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한국 전쟁으로 인해 실시되지 못했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로, 휴전선 이남 지역구에 대한 선거는 진행되지 않았다. 선거 결과,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215석 중 178석을 차지했다. 선거에는 조선로동당을 비롯한 여러 정당이 참여했으며, 각 지역구에서 선출된 대의원 명단이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선거 -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이끄는 기민/기사련은 50.2%의 득표율로 전후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하며 정권 재창출에 성공, 전후 독일 정치의 3당 체제가 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 1957년 선거 - 1957년 오스트리아 대통령 선거
1957년 오스트리아 대통령 선거에서 아돌프 셰르프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볼프강 뎅크를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그는 총 유권자 4,630,997명 중 51.12%의 표를 획득하여 빈과 케른텐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 1957년 8월 -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
말레이시아 독립기념일은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며, 툰쿠 압둘 라만 초대 총리가 독립을 주도하고 쿠알라룸푸르에서 독립 선언식이 거행되었다. - 1957년 8월 - 태풍 아그네스 (1957년)
1957년 8월에 발생한 태풍 아그네스는 급격히 발달하여 중심기압 965hPa의 강력한 세력으로 경상남도 고성군 부근에 상륙, 부산 등 남부 지방에 강풍을 동반한 큰 영향을 주었으며 대한민국에 상륙한 태풍 중 중심 기압이 낮은 순위에서 9위를 기록했다.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
---|---|
기본 정보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선거 유형 | 의회 |
이전 선거 |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48년 |
다음 선거 |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62년 |
선출 의석 | 215석 |
선거일 | 1957년 8월 27일 |
투표율 | 100% |
지도자 및 정당 | |
지도자 1 | 김일성 |
지도자 1 직책 | 중앙위원장 |
정당 1 | 조선로동당 |
지도자 1 취임일 | 1949년 6월 30일 |
이전 선거 결과 1 | 157석 |
선거전 의석 1 | 157석 |
의석 1 | 178석 |
의석 증감 1 | +21석 |
지도자 2 | 최용건 |
지도자 2 직책 | 중앙위원장 |
정당 2 | 조선민주당 |
지도자 2 취임일 | 1946년 2월 24일 |
이전 선거 결과 2 | 35석 |
선거전 의석 2 | 35석 |
의석 2 | 11석 |
의석 증감 2 | -24석 |
지도자 3 | 김달현 |
지도자 3 직책 | 당수 |
정당 3 | 천도교청우당 |
지도자 3 취임일 | 1950년 1월 |
이전 선거 결과 3 | 35석 |
선거전 의석 3 | 35석 |
의석 3 | 11석 |
의석 증감 3 | -24석 |
선거 결과 | |
상임위원회 위원장 | 최용건 |
선거전 상임위원회 위원장 | 김두봉 |
선거전 상임위원회 위원장 정당 | 조선로동당 |
선거후 상임위원회 위원장 정당 | 북조선민주당 |
기타 | |
![]() |
2. 배경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한국 전쟁으로 실시되지 못했던 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전쟁으로 인해 휴전선 이남에 대한 선거가 완전히 불가능해짐에 따라 휴전선 이남 지역구에 대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wikitable
3. 선거 결과
정당 의석 수[6] 변화 조선로동당 178석 +21 북조선민주당 11석 -24 천도교청우당 11석 -24 근로인민당 3석 -17 인민공화당 3석 -17 불교연합 2석 +2 건민인민연합 1석 +1 민주독립당 1석 -19 기타 5석 합계 215석 -357
조선로동당은 99.9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2] 반대 투표는 0.08%에 불과했으며, 투표율은 99.99%였다.[1][2]
3. 1. 정당별 의석 수
wikitable
정당 | 의석 수[6] | 변화 |
---|---|---|
조선로동당 | 178석 | +21 |
북조선민주당 | 11석 | -24 |
천도교청우당 | 11석 | -24 |
근로인민당 | 3석 | -17 |
인민공화당 | 3석 | -17 |
불교연합 | 2석 | +2 |
건민인민연합 | 1석 | +1 |
민주독립당 | 1석 | -19 |
기타 | 5석 | |
합계 | 215석 | -357 |
조선로동당은 99.9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2] 반대 투표는 0.08%에 불과했으며, 투표율은 99.99%였다.[1][2]
4. 당선된 대의원 명단
김광협(김광협), 김두봉(김두봉), 김명준(김명준), 이남이(이남이), 이송운(이송운), 이정숙(이정숙), 박용섭(박용섭), 박용신(박용신), 유송훈(유송훈), 정연표(정연표), 추병선(추병선), 최경휘(최경휘), 최상화(최상화), 홍기황(홍기황)이 평양시에서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강양욱, 강춘국, 강진곤, 김두삼, 김낙휘, 김만금, 김일성, 김창덕, 유수연, 유축운, 유현규, 이기용, 이만규, 이용, 이일경, 이채천, 이종만, 임근상, 박도화, 박무, 박송국, 박용국, 송용, 윤봉진, 윤치일, 장윤필, 장병산, 장해우, 정두환, 정춘택, 최두찬, 최성휘, 최철환, 한일무, 한통백, 홍중식
평안북도에서는 30명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선출되었다. 이들은 강용창, 계웅상, 고춘택, 권오길, 김덕난, 김석용, 김성문, 김세열, 김회일, 나성규, 양신용, 노용세, 이동화, 이면상, 이성기, 이춘호, 소춘식, 신봉현, 안병수, 오한상, 원홍구, 윤정우, 종로식, 정칠성, 조인국, 최용건, 하앙촌, 한인석, 한춘종, 현훈이다.
김기준, 김병선, 김상철, 김화룡, 김용진, 김일손, 이만수, 이효선, 임택, 박창식, 신홍예, 정일용, 최광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구차송, 김덕영, 김상신, 김원규, 김응기, 김정혁, 김창준, 김해진, 이상춘, 이추연, 박귀녀, 문만욱, 박문규, 박정애, 백남운, 신남철, 신정선, 안달수, 유만옥, 유철목, 천태환, 정송온, 최원택, 한관옥
황해북도에서는 김병제, 김일, 김황일, 이권무, 이림, 이석남, 이시하, 이찬화, 이창도, 손철, 송봉욱, 오기섭, 조송모, 추상수, 한길용, 호빈, 현철종, 황철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참여하였다.
강덕요, 김명균, 김원봉, 김천해, 도봉섭, 이계산, 이종옥, 이홍렬, 문태화, 방학세, 오제용, 유경수, 유광열, 정운복, 최채하, 최종학, 최현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강초순, 고휘만, 김달현, 김문금, 김병제, 김용수, 김원봉, 나윤철, 이규호, 이병남, 이봉춘, 이요송, 리유민, 이인동, 이화섭, 박금철, 박의완, 송주식, 유경삼, 윤기호, 천상곤, 조충현, 추황섭, 진판수, 최용진, 한설야, 한후방녀, 현정민, 홍명휘, 황명종
함경북도에서는 강태무, 권용우, 김복진, 김상혁, 김익선, 김창만, 김태근, 김후남, 김흥일, 남일, 유용준, 이국노, 이기석, 이남연, 박용태, 백생금, 송을수, 최봉수, 한상두, 허송택, 허정숙, 황선촌, 황중업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고경인(Ko Kyong-in), 김병연(Kim Pyong-yon), 임해(Yim Hae), 송창념(Song Chang-nyom), 김성도(Kim Sung-do), 조용(Cho Yong), 추윤엽(Chu Yun-yop)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김명호, 정낙선, 호학송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4. 1. 평양시
김광협(김광협), 김두봉(김두봉), 김명준(김명준), 이남이(이남이), 이송운(이송운), 이정숙(이정숙), 박용섭(박용섭), 박용신(박용신), 유송훈(유송훈), 정연표(정연표), 추병선(추병선), 최경휘(최경휘), 최상화(최상화), 홍기황(홍기황)이 평양시에서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4. 2. 평안남도
강양욱, 강춘국, 강진곤, 김두삼, 김낙휘, 김만금, 김일성, 김창덕, 유수연, 유축운, 유현규, 이기용, 이만규, 이용, 이일경, 이채천, 이종만, 임근상, 박도화, 박무, 박송국, 박용국, 송용, 윤봉진, 윤치일, 장윤필, 장병산, 장해우, 정두환, 정춘택, 최두찬, 최성휘, 최철환, 한일무, 한통백, 홍중식4. 3. 평안북도
평안북도에서는 30명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선출되었다. 이들은 강용창, 계웅상, 고춘택, 권오길, 김덕난, 김석용, 김성문, 김세열, 김회일, 나성규, 양신용, 노용세, 이동화, 이면상, 이성기, 이춘호, 소춘식, 신봉현, 안병수, 오한상, 원홍구, 윤정우, 종로식, 정칠성, 조인국, 최용건, 하앙촌, 한인석, 한춘종, 현훈이다.4. 4. 자강도
김기준, 김병선, 김상철, 김화룡, 김용진, 김일손, 이만수, 이효선, 임택, 박창식, 신홍예, 정일용, 최광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4. 5. 황해남도
구차송, 김덕영, 김상신, 김원규, 김응기, 김정혁, 김창준, 김해진, 이상춘, 이추연, 박귀녀, 문만욱, 박문규, 박정애, 백남운, 신남철, 신정선, 안달수, 유만옥, 유철목, 천태환, 정송온, 최원택, 한관옥4. 6. 황해북도
황해북도에서는 김병제, 김일, 김황일, 이권무, 이림, 이석남, 이시하, 이찬화, 이창도, 손철, 송봉욱, 오기섭, 조송모, 추상수, 한길용, 호빈, 현철종, 황철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참여하였다.4. 7. 강원도
강덕요, 김명균, 김원봉, 김천해, 도봉섭, 이계산, 이종옥, 이홍렬, 문태화, 방학세, 오제용, 유경수, 유광열, 정운복, 최채하, 최종학, 최현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4. 8. 함경남도
강초순, 고휘만, 김달현, 김문금, 김병제, 김용수, 김원봉, 나윤철, 이규호, 이병남, 이봉춘, 이요송, 리유민, 이인동, 이화섭, 박금철, 박의완, 송주식, 유경삼, 윤기호, 천상곤, 조충현, 추황섭, 진판수, 최용진, 한설야, 한후방녀, 현정민, 홍명휘, 황명종4. 9. 함경북도
함경북도에서는 강태무, 권용우, 김복진, 김상혁, 김익선, 김창만, 김태근, 김후남, 김흥일, 남일, 유용준, 이국노, 이기석, 이남연, 박용태, 백생금, 송을수, 최봉수, 한상두, 허송택, 허정숙, 황선촌, 황중업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4. 10. 량강도
wikitext고경인(Ko Kyong-in), 김병연(Kim Pyong-yon), 임해(Yim Hae), 송창념(Song Chang-nyom), 김성도(Kim Sung-do), 조용(Cho Yong), 추윤엽(Chu Yun-yop)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4. 11. 개성시
김명호, 정낙선, 호학송이 제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서적
North Korea Handbook: Yonhap News Agency Seoul
East Gate Book
[3]
서적
Korean Communism, 1945–1980: A Reference Guide to the Political System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4]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5]
서적
북한헌법의 연혁
[6]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a data handbook, Volume 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