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6포병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6포병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포병 부대로, 1942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를 거쳐 2021년 재창설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서독에서 퍼싱 미사일을 운용했으며, 1988년 중거리 핵전력 조약에 따라 1991년 해체되었다. 2021년 재창설 이후에는 다영역 작전 능력을 갖추고 NATO 동맹군과의 상호 운용성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제2다층영역태스크포스를 예하에 두고 있으며, 어깨소매휘장과 고유부대휘장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야전포병부대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국 미사일사령부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존재했던 육군 부대들로, 제1, 2, 3, 4 미사일사령부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제4미사일사령부는 대한민국 춘천 캠프 페이지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과 한국군을 지원하다가 1978년에 해산되었다. - 미국의 핵무기 지휘통제 - 보잉 E-6 머큐리
보잉 E-6 머큐리는 보잉 707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핵전쟁 상황에서 해군 잠수함 부대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필요시 미니트맨 ICBM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미국의 공중 지휘통제기이다. - 미국의 핵무기 지휘통제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국 미사일사령부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존재했던 육군 부대들로, 제1, 2, 3, 4 미사일사령부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제4미사일사령부는 대한민국 춘천 캠프 페이지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과 한국군을 지원하다가 1978년에 해산되었다. - 2021년 설립된 단체 - 한국생활체육양궁연맹
- 2021년 설립된 단체 - 제23경비여단
대한민국 육군의 제23경비여단은 2021년 9월 1일에 창설되어, 4개의 경비대대와 직할대로 구성되며, 제8군단에서 제3군단으로 소속이 변경된 경비 부대이다.
제56포병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활동 기간 | 1942년 4월 10일 – 1945년 12월 3일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역할 | 유럽-아프리카 전구 포병 지휘 본부 |
명령 체계 | [[파일:Emblem of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svg|24px]] 미국 국방부 [[파일:USEUCOM.svg|24px]] 미국 유럽 사령부 [[파일:Seal of the United States Africa Command.svg|18px]]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 [[파일:USAREUR Insignia.svg|18px]]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
표어 | Quick, Reliable, Accurate (빠르고, 믿을 수 있고, 정확하게) |
![]() | |
웹사이트 | 제56포병사령부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이전 명칭 | 제56해안포병여단 (1942–1943)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북부 프랑스 전역 |
훈장 | |
훈장 내역 | [[파일:Army Superior Unit Award ribbon.svg 우수 부대 표창 (1983–1986)|[[파일:BEL Croix de Guerre 1944 ribbon.svg|50px]] 벨기에 무공 십자훈장|벨기에 fourragère]] |
2. 역사
제56포병사령부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9월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Coast Artillery Brigade영어로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56th Antiaircraft Artillery Brigade|제56방공포병여단영어으로 개편되어 유럽 전선에 참전했으며,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중앙 유럽 전역에서 활약했다. 특히 앤트워프 항구 방어 공로로 벨기에로부터 표창을 받았다.[4] 전쟁 후 해산되었다가 냉전 시기인 1951년 재소집되어 미국 동부 해안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
1963년, 부대는 56th Artillery Group|제56포병단영어으로 재편되어 서독으로 이동, 슈바비슈 그뮌트에 주둔하며 퍼싱 1 핵미사일 운용 임무를 맡았다. 이는 NATO의 핵 억지력 강화의 일환이었다. 부대는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70년 56th Artillery Brigade|제56포병여단영어, 1972년 56th Field Artillery Brigade|제56야전포병여단영어, 1986년 56th Field Artillery Command|제56야전포병사령부영어로 승격되었다. 1983년부터는 개량형인 퍼싱 II 미사일이 배치되었으나, 1985년 미사일 조립 중 폭발 사고로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1987년 미국과 소련 간의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 체결로 퍼싱 미사일이 폐기 대상이 되면서,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1991년 6월 30일 해산되었다.
이후 약 30년 만인 2021년 10월 1일, 변화하는 유럽 안보 환경과 러시아의 위협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 마인츠-카스텔에서 제56포병사령부가 재창설되었다.[1][5][3] 재창설된 사령부는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예하의 전구급 화력사령부로서, 정보, 사이버, 전자전, 우주 능력을 통합 운용하는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s) 수행 능력을 갖추고 NATO 동맹국과의 상호 운용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6][7] 현재 사령관은 존 L. 라파티 주니어 소장이다.
2. 1. 창설과 냉전 시대 (1942년 ~ 1991년)
제56포병사령부의 기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9월 14일 미국 육군에서 창설된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Coast Artillery Brigade|제56해안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3년 4월 10일 조지아주 캠프 스튜어트에서 정식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5월 28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Antiaircraft Artillery Brigade|제56방공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개편되어 유럽 전선에 투입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56방공포병여단은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중앙 유럽 전역에 참전했으며, 특히 1944년 10월부터 1945년 3월까지 벨기에 앤트워프 항구를 독일군의 V-1 및 V-2 로켓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공로로 벨기에 육군 일일 명령에서 두 차례 표창을 받았고, 부대 기에 벨기에 퓌르라게르(Belgian Fourragère)를 영구적으로 부착할 자격을 얻었다.[4] 전쟁 후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5년 12월 3일 미국 뉴욕주 캠프 섕크스에서 해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내역 (유럽-아프리카-지중해 전구) | |
---|---|
![]() | 참전 전투 |
북부 프랑스 | 북프랑스 전투 |
라인란트 | 라인란트 전투 |
중앙유럽 | 중앙 유럽 전투 |
이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1951년 2월 10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56방공포병여단으로 재소집되어 미국 제1군에 배속되었고, 미국 동부 해안의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 1958년 3월 20일에는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Artillery Brigade|제56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부대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3년, 부대는 서독으로 이동하여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Artillery Group|제56포병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으로 재편, 슈바비슈 그뮌트에 주둔하며 신형 퍼싱 1 핵미사일 운용 임무를 맡게 되었다. 이는 냉전 시대 유럽에서의 핵 억지력 강화의 일환이었다. 부대는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치며 임무를 수행했다.
- 1970년 8월 1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Artillery Brigade|제56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승격.
- 1972년 3월 1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Field Artillery Brigade|제56야전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개편.
- 1986년 1월 1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56th Field Artillery Command|제56야전포병사령부, 본부 및 본부포대영어로 승격 및 개편. 사령관 계급이 소장으로 격상되었다.
(자세한 퍼싱 미사일 운용 및 부대 개편 내용은 #퍼싱 미사일 운용 문단 참고)

1983년부터는 개량형인 퍼싱 II 미사일이 배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85년 1월 11일, 서독 하일브론의 캠프 레드레그에서 퍼싱 II 미사일 조립 중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미군 병사 3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미사일 취급 절차의 문제점을 드러냈고, 이후 안전 규정 강화로 이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퍼싱 미사일 운용 문단 참고)
1987년 미국과 소련 간에 체결되고 1988년 5월 27일 비준된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에 따라 퍼싱 미사일은 폐기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예하 부대의 미사일 해체 및 철수 작업을 진행했으며, 1991년 6월 30일 임무를 완수하고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같은 해 9월 30일 부대는 최종 폐지되었다.
2. 1. 1. 퍼싱 미사일 운용
1963년 4월 18일, 서독 슈바비슈 그뮌트에서 대령 더글러스 C. 프랑스 주니어의 지휘 아래 제56포병단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당시 새로운 무기 체계였던 퍼싱 1 핵 미사일 배치를 준비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본부 및 본부 포대(HHB)는 초기에 하르트 카제르네에 주둔했으나, 1968년 11월 비스마르크 카제르네로 이전했다.1965년부터 제56포병단은 긴급대기(QRA, Quick Reaction Alert) 임무를 수행하며 높은 수준의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했다. 확인된 명령이 내려지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지정되었고, 전체 부대는 경보 발령 후 2시간 이내에 완전 작전 태세를 갖추어야 했다. QRA 임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퍼싱 미사일 시스템은 여러 차례 개량되었고, 육군은 각 대대의 미사일 발사기 수를 4기에서 36기로 대폭 늘렸다.
1970년 8월 17일, 제56포병단은 제56포병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와 함께 사격 부대 내 지휘관의 계급도 상향 조정되었다. 소대장은 대위, 포대장은 소령, 대대장은 중령이 맡게 되었으며, 여단장은 대령이 지휘했다. 1972년 3월 15일에는 포병 병과가 야전 포병과 방공 포병으로 분리됨에 따라 제56야전포병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새로 지정된 이 여단은 다음의 퍼싱 미사일 발사 대대를 예하에 두었다.
부대명 | 역할 |
---|---|
제4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 퍼싱 미사일 발사 |
제8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 퍼싱 미사일 발사 |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 퍼싱 미사일 발사 |
제4보병연대 (미국) 제2대대 | 발사 부대 보안 및 방어 지원 |
또한, 의료, 군수 등 수많은 추가 부대가 지원을 제공하여 여단의 작전 수행 능력을 보장했다.
1983년 11월, 소련이 SS-20 배치에 전념하자, 미국은 퍼싱 II 미사일을 배치하기 시작했다. 1985년까지 세 개의 발사 대대가 퍼싱 II로 완전히 작전을 수행했으며, 소련은 재정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위협에 직면했다. 1985년 1월 11일, 서독 하일브론의 캠프 레드레그에서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C포대 소속 군인 3명(존 리치 상사, 토드 A. 제피어 하사, 대럴 L. 셜리 일병)이 미사일 관련 작업 중 발생한 폭발 사고로 사망했다. 폭발은 조립 작업 중 저장 용기에서 미사일 단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조사 결과, 케블라 로켓 모터 케이스가 춥고 건조한 날씨에 마찰전기를 축적했고, 엔진이 용기에서 제거될 때 전기적 전하가 흘러 추진제를 점화하는 핫 스폿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접지 및 취급 절차가 마련된 1986년 말까지 미사일 이동에 대한 모라토리엄이 시행되었다.
1986년 1월,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져 제56야전포병여단은 제56야전포병사령부로 재지정되었으며, 사령관으로 소장을 임명받았다. 기존의 퍼싱 대대들은 해체 후 제9야전포병연대 예하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기존 부대 | 재편성된 부대 | 주둔지 |
---|---|---|
제1대대, 제81야전포병연대 | 제1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노이울름 |
제1대대, 제41야전포병연대 | 제2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슈바비슈 그뮌트 |
제3대대, 제84야전포병연대 | 제4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하일브론 |
미국 포트 실의 제3대대, 제9야전포병연대와 함께 4개의 사격 부대가 제9야전포병연대 소속이 되었다. 또한, 제55정비대대는 제55지원대대로 재지정되었고, E 중대, 제55정비대대는 해산되어 제193항공중대로 재편성되었으며, 각 포대별 통신 자산은 철거되어 제38신호대대로 통합되었다.
개편에 따라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평시에는 미국 유럽 육군 사령관(CINCUSAREUR)에게 직접 보고했고, 긴장 고조 또는 전쟁 중에는 NATO로 지휘권이 넘어가면서 연합 공군 중앙 유럽이 다음 상급 부대가 되었다. 또한, 야전 포병 포대의 지휘 계급은 유사 부대보다 한 계급씩 높아졌다. 소대는 대위가 지휘했고, 포대는 소령이 지휘했다. 대대는 중령이 계속 지휘했으며, 사령부 자체는 준장이 이끌다가 나중에는 소장이 지휘했다. 이러한 조치는 그들이 수행해야 하는 임무에 내재된 책임 증가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은 1988년 5월 27일에 비준되었다. 미사일 발사대가 파괴되면서 사격 포대가 장비를 철수하기 시작했다. 퍼싱 1단계 및 2단계 모터, 재진입 차량, 탄두 및 레이더 섹션 동체는 제거를 위해 미국 푸에블로 병기창으로 반환되었다. 1991년 6월 30일,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해산되었으며 1991년 9월 30일에 "폐지"되었다.
2. 1. 2. 관련 부대
제56야전포병여단 및 이후 사령부에는 작전 수행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부대가 배속되었다.
1972년 3월 15일 제56야전포병여단으로 재지정되면서, 퍼싱 미사일 발사 대대 외에도 발사 부대의 보안 및 방어 지원을 위해 제2대대, 제4보병연대가 배속되었다.
같은 해 9월 13일에는 제266화학분견대가 여단의 일부로 창설되었다. 이 분견대는 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에 배속되어 슈바비슈 그뮌트의 비스마르크 카세르네에 주둔하며 화학전 상황에 대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82년에는 제55정비대대가 여단 예하에 창설되었다. 기존의 제579병기중대가 해체되고 본부중대와 D중대로 재편성되었으며, 각 야전포병대대의 지원 포대는 해체되어 제55정비대대 예하의 전방 지원 중대 A, B, C로 재편성되었다. 1986년 1월 사령부 개편 시, 제55정비대대는 제55지원대대로 재지정되어 정비 및 보급 지원 임무를 이어갔다.
1986년 1월 17일, 제56야전포병사령부로 개편되면서 각 예하 야전포병대대의 통신 부대는 새로 재활성화된 제38통신대대로 통합되었다. 제38통신대대의 예하 부대 및 주둔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지원 대상 | 주둔지 |
---|---|---|
본부 및 본부 중대(HHC) | - | 슈바비슈 그뮌트 |
A 중대 | 제2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슈바비슈 그뮌트 |
B 중대 | 제1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노이울름 |
C 중대 | 제4대대, 제9야전포병연대 | 하일브론 |
D 중대 | - | 슈바비슈 그뮌트 |
같은 1986년 1월 개편으로, 기존 제55정비대대의 E 중대가 해체되고 제193항공중대로 재편성되어 괴핑겐의 쿠크 병영에 주둔했다. 이 부대는 13대의 벨 UH-1 이로쿼이 헬리콥터를 운용하며 지휘 통제 및 정찰 임무 등을 지원했다. 1988년 6월, 제193항공중대 소속 UH-1H 헬리콥터(기체 번호 68-15387)가 서독 젠덴의 히티슈테텐 인근에서 낮은 시야 조건 속에서 비행 중 송전선에 부딪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3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2. 2. 재창설과 다영역 작전 (2021년 ~ 현재)
2021년 8월 12일,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은 변화하는 안보 환경과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같은 해 10월 1일에 제56포병사령부를 재창설한다고 발표했다.[1][5][3] 재창설된 사령부는 독일 마인츠-카스텔에 본부를 둔 2성 장군 지휘의 전구급 화력사령부로, 초대 사령관은 스티븐 마라니안 육군 소장이 맡았다. 사령부는 비스바덴에 위치한 미국 육군 유럽 및 아프리카 사령부 근처에 주둔하며, 예하에 제2다영역 임무부대(2nd Multi-Domain Task Forceeng)를 두어 정보, 사이버, 전자전, 우주 능력을 통합 운용하는 등 다영역 작전(Multi-Domain Operations) 수행 능력을 갖추었다.마라니안 소장은 NATO 동맹국과의 상호 운용성 구축에 중점을 두고, NATO 육군 고위 지도자들과의 교류 및 부대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추진했다. 2022년 동안 사령부는 포병 부대 간 연계를 위한 새로운 개념을 시험했으며, 특히 2022년 7월 '다이내믹 프론트 '22' 훈련에서는 미국 포병 여단을 11개국으로 구성된 다국적 화력 여단과 성공적으로 연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NATO 연합 신속 대응 군단의 지휘 아래 이루어진 주목할 만한 첫 시도였다. 상호 운용성 강화 노력은 스칸디나비아 및 발트해 연안 국가 방문, 양자 훈련 등을 통해 북유럽 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6]
2023년에도 사령부는 여러 동맹국 방문, 독일 비스바덴에서의 국제 화력 전투 포럼 개최 등을 통해 NATO 육군의 포병 상호 운용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같은 해 독일 그라펜뵈어와 덴마크 옥스볼에서 실시된 '다이내믹 프론트 23' 훈련은 18개국이 참여하여 기술적, 절차적, 인적 상호 운용성을 시연한 역대 최대 규모의 포병 상호 운용성 훈련으로 평가받는다. 이 훈련에서는 실제 임무 파트너 환경에서의 작전 수행, 해군 함포 사격 통합, 덴마크, 독일, 루마니아 3개국에서의 동시 실사격 등 여러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7]
2023년 2월 17일, 앤드류 게이니 준장이 마라니안 소장의 후임 사령관으로 지명되었고, 같은 해 7월 11일 지휘권 이양식이 거행되었다. 마라니안 소장은 7월 14일 퇴임식을 가졌다. 이후 2024년 6월 13일, 존 L. 라파티 주니어 소장이 앤드류 C. 게이니 소장으로부터 지휘권을 이양받아 현재 사령관으로 재임 중이다.

'''편성'''[1]
- '''제56포병사령부''', 마인츠-카스텔 (독일)
- * 사령부 및 본부 포대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HHBeng
- * 제2다영역 임무부대 2nd Multi-Domain Task Forceeng
- ** 사령부 부대 Headquarters Elementeng
- ** 정보, 사이버, 전자전 및 우주 파견대 Intelligence, Cyberspace, Electronic Warfare and Space Detachmenteng
- ** 여단 지원 중대 Brigade Support Companyeng
3. 역대 지휘관
임기 시작 | 계급 | 이름 | 비고 |
---|---|---|---|
1963년 4월 | 대령 | 더글러스 카터 프랑스 주니어 | |
1965년 8월 | 대령 | 렉스 H. 햄프턴 시니어 | |
1967년 7월 15일 | 대령 | 패트릭 윌리엄 파워스 | |
1968년 11월 | 대령 | 제임스 에드워드 컨베이 주니어 | |
1970년 9월 | 대령 | 패트릭 윌리엄 파워스 | 임기 중 준장으로 진급 |
1972년 12월 | 준장 | 톰 저드슨 퍼킨스 | 1973년 2월 24일 재임 중 사망 |
1973년 2월 | 대령 | 리처드 도널드 보일 | 사령관 대리 |
1973년 5월 | 준장 | 밀턴 유진 키 | |
1975년 1월 | 준장 | 로버트 B. 헨킨스 | |
1978년 7월 | 대령 | 리처드 도널드 보일 | 임기 중 준장으로 진급 |
1980년 7월 | 대령 | 시드니 데이비스 | 1980년 9월 8일 준장으로 진급 |
1982년 7월 | 준장 | 윌리엄 얼 스위트 | |
1984년 | 준장 | 레이먼드 E. 해독 | 1987년 8월 4일 소장으로 진급 |
1987년 | 준장 | 로저 K. 빈 | 1989년 8월 24일 소장으로 진급 |
4. 부대 편성
제56포병사령부는 창설 이후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치며 부대 구조와 명칭이 변경되었다. 창설 초기에는 퍼싱 1 미사일 운용 부대로 시작하여 점차 규모가 확장되었고, 1970년대에는 여단급 부대로 승격되며 지원 부대가 추가로 편성되었다.
1986년에는 대대적인 개편을 통해 제56야전포병사령부로 최종 격상되었으며, 사령관의 계급도 소장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이 시기 예하의 야전포병대대들은 제9야전포병연대 소속으로 통합 재편되었고, 지원 부대 역시 임무에 맞게 재구성되었다.
개편 이후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평시에는 미국 유럽 육군(USAREUR) 사령관에게, 전시 또는 긴장 고조 시에는 NATO 연합 공군 중앙 유럽(AAFCE)의 지휘를 받았다. 또한, 부대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감안하여 예하 포병 부대의 지휘관 계급이 일반 부대보다 한 단계씩 높게 책정되었다. 예를 들어, 포대는 소령이, 소대는 대위가 지휘하는 식이었다.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이 1988년 비준됨에 따라 주력 무기인 퍼싱 미사일이 폐기 수순을 밟게 되었고,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1991년 6월 30일 해산되었으며, 같은 해 9월 30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역대 사령관'''
- 1963년 4월: 대령 더글러스 카터 프랑스 주니어
- 1965년 8월: 대령 렉스 H. 햄프턴 시니어
- 1967년 7월 15일: 대령 패트릭 윌리엄 파워스
- 1968년 11월: 대령 제임스 에드워드 컨베이 주니어
- 1970년 9월: 대령 패트릭 윌리엄 파워스; 준장으로 진급
- 1972년 12월: 준장 톰 저드슨 퍼킨스; 1973년 2월 24일 재임 중 사망
- 1973년 2월: 대령 리처드 도널드 보일; 사령관 대리
- 1973년 5월: 준장 밀턴 유진 키
- 1975년 1월: 준장 로버트 B. 헨킨스
- 1978년 7월: 대령 리처드 도널드 보일; 준장으로 진급
- 1980년 7월: 대령 시드니 데이비스; 1980년 9월 8일 준장으로 진급
- 1982년 7월: 준장 윌리엄 얼 스위트
- 1984년: 준장 레이먼드 E. 해독; 1987년 8월 4일 소장으로 진급
- 1987년: 준장 로저 K. 빈; 1989년 8월 24일 소장으로 진급
4. 1. 2023년 기준
- '''제56포병사령부''', 마인츠-카스텔 (독일)
- * 사령부 및 본부 포대
- * 제2다중영역임무부대
- ** 사령부
- ** 정보, 사이버, 전자전 및 우주 파견대
- ** 여단 지원 중대
4. 2. 1986년 ~ 1991년
1986년 1월, 대대적인 개편을 통해 제56야전포병여단은 제56야전포병사령부로 부대 명칭이 변경되었고, 사령관의 계급도 소장으로 격상되었다. 이 개편 과정에서 예하 부대들도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제1대대, 제81야전포병은 해체 후 노이울름에서 제1대대, 제9야전포병으로 재편성되었고, 제1대대, 제41야전포병은 해체되어 슈바비슈 그뮌트에서 제2대대, 제9야전포병으로 재편성되었다. 마찬가지로 제3대대, 제84야전포병은 해체 후 하일브론에서 제4대대, 제9야전포병으로 재편성되었다. 이로써 미국 포트 실에 주둔한 제3대대, 제9야전포병과 함께 총 4개의 퍼싱 미사일 발사 부대가 모두 제9야전포병연대 소속으로 통합되었다.지원 부대 역시 개편되었다. 제55정비대대는 제55지원대대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기존 제55정비대대 소속 E 중대는 해체 후 제193항공중대로 재편성되었다. 또한, 각 포대에 분산되어 있던 통신 자산은 새로 창설된 제38통신대대로 통합 운영되었다.
부대 종류 | 부대명 | 주둔지 |
---|---|---|
본부 | 본부 및 본부포대 (HHB) | 슈바비슈 그뮌트 |
화학 | 제266화학분견대 | 불명 |
야전포병 | 제9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9th FAR) | 노이울름 |
야전포병 | 제9야전포병연대 제2대대 (2-9th FAR) | 슈바비슈 그뮌트 |
야전포병 | 제9야전포병연대 제4대대 (4-9th FAR) | 하일브론 |
보병 | 제4보병연대 제2대대 | 불명 |
지원 | 제55지원대대 | 불명 |
항공 | 제193항공중대 | 괴핑겐 |
통신 | 제38통신대대 | 슈바비슈 그뮌트 (본부) |
개편 이후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유럽 주둔 미군 최고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평시에는 미국 유럽 육군(USAREUR) 사령관에게 보고했으며, 긴장이 고조되거나 전쟁 발발 시에는 NATO의 지휘 아래 연합 공군 중앙 유럽(AAFCE)의 통제를 받았다. 또한, 부대의 중요성과 책임감을 반영하여 야전 포병 부대의 지휘관 계급이 일반적인 부대보다 한 단계씩 높게 편성되었다. 소대는 대위가, 포대는 소령이 지휘했으며, 대대는 중령이 계속 지휘했다. 사령부 자체는 처음에는 준장이 이끌다가 이후 소장으로 격상된 사령관이 지휘했다.
1988년 5월 27일, 미국과 소련 간에 체결된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이 공식 비준되면서 냉전 시대의 군비 경쟁 완화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 조약에 따라 제56야전포병사령부가 운용하던 퍼싱 미사일 시스템은 폐기 대상이 되었다. 미사일 발사대는 파괴되었고, 퍼싱 미사일의 1단계 및 2단계 모터, 재진입체, 탄두, 레이더 부분 등 주요 구성품은 해체 및 제거를 위해 미국 콜로라도주의 푸에블로 병기창으로 보내졌다.
INF 조약 이행에 따라 부대의 임무가 종료되면서, 제56야전포병사령부는 1991년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같은 해 9월 30일 부대 자체가 완전히 폐지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1986년 개편으로 창설된 제193항공중대는 13대의 벨 UH-1 이로쿼이 헬리콥터를 운용하며 사령부의 항공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1988년 6월, 서독 젠덴 인근에서 시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비행하던 제193항공중대 소속 UH-1H 헬리콥터(기체 번호 68-15387) 한 대가 송전선에 부딪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탑승하고 있던 3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4. 3. 1963년 ~ 1982년
1963년 4월 18일, 제56포병단은 서독 슈바비슈 그뮌트에서 더글러스 C. 프랑스 주니어 대령의 지휘 아래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새로운 무기 체계인 퍼싱 1 핵 미사일 배치를 준비했다.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HHB)는 초기에 하르트 카제르네(구 아돌프 히틀러 카제르네)에 주둔했으며, 1968년 11월 비스마르크 카제르네로 이전했다.1965년부터 제56포병단은 긴급대기(QRA, Quick Reaction Alert) 부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각 예하 부대는 일부 병력을 최고 수준의 전투 준비 태세로 유지해야 했으며, 확인된 명령이 내려지면 수 초 내에 대응하도록 지정되었다. 전체 지휘부는 경보 발령 후 2시간 이내에 완전한 작전 태세를 갖추도록 요구되었다. QRA 임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퍼싱 미사일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했고, 미국 육군은 각 대대의 미사일 발사기 수를 4기에서 36기로 증강했다.
1970년 8월 17일, 제56포병단은 제56포병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이 개편으로 사격 부대 내 지휘관의 계급이 상향 조정되었다. 소대장은 대위, 포대장은 소령, 대대장은 중령, 여단장은 대령이 맡게 되었다.
포병 병과가 야전 포병과 방공 포병으로 분리됨에 따라, 1972년 3월 15일 부대 명칭은 제56야전포병여단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같은 해 9월 13일에는 제266화학분견대가 창설되어 제56야전포병여단에 배속되었으며,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와 함께 슈바비슈 그뮌트의 비스마르크 카제르네에 주둔했다.
=== 시대별 편제 ===
'''1963년 4월'''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사령부 |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 (HHB) |
야전포병대대 | 제41야전포병연대 제4대대 (4-4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8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3-84th FAR) |
'''1970년 9월'''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사령부 |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 (HHB) |
야전포병대대 | 제41야전포병연대 제4대대 (4-4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8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3-84th FAR) |
보병대대 | 제4보병연대 제2대대 |
'''1972년 9월'''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사령부 |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 (HHB) |
화학분견대 | 제266화학분견대 |
야전포병대대 | 제4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4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8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3-84th FAR) |
보병대대 | 제4보병연대 제2대대 |
'''1982년'''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
사령부 | 사령부 및 사령부 포대 (HHB) |
화학분견대 | 제266화학분견대 |
야전포병대대 | 제4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4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1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81st FAR) |
야전포병대대 | 제84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3-84th FAR) |
보병대대 | 제4보병연대 제2대대 |
정비대대 | 제55정비대대 |
5. 상징
(내용 없음)
5. 1. 부대 휘장 (Shoulder Sleeve Insignia)
'''설명''': 0.32cm 두께의 흰색 테두리가 있는 원형 자수 휘장이다. 바탕은 파란색(토르토, Tortoise)이며, 두 개의 번개 사이에 금색(Or) 셰브론(갈매기 모양 V자)이 있다. 중앙에는 검은색(Sable) 미사일이 붉은색(Gules) 화염을 내뿜으며 위로 향하고 있으며, 은색(Argent)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하단에는 은색 반구름이 그려져 있다. 전체 지름은 7.62cm이다.'''상징''': 휘장에 사용된 빨간색과 금색(노란색)은 야전 포병을 상징하며, 파란색은 이 부대에 배속된 보병 지원 부대를 나타낸다. 중앙의 붉은 화염과 위로 향하는 미사일은 미사일의 파괴력과 목표 타격 능력을 나타내며, 부대의 준비 태세를 상징한다. 양쪽의 번개는 필요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타격하는 미사일 부대의 능력을 의미한다.[8]
'''배경''': 현재 사용되는 어깨 소매 휘장(Shoulder Sleeve Insignia, SSI)은 1971년 6월 9일 제56포병여단 시절 처음 승인되었다. 이후 부대 명칭 변경에 따라 1972년 4월 7일 제56야전포병여단, 1986년 1월 17일 제56야전포병사령부, 그리고 2021년 8월 4일 현재의 제56포병사령부 휘장으로 이어져 사용되고 있다.[8]
'''이전 휘장''': 제56포병사령부는 창설 초기부터 여러 차례 휘장이 변경되었다.
- '''1963년 ~ 1970년''': 미국 제7군의 어깨 소매 휘장을 사용했다.
- '''1970년 ~ 1971년''': 제7군 휘장 위에 'PERSHING'이라고 적힌 탭(Tab)을 부착하여 사용했다. 당시 부대 명칭은 제56야전포병여단이었다.
- '''1971년 ~ 1991년''': 1971년 6월 9일, 현재 휘장의 기반이 되는 디자인이 제56포병여단(1972년 제56야전포병여단으로 변경) 휘장으로 승인되었다. 이 휘장 위에도 'PERSHING' 탭을 부착하여 사용했다. 이 휘장은 1986년 제56야전포병사령부로 개편된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5. 2. 부대 고유 휘장 (Distinctive Unit Insignia)
부대 특유 휘장(DUI)은 본부 및 본부 포대(HHB)에만 착용이 허가되었다.'''현재 휘장'''
현재 사용되는 고유부대휘장은 금색 금속과 에나멜로 만들어졌으며, 전체 높이는 30.16mm이다. 디자인은 진홍색 배경 위에 세 갈래 구름이 있고, 그 위에 교차된 검은색 대포 2개와 앤트워프 시(벨기에)의 문장에 묘사된 것과 같은 검은색 아치형 입구가 있는 흰색 돔형 탑이 놓여 있다. 탑 뒤에는 녹색 기단 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금색 퍼싱 미사일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모든 요소는 반원형 금색 두루마리 위에 놓여 있으며, 두루마리에는 검은색 글씨로 부대의 모토인 "Quick Reliable Accurate"(빠르고, 믿을 수 있고, 정확한)가 새겨져 있다.[8]
휘장의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8]
- 진홍색과 노란색(금색): 야전포병을 상징하는 색상이다.
- 세 갈래 구름: 제56야전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참전한 북부 프랑스, 중앙 유럽, 라인란트 전역을 나타낸다.
- 앤트워프 탑과 교차된 대포: 본부 포대가 받은 두 차례의 벨기에 육군 작전 명령 인용, 앤트워프에서의 작전 수행, 앤트워프 항구 방어 임무를 기리는 벨기에 푸라제르(Belgian Fourragère)를 상징한다.
- 빨간색과 녹색: 벨기에 푸라제르의 색상이다.
- 퍼싱 미사일: 상시 경계 태세(QRA, Quick Reaction Alert) 미사일을 운용한 미국 육군 최초의 핵 타격 부대로서의 고유한 임무를 나타낸다.
이 휘장은 원래 1972년 4월 11일에 제56야전포병여단을 위해 승인되었다. 이후 부대 명칭 변경에 따라 1986년 1월 17일 제56야전포병사령부용으로, 2021년 8월 4일 제56포병사령부용으로 재지정되었다.[8]
'''구형 휘장 (1968년~1972년)'''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사용된 구형 휘장은 전체 높이 30.16mm의 금색 금속 및 에나멜 장치였다. 디자인은 상단이 물고기 부레 모양이고 하단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흰색 배기 가스를 내뿜는 금색 퍼싱 미사일이 있다. 미사일 뒤에는 붉은색 배경에 검은색 폭탄 파열 문양과 두 개의 수직 금색 대포가 배치되었다. 전체적으로 금색 구름으로 아치형을 이루고 있으며, 하단에는 검은색 글자로 "QUICK, RELIABLE, ACCURATE"(신속, 신뢰성, 정확성)라는 모토가 새겨진 금색 두루마리가 둘러싸고 있다.
상징적으로 진홍색은 포병을, 대포는 부대의 기본 임무를 나타냈다. 미사일은 퍼싱 미사일 운용과 상시 경계 태세(QRA) 미사일을 갖춘 육군 최초의 핵 타격 부대로서의 고유 임무를 상징했다.
이 휘장은 1968년 9월 24일에 승인되었으나, 1972년 현재의 휘장 디자인이 승인되면서 1975년 2월 14일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6. 기타
1968년 부대는 퍼싱 전문가 휘장을 제정하여 퍼싱 미사일 시스템에 대한 개인의 숙련도를 인정했다. 이 휘장은 1979년까지 수여되었다.
우수 부대 표창은 1983년 11월 1일부터 1986년 12월 31일까지 퍼싱 II 배치 기간 동안의 기여를 인정하여 제56야전포병사령부와 그 예하 부대에 수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last from the past: Cold War artillery command in Germany resurrected and restructured
https://www.stripes.[...]
2021-08-13
[2]
뉴스
Army reactivates theater artillery command amid Russian build-up near Ukraine
https://breakingdefe[...]
2021-11-04
[3]
간행물
Army Theater Fires Command: Integration and Control of Very Long-Range Army Fires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2021
[4]
간행물
Antiaircraft Journal
U.S. Army
[5]
뉴스
Army reactivates theater artillery command amid Russian build-up near Ukraine
https://breakingdefe[...]
2021-11-04
[6]
웹사이트
US artillery officials nudging European armies to link their big guns
https://www.defensen[...]
Defense News
2022-10-13
[7]
웹사이트
56th Artillery Command leads exercise Dynamic Front 23
https://www.army.mil[...]
US Army
2023-04-04
[8]
웹사이트
Distinctive Unit Insignia: 56th Artillery Command
https://tioh.army.mi[...]
Institute of Heraldry, US Army
2022-01-20
[9]
웹인용
Plotting Pershing on the Map
https://www.scribd.c[...]
56th Field Artillery Command
1986-1987
[10]
웹인용
56 Artillery Group - Distinctive Unit Insignia
https://tioh.army.mi[...]
The Institute of Heraldry
2023-07-21
[11]
웹인용
56 Artillery Group
https://tioh.army.mi[...]
The Institute of Heraldry
2023-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