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도교청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도교청우당은 1919년 김기전을 당수로 창당한 북한의 위성정당이다. 1946년 북조선에 결성되어 한국 전쟁 전까지 99개의 도, 군 종무원을 조직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후 조선로동당의 지도를 인정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선전 역할을 수행한다. 최고인민회의에 대표를 파견하며, 2014년 선거에서 22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정당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은 2009년 오카와 류호가 창당한 일본의 정당으로, 국회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지방선거에서 성과를 거두며 극우 성향으로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 헌법 9조 개정 지지, 성소수자 권리 확대 반대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유튜브를 통해 정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당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은 1949년 북조선과 남한의 단체가 통합되어 결성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 전술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내 지지 세력과의 연계 활동을 목표로 했으나, 김정은의 평화통일 목표 포기 선언에 따라 2024년 3월 해산되었다.
천도교청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천도교 깃발
당기
공식 명칭천도교청우당
한자 표기天道敎靑友黨
로마자 표기Cheondogyo Cheong-udang
영문 표기Chondoist Chongu Party
창당일1946년 2월 8일
설립자김달현
본부 위치평양직할시
종교천도교
정치
위원장리명철
부위원장윤정호
정치 이념천도교 사상 (형식적), 민족주의
관련 단체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1949년–2024년)
의회최고인민회의
의석수22
총 의석수687
기타
테러 지정대한민국

2. 역사

1919년 9월 2일 김기전을 당수로 하여 최초로 창당된 청우당은, 해방 후 1945년 9월 14일 김병청을 위원장으로 조직되었다.[23] 1946년 2월 1일 소군정의 인가를 받은 '천도교 북조선종무원'이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세워졌고, 한국 전쟁 직전까지 북한 전역에 99개의 도, 군 종무원을 조직하였다.[23] 소군정은 청우당의 세력을 무시할 수 없어 당시 천도교 고원군종무원장을 지내던 김달현을 회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을 창당하게 했다.[23]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은 설립 후 몇 달 만에 9만 8천 명의 당원을 확보했고, 1946년 12월에는 20만 4,387명의 당원을 보유해 조선공산당보다 당원 수가 많았다. 1946년 7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을 위한 민주전선이 통일전선으로 결성되면서 천도교 청우당은 여기에 포함되었고, 조선공산당의 지도 아래 종속되었다. 1946~1947년 협의회, 읍협의회, 면협의회 선거에서 선출된 대의원 중 약 5.3%가 천도교 청우당 소속이었으며, 김달현은 인민위원회(국회)의 부위원장이 되었다.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당시 천도교 청우당은 최고인민회의 의석의 16.5%를 획득했지만, 소련과 북한 공산당 지도부로부터 반혁명 세력으로 간주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해, 서울의 천도교중앙본부에서 3.1절 행사 때 반공의거를 일으키라는 지령을 내렸으나, 김달현의 배신으로 실패하고 천도교 신자들은 심한 박해를 받았다.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월북한 남조선청우당 세력을 흡수하여 조선천도교청우당을 발족하고 김달현을 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

한국 전쟁 동안 청우당 고위 당직자는 로동당원이었으나 일반 신도들은 반공주의 대열에 참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박해가 심화되었고, 김달현도 숙청되었다. 1959년 시·군 이하 조직, 1960년에는 도당 조직까지 해체되면서 청우당은 완전히 몰락하여 로동당 정책 발표 때 지지 성명을 내는 정도의 활동만 허락받았다.

1970년대 남북 대화가 시작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청우당을 내세웠으나, 1972년 8월 남북적십자회담 본회의에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강장수 당시 청우당 부위원장은 천도교 교리도 모르는 로동당원이었다.[23] 1980년대 이후 월북한 최덕신을 당수로 임명해 대남선전에 이용하는 등, 현재 청우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대외 간판 역할만 수행하고 있다.[23]

2. 1. 창당 배경 (일제강점기)

1919년 9월 2일 김기전을 당수로 하여 최초로 창당되었다.[23] 해방 후 1945년 9월 14일 김병청을 위원장으로 조직되었다.[23] 1946년 2월 1일 소군정의 인가를 받은 '천도교 북조선종무원'이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세워졌는데, 한국 전쟁 직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역에 99개의 도, 군 종무원을 조직하였다.[23] 소군정도 청우당의 세력을 무시할 수만은 없어 당시 천도교 고원군종무원장을 지내던 김달현을 회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을 창당하게 했다.[23]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은 설립 후 몇 달 만에 9만 8천 명의 당원을 모았으며, 1946년 12월에는 20만 4,387명의 당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1946년 7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을 위한 민주전선이 통일전선으로 결성되었고, 천도교 청우당은 여기에 포함된 네 정당 중 하나였다.

2. 2. 해방 후 북한에서의 재창당 (1945~1950)

1945년 9월 14일, 해방 직후 김병청을 위원장으로 하는 조직이 결성되었다. 1946년 2월 1일 소군정의 인가를 받은 '천도교 북조선종무원'이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세워졌고, 한국 전쟁 직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역에 99개의 도, 군 종무원을 조직하였다. 소군정은 천도교청우당의 세력을 무시할 수 없어 당시 천도교 고원군종무원장을 지내던 김달현을 회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천도교 청우당'을 창당하게 했다.[2]

1946년 7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을 위한 민주전선이 통일전선으로 결성되었으며, 천도교 청우당은 여기에 포함된 네 정당 중 하나였다. 이로써 조선공산당의 지도 아래 당이 종속되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1946~1947년 협의회, 읍협의회, 면협의회 선거에서 선출된 7만 454명의 대의원 중 약 5.3%가 천도교 청우당 소속이었다. 김달현은 인민위원회(국회)의 두 부위원장 중 한 명이 되었다.

1948년, 서울의 천도교중앙본부에서 3.1절 행사를 기해 거국적인 반공의거를 일으키라는 지령을 받았으나 김달현의 배신으로 실패했으며, 천도교 신자들이 심한 박해를 받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4일에 ‘(남조선)천도교청우당’은 해체를 선언하였다.[23]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월북한 ‘남조선청우당’ 세력을 흡수, ‘(조선)천도교청우당’을 발족하고 김달현이 다시 위원장이 되었다.

설립 후 몇 달 만에 9만 8천 명의 당원을 모았으며, 1946년 12월에는 20만 4,387명의 당원을 보유하여 당원 수가 조선공산당보다 많았다. 그러나,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이 수립되었을 때, 천도교 청우당은 최고인민회의 의석의 16.5%를 획득했지만, 곧 당의 상황은 어려워졌다. 소련과 북한 공산당 지도부의 상당 부분은 이 당을 신뢰하지 않았고, 반혁명 세력의 온상으로 간주했다.

2. 3. 한국 전쟁과 그 이후 (1950~1970년대)

1948년, 서울의 천도교중앙본부에서 3.1절 행사를 기해 거국적인 반공의거를 일으키라는 지령을 내렸으나, 김달현의 배신으로 실패하고 천도교 신자들은 심한 박해를 받게 되었다. 같은 해 5월 4일, 남조선천도교청우당은 해체를 선언하였다.[23]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월북한 남조선청우당 세력을 흡수하여 조선천도교청우당을 발족하고 김달현을 다시 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

한국 전쟁 동안 청우당 고위 당직자는 로동당원이었으나, 일반 신도들은 반공주의 대열에 참가하였다. 이로 인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박해가 심화되었고, 김달현도 숙청되었다. 1959년 시·군 이하 조직이 모두 해체되었고, 1960년에는 도당 조직까지 해체되었다. 이후 청우당은 완전히 몰락하여 로동당의 정책 발표 때 지지 성명을 내는 정도의 활동만 허락받고 있다.

1970년대 남북 대화가 시작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청우당을 내세웠는데, 1972년 8월 남북적십자회담 본회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강장수 당시 청우당 부위원장은 실제 천도교 교리도 모르는 로동당원이었다.

2. 4. 1980년대 이후: 대남 선전 도구화

1970년대 남북 대화가 시작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천도교청우당을 내세웠다. 1972년 8월 남북적십자회담 본회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당시 청우당 부위원장 강장수는 실제로 천도교의 교리도 모르는 로동당원이었다.[23] 1980년대 이후 월북한 최덕신을 포섭, 청우당 당수로 임명해 대남선전에 이용하는 등 청우당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대외 간판 정도의 역할 밖에는 행하지 못하고 있다.[23]

천도교 청우당은 때때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북한 선전에서 언급되지만, 조선 사회민주당보다는 훨씬 적다. 그 이유는 천도교가 남한에서도 상대적으로 잊혀진 반면, 사회민주주의는 해외에서 여전히 받아들여지는 정치 이념이기 때문이다.[3]

대외적으로 조선사회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북조선의 대남공작 활동의 실동 부대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조선사회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로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의 지휘 아래 조선천도교와 연계하여 남한(대한민국)의 천도교 단체와 교류하는 외에도, 로동당 본부를 대신하여 진보적 정당, 친북 세력, 주체사상파정치가 등과의 교류도 한다.[20]

3. 조직

1990년 기준으로 천도교청우당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당중앙위원회 위원장정신혁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최희준, 리득엽
서기장김정호
상무위원정신혁, 리득엽, 김정호, 정금석
조직부부장문창기, 정연옥
선전부부장정금석


4. 이념 및 활동

천도교의 종교 이념은 19세기 말 한국에서 전개된 기독교 선교 활동에 대한 반응으로 창시되었다. 천도교는 한국 민족주의의 온상이 되었으며, 1894년 동학 농민 운동과 1919년 3·1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

천도교청우당은 1946년 2월 8일 김달현을 초대 당수로 하여 설립되었다.[3] 설립 후 몇 달 만에 9만 8천 명의 당원을 모았으며, 1946년 12월에는 20만 4,387명의 당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1946년 7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을 위한 민주전선이 통일전선으로 결성되면서 조선공산당의 지도 아래 당이 종속되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이 수립되었을 때, 천도교 청우당은 의석의 16.5%를 획득했다. 최고인민회의

그러나 소련과 북한 공산당 지도부는 당을 신뢰하지 않았고, 반혁명 세력의 온상으로 간주했다. 1948년 1월, 서울에 본부를 둔 천도교 지도부는 3월 1일 평양에서 대규모 반공 시위를 계획했고, 이는 북한의 천도교 청우당을 위태롭게 했다. 김달현은 서울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지만, 당 지도부의 다른 인물들은 계획을 강행하려 했다. 그 결과 북한 전역에서 당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이루어졌고, 운동의 반공 세력은 지하 저항 운동을 시작하고 게릴라전을 시도했다.

김달현과 그 주변 사람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재확인했다. 1950년 남한의 천도교 청우당은 그의 지도 아래 북한 당과 통합되었다. 한국 전쟁 중 당의 본부는 중국과의 국경 근처 마을로 옮겨졌다. 당 지도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쟁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지만, 많은 당 간부들이 전쟁 중 남한으로 이주했다.

1958년 당은 다시 숙청되었다. 그해 11월, 당이 조선 사회민주당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부에 대해 음모를 꾸몄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김달현과 그의 가장 가까운 동료들은 체포되어 유죄를 인정받고 의회 면책 특권이 박탈되었다.

이때 당은 독립적인 실체로서 기능을 사실상 중단했다. 당의 지방 조직은 존재하지 않았고, 형식적인 중앙 핵심만 존재했다. 당 조직부장이었던 박신덕이 당 지도부를 이어받았다.

천도교청우당은 조선로동당의 지도를 인정하는 위성정당으로서 로동당의 일당 독재를 보좌하고, 최고인민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여 다당제 유지를 돕고 있다. 당수인 위원장은 정부에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을 겸임하므로, 정권여당을 비판하고 견제하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최고인민회의의 의회로서의 체면을 갖추기 위해 조선사회민주당과 마찬가지로 집권당인 조선로동당과의 관계는 여당이 아닌 '''“우당(友黨)”'''으로 여겨진다.

대외적으로 조선사회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북조선의 대남공작 활동의 실동 부대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조선사회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로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의 지휘 아래 조선천도교와 연계하여 남한(대한민국)의 천도교 단체와 교류하는 외에도, 로동당 본부를 대신하여 진보적 정당, 친북 세력, 주체사상파정치가 등과의 교류도 한다.

5. 역대 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대수이름임기
초대최덕신~ 1989년
2대정신혁1989년 ~ 1993년
3대류미영1993년 ~ 2016년 11월[22][10][11]
-윤정호2016년 11월 ~ 2019년 (위원장 대행)
4대리명철2019년 ~ 현재[17]



최덕신중국국민당의 항일전쟁에 참가했고, 해방 후 한국군 간부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정전회담에도 참가했다.[19] 정신혁은 1989년 최덕신의 사망으로 위원장에 취임했다. 류미영최덕신의 부인으로, 1993년에 위원장에 취임했다.[22] 2016년 11월 류미영의 사망으로 윤정호 부위원장이 위원장 직무를 대행했다. 2021년, 조선노동당 제8차 당대회에서 리명철이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참석했다.[17]

6. 역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결과

(지역구 당선 / 후보)득표득표율1948년1대 총선57235 / 5728,7600.13%1957년2대 총선21511 / 2151962년3대 총선3834 / 3831967년4대 총선4574 / 4571972년5대 총선5414 / 5411977년6대 총선1982년7대 총선1986년8대 총선1990년9대 총선68722 / 6871998년10대 총선68723 / 6872003년11대 총선2009년12대 총선68722 / 6872014년13대 총선68722 / 6872019년14대 총선


참조

[1]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2] 학술지 Into the Sunset: Ch'ŏndogyo in North Korea, 1945–1950 https://muse.jhu.edu[...] 2013
[3] 웹사이트 Being a minor party in the North: In a totalitarian regime, what do N. Korea's other political blocs do? https://www.nknews.o[...] 2014-11-26
[4] 뉴스 Choi Duk Shin, 75, Ex-South Korean Envoy https://www.nytimes.[...] 1989-11-19
[5] 뉴스 Foundation day of Korea marke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1-10-03
[6] 뉴스 5th Anniversary of October 4 Declaration Observe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10-04
[7] 뉴스 Presidium of Supreme People's Assembly of DPRK Electe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4-09
[8] 뉴스 Heaven Day Ceremony of Chondoism Hel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0-04-05
[9] 뉴스 Foundation Day of Korea Marke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10-03
[10] 뉴스 S. Korea allows son of late N.K. official to visit Pyongyang http://english.yonha[...]
[11] 웹사이트 North Korean leadership shakeups revealed in latest MOU reference book release https://www.nknews.o[...] 2018-12-28
[12] 웹사이트 Meeting of DFRK Central Committee Held https://kcnawatch.or[...] 2019-02-25
[13] 뉴스 DFRK Central Committee Meets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2-21
[14] 뉴스 Heaven Day Ceremony of Chondoism Hel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4-05
[15] 뉴스 Meeting of North-South Religionists Held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1-09-22
[16] 뉴스 SPA Presidium Decides to Form Central Election Committee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1-12
[17] 웹사이트 Eighth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opens in Pyongyang https://kcnawatch.or[...] 2021-01-06
[18]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6-09-19
[19] 웹사이트 IPU PARLINE databas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hoe Go In Min Hoe Ui), Last elections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 서적 資料・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資料・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刊行会 1991
[21] 서적 北朝鮮事典―切手で読み解く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竹内書店新社 2001
[22] 학술지 【ファイル社会主義朝鮮】社会民主党、天道教青友党の新党首選出 朝鮮問題研究所 1993-09-01
[23] 뉴스 靑友黨解體 (청우당 해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48-05-15
[24] 웹인용 통일부, "류미영 북한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장 사망 1주기...남한 아들 방북 승인" http://www.spnews.co[...] 2017-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