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은 19세기 후반 프랑스가 마다가스카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쟁으로, 메리나 왕국과의 갈등이 배경이 되었다. 프랑스는 1894년과 1895년에 걸쳐 토아마시나와 마하장가를 점령하고 안타나나리보로 진격했으나, 말라리아,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질병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프랑스군의 승리로 1895년 10월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고, 1896년 프랑스 국회의 투표로 마다가스카르 병합이 공식화되었다. 이후에도 반란이 지속되었으며, 1897년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은 폐위되어 알제리로 유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가 참전한 전쟁 - 마다가스카르 전투
    마다가스카르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인도양의 전략적 요충지인 마다가스카르를 점령하여 일본의 진출을 막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 1895년 분쟁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보호령 시도와 우찰레 조약 해석 차이로 발발하여, 아드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가 승리함으로써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확립하게 된 전쟁이다.
  • 1895년 분쟁 - 쿠바 독립 전쟁
    쿠바 독립 전쟁은 189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일어난 독립 운동으로, 미국의 개입과 파리 조약으로 스페인이 쿠바에 대한 주권을 포기하면서 1902년 독립을 달성했지만 미국의 보호국이 되었다.
  • 1894년 분쟁 - 김옥균 암살 사건
    개화파 김옥균은 갑신정변 후 일본 망명 중 조선 정부의 송환 요구와 암살 시도에 직면, 이홍장과의 제휴를 미끼로 상하이로 유인되어 1894년 3월 28일 자객 홍종우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시신은 조선으로 압송되어 능지처참되는 비극을 맞이했고 이 사건은 청일 전쟁의 간접적 계기가 되었다.
  • 1894년 분쟁 - 여순 대학살
    여순 대학살은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중 일본군이 뤼순에서 자행한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사망자 수와 학살의 성격을 둘러싼 논란이 있으며, 일본 정부의 축소 시도와 엇갈린 국제 사회의 반응 속에 한일 관계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적 진실 규명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마다가스카르 원정 (1894~1895년)
1895년 5월, 마중가로 상륙 중인 프랑스 식민군
1895년 5월, 마중가로 상륙 중인 프랑스 식민군
개요
분쟁프랑코-호바 전쟁
날짜1894년 12월 – 1895년 9월
장소마다가스카르
결과프랑스 승리, 말라가시 보호령 설립
교전 세력
교전국 2[[파일:Merina Kingdom flag.svg|21px]] 메리나 왕국(現 마다가스카르)
지휘관
지휘관 1자크 듀센
지휘관 2라이닐라이아리보니
병력 규모
병력 115,000명 (군인), 6,000명 (노무자)
병력 230,000명, 40,000명 (예비군)
피해 규모
피해 125명 전사, 6,000명 질병으로 사망
피해 24,500명 전사

2. 배경

마다가스카르안타나나리보를 중심으로 메리나 왕조가 통치하는 독립 국가였다.[1] 프랑스는 제1차 마다가스카르 원정 이후 호바와 조약을 체결했음에도(1885년),[3]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이 보호령 조약을 수락하지 않자 침략을 개시했다.[2] 상주 총독 샤를 르 미르 드 빌리에는 협상을 중단하고 마다가스카르 왕국에 사실상 선전포고를 했다.[4]

2. 1. 프랑스와 메리나 왕국의 갈등

당시 안타나나리보메리나 왕조가 통치하는 독립 국가였다.[1]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이 프랑스의 보호령 조약을 수락하지 않으면서 프랑스의 침략이 촉발되었다.[2] 이는 제1차 마다가스카르 원정 이후 체결된 프랑스-호바 조약(1885년)에도 불구하고 벌어진 일이었다.[3] 상주 총독 샤를 르 미르 드 빌리에는 협상을 중단하고 마다가스카르 왕국에 사실상 선전포고를 했다.[4]

3. 원정

르 프티 저널에 실린 두 번째 마다가스카르 원정 삽화. "마다가스카르의 사건들. 르 미르 드 빌리에르 씨와 식민지 개척자들이 해안을 떠나고 있습니다."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프랑스군의 안타나나리보 진격로


자크 뒤센 장군이 이끄는 원정군이 파견되었다.[5] 1894년 12월과 1895년 1월, 프랑스군은 동해안의 토아마시나 항구와 서해안의 마하장가를 공격하여 점령했다.[6] 1895년 5월에는 약 15,000명 규모의 주력 부대와 약 6,000명의 수송 부대가 도착했다.[7][8]

프랑스군이 상륙하자, 메라 여왕 라나발로나 3세 정부에 대항하는 반란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이 봉기는 정부, 강제 노역, 그리고 1860년대 개신교로 개종한 왕실에 대한 반발이었다.[10]

이 원정은 우기에 진행되어 프랑스군에게는 재앙과 같았다. 말라리아, 이질, 장티푸스 등의 질병으로 프랑스 원정군은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9][13]

3. 1. 프랑스군의 진격



자크 뒤센 장군 휘하의 원정군이 파견되었다.[5] 1894년 12월과 1895년 1월, 프랑스군은 동해안의 토아마시나 항구와 서해안의 마하장가를 폭격하고 점령했다.[6] 1895년 5월, 약 15,000명의 주력 원정군이 상륙했으며, 약 6,000명의 수송 병력이 지원했다.[7][8]

프랑스군은 안타나나리보로 진격하면서 도로를 건설해야 했다.[11] 1895년 8월, 프랑스군은 안드리바에 도착했는데, 그곳에는 여러 마다가스카르 요새가 있었지만 제한적인 전투만 벌어졌다.[12] 말라리아,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질병으로 인해 프랑스 원정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13]

3. 2. 질병으로 인한 피해

이 작전은 우기에 진행되어 프랑스 원정군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다.[9] 말라리아,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질병으로 인해 프랑스 원정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13] 이 원정은 의료적 재앙으로, 군대의 약 1/3이 질병으로 사망했다.[14] 원정에서 총 6,000명이 사망했으며, 그중 5분의 4가 프랑스인이었다.[15] 전체 분쟁에서 전투로 사망한 프랑스 군인은 25명뿐이었다.[21]

3. 3. 메리나 왕국의 저항과 멸망

프랑스군이 상륙하자, 메라 여왕 라나발로나 3세의 정부에 대한 반란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봉기는 정부, 노예 노동, 그리고 1860년대에 개신교로 개종한 궁정에 대한 반발이었다.[10]

프랑스군은 안타나나리보로 진격하면서 도로를 건설해야 했다.[11] 마다가스카르 총리이자 총사령관인 라닐라이아리보니는 1895년 6월 29일 차라사우트라에서, 1895년 8월 22일 안드리바에서 저항했다. 그는 9월에 다시 자크 뒤센의 "기동 부대"를 공격했지만, 그의 정예 포병 부대는 프랑스군에게 궤멸되었다.[16]

뒤센은 1895년 9월 14일 안드리바에서 수도로 가는 "기동 부대"를 파견했다. 이 부대는 알제리아프리카 병사들, 해병대로 구성되었으며 짐 나귀가 동행했다. 그들은 9월 말에 도착했다.[17] 수도 주변의 고지대에서 왕궁을 향해 포병대가 배치되었고, 고성능 폭탄이 왕궁에 발사되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18] 여왕은 즉시 항복했다.[19][20]

1895년 10월 1일,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22]

4. 결과

1896년 8월 6일 프랑스 국회마다가스카르 병합에 찬성하는 투표를 하여 섬 정복을 공식화했다.[23] 원정은 성공했지만, 조제프 갈리에니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1905년 섬을 완전히 평정할 때까지 산발적인 반란을 진압하는 데 8년이 더 걸렸다.[24][25]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은 1897년 1월 폐위되었고 알제리알제로 유배되어 1917년에 사망했다.[27]

4. 1. 프랑스 보호령 성립

제2차 마다가스카르 원정 메달. 1896년 1월 15일 법률. ''레지옹 도뇌르 박물관''.


1896년 8월 6일 프랑스 국회는 마다가스카르 병합에 찬성하는 투표를 하였고, 이로써 섬의 정복이 공식화되었다.[23]

원정은 성공했지만, 조제프 갈리에니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1905년 섬을 완전히 평정할 때까지 산발적인 반란을 진압하는 데 8년이 더 걸렸다.[24][25] 그 기간 동안 섬의 마다가스카르 기독교인, 선교사 및 외국인에 대한 반란은 특히 끔찍했다.[26]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은 1897년 1월 폐위되었고 알제리알제로 유배되어 1917년에 사망했다.[27]

4. 2. 이후의 저항과 식민 통치

원정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1905년까지 산발적인 반란이 계속되었다. 조제프 갈리에니가 이끄는 프랑스군에 의해 섬은 완전히 평정되었다.[24][25] 이 기간 동안 마다가스카르 기독교인, 선교사 및 외국인에 대한 반란은 특히 끔찍했다.[26] 라나발로나 3세 여왕은 1897년 1월 폐위되었고 알제리알제로 유배되어 1917년에 사망했다.[27]

참조

[1] 서적 Vichy in the Tropics: Petain's National Revolution in Madagascar, Guadeloupe ... https://books.google[...]
[2] 전시 Musée de l'Armée exhibit
[3] 서적 France overseas: a study of moder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5] 전시 Musée de l'Armée exhibit
[6] 서적 Disease and empire: the health of European troops in the conquest of Africa https://books.google[...]
[7] 인용
[8] 인용
[9] 인용 Cambridge history of Africa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Cambridge history of Africa
[17] 인용
[18] 인용 Cambridge history of Africa
[19] 인용
[20] 인용 Cambridge history of Africa
[21] 인용
[22] 간행물 Resistance to Colonialism: The Revolt of 1904—5 in South-East Madagascar 1980
[23] 전시 Musée de l'Armée exhibit
[24] 인용
[25] 인용
[26] 인용
[27] 전시 Musée de l'Armée exhib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