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0군사정보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9월 극동사령부 예하로 창설된 미국 육군의 정보 부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정보 부대였던 연합 번역 및 통역 부서의 후신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정보 수집 임무를 수행했다. 1977년 정보보안사령부로 전속되었으며, 현재는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를 지원하고 있다. 1987년 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본부는 하와이주 스코필드 막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1군사정보여단
제501군사정보여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미 육군 군사정보 여단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하며 공로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받았고, 현재 험프리스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 파병을 통해 작전 영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은 1987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다양한 전역에 참전했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소집되어 현재 미 육군의 북극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하와이주의 부대 - 미국 태평양 육군
미국 태평양 육군은 미국 육군의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사령부로,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국 부상과 함께 시작되어 주요 전쟁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인도적 지원, 재해 구호, 국토 방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하와이주의 부대 - 제516통신여단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재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해 왔다.
제500군사정보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개요 | |
![]() | |
별칭 | 태평양의 전위 |
소속 | 미국 육군 |
상위 부대 | 미국 육군 정보보안사령부 |
종류 | 군사 정보 |
규모 | 여단 |
주둔지 | 하와이주 스코필드 막사 |
표어 | 없음 (제공된 문서에 표어 정보가 없음) |
군가 | 없음 (제공된 문서에 군가 정보가 없음) |
마스코트 | 없음 (제공된 문서에 마스코트 정보가 없음) |
기념일 | 없음 (제공된 문서에 기념일 정보가 없음) |
훈장 | 공로 부대 표창 우수 부대 표창 |
![]() | |
지휘관 | |
현 사령관 | 숀 C. 캘러핸 대령 |
부관 참모 | 빌리 J. 버드 원사 |
유명 지휘관 | 정보 없음 |
역사 | |
창설 | 1952년 9월 (도쿄) |
해체 | 1957년 |
재편성 | 1961년 3월 (캠프 아사카) |
담당 지역 | 없음 (제공된 문서에 담당 지역 정보가 없음) |
관련 정보 | |
관련 웹사이트 | https://www.thehawaiiherald.com/2016/01/22/midnight-in-broad-daylight/%7CHawaii Herald |
2. 역사
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2년 창설된 연합번역 및 통역반(ATIS)을 본따, 1952년 6월 30일 단급 부대로 구성되어 9월 1일 극동사령부에서 창설되었다.[2][6] 1957년 미군이 일본에서 태평양 관할지역으로 대규모 병력을 재배치하면서, 제500첩보근무단은 태평양 첩보지원소로 기능을 이전하고 극동사령부 및 사령부 정찰처와 함께 해산하였다.
1961년 3월 25일, 일본 캠프 드레이크에서 재소집되었다.[2][6] 1965년 12월 15일, 하와이주 포드 섬으로 본부를 이전하였고, 1972년 헬레마노 군사예비부지로 다시 이전하였다.
1974년 11월 1일, 미국 육군 정보국으로 전속되었다. 1976년 7월 15일, 본부를 가나가와현 캠프 자마로 이전하였다.
1986년~1987년 사이 활약으로 육군 우수부대표창을 받았으며, 1987년 10월 16일 여단으로 개편되었다.[2]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52년 ~ 1961년)
이 부대는 태평양 전쟁 동안 1942년에 창설되어 운영되었던 연합번역 및 통역반(Allied Translator and Interpreter Section (ATIS)영어)을 본따 1952년 6월 30일에 단급 부대로 구성되었고, 9월 1일 극동사령부에서 창설되었다.[2][6] 제500첩보근무단은 극동사령부가 있는 도쿄에서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제8군과 휘하 부대를 지원하였다. 휴전 후 1957년에 미국은 일본에서 태평양 관할지역으로 대규모 병력을 재배치하면서, 제500첩보근무단은 태평양 첩보지원소로 기능을 이전하고 극동사령부 및 사령부 정찰처와 함께 해산하였다.[2]4년 뒤인 1961년 3월 25일, 기존의 번역, 통역 임무에 인간첩보(HUMINT) 수집을 추가하여 일본 캠프 드레이크에서 재소집되었다.[2][6]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단일 첩보부대로 지정되었으나, 내부적으로는 한국, 필리핀, 태국 등의 군사협력국에 여러 분견대로 나뉘어 흩어져 배치되었다.
2. 2. 재창설과 임무 확장 (1961년 ~ 1977년)
1961년 3월 25일, 기존의 번역, 통역 임무에 인간첩보(HUMINT) 수집을 추가하여 일본 캠프 드레이크에서 재소집되었다.[2]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단일 첩보부대로 지정되었으나, 내부적으로는 한국, 필리핀, 태국 등의 군사협력국에 여러 분, 파견대로 나뉘어 흩어져 배치되었다. 1965년 12월 15일, 하와이주 포드 섬으로 본부를 옮겼다. 주월 미국 육군의 철수가 시작됨과 함께 군대 개편의 영향으로 1972년, 헬레마노 군사예비부지로 이사하였다.1974년 11월 1일, 미국 육군 정보국으로 전속되었다.
1976년 7월 15일, 본부는 가나가와현 캠프 자마로 이사하였다.
1977년 1월 1일, 정보보안사령부의 지역 군사첩보단으로 전속되었다. 군단 이상 제대에 첩보, 방첩 기능을 지원하는 부대로 지정받고 이듬해 1978년 4월에 별명인 Pacific Vanguard|퍼시픽 뱅가드영어를 부여받았다.[2]
2. 3. 정보보안사령부 편입과 현대화 (1977년 ~ 현재)
1977년 1월 1일, 정보보안사령부의 지역 군사첩보단으로 전속되었다. 군단 이상 제대에 첩보, 방첩 기능을 지원하는 부대로 지정받고 이듬해 1978년 4월에 별명인 "Pacific Vanguard영어"를 부여받았다.[2] 1986년~1987년 사이에는 훌륭한 첩보 생산을 통해 미국 육군 서부사령부와 후계 미국 태평양 육군을 지원하여 육군 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2] 1987년 10월 16일, 임무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여단으로 개편되었다.[2]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9월 극동 사령부 예하로 창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시아-태평양 전선에서 연합 정보 부대를 중앙 집중화하기 위해 창설된 호주/미국 연합 연합 번역 및 통역 부서 정보 기관의 후신으로 활동했다.[2] 1957년, 일본 주둔 미군 병력 감축의 일환으로 육군의 태평양 사령부를 도쿄에서 하와이로 이전하면서 제500군은 해체되었다. 이후 1961년 3월 아사카 주둔지에서 제500군사정보단(수집)이 재창설되어 태평양 지역의 HUMINT 임무의 모든 측면을 총괄했다.[2]
1965년, 제500군사정보단은 일본에서 하와이로 이전했으며, 1968-69년과 1972-74년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여로 공로 부대 표창을 받았다. 이는 전투 지역에 위치하지 않은 부대에게는 전례 없는 영예였다.[2] 1977년 미국 육군 정보보안사령부(INSCOM)가 창설되면서, 제500군사정보단은 INSCOM의 지역 군사 정보단 중 하나로 재배치되었다.[2] 제500군사정보단은 오늘날까지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와 그 전신인 미 육군 서부 사령부를 지원하고 있다.[2]
3. 부대 구성
4. 기록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6월 30일 극동사령부 예하 부대로 창설되었다. 이후 1961년 3월 25일 미국 태평양 육군, 1974년 11월 1일 미국 육군 정보국, 1977년 1월 1일 정보보안사령부로 차례로 예속되었다.[1] 현재는 미국 태평양 육군에 배속되어 있다.
부대 명칭은 1952년 창설 당시 '제500군사첩보근무단, 본부'였다. 이후 '제500군사첩보단'(1954년 3월 28일), '제500군사첩보단, 본부 및 본부중대'(1955년 7월 1일), '제500군사첩보단'(1957년 6월 24일), '제500첩보대단'(1961년 7월 25일), '제500군사첩보단'(1966년 10월 15일), '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1987년 10월 16일), '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1992년 10월 16일), '제500군사첩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1997년 10월 16일)를 거쳐 2010년 9월 21일 '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스트리머 | 내역 |
---|---|
공훈부대표창 (태평양 지역, 1968년 ~ 1969년) | |
공훈부대표창 (태평양 지역, 1972년 ~ 1974년) | |
![]() | 우수부대표창 (1986년 ~ 1987년) |
4. 1. 소속
극동사령부에 1952년 6월 30일 예속되었다. 이후 1961년 3월 25일 미국 태평양 육군, 1974년 11월 1일 미국 육군 정보국, 1977년 1월 1일 정보보안사령부에 차례로 예속되었다.[1] 현재는 미국 태평양 육군에 배속되어 있다.4. 2. 계보
- 1952년 6월 30일, Headquarters, 500th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Group|제500군사첩보근무단, 본부영어
- 1954년 3월 28일, Headquarters, 500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제500군사첩보단, 본부영어
- 1955년 7월 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00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제500군사첩보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1957년 6월 24일, 500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제500군사첩보단영어
- 1961년 7월 25일, 500th Intelligence Corps Group|제500첩보대단영어
- 1966년 10월 15일, 500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제500군사첩보단영어
- 1987년 10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00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1992년 10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500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
- 1997년 10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500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제500군사첩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
- 2010년 9월 2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00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제500군사첩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4. 3. 수상 내역
스트리머 | 내역 |
---|---|
태평양 지역, 1968년 ~ 1969년 | |
태평양 지역, 1972년 ~ 1974년 | |
1986년 ~ 1987년 |
참조
[1]
웹사이트
Midnight In Broad Daylight
https://www.thehawai[...]
2016-01-22
[2]
웹사이트
500TH MI BDE HISTORY
https://www.inscom.a[...]
[3]
웹사이트
INSCOM 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http://www.inscom.ar[...]
Inscom.army.mil
2011-05-20
[4]
웹사이트
732nd MI Bn is redesignated as the 715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http://www.army.mil/[...]
Army.mil
2011-05-20
[5]
웹사이트
Midnight In Broad Daylight
https://www.thehawai[...]
2022-07-16
[6]
웹사이트
500TH MI BDE HISTORY
https://www.inscom.a[...]
2022-07-16
[7]
웹사이트
INSCOM 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http://www.inscom.ar[...]
Inscom.army.mil
2011-05-20
[8]
웹사이트
732nd MI Bn is redesignated as the 715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http://www.army.mil/[...]
Army.mil
2022-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