21일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성장동력, 삶의 질, 환경, 인프라 등 4개 부문의 국가경쟁력 지표를 개발해 순위를 매긴 결과, 한국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39개국 가운데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삶의 질은 지난 2000년과 2008년 모두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렀었다.[38]5.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삶의 질은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삶의 질을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척도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발 이론 내에서 특정 사회에 바람직한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관들이 삶의 질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은 이러한 조직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지를 형성한다.[32]
예를 들어 세계 은행과 같은 조직은 "빈곤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는 것"을 목표로 선언하며,[32] 빈곤은 식량, 물, 쉼터, 자유, 교육, 의료 서비스 또는 고용에 대한 접근성과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가 부족한 것으로 정의된다.[33] 즉, 빈곤은 낮은 삶의 질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여 세계 은행은 빈곤을 줄이고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는 목표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다른 조직들은 약간 다른 정의와 실질적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글로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많은 비정부 기구(NGO)는 국가 또는 국제적 규모의 빈곤 감소에 전혀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개인이나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한다. 한 예로는 특정 개인에게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는 후원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많은 조직이 여전히 빈곤 퇴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지만 방법은 상당히 다르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면 NGO뿐만 아니라 정부의 조치도 필요하다. 정부가 인간 안보의 측면을 외교 정책에 통합한다면 글로벌 건강은 더 큰 정치적 입지를 얻을 수 있다. 개인의 건강, 식량, 쉼터, 자유에 대한 기본 권리를 강조하는 것은 오늘날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문 간 문제를 해결하며, 더 큰 행동과 자원을 이끌어낼 수 있다. 글로벌 건강 문제의 외교 정책 통합은 방위 및 외교의 전반적인 역할에 의해 형성된 접근 방식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34]
5. 1. 개인적 차원
개인적 차원에서 삶의 질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예후, 호스피스, 완화 의료, 대체 의학, 지지 요법, 임종 간호 등은 삶의 질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들이다. 일상생활 동작(ADL)은 개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 중 하나이며, 죽음과 생명 존엄성은 삶의 질 논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일본 기업 쿠올은 퀄리티 오브 라이프(Quality of Life)를 사명으로 조제 약국을 운영하고 있다.5. 2. 사회적 차원
삶의 질은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삶의 질을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척도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발 이론 내에서 특정 사회에 바람직한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관들이 삶의 질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은 이러한 조직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지를 형성한다.[32]예를 들어 세계 은행과 같은 조직은 "빈곤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는 것"을 목표로 선언하며,[32] 빈곤은 식량, 물, 쉼터, 자유, 교육, 의료 서비스 또는 고용에 대한 접근성과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가 부족한 것으로 정의된다.[33] 즉, 빈곤은 낮은 삶의 질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여 세계 은행은 빈곤을 줄이고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는 목표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다른 조직들은 약간 다른 정의와 실질적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글로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많은 비정부 기구(NGO)는 국가 또는 국제적 규모의 빈곤 감소에 전혀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개인이나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한다. 한 예로는 특정 개인에게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는 후원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많은 조직이 여전히 빈곤 퇴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지만 방법은 상당히 다르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면 NGO뿐만 아니라 정부의 조치도 필요하다. 정부가 인간 안보의 측면을 외교 정책에 통합한다면 글로벌 건강은 더 큰 정치적 입지를 얻을 수 있다. 개인의 건강, 식량, 쉼터, 자유에 대한 기본 권리를 강조하는 것은 오늘날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문 간 문제를 해결하며, 더 큰 행동과 자원을 이끌어낼 수 있다. 글로벌 건강 문제의 외교 정책 통합은 방위 및 외교의 전반적인 역할에 의해 형성된 접근 방식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34]
5. 3. 국가적 차원
삶의 질은 국제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삶의 질은 생활 수준보다 더 포괄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척도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발 이론 내에서 특정 사회에 바람직한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관들이 삶의 질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은 이러한 조직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지를 형성한다.예를 들어 세계 은행과 같은 조직은 "빈곤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는 것"을 목표로 선언하며,[32] 빈곤은 식량, 물, 쉼터, 자유, 교육, 의료 서비스 또는 고용에 대한 접근성과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가 부족한 것으로 정의된다.[33] 즉, 빈곤은 낮은 삶의 질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여 세계 은행은 빈곤을 줄이고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는 목표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다른 조직들은 약간 다른 정의와 실질적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글로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많은 비정부 기구(NGO)는 국가 또는 국제적 규모의 빈곤 감소에 전혀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개인이나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한다. 한 예로는 특정 개인에게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는 후원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많은 조직이 여전히 빈곤 퇴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지만 방법은 상당히 다르다.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면 NGO뿐만 아니라 정부의 조치도 필요하다. 정부가 인간 안보의 측면을 외교 정책에 통합한다면 글로벌 건강은 더 큰 정치적 입지를 얻을 수 있다. 개인의 건강, 식량, 쉼터, 자유에 대한 기본 권리를 강조하는 것은 오늘날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문 간 문제를 해결하며, 더 큰 행동과 자원을 이끌어낼 수 있다. 글로벌 건강 문제의 외교 정책 통합은 방위 및 외교의 전반적인 역할에 의해 형성된 접근 방식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34]
5. 3. 1. 한국의 정책 방향
(빈 문서)6. 기타
영어 낱말인 '''웰빙'''은 국립국어원에서 '''참살이'''로 갈음한 바 있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WHOQOL: Measuring Quality of Lif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5-22
[2]
서적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Wiley-Blackwell
2009-06
[3]
서적
The Quality of Life
http://www.oxfordsch[...]
Clarendon Press
[4]
웹사이트
Quality Of Life: Everyone Wants It, But What Is It?
2016-05-10
[5]
학술지
The Cancer Patient and Quality of Life
[6]
학술지
Measuring Social Sustainability: A Community-Centred Approach
https://www.academia[...]
2017-11-02
[7]
학술지
High income improves evaluation of life but not emotional well-being
https://www.princeto[...]
2010-08-04
[8]
서적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Penguin
2006-04-06
[9]
학술지
High income improves evaluation of life but not emotional well-being
2010
[10]
간행물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Quality of Life
http://www.kansascit[...]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2008-10
[11]
학술지
The Big Question: Quality of Life: What Does It Mean? How Shoulf We Measure It?
2011
[12]
학술지
An Integrative Approach to Quality of Life Measurement, Research, and Policy
http://sapiens.revue[...]
2009-05-05
[1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Composite indices – HDI and beyond"
http://hdr.undp.org/[...]
2021-01-16
[14]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http://worldhappines[...]
Helliwell, J., Layard, R., & Sachs, J. (2016). World Happiness Report 2016, Update (Vol. I). New York: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16-05-12
[15]
학술지
Health and Happiness
2016-03-26
[16]
학술지
The Physical Quality of Life Index (PQLI)
1980-01
[17]
웹사이트
The Happy Planet Index 2.0
http://www.happyplan[...]
New Economics Foundation
2012-09-02
[18]
간행물
Table: The World's Happiest Countries
https://www.forbes.c[...]
2010-07-14
[19]
웹사이트
The Happiest and Unhappiest Countries in the World
https://news.gallup.[...]
2021-09-09
[20]
웹사이트
Higher income improves life rating but not emotional well-being
http://www.physorg.c[...]
PhysOrg.com
2010-09-07
[21]
웹사이트
Measures of National Well-being
http://www.ons.gov.u[...]
2013-11-20
[22]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http://www.earth.col[...]
The Earth Institute - Columbia University
[23]
서적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http://www.oecd.or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4]
웹사이트
Happy Places
http://www.happycoun[...]
2013-11-20
[25]
서적
The Politics of Happiness : What Government Can Learn from the New Research on Well-Be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6]
웹사이트
What's the 'digital quality of life' level in your country?
https://www.weforum.[...]
2023-10-30
[27]
뉴스
Vienna holds off Melbourne to top EIU ranking of most liveable cities
https://www.reuters.[...]
2022-10-16
[28]
웹사이트
Quality of Life Research Unit
https://www.u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2009-10-14
[29]
웹사이트
Begin Your Journey!
https://www.qualityo[...]
2019-07-25
[30]
학술지
Temporal Dynamics of Health and Well-Being: A Crowdsourcing Approach to Momentary Assessments and Automated Generation of Personalized Feedback
https://pure.rug.nl/[...]
[31]
서적
Encyclopedia of the Life Course and Human Development
Macmillan Reference
2009
[32]
웹사이트
The World Bank
http://siteresources[...]
The World Bank
2010-11-02
[33]
웹사이트
Poverty - Overview
http://go.worldbank.[...]
The World Bank
2009
[34]
문서
Spiegel and Huish. Canadian Foreign Aid for Global Health: Human Security Opportunity Lost.
[35]
웹사이트
Big 5 - Get In: Know yourself
https://www.coursera[...]
2022-09-07
[36]
간행물
重度・重複障害者におけるQOL評価法の検討
http://www.n-seiryo.[...]
新潟青陵大学
[37]
서적
超高齢社会のフロントランナー日本:これからの日本の医学・医療のあり方
https://www.scj.go.j[...]
日本学術会議 臨床医学委員会
2018-01-12
[38]
뉴스
한국 삶의 질 27위, 2000년과 2008년 연속 하위권 머물러
http://n.newswave.kr[...]
뉴스웨이브
2011-08-22
[39]
뉴스
나의 사회적 건강지수는?
http://www.sisajeju.[...]
시사제주
2013-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