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하리코프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하리코프 전투는 1941년 10월에 독일군이 하르코프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하르코프는 소련의 중요한 철도 교통 및 군사 산업 중심지였으며, 독일군은 이곳을 점령하여 소련의 주요 수송 거점을 차단하고 경제를 붕괴시키려 했다. 전투 이전 독일군은 키예프 전투 이후 전열을 재정비하고 하르코프를 향해 진격했으며, 소련군은 모스크바 방어를 위해 병력을 투입하며 방어선을 구축했다. 치열한 전투 끝에 독일군은 10월 24일 하르코프를 점령했지만, 점령 기간 동안 독일군은 10월 10일의 라이헤나우 지령에 따라 유대인을 학살하고, 식량을 압수하여 주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리코프 공방전 - 제3차 하리코프 전투
    제3차 하리코프 전투는 1943년 2월에서 3월 사이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독일 남부집단군이 하리코프를 두고 격돌하여 소련군이 탈환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도시를 빼앗기고 막대한 피해를 입은 전투로,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의 자원 소모를 가속화시켜 쿠르스크 전투에 영향을 주었다.
  • 하리코프 공방전 - 제4차 하리코프 전투
  • 1941년 10월 - 바르바로사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은 1941년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작전으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육상 작전이었으나 소련군의 저항과 전략적 판단 오류 등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 1941년 10월 - 오데사 포위전 (1941년)
    오데사 포위전은 1941년 8월부터 10월까지 루마니아군과 소련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루마니아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오데사를 포위했으나 흑해 함대의 지원으로 완전한 포위에 실패하고 많은 사상자를 낸 후 1944년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 1941년 소련 - 소련-일본 중립 조약
    소련-일본 중립 조약은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과 일본 간에 체결된 상호 불가침 및 제3국과의 전쟁 시 중립을 약속하는 조약이었으나, 소련은 1945년 얄타 회담 이후 조약을 파기하고 대일 참전하여 일본 패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국제 정세 변화와 소련의 전략적 이익 추구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 1941년 소련 - 오데사 포위전 (1941년)
    오데사 포위전은 1941년 8월부터 10월까지 루마니아군과 소련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루마니아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오데사를 포위했으나 흑해 함대의 지원으로 완전한 포위에 실패하고 많은 사상자를 낸 후 1944년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제1차 하리코프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제1차 하리코프 전투
다른 명칭제1차 하르키우 공방전
일부독소 전쟁의 동부 전선
시기1941년 10월 20일 - 1941년 10월 24일
장소소련 우크라이나 SSR 하르키우
결과독일의 승리
교전 세력
지휘관
독일군 지휘관에르빈 비로프
안톤 도슈틀러
소련군 지휘관빅토르 치가노프
전력
독일군 전력2개 사단
1개 슈투름게슈츠 대대
10,000–30,000명 (추정)
12대 StuG III
소련군 전력1개 사단
피해 규모
독일군 피해불명
소련군 피해96,509명
참고 자료
관련 이미지
[[나치 독일|독일]] 보병 및 장갑 차량이 [[소련|소비에트]] 방어군과 [[하르키우#독일 점령|하르키우]] 거리에서 전투를 벌이는 모습
독일 보병과 장갑 차량이 소비에트 방어군과 하르키우 시가지에서 전투를 벌이는 모습
관련 정보
같이 보기하르키우 공방전

2. 하르코프의 중요성

2. 1. 철도 교통의 중심지

하르키우는 1941년 가을 소련에게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 도시는 크림 반도, 코카서스, 드네프르 강 지역, 돈바스우크라이나의 여러 지역과 소련의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남북 및 동서 연결망 역할을 했다.

2. 2. 군사적 중요성

하르코프는 소련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1] 하르코프 트랙터 공장은 T-34 전차를 설계하고 생산하는 핵심 시설이었다.[1] 이 외에도 하르코프 항공기 공장, NKVD 공장, 터빈 공장 등 다양한 군수 시설이 위치하여 Su-2 항공기, 포병 견인차, 82mm 박격포, 기관단총, 탄약 및 기타 장비와 같은 여러 중요한 군사 자산을 생산했다.[1]

아돌프 히틀러는 하르코프 지역에서 뻗어 나가는 도네츠 분지가 러시아 경제의 근간임을 인식하고, 이 군사 시설 점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 독일군은 이 중요한 경제 중심지를 장악하면 결국 러시아 경제 전체가 붕괴될 것이라고 믿었다.[1] 그 결과, 그들은 하르코프 산업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웠다.[1]

2. 3. 인구

1941년 5월 1일, 주요 소련 도시였던 하르코프의 인구는 90만 1천 명이었다.[2] 그러나 그 해 9월까지 전쟁을 피해 다른 도시에서 온 피난민들이 몰려들면서 인구는 150만 명으로 급증했다.[2] 수년간의 치명적인 분쟁을 겪은 후, 1943년 8월에 도시가 재탈환될 무렵, 하르코프의 인구는 18만 명에서 19만 명 사이로 크게 감소했다.[2]

3. 전투 이전 상황

3. 1. 키예프 전투 이후 독일군의 상황

키예프 전투 이후,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OKH)는 중부 집단군에게 병력을 재배치하여 모스크바 공격을 명령했다.[3] 그 결과, 제2 기갑 집단은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브랸스크쿠르스크로 향했다.[3] 발터 폰 라이헤나우제6군과 카를하인리히 폰 쉴트네겔의 제17군이 이끄는 남부 집단군이 그 자리를 매꾸며 기갑 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3] 한편, 남부 집단군의 주요 공격 부대인 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의 제1 기갑 집단은 총통 지령 제35호에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여 로스토프나도누와 코카서스 유전 지역으로 향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 제1 기갑 집단이 멜리토폴 전투에서 독일의 승리를 확보하는 동안, 키예프에서 포로로 잡힌 60만 명의 소련 전쟁 포로를 처리하는 부담은 제6군과 제17군에 떨어졌고, 이로 인해 두 군은 3주간의 재편성 기간을 가졌다.

독일군의 진격, 1941년 8월 26일 – 12월 5일

3. 2. 소련군의 상황

소련 최고 사령부(스타프카)는 남부 측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모스크바 전선의 병력을 희생하여 쿠르스크와 로스토프 사이 지역에 증원군을 투입했다.[3] 키예프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은 남서부 전선은 붉은 군대의 가장 유능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알려진 세묜 티모셴코 원수의 지휘 아래 재건되었다. 제6군, 제21군, 제38군제40군은 거의 처음부터 재편성되었다.

3. 3. 하르코프 접근

독일군은 모스크바 전투에서 측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하리코프 접근에 적용했다.[4] 10월 6일, 제6군은 수미와 옥티르카를 거쳐 벨고로드와 하르코프로 진격했고, 제17군은 폴타바에서 로조바와 이쥄 방면으로 공격하여 제1 기갑군의 측면을 보호하려 했다.[4] 이로 인해 소련 제6군과 제38군은 혼란 속에 후퇴했다.[4] 당시 소련군은 뱌지마와 브랸스크에서 대패하여 7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남서부 전선은 증원군 부족으로 보로네시로 후퇴해야 했다.[4]

독일군의 주요 목표는 레닌그라드, 모스크바, 코카서스 유전이었지만, 하리코프 역시 산업적 중요성과 철도 연결점으로서 중요한 부차적 목표였다.[5] 도시 점령은 소련군을 보로네시와 스탈린그라드로 밀어내 주요 수송 거점을 차단할 수 있었다.[5] 그러나 10월 둘째 주부터 라스푸티차 진창과 보급 문제로 독일군의 공세는 어려움을 겪었다. 모든 도로 교량이 붕괴되었고, 얼음은 부교 설치를 방해했다.[5]
하리코프 방어에 사용된 소련 벙커
히틀러는 하리코프 점령을 위해 제17군의 자원을 제6군에 지원했고, 이는 로스토프 전투에서 독일군 패배의 한 원인이 되었다.[6] 10월 17일 이후 밤 서리가 도로 상황을 개선했지만, 독일군은 겨울 장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4. 전투 과정

4. 1. 도시 점령 준비

보병 대장 에르빈 피어로프의 지휘 하에 있는 독일 ''제55군단''이 하르코프 공격 임무를 부여받았다.[7] 이 군단은 제101경보병사단, 제57보병사단, 제100경보병사단으로 구성되었다.[7] 제101 경보병 사단은 요제프 브라우너 폰 하이들링겐 사단장이 지휘했으며, 제57 보병 사단은 안톤 도스틀러 소장이 지휘했다.[7] ''돌격포-부대 197''는 세 개의 포대 중 두 개를 ''제57 보병 사단''에 배속하여 공격 중 근접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

하르코프 방어를 위해 소련 제216소총사단이 키예프에서 파괴된 후 재설립되었다.[7] 그러나 제38군이 전략적으로 후퇴하여 공장 장비가 대피될 때까지만 하르코프를 방어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4. 2. 도시 서쪽 가장자리 전투 (10월 20일 ~ 23일)

4. 2. 1. 제101 경보병 사단

10월 21일까지 제101경보병사단은 하르코프에서 서쪽으로 약 6km 지점까지 진격했다. 사단의 선봉 부대인 제228경보병연대는 제1대대와 제3대대를 최전선에 방어적으로 배치했고, 제2대대는 예비대로 남겨두었다. 10월 22일, 연대는 적의 전력을 평가하기 위해 정찰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같은 날 정오 무렵, 소련 보병대대가 전차 지원을 받아 연대에 공격을 가했다. 연대는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적 전차 2대를 무력화시켰다. 밤이 되자 정찰 정보가 사단 본부로 전달되었고, 제216소총사단이 도시 서쪽 가장자리에 자리를 잡고 기관총 진지, 박격포 진지, 지뢰밭으로 진지를 강화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다가오는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제3대대(연대의 우익에 배치)는 사단의 포병 부대인 제85포병연대의 야포 2문, 공병 1개 중대, 88mm 대공포 등 증원을 받았다. 제2대대는 대공포를 제외하고 같은 증원을 받았다. 한편, 제1대대는 연대 예비대로 지정되었다. 또한, 제229경보병연대 제1대대는 제228연대의 좌익을 확보하도록 배정되었다.

공격 예정 시간은 제57보병사단의 작전과 일치하도록 정오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제85포병의 준비 지연으로 인해 공격은 연기되었다. 이 기간 동안 후방의 진흙에 갇혀 있던 대전차 중대가 마침내 전선에 도착하여 최전선 대대 각각에 37mm 대전차포 소대를 제공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마침내 14시 25분에 포병 준비가 완료되었고, 공격은 15시로 재조정되었다.

4. 3. 도시 공격 (10월 23일 ~ 24일)

독일군이 도착하기 전부터 산업 설비의 철수가 시작되었고, 1941년 10월 20일경에 거의 완료되었다. 총 320개의 열차가 70개의 대형 공장에서 장비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1941년 10월 24일, 하리코프는 폰 라이헤나우의 제6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5. 하르코프 점령 (1941년 10월 ~ 1943년 2월)

하리코프의 독일 장갑차


하리코프의 Sumskaya 거리, 1941년 10월 25일


전투 이후 하리코프는 1943년 2월 16일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다. 하리코프는 전선과 가까워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에 편입되지 않고, 제57 보병사단과 제4군단 사령부가 점령 당국 역할을 수행했다.[8] ''사단장'' 안톤 도스틀러가 12월 13일까지 ''도시 사령관'' 직을 맡았고, 이후 ''중장'' 알프레트 폰 푸트카머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하리코프는 제6군의 ''군관구''로 이관되어 ''도시 사령관''과 ''야전 사령부 757''의 공동 관할 하에 놓였다.

독일군은 10월 10일의 ''라이헤나우 지령''(사실상 공산주의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처형하라는 명령)에 따라 행동하며, 후퇴하는 붉은 군대가 남겨둔 타이머 장치로 11월 14일 시내 중심가의 건물 여러 채를 폭파했다. 이로 인해 제68 보병 사단의 사령관 ''중장'' 게오르크 브라운과 참모들이 사망했다. 독일군은 약 200명의 민간인(대부분 유대인)을 체포하여 건물 발코니에 매달았고, 1,000명을 제르진스키 광장의 호텔 인터내셔널에 수용했다. 이러한 전쟁 범죄는 SS가 아닌 ''국방군'' 사령관에 의해 저질러졌다.[8]

12월 14일, ''도시 사령관''은 유대인들을 하리코프 트랙터 공장 근처 판자촌에 가두라고 명령했다. 이틀 안에 20,000명의 유대인이 모였고, C의 Einsatzgruppe에서 ''친위대 상급지도자'' 파울 블로벨이 지휘하는 ''특수부대'' 4a가 12월부터 이들을 총살하고 가스차를 사용하여 1월 내내 살해했다. 가스차는 50명을 수용하도록 개조되었고, 차량 자체에서 방출된 일산화 탄소를 사용하여 희생자들을 일산화탄소 중독과 질식으로 사망하게 했다.[9][10]

독일군은 병력을 위해 다량의 식량을 압수하여 우크라이나에 심각한 식량 부족을 야기했다. 1942년 1월까지 도시에 남아 있던 30만 명의 주민 중 약 3분의 1이 굶주리고 있었고, 혹독한 겨울 동안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11] 하리코프 전투로 도시는 폐허가 되었고, 많은 건축 기념물이 파괴되고 예술적 보물이 약탈당했다. 소련 작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는 "나는 하리코프를 보았다. 마치 5세기의 로마와 같았다. 거대한 묘지..."라고 썼다.

5. 1. 점령 통치



제1차 하리코프 전투 이후 하리코프는 1943년 2월 16일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다. 하리코프는 전선과 가까워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에 편입되지 않고, 제57 보병사단과 제4군단 사령부가 점령 당국 역할을 수행했다.[8] ''사단장'' 안톤 도스틀러가 12월 13일까지 ''도시 사령관'' 직을 맡았고, 이후 ''중장'' 알프레트 폰 푸트카머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하리코프는 제6군의 ''군관구''로 이관되어 ''도시 사령관''과 ''야전 사령부 757''의 공동 관할 하에 놓였다.

독일군은 10월 10일의 ''라이헤나우 지령''(사실상 공산주의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처형하라는 명령)에 따라 행동하며, 후퇴하는 붉은 군대가 남겨둔 타이머 장치로 11월 14일 시내 중심가의 건물 여러 채를 폭파했다. 이로 인해 제68 보병 사단의 사령관 ''중장'' 게오르크 브라운과 참모들이 사망했다. 독일군은 약 200명의 민간인(대부분 유대인)을 체포하여 건물 발코니에 매달았고, 1,000명을 제르진스키 광장의 호텔 인터내셔널에 수용했다. 이러한 전쟁 범죄는 SS가 아닌 ''국방군'' 사령관에 의해 저질러졌다.[8]

12월 14일, ''도시 사령관''은 유대인들을 하리코프 트랙터 공장 근처 판자촌에 가두라고 명령했다. 이틀 안에 20,000명의 유대인이 모였고, C의 Einsatzgruppe에서 ''친위대 상급지도자'' 파울 블로벨이 지휘하는 ''특수부대'' 4a가 12월부터 이들을 총살하고 가스차를 사용하여 1월 내내 살해했다. 가스차는 50명을 수용하도록 개조되었고, 차량 자체에서 방출된 일산화 탄소를 사용하여 희생자들을 일산화탄소 중독과 질식으로 사망하게 했다.[9][10]

독일군은 병력을 위해 다량의 식량을 압수하여 우크라이나에 심각한 식량 부족을 야기했다. 1942년 1월까지 도시에 남아 있던 30만 명의 주민 중 약 3분의 1이 굶주리고 있었고, 혹독한 겨울 동안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11] 하리코프 전투로 도시는 폐허가 되었고, 많은 건축 기념물이 파괴되고 예술적 보물이 약탈당했다. 소련 작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는 "나는 하리코프를 보았다. 마치 5세기의 로마와 같았다. 거대한 묘지..."라고 썼다.

5. 2. 주민들에 대한 억압



전투 이후, 독일군은 10월 10일의 ''라이헤나우 지령''[8](실질적으로 공산주의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처형하라는 명령)에 따라 행동하며, 남은 주민들에게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소련군 지휘관들의 시신은 사람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기 위해 발코니에 전시되었다.[8]

1941년 11월 14일, 후퇴하는 붉은 군대가 설치한 시한폭탄으로 시내 중심가의 건물 여러 채가 폭파되었다. 제68 보병 사단장 게오르크 브라운 중장과 참모들이 희생되었다. 독일군은 약 200명의 민간인(대부분 유대인)을 체포하여 건물 발코니에 매달았고, 1,000여 명을 제르진스키 광장의 호텔 인터내셔널에 인질로 수용했다. 이러한 전쟁 범죄는 SS가 아닌 최전선 ''국방군'' 사령관이 저질렀다.[8]

12월 14일, ''도시 사령관''은 유대인들을 하리코프 트랙터 공장 근처 판자촌에 가두라고 명령했다. 이틀 만에 20,000명의 유대인이 모였다. 파울 블로벨 친위대 상급지도자가 지휘하는 ''C'' 특수부대 4a는 12월부터 이들을 총살하기 시작했고, 1월에는 가스차를 사용하여 살해했다. 가스차는 50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으며, 차량 자체에서 방출된 일산화 탄소로 인해 희생자들은 일산화탄소 중독과 질식으로 사망했다.[9][10]

독일군은 병력을 위해 다량의 식량을 압수하여 우크라이나에 심각한 식량 부족을 야기했다. 1942년 1월까지 도시에 남은 30만 명의 주민 중 약 3분의 1이 굶주리고 있었고, 혹독한 겨울 동안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11]

5. 3. 유대인 학살

12월, 도시 사령관은 유대인들을 하르코프 트랙터 공장 근처의 판자촌에 가두라고 명령했다. 이틀 안에 20,000명의 유대인이 그곳에 모였다.[9] ''C''의 ''Einsatzgruppe''에서 ''친위대 상급지도자'' 파울 블로벨이 지휘하는 ''특수부대'' 4a는 12월에 이들을 총살하기 시작했고, 가스차를 사용하여 1월 내내 살해를 계속했다.[9][10] 가스차는 50명을 수용하도록 개조되었고, 도시를 돌아다니며 밀폐된 구획으로 차량 자체에서 방출된 일산화 탄소를 사용하여 안에 갇힌 사람들을 천천히 죽였다. 희생자들은 일산화탄소 중독과 질식의 조합으로 사망했다.[9][10]

5. 4. 식량 부족

독일군은 병력을 위해 다량의 식량을 압수하여 우크라이나에 심각한 식량 부족을 야기했다.[11] 1942년 1월까지, 제1차 하리코프 전투로 도시에 남아 있던 30만 명의 주민 중 약 3분의 1이 굶주리고 있었고, 혹독한 겨울 동안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11]

6. 결과

참조

[1] 웹사이트 Харьков во времена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 Книга памяти г. Харькова http://memorial.khar[...]
[2] 웹사이트 Харьков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 Вечерний Харьков https://vecherniy.kh[...]
[3] 논문 Glantz 2001
[4] 논문 Glantz 2001
[5] 논문 Margry 2001
[6] 논문 Kirchubel 2003
[7] 논문 Margry 2001
[8] 논문 Margry 2001
[9] 간행물 Ukrainian Historical Journal http://www.history.o[...]
[10] 논문 Margry 2001
[11] 논문 Margry 2001
[12] 서적 see The memoirs of Field-Marshal Keitel. Edited with an introd. and epilogue by Walter Gorlitz. Translated by David Irving, William Kimber, London (1965)
[13] 뉴스 南部の要衝・ハリコフを占領(『東京日日新聞』昭和16年10月26日)『昭和ニュース辞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p397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14] 서적 Kharkov is the Russian language name of the city (Kharkiv the Ukrainian one); both Russian and Ukrainian were official languages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15] 서적 see The memoirs of Field-Marshal Keitel. Edited with an introduction and epilogue by Walter Gorlitz. Translated by David Irving, William Kimber, London (19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