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24년부터 1826년까지 벌어진 꼰바웅 왕조와 영국 동인도 회사 간의 무력 충돌이다. 꼰바웅 왕조가 아라칸을 정복한 후 주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하자, 영국령 인도와 국경 분쟁이 발생하여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쟁은 영국군의 승리로 끝나 얀다보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미얀마는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타닌타리 지역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로 인해 미얀마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영국의 영향력이 커져 결국 추가적인 전쟁을 거쳐 식민지화되었다. 전쟁으로 영국과 미얀마 모두 막대한 인명 및 재정적 손실을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 얀다보 조약
    얀다보 조약은 1826년 영국과 버마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제1차 영국-버마 전쟁을 종결하고 영국이 아삼, 마니푸르, 라카인, 타닌타리를 할양받고 배상금을 요구하여 버마 왕국을 무력화시켰다.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824년 5월 랑군에 대한 영국군의 상륙 작전
1824년 5월 랑군에 대한 영국군의 상륙 작전
분쟁 명칭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미얀마어 명칭ပထမ အင်္ဂလိပ် မြန်မာ စစ် (파타마 잉갈레이-먀마 싯)
다른 미얀마어 명칭ပထမ အင်္ဂလိပ် ကျူးကျော် စစ် (파타마 잉갈레이 츄죠 싯)
기간1824년 3월 5일 – 1826년 2월 24일 (1년 11개월 19일)
장소꼰바웅 왕조, 동벵골, 아삼, 마니푸르, 카차르, 자 intia
결과영국의 승리
조약얀다보 조약
영토 변경꼰바웅 왕조가 아홈 왕국, 마니푸르 왕국, 아라칸, 타보이(테나세림)을 할양함; 카차르와 자 intia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함; 100만 파운드 스털링의 배상금을 지불함
교전 세력
교전국 1대영 제국
[[파일:Flag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1801).svg|23px]] 영국 동인도 회사
협력국라타나코신 왕국 (시암)
교전국 2꼰바웅 왕조
샨족 국가
연합 카친족 부족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파일:Flag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1801).svg|23px]] 로드 암허스트
에드워드 파젯 경
아치볼드 캠벨 경
조셉 원턴 모리슨 (병사)
[[파일:Naval Ensign of the United Kingdom.svg|25px]] 찰스 그랜트 (병사)
협력국 지휘관라마 3세
짜오프라야 마하요타
프라야 수라세나
프라야 춤폰
교전국 2 지휘관바지도 왕
마하 반둘라
마하 네 묘
마하 티하 투라
민캬우 제야 투라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영국군: 40,000명
시암군: 20,000명
교전국 2 병력미얀마군: 30,000명
동맹군: 10,000명
사상자 및 피해
교전국 1 사상자유럽인 사상자의 72%가 질병으로 사망 (25%는 전투 중 사망)
3,500명 이상의 인도인 및 기타 사상자
총 사망자: 15,000명 (600명 사망, 12,000명 질병 사망, 8,000명 부상)
교전국 2 사상자불명, 하지만 영국군보다 훨씬 높음; 아치볼드 캠벨 사령관은 상대방 사상자를 최소 20,000명으로 추정함
관련 정보
전쟁의 부분영국-미얀마 전쟁

2. 배경

1784년~1785년미얀마가 아라칸 왕국을 정복하면서 아라칸 피난민들이 영국령 인도로 유입되었다. 이들은 벵골 지방에서 군대를 조직해 미얀마를 공격했고, 미얀마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벵골을 침공했다가 벵골 지역 지배자들의 공격으로 철수했다.

1823년 미얀마군이 영국령 인도와의 국경 근처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국경을 넘어 인도를 침범하자, 영국은 무력으로 대응했다.

영국은 벵골의 영향권 확장 외에도 영국 제조업체의 새로운 시장을 원했고,[12][13] 프랑스가 버마 항구를 사용하는 것과 프랑스의 아바 궁정 영향력을 우려했다.[14]

2. 1. 미얀마의 서진 정책

꼰바웅 왕조1784년~1785년에 아라칸 왕국을 정복한 이후, 아삼, 마니푸르, 카차르, 자인티아 등 인접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이는 영국령 벵골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야기했다.[10]

1823년 미얀마군이 영국령 인도와의 국경 근처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인도를 침범하자, 영국은 무력으로 대응했다. 버마의 총사령관 마하 반둘라는 영국에 대한 공격 정책을 지지했으며, 결정적인 승리를 통해 아라칸, 마니푸르, 아삼, 카차르, 자인티아를 통합하고 동벵골을 장악할 수 있다고 믿었다.[10]

1823년 9월, 버마가 동인도 회사가 주장한 치타공 근처의 샬푸리 섬을 점령하면서 전쟁의 명분이 발생했다.[11]

2. 2. 영국의 동진 정책

영국 동인도 회사는 벵골을 중심으로 인도 동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들은 미얀마의 팽창을 자국의 이익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특히, 영국은 프랑스가 미얀마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경계했다.[12][13][14]

1822년까지 버마의 마니푸르와 아삼으로의 확장과 자인티아와 카차르의 산악 국가들로의 탐침 전진 정책은 영국령 벵골에 압력을 가했다. 캘커타는 일방적으로 카차르와 자인티아를 영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군대를 파병했다.[10]

영국 영토 및 영향권에서 이 새로이 획득한 영토로의 국경 침입은 버마를 괴롭혔다.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확신한 버마의 총사령관 마하 반둘라는 영국에 대한 공격 정책의 주요 지지자가 되었다. 반둘라는 왕비 메 누와 그의 오빠인 살린의 영주를 포함한 바기다우 궁정의 전쟁 당파의 일원이었다.[8] 반둘라는 또한 결정적인 승리가 아바가 아라칸, 마니푸르, 아삼, 카차르, 자인티아에 있는 새로운 서부 제국에서 이득을 통합하고 동벵골을 장악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었다.[10]

1823년 9월, ''전쟁의 명분''은 버마가 동인도 회사가 주장한 치타공 근처의 샬푸리 섬을 점령한 것이었다.[11]

영국은 프랑스가 버마 항구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그 당시 알려졌던 왕국에서 프랑스의 아바 궁정 영향력에 대해 우려했다.[14] 영국 대사 마이클 사이므스의 사절단은 미래의 영국 계획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은 국가 정보를 얻도록 장비되었던 반면 이전 사절들은 주로 무역 양보에 관심이 있었다.

2. 3. 국경 분쟁과 충돌

1823년 미얀마군이 영국령 치타공 인근의 샤푸리 섬을 점령하면서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11] 이후 카차르와 자인티아 지역에서 양측 군대가 충돌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10]

1822년까지 버마의 마니푸르와 아삼으로의 확장과 자인티아, 카차르의 산악 국가들로의 진출은 영국령 벵골에 압력을 가했다. 캘커타는 일방적으로 카차르와 자인티아를 영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군대를 파병했다.[10]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확신한 버마의 총사령관 마하 반둘라는 영국에 대한 공격 정책의 주요 지지자가 되었다. 그는 결정적인 승리가 아바가 아라칸, 마니푸르, 아삼, 카차르, 자인티아에 있는 새로운 서부 제국에서 이득을 통합하고 동벵골을 장악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었다.[10]

1824년 1월, 버마는 최고 사령관 중 한 명인 타도 티리 마하 우자나를 카차르와 자인티아로 보내 반군을 해산시켰다. 영국은 카차르에서 버마군과 대치하기 위해 자체 군대를 파병하여 두 나라 간의 첫 충돌을 야기했다. 전쟁은 1824년 3월 5일 아라칸의 국경 충돌 이후 공식적으로 발발했다.

3. 전쟁 과정

1824년 영국 원정대는 별다른 전투 없이 양곤에 상륙했지만, 미얀마인들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좌절되었다. 1825년 영국군은 북쪽으로 진격해 아바 남쪽에서 전투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미얀마 장군 반둘라가 전사했다.[26]

전쟁은 1826년 2월 얀다보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인도군도 참여하여 1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3. 1. 서부 전선 (1824-1825)

1824년 초, 미얀마군 최고 사령관 마하 반둘라(Maha Bandula)는 아라칸(Arakan) 전선에서 칫타공(Chittagong)을, 북쪽 카차르(Cachar)와 자인티아(Jaintia)에서 실렛(Sylhet)을 공격하는 양면 공격을 계획했다.[10] 반둘라는 아라칸 전선을 직접 지휘했고, 우자나(Uzani)는 카차르와 자인티아 전선을 지휘했다.[8]

전쟁 초기, 미얀마군은 유럽군의 진군에 "엄청난 장애물"이 되는 지형에 더 익숙했기에 영국군을 밀어붙였다.[6] 우자나는 1824년 1월에 카차르와 자인티아에서 영국군 부대를 패퇴시켰다.

1824년 5월, 마하 티하 투라(Maha Thiha Thura)[15]가 이끄는 약 4,000명의 미얀마 부대는 벵골로 진격하여 5월 17일 콕스 바자르(Cox's Bazar) 동쪽 약 16.09km 지점인 람무 전투(Battle of Ramu)에서 영국군을 격파했다.[16] 미얀마의 성공은 칫타공과 캘커타에 극심한 공황을 불러일으켰다.[18]

그러나 반둘라는 과도한 확장을 원하지 않아 우 사(U Sa)가 칫타공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았다. 만약 반둘라가 칫타공으로 진격했더라면, 칫타공을 함락시키고 캘커타로 가는 길을 열 수 있었을 것이다.[7]

1824년 12월, 양곤 전투에서 반둘라 장군이 패배한 후, 영국군은 아라칸으로 눈을 돌렸다. 1825년 2월 1일, 1만 1천 명의 병력을 이끈 모리슨(Morrison) 장군이 아라칸의 버마군 진지를 공격했다.

1825년 3월 29일, 영국군은 므라욱우(Mrauk-U)를 공격했다. 며칠간의 전투 끝에 4월 1일 므라욱우의 버마군은 패배했고, 우 사와 남은 버마군은 아라칸을 철수했다. 영국군은 아라칸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했다.[15]

3. 2. 미얀마 본토 전선 (1824-1826)

1824년 5월 11일, 영국 해군(영국군 5,000명과 인도 용병 5,000명 이상)이 양곤(랑군) 항구에 진입하여 미얀마군을 기습했다.[20][21] 미얀마군은 초토화 작전을 펼쳐 텅 빈 도시를 남겨두고 도시 외곽 동서 약 16km에 걸쳐 방어선을 구축했다. 아치볼드 캠벨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요새화된 쉐다곤 파고다 경내에 진지를 구축했다. 영국군은 미얀마군 방어선을 공격하여 1824년 7월까지 미얀마군을 쉐다곤에서 약 8km 떨어진 카마유트로 몰아냈다. 9월에 미얀마군이 쉐다곤을 탈환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22]

1824년 5월, 영국 해군이 양곤(Rangoon) 항구에 진입하다


1824년 6월 10일, 양곤(Rangoon) 근처 케멘다인(Kemmendine) 소규모 방어진 점령


1824년 7월 8일, 양곤 강(Rangoon River) 파고다 포인트(Pagoda Point) 방어진 공격


바기다왕은 서부 전선에서 거의 완전한 철수를 명령했다. 아라칸과 벵골에서 온 반둘라와 아쌈, 카차르, 자인티아에서 온 우자나는 양곤에서 영국군과 맞서 싸우도록 했다. 8월, 우기 한창인 가운데 반둘라와 그의 군대는 아라칸 요마를 넘었다.[23] 왕은 나중에 반둘라와 우자나에게 최고의 군사 계급인 '''아가 마하 테나파티'''(Aggamahāsenāpatipi) 칭호를 수여했다. 반둘라에게는 싯타웅 총독직도 주어졌다.[22]

11월까지 반둘라는 양곤 외곽에서 대규모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영국 자료에 따르면 병력 수는 3만 명에서 6만 명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24] 버마 왕실 기록에 따르면 그 수는 약 1만 6천 명이었다.[25]

반둘라는 1만 명의 정규 영국군을 정면으로 공격할 수 있다고 믿었다. 미얀마군은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군대의 절반 정도만 소총을 사용했고 나머지는 창과 칼로 무장했다. 미얀마군 대포는 포탄만 발사했지만 영국군 대포는 폭발성 포탄을 발사했다.[20] 콩그리브 로켓을 공급받은 영국군을[23][26] 상대로 11월 30일, 반둘라는 영국군 진지를 정면으로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우월한 무기를 가진 영국군은 쉐다곤 요새에서 미얀마군의 여러 차례 공격을 막아내며 수천 명의 병력을 사살했다. 12월 7일까지 로켓포 사격 지원을 받은 영국군은 우세를 점하기 시작했다. 12월 15일, 미얀마군은 코킨에 남아 있던 마지막 거점에서 쫓겨났다.[26]

결국 1만 6천 명의 미얀마군 중 7천 명만이 왕실 군대로 돌아왔다.[20] 캠벨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얀마군은 15일간의 전투에서 약 6천 명의 사상자를 냈다.[27]

다뉴뷰의 반둘라 전망대 나무, 4문의 대포가 설치되어 있음


반둘라는 양곤에서 멀지 않은 이라와디 삼각주의 작은 마을인 다뉴뷰(Danubyu)에 있는 후방 기지로 후퇴했다. 양곤에서 경험 많은 병사들을 잃은 미얀마군은 이제 질이 혼합된 약 1만 명으로, 국왕의 최정예 병사들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훈련받지 않고 무장도 제대로 되지 않은 징집병들도 많았다. 보루 자체는 강둑을 따라 뻗어 있었고, 높이가 약 4.57m가 넘는 견고한 티크 목재로 만들어졌다.[26]

1825년 3월, 군함으로 지원받는 4,000명의 영국군이 다뉴뷰를 공격했다. 최초의 영국군 공격은 실패했고, 반둘라는 보병, 기병, 그리고 17마리의 전투 코끼리를 이끌고 반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코끼리들은 로켓포 사격에 막혔고, 기병들은 지속적인 영국군 포격 앞에서 움직일 수 없었다.[26]

4월 1일, 영국군은 대규모 공격을 개시하여 중화기로 마을을 맹렬히 공격하고 미얀마군 방어선 전체에 로켓을 퍼부었다. 반둘라는 박격포탄에 맞아 사망했다. 반둘라는 적의 포격에 쉬운 표적이 될 것이라는 장군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금빛 우산 아래 풀 군복을 차려입고 자신의 부하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요새를 돌아다녔다. 반둘라가 사망한 후, 미얀마군은 다뉴뷰에서 철수했다.[26]

4. 얀다보 조약 (1826)

1825년 12월 26일, 버마군은 영국 진영에 휴전 깃발을 보냈고, 협상 끝에 1826년 2월 얀다보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끝내기로 합의했다.[29]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영토 할양미얀마는 아삼, 마니푸르, 라카인주(아라칸), 살윈강 남쪽의 타닌타리 (테나세림) 해안을 영국에 할양했다.[6][7]
배상금 지불미얀마는 100만파운드(또는 )의 배상금을 4회에 걸쳐 영국에 지불해야 했다.[7]
외교 및 통상 관계양국은 전쟁을 끝내고 통상 조약을 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4. 1. 영토 할양

미얀마는 아삼, 마니푸르, 라카인주(아라칸), 살윈강 남쪽의 타닌타리 (테나세림) 해안을 영국에 할양했다.[6][7]

4. 2. 배상금 지불

미얀마는 100만파운드(또는 )의 배상금을 4회에 걸쳐 영국에 지불해야 했다.[7] 이 배상금은 당시 유럽에서도 큰 금액이었으며, 1826년 상부 미얀마 농민의 월평균 생활비가 1kyat이었던 점을 감안하면[7] 미얀마 왕실 재정에 엄청난 부담을 주었다.

4. 3. 외교 관계

1826년 2월 야난다보 조약을 통해 양국은 전쟁을 끝내기로 합의하였다.

4. 4. 통상 조약

1825년 12월 26일, 버마군은 영국 진영에 휴전 깃발을 보냈고, 협상 끝에 1826년 2월 야난다보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끝내기로 합의했다.[29]

5.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최초의 버마 전쟁 기념비 (세인트 조지 대성당)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영국과 미얀마 양국 모두에게 막대한 군사적, 재정적 손실을 안겼다. 특히 미얀마는 이 전쟁으로 인해 국가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질 정도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영국은 이 전쟁으로 인해 영국 동인도 회사중국과의 무역 독점권을 상실하는 등 경제적 위기를 겪었다.[9] 미얀마는 전쟁 배상금으로 인해 재정이 파탄나고, 결국 영국에 병합되는 결과를 맞이했다.[9]

5. 1. 영국의 피해

영국은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에 약 4만 명의 영국군과 인도군을 참전시켰고, 그중 1만 5천 명이 사망했다.[5][31] 전체 사상자 중 전투로 인한 사상자는 4분의 1에 불과했고, 약 70%는 열대 질병으로 사망하여 영국군 사상자는 부실한 계획과 병참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비난받았다.[4] 아라칸 원정에서만 유럽인 1,500명 중 659명, 인도인 8,000명 중 약 3,500명이 병원에서 사망했다.[32] 제1 마드라스 유럽 연대는 2년 만에 900명 중 600명을 잃었다. 프레드릭 도베톤 대위는 "참전 인원과 기간에 비례한 사망자와 부상자의 비율은 탈라베라와 워털루 전투와 비교될 수 있다!"라고 언급하며 영국군 사상자 수가 참전 군인들에게 여전히 높았다고 말했다.[27]

이 전쟁으로 영국령 인도는 1300만파운드에 달하는 재정적 손실을 보았고, 이는 인도에서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했다. 1833년까지 벵골 대리점들이 파산하고 영국 동인도 회사중국과의 무역 독점권을 잃었다.[9]

5. 2. 미얀마의 피해

영국과의 전쟁에서 미얀마는 막대한 군사적, 재정적 손실을 입었다. 특히 이 조약은 미얀마에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안겨주었고, 국가를 붕괴 직전으로 몰아넣었다.[5][31]

미얀마는 한 세대 동안의 남성들이 전투에서 몰살당하는 인명 피해를 입었다. 지난 75년간의 군사적 성공으로 쌓아 올린 정복과 무예에 대한 자부심은 무너져 내렸다.[34] 아바 궁정은 영토 상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고, 영토 회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아바에 거주하는 영국 거주민은 미얀마에게 굴욕적인 패배를 매일 상기시키는 존재였다.[9]

또한, 100만 파운드(1000만파운드)라는 막대한 배상금은 미얀마 왕실 재정을 수년간 파산 상태에 놓이게 했다. 1826년 상부 미얀마 농민의 월평균 생활비가 1MMK였던 것을 감안하면, 이는 엄청난 금액이었다.[7]

결국, 약화된 미얀마는 이후 1852년1885년에서 영국에게 더 적은 비용으로 패배했고, 1885년에는 영국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6. 평가와 관점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미얀마의 저항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논문 The Anxieties of Empire: British Debate on the Failure of John Crawfurd's Mission to Siam, c. 1820–1830 https://so06.tci-tha[...] 2023-02-28
[2] 서적 A History of Siam https://archive.org/[...] T. Fisher Unwin, Ltd. 2022-02-10
[3] 논문 Safe Haven: Mon Refugees at the Capitals of Siam from the 1500s to the 1800s https://thesiamsocie[...] 2022-02-10
[4] 서적 Political incidents of the First Burmese War Richard Bentley
[5]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ume 3 Sterling Publishers Pvt. Ltd
[6] 서적 History of Burma Sunil Gupta
[7] 서적 A History of Burm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River of Lost Footsteps – Histories of Burma Farrar, Straus and Giroux
[9] 서적 Gentlemen Capitalists: British Imperialism in South East Asia, 1770–1890 I.B. Tauris
[1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Burma
[11] 웹사이트 The Somerset Light Infantry: A History http://www1.somerset[...] 2014-09-01
[12] 서적 A New History of India Oxford UP
[13] 서적 An Account of an Embassy to the Kingdom of Ava http://www.burmalibr[...] 2011-12-13
[14] 서적 Burma http://missions.itu.[...]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15] 서적 History of Burma Susil Gupta
[16] 서적 History of Burma Frank Cass & Co. Ltd.
[17] 뉴스 Myawaddy Mingyi U Sa http://www.burmalibr[...] Working People's Daily 2011-12-09
[18] 서적 A History of Burm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Frontier And Overseas Expeditions From India India Intelligence Branch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River of Lost Footsteps
[23] 서적
[24] 서적 The British Humiliation of Burma
[25] 서적 Konbaung Set Yazawin
[26] 서적 River of Lost Footsteps
[27] 서적 Reminiscences of the Burmese War in 1824–5–6 Cambridge
[28] 서적 The River of Lost Footsteps – Histories of Burma Farrar, Straus and Giroux
[29] 서적 History of Burma Sunil Gupta
[3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Burm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British romantic views of the first Anglo-Burmese war, 1824–1826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32] 논문 Arakan and the First Anglo-Burmese War, 1824–25 1944-11
[33] 원고 Return of Casualties in Sir Archibald Campbell's Army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34] 서적 The River of Lost Footsteps – Histories of Burma Farrar, Straus and Giroux
[35] 서적 Oriental herald and journal of general literature, Volume 9 https://books.google[...] S.N.
[36] 웹사이트 On The Irrawaddy http://www.gutenberg[...] 2014-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